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801B1 - 카드용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카드용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801B1
KR100452801B1 KR10-2002-0014121A KR20020014121A KR100452801B1 KR 100452801 B1 KR100452801 B1 KR 100452801B1 KR 20020014121 A KR20020014121 A KR 20020014121A KR 100452801 B1 KR100452801 B1 KR 10045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mounting position
terminal
connector devic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719A (ko
Inventor
와가쯔마도오루
구로다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길이치수가 다른 2 종류의 SD 카드를 지장없이 장착할 수 있고 사용성도 양호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D 카드의 삽입량이 다른 제 1 장착위치와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하고, 제 1 장착위치에 있는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 1 단자부 (30) 와, 제 2 장착위치에 있는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 2 단자부 (40) 를 형성한다. 그럼으로써,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앞쪽으로의 돌출량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자부 (30,40) 의 대응하는 단자편 (3,4) 끼리를 금속판제의 일체품 등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해 두면, 전자장치 본체로의 부착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용 커넥터장치{CONNECTOR DEVICE FOR CARD}
본 발명은 소형 메모리 카드나 SD 카드 등으로 불리는 단자가 부착된 카드를 장착하여 이 카드의 외부접속단자군을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장치에 형성된 전자회로에 접속시키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치수가 다른 2 종류의 카드에 적용할 수 있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퍼스널 컴퓨터나 전자 카메라 등의 전자장치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정보의 기록이나 판독을 행할 수 있는 카드 (이하, SD 카드라고 함) 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카드는 외형 형상이 대략 사각형의 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면의 일단부에 복수의 외부접속단자가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SD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는, 필요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과,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군을 이 전자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같은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는 SD 카드가 개구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삽입공간내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편과, 장착된 SD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은 통상,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금속재료 또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조합하여 구성되고,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SD 카드용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각 단자편에는 삽입공간내에 노출되어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와 접촉가능한 접촉부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장치에 형성된 전자회로에 납땜되는 납땜부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공간에 삽입된 SD 카드가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그 외부접속단자군이 각 단자편의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배출기구로는 예컨대 SD 카드에 걸어맞춰져 왕복이동가능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카드배출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하트형 캠홈에 가이드되는 걸어맞춤 핀을 구비한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슬라이더와 걸어맞춤 핀을 협동시킴으로써,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의 앞쪽의 단부 (후단부) 를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밀어넣으면 이 카드가 슬라이더와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밖에, 배출용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소정의 장착위치에 걸려 있는 SD 카드를 걸림해제함으로써 이 카드를 배출시키는 구성의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SD 카드를 단순한 기억매체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송수신회로 등을 형성함으로써 통신기기로 사용하려는 요망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지금까지의 SD 카드에 비해 단자 사양은 동일하지만 길이치수를 크게 한 SD 카드의 등장이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이러한 긴 치수의 SD 카드를 장착하는 것을 상정한 구조로 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만일 긴 치수의 SD 카드를 끼워넣어 전기적인 접속을 도모하려 하면,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개구단에서 앞쪽으로 이 SD 카드가 크게 돌출된 상태가 되어, 그 이상 안쪽으로 이 SD 카드를 삽입시킬 수가 없다. 즉, 종래의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일반적인 제품보다 긴 SD 카드에도 적용하고자 하면 이 SD 카드를 장착하였을 때의 외관이 나쁠 뿐아니라, 이 SD 카드를장착한 채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장치 본체를 휴대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길이치수가 다른 2 종류의 SD 카드를 지장없이 장착할 수 있고 사용성도 양호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이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이 커넥터 장치의 단자부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이 커넥터 장치의 제 1 배출기구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이 커넥터 장치의 제 2 배출기구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7 은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8 은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9 는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0 은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1 은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2 는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3 은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4 는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5 는 긴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6 은 짧은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7 은 짧은 치수의 SD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0 은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3 은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4 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25 는 커넥터 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레임 (하우징) 2a : 납땜부
3,4 : 단자편 3a,4a : 접촉부
5 : 연결부 6 : 제 1 배출기구
7 : 제 2 배출기구 8 : 삽입공간
8a : 개구단 9 : 가이드홈
10 : 규제벽 11 : 노치
12 : 하트형 캠홈 14 : 제 1 슬라이드 부재
15 : 걸어맞춤 암 16 : 제 1 걸어맞춤 핀
