KR100454015B1 -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 Google Patents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015B1
KR100454015B1 KR10-2002-0021171A KR20020021171A KR100454015B1 KR 100454015 B1 KR100454015 B1 KR 100454015B1 KR 20020021171 A KR20020021171 A KR 20020021171A KR 100454015 B1 KR100454015 B1 KR 10045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joining
back plate
welding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713A (ko
Inventor
정동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정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정동조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Priority to KR10-2002-002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0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접합을 위한 용접 개선부와 백 플레이트 및 강관기둥받침이 일체로 구성되어,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별도의 용접부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기둥과 보의 가공공수를 큰 폭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사각평판 형태의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를 구비하고,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하부면에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가 연결되며,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상부면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 하부면에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 (13)(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의 일측에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의 경사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의 중앙에 일측면이 접하는 다수개의 강관기둥받침(15)(15')으로 구성되는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Joint Apparatus for joining H-beam to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없는 강관접합철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접합을 위한 용접 개선부와 백 플레이트 및 강관기둥받침이 일체로 구성되어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접합을 위한 용접 부위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설치 등의 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아 기둥과 보의 가공공수를 큰 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용접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에 관한 것이다.
도 4 는 종래의 관통 다이어프램 방식에 의해 강관기둥과 H형강보를 용접 접합한 사시도와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는 종래의 내측 다이어프램 방식에 의해 강관기둥과 H형강보를 용접 접합한 사시도와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접합시에는 관통 다이어프램 방식과, 내측다이어프램 방식이 사용된다. 관통 다어어프램 방식은 보 관통방식이라고도 하며, 강관기둥을 보의 상하 플랜지부에서 절단하고 그 부분에 다이어프램을 삽입하여 용접하는 방법이고, 내측 다이어프램 방식은 기둥을 보의 상하 플랜지 중앙부근에서 절단하고, 기둥내부의 보 상하 플랜지 위치에 다이어프램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시 삽입되는 다이어프램은 그 형상이 단순한 평판형태임으로 상기 관통 다이어프램 방식에서는 보의 상하 플랜지부에서 절단된 각각의 강관기둥의 용접부위를 개선가공하고, H형강보의 상하 플랜지부를 개선가공하여야 하며, 상기 강관 기둥과 다이어프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강관기둥 내측에 백 플레이트를 설치해야 되며, 상기 내측 다이어프램 방식에서는 H형강보의 상하 플랜지부를 개선가공하고, 다이어프램의 양측단을 개선가공하며, 다이어프램과 강관기둥이 연결되는 부위와 상하 강관기둥이 연결되는 부위에 백 플레이트를 설치해야 됨으로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가공공수가 증가하고, 용접공정이 복잡하여 작업효율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강관접합철물 자체에 강관기둥 및 H형강보의 맛댐용접을 위한 용접 개선부와 백 플레이트 및 강관기둥의 맛댐용접에서 필요한 용접 개선부의 루트(Root)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강관기둥받침이 일체로 구성되어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부위의 개선가공 및 별도의 백 플레이트 설치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강관기둥과 보의 가공공수를 큰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용접작업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H형강보의 일측 끝단에 접하는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 상부면에 연결되어 각 측면이 경사면을 가지는 사각평판 형태의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각 측면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측 모서리를 모따기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의 하부면 일측 끝단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 상부면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된 중공된 사각강관 형태의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의 경사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의 외측면 중앙에 연결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다수개의 강관기둥받침이 일체로 구성된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정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와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접합되는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부위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해 용접 접합된 용접부위의 내부 단면도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 는 종래의 관통 다이어프램 방식에 의해 강관기둥과 H형강보를 용접 접합한 사시도와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는 종래의 내측 다이어프램 방식에 의해 강관기둥과 H형강보를 용접 접합한 사시도와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관접합철물
(11) :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
(12) :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
(13)(13') :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
(14)(14') :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
(15)(15') : 강관기둥받침
(2) : 강관기둥
(3) : H형강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저면도와, 내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사용되어 접합되는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이음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사용되어 용접 접합된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이음부의 내부 단면도와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H형강보(3)의 플랜지 끝단에 접하여 상기 H형강보(3)의 플랜지 끝단을 지지하는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를 구비한다.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 상부면에 각 측면이 경사면을 이루어 상기 H형강보(3) 플랜지 끝단과 맛댐용접시 별도의 용접부 개선 작업을 필요 없도록 한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를 구비한다.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의 하부면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각 측면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측 모서리를 모따기한 중공된 사각강관 형태의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를 구비한다.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의 하부면 일측 끝단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 상부면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된 중공된 사각강관 형태의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를 구비한다.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의 경사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의 외측면 중앙에 연결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다수개의 강관기둥받침(15)(15')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강관기둥(2)과 H형강보(3)의 기둥/보 접합부에 사용하는 주강재의 접합부품으로서, 상기 강관기둥(2)을 H형강보(3)의 상하 플랜지부에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강관기둥(2) 사이에 삽입하여 강관기둥(2)과 H형강보(3)를 맛댐용접 한다.