20 : 제 1 코일스프링 21 : 하트형 캠홈
21a : 핀 걸림부 22 : 제 1 안내홈
23 : 제 2 안내홈 24 : 귀환로
24a : 복귀 핀 걸림부 25 : 연장로
26 : 제 2 슬라이드 부재 27 : 제 2 걸어맞춤 핀
29 : 제 2 코일스프링 30 : 제 1 단자부
40 : 제 2 단자부 50 : 짧은 치수의 SD 카드
60 : 긴 치수의 SD 카드 61 : 외부접속단자
70 : 조작부재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외부접속단자군을 형성한 카드 (SD 카드) 가 개구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공간내에 안쪽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시킨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드의 상기 삽입공간내로의 삽입량이 다른 제 1 장착위치와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외부접속단자군이 상기 제 1 단자군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카드가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외부접속단자군이 상기 제 2 단자부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이 같은 구성의 커넥터 장치는 예컨대 제 2 장착위치가 제 1 장착위치보다 안쪽에 설정되어 있게 하면 짧은 치수의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긴 치수의 SD 카드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긴 치수의 SD 카드에 대해서는 깊게 끼워넣어 지지할 수 있는 장착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 SD 카드가 장착시에 앞쪽으로 크게 돌출된 상태로는 되지 않을 뿐아니라, 외관을 해치거나 휴대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가 각각 상기 삽입공간내로 삽입된 SD 카드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같은 수의 단자편을 갖고, 또한 이들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대응하는 상기 단자편 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어느 한쪽의 단자편을 외부회로 (전자장치 본체에 형성된 전자회로) 와 접속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커넥터 장치를 전자장치 본체에 장착시키는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대응하는 단자편 끼리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금속판제의 일체품으로 이루어지고, 이 일체품의 일부에 외부회로로 납땜하기 위한 납땝부를 형성해 두면, 제 1 및 제 2 단자부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으로의 고정도 인서트성형에 의해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장치의 제조가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술한 구성에 있어서, 삽입배출방향의 길이가 다른 2 종류의 SD 카드에 대해, 짧은 치수의 SD 카드를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SD 카드가 상기 개구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치수와, 긴 치수의 SD 카드를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SD 카드가 상기 개구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치수가 대략 동등해지도록 이들 제 1 및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해 두면 외관상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보기에 좋아지고, 사용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기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배출기구와,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배출기구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배출기구에 각각, 상기 안쪽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트형 캠홈을 따라 이동하는 걸어맞춤 핀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SD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SD 카드가 상기 제 1 장착위치 또는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대응하는 상기 배출기구의 상기 걸어맞춤 핀이 상기 하트형 캠홈의 핀 걸림부에 걸려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SD 카드를 상기 삽입공간내의 안쪽으로 밀어넣어 상기 걸어맞춤 핀을 상기 핀 걸림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SD 카드가 배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해 두면, 조작자는 제 1 장착위치 또는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시의 조작성이 양호해지고 배출용 조작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은 실시형태의 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커버를 생략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 는 이 커넥터 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3 은 이 커넥터 장치의 단자부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이 커넥터 장치의 제 1 배출기구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설명도이고, 도 5 는 이 커넥터 장치의 제 2 배출기구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자장치에 장치되어 SD 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위치에 장착된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군을 전자장치 본체에 형성된 전자회로에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짧은 치수의 SD 카드를 장착할 수 있을 뿐아니라 긴 치수의SD 카드도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1) 과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단자편 (3,4) 을 연결부 (5) 를 통해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인서트 성형기술에 의해 프레임 (1) 에 고정된 금속판제의 복수의 단자유닛 (2) 과, 프레임 (1) 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 1 배출기구 (6) 와, 프레임 (1) 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 2 배출기구 (7) 로 개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프레임 (1) 과 커버 사이에는 SD 카드가 개구단 (8a) 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공간 (8)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1) 의 일측부에는 제 1 배출기구 (6) 의 일부를 이루는 가이드홈 (9) 이나, 규제벽 (10) 및 노치 (11) 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1) 의 타측부에는 제 2 배출기구 (7) 의 일부를 이루는 하트형 캠홈 (1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1) 에는 개구단 (8a) 근방에 각 단자유닛 (2) 의 일단부가 노출되는 투공 (13) 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유닛 (2) 은 도 1,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2 열로 배치되어 있고, 삽입공간 (8) 의 중앙부 부근에 노출된 단자편 (3) 군에 의해 제 1 단자부 (30) 가 구성되고, 삽입공간 (8) 의 안쪽부로 돌출되는 단자편 (4) 군에 의해 제 2 단자부 (40) 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단자부 (30,40) 의 대응하는 단자편 (3,4) 끼리는 프레임 (1) 의 안쪽방향 (길이방향) 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 (5) 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단자편 (3,4) 의 자유단부는 각각 접촉부 (3a,4a) 로 되어 있고, 각 접촉부 (3a) 의 상대위치관계나 각 접촉부 (4a) 의 상대위치관계는 모두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군의 상대위치관계 (단자배열) 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대응하는 단자편 (3,4) 을 포함하는 단자유닛 (2) 의 일단부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납땜부 (2a) 가 형성되어 있고, 각 단자유닛 (2) 의 납땜부 (2a) 를 프레임 (1) 의 투공 (13) 내에 돌출시키고 있다. 이들 납땜부 (2a) 는 전자장치 본체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회로에 납땜된다.
요컨대,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는 삽입량이 작은 SD 카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 1 장착위치와, 삽입량이 큰 SD 카드를 장착시키기 위한 제 2 장착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SD 카드를 삽입공간 (8) 내의 중앙부 부근까지 삽입하여 제 1 장착위치에 장착시키면 그 외부접속단자군이 각 단자편 (3) 의 접촉부 (3a) 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또한, SD 카드를 삽입공간 (8) 내의 안쪽부까지 삽입하여 제 2 장착위치에 장착시키면 그 외부접속단자군이 각 단자편 (4) 의 접촉부 (4a) 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제 1 배출기구 (6) 는 SD 카드의 삽입배출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와, 이 슬라이드 부재 (14)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SD 카드의 앞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 암 (15) 과,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이드홈 (9) 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과, 이 걸어맞춤 핀 (16) 이 가이드홈 (9) 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누르고 있는 누름판 (17) 과 SD 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에걸어맞출 수 있으며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에 지지된 제 1 탄성편 (18) 과, SD 카드의 이 오목부에 걸어맞출 수 있으며 걸어맞춤 암 (15) 에 지지된 제 2 탄성편 (19) 과,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를 카드배출방향으로 향해 탄성지지하는 제 1 코일스프링 (20)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1) 의 상기 규제벽 (10) 및 노치 (11) 도 제 1 배출기구 (6) 의 구성요소이고, 규제벽 (10) 은 SD 카드의 삽입위치가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 걸어맞춤 암 (15) 의 바깥쪽으로의 회전을 규제한다. 한편, 노치 (11) 는 SD 카드가 상기 제 1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 2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걸어맞춤 암 (15) 의 바깥쪽으로의 회전을 허용하여 이 걸어맞춤 암 (15) 을 퇴피시킨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 (9) 에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걸리게 하여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핀 걸림부 (21a) 를 갖는 하트형 캠홈 (21) 과, 핀 걸림부 (21a) 의 상류측에서 하트형 캠홈 (21)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홈 (22) 과, 핀 걸림부 (21a) 의 하류측에서 하트형 캠홈 (21)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안내홈 (23) 과, SD 카드가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 1 걸어맞춤 핀 (16) 의 진로를 가이드하는 귀환로 (24) 와, 양 안내홈 (21,22) 및 귀환로 (24)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로 (25) 가 형성되어 있고, 귀환로 (24) 내에는 이 귀환로 (24) 를 이동중인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걸리게 하여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복귀 핀 걸림부 (2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귀환로 (24) 는 복귀 핀 걸림부 (24a) 의 하류측에서 제 2 안내홈 (23) 에 연이어 통하여 있다.그리고,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핀 걸림부 (21a) 또는 복귀 핀 걸림부 (24a) 에 걸려 있을 때,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제 1 탄성편 (18) 을 통해 이 슬라이드 부재 (14) 와 걸어맞춰져 있는 SD 카드가 제 1 장착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배출기구 (7) 는 SD 카드의 앞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 (26a) 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SD 카드의 삽입배출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와, 이 슬라이드 부재 (26) 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하트형 캠홈 (12) 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걸어맞춤 핀 (27) 과, 이 걸어맞춤 핀 (27) 이 하트형 캠홈 (12) 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누르고 있는 누름판 (28) 과,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를 SD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향해 탄성지지하는 제 2 코일스프링 (29) 을 구비하고 있다. 