상기 H형강보(3)의 상하 플랜지부에서 절단된 강관기둥(2) 사이에 강관접합철물(1)을 삽입한다.
상기 절단된 강관기둥(2)은 상기 강관접합철물(1)에 구비된 강관기둥받침 (15)(15')에 절단면이 지지된다.
상기 강관기둥(2) 사이에 삽입된 강관철물에 구비된 강관기둥받침(15)(15')은 상기 강관기둥(2)의 맛댐용접에서 필요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 (13)(13')의 루트(Root)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가 강관기둥(2)과 마주하고 있어 종래의 강관기둥(2)의 용접부위를 개선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강관기둥(2)의 용접부위를 개선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와 강관기둥(2)과의 사이에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개선부(13)(13')의 일측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 용접시 용접모재가 흘러들어가 강건한 용접부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강관기둥(2) 내부면 일측단에 위치한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 (14)(14')는 상기 강관기둥(2)을 지지하여 강건한 용접부위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상기 H형강보(3)의 상, 하부면 플랜지 끝단 내측이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에 접하여 상기 H형강보(3)의 상, 하부면 플랜지 끝단이 지지되고, 상기 H형강보(3)의 상, 하부면 플랜지 끝단과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와 마주하고 있어 종래의 H형강보(3)의 용접부위를 개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H형강보(3)의 용접부위를 개선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H형강보(3)의 상, 하부면 플랜지 끝단과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와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의 일측이 경사면을 이루고 있어 용접시 용접모재가 흘러들어가 강건한 용접부위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관기둥(2)과 H형강보(3)의 기둥/보 접합부에 사용하는 주강재의 접합부품으로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과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 및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및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와 강관기둥과의 맛댐용접에서 필요한 강관기둥 용접 개선부(13)(13')의 루트(Root)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강관기둥받침(15)(15')이 일체로 구성된 강관접합철물(1)이므로 강관기둥(2)과 H형강보(3)의 별도의 용접부 개선가공과 백 플레이트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기둥과 보의 가공공수를 큰 폭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동시에 보다 강건하고 건전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 접합을 위한 용접 개선부와 백 플레이트 및 다수개의 강관기둥받침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용접부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이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 시키며, 기둥과 보의 가공공수를 큰 폭으로 절감 시키고, 백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됨으로 보다 강건하고 건전한 용접부위를 얻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강관기둥(2)과 H형강보(3)의 기둥/보 접합부에 사용되는 주강재의 강관접합철물에 있어서,
    상기 H형강보(3)의 플랜지 끝단에 접하는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와,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 상부면에 연결되어 각 측면이 경사면을 가지는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와,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의 하부면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각 측면 일측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측 모서리를 모따기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와,
    상기 H형강보 접합용 백 플레이트(11)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의 하부면 일측 끝단과 상기 H형강보 접합용 용접 개선부(12)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 상부면 일측 끝단에 돌출 형성된 중공된 사각강관 형태의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와,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용접 개선부(13)(13')의 경사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강관기둥 접합용 백 플레이트(14)(14')의 외측면 중앙에 연결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다수개의 강관기둥받침(15)(15')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 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KR10-2002-0021171A 2002-04-18 2002-04-18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KR10045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171A KR100454015B1 (ko) 2002-04-18 2002-04-18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171A KR100454015B1 (ko) 2002-04-18 2002-04-18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713A KR20030082713A (ko) 2003-10-23
KR100454015B1 true KR100454015B1 (ko) 2004-10-20

Family

ID=3237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171A KR100454015B1 (ko) 2002-04-18 2002-04-18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0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452U (ja) * 1982-10-29 1984-05-09 株式会社コトブキ ブロ−成形椅子
JPH01114704U (ko) * 1988-01-27 1989-08-02
JPH01295939A (ja) * 1988-05-20 1989-11-29 Nakajima Kokan Kk 鋼管柱用鋳鋼ダイヤフラム
JPH0449340A (ja) * 1990-06-19 1992-02-18 Nippon Steel Corp 柱と梁の嵌込み接合構造
JPH10266339A (ja) * 1997-03-28 1998-10-06 Kubota Corp 鋼管柱梁接合用金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8452U (ja) * 1982-10-29 1984-05-09 株式会社コトブキ ブロ−成形椅子
JPH01114704U (ko) * 1988-01-27 1989-08-02
JPH01295939A (ja) * 1988-05-20 1989-11-29 Nakajima Kokan Kk 鋼管柱用鋳鋼ダイヤフラム
JPH0449340A (ja) * 1990-06-19 1992-02-18 Nippon Steel Corp 柱と梁の嵌込み接合構造
JPH10266339A (ja) * 1997-03-28 1998-10-06 Kubota Corp 鋼管柱梁接合用金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713A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0827B2 (ja) 鉄骨構造物柱梁接合部の梁と内ダイアフラム直結工法
KR101473624B1 (ko) 보와 기둥의 접합구조 및 접합부재
JP5237401B2 (ja) H形鋼の溶接接合方法
KR100454015B1 (ko) 강관기둥과 h형강보의 개선가공 및 백 플레이트의설치작업이 필요 없는 강관접합철물
KR100267891B1 (ko) 콘크리트충전형 각형강관을 이용한 기둥과 수평보의 접합구조
JP2681620B2 (ja) 木造建築物の横架材接合構造とその用具
JP2002106065A (ja) 横断面サイズの異なる鉄骨柱材同士の接合構造
JPH09217420A (ja) 角形鋼管柱とh形鋼梁との接合構造
JP3990185B2 (ja) 角形鋼管柱とh形鋼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567437Y2 (ja) 柱−梁接合用金物
JP2005264474A (ja) 梁と柱の接合構造
JPH06306943A (ja) 角形鋼管柱の無溶接ピン柱脚構造
JP2739461B2 (ja) 木造建築物の横架材接合構造とその用具
JP2836447B2 (ja) 鉄骨造建造物のダクトスペースの床構造
JPH03297557A (ja) 厚板組立てによる角鋼管柱の現場溶接連結方法
JPH06288001A (ja) 鋼管柱と梁の仕口構造
JPH01295938A (ja) 柱,梁接合部構造
JP2750292B2 (ja) 鉄骨ラーメン構造の構築物における鉄柱構造
JP2005105742A (ja) 梁連結部構造
JPH0765382B2 (ja) 側柱・角柱用ダイヤフラム内蔵角形鋼管柱
JP2003286744A (ja) 角形鋼管柱の柱頭部梁接合構造
JPS5942237Y2 (ja) スカラツプを必要としないh形鋼溶接用裏当材
JP2019203277A (ja) 杭頭接合部用治具
JP2012172372A (ja) 柱の接合用部材、柱の接合構造
JPH10121632A (ja) 柱コーナー部デッキ受け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