하트형 캠홈 (12) 에는 핀 걸림부 (12a) 가 형성되어 있고, SD 카드가 제 2 장착위치에 있을 때, 제 2 걸어맞춤 핀 (27) 이 이 핀 걸림부 (12a) 에 걸려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걸어맞춤 암 (15) 에 지지된 제 2 탄성편 (19) 이 SD 카드의 오목부와 걸어맞춰져 SD 카드를 제 2 장착위치에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같이 구성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현재 일반적인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보다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긴 치수의 SD 카드 (60) 의 삽입방향 전단측에는 각 단자편 (3,4) 의 접촉부(3a,4a) 에 접촉가능한 외부접속단자 (61) 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SD 카드 (60) 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 1 배출기구 (6) 의 탄성편 (18,19) 과 걸어맞출 수 있는 오목부 (6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긴 치수의 SD 카드 (60) 는 그 폭치수나, 외부접속단자 (61) 군의 단자배열, 앞가장자리에서 오목부 (62) 까지의 거리 등이, 모두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와 동등하게 설계되어 있다. 단, 긴 치수의 SD 카드 (60) 에는 후단측에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테나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후단부분을 앞쪽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커넥터 장치에 장착하는 것이 좋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의 예에 관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대해, 긴 치수의 SD 카드 (60) 의 삽입을 개시한 직후의 평면도이다. SD 카드 (60) 를 도 6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오목부 (62) 에 제 1 탄성편 (18) 이 걸어맞춰지고 SD 카드 (60) 의 앞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춤 암 (15) 이 맞닿는다. 따라서, 조작자가 SD 카드 (60) 를 더욱 삽입해 가면, 프레임 (1) 의 규제벽 (10) 에 의해 바깥쪽으로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는 걸어맞춤 암 (15) 이 SD 카드 (60) 에 의해 밀어넣어지게 되고,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및 걸어맞춤 암 (15) 이 SD 카드 (60) 에 따라 움직여서 안쪽으로 이동해 가고, 이 슬라이드 부재 (14) 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하트형 캠홈 (21) 을 따라 이동해 간다.
그리고, SD 카드 (60) 를 제 1 장착위치보다 약간 더 안으로 밀어넣으면 도 7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하트형 캠홈 (21) 에서 제 1 안내홈 (22) 으로 이동하므로, 밀어넣는 조작력을 제거하면 제 1 코일스프링 (20) 의 탄성력으로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및 걸어맞춤 암 (15) 이 앞쪽으로 되밀려서,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핀 걸림부 (21a) 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SD 카드 (60) 는 외부접속단자 (61) 군을 각 단자편 (3) 의 접촉부 (3a) 에 접촉시킨 제 1 장착위치에 지지되게 되어 앞쪽으로 노출되는 안테나 회로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된 SD 카드 (60) 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도 7 의 상태의 SD 카드 (60) 를 안쪽으로 얕게 밀어넣으면 된다. 그럼으로써,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핀 걸림부 (21a) 로부터 이탈되어 도 6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트형 캠홈 (21) 안을 하류로 이동하므로, 제 1 코일스프링 (20) 의 탄성력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및 걸어맞춤 암 (15) 에 의해 SD 카드 (60) 는 배출위치까지 되밀린다. 요컨대, 조작자는 제 1 장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SD 카드 (60) 를 한번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회로 사용시에 제 1 장착위치에 지지되어 있던 SD 카드 (60) 를 수납하기 위해 제 2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7 의 상태의 SD 카드 (60) 를 조작자가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걸어맞춤 핀 (16) 은 도 8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트형 캠홈 (21) 에서 제 2 안내홈 (23) 을 거쳐 연장로 (25) 로 이동해 간다. 또한, SD 카드 (60) 가 도 8 의 위치까지 삽입된 시점에서, 걸어맞춤 암 (15) 이 SD 카드 (60) 에 의해 밀리면서 바깥쪽으로 회전하여 프레임 (1) 의 노치 (11) 내로 퇴피하므로, 걸어맞춤 암 (15) 의 안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SD 카드 (60) 가 더욱 안쪽으로 밀어넣어져도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는 정지한 채, 제 1 탄성편 (18) 은 SD 카드 (60) 의 오목부 (62) 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SD 카드 (60) 의 앞가장자리부는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의 걸어맞춤부 (26a) 를 밀어넣고 있으므로, SD 카드 (60) 의 더 한층의 안쪽으로의 이동에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가 따라 움직여서 제 2 걸어맞춤 핀 (27) 이 하트형 캠홈 (12) 을 따라 이동해 간다.
그리고, SD 카드 (60) 를 제 2 장착위치보다 약간 더 안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제 2 걸어맞춤 핀 (27) 이 하트형 캠홈 (12) 내를 도 9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하므로, 밀어넣는 조작력을 제거하면 제 2 코일스프링 (29) 의 탄성력으로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가 앞쪽으로 되밀려서, 제 2 걸어맞춤 핀 (27) 을 핀 걸림부 (12a) 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SD 카드 (60) 는 외부접속단자 (61) 군을 각 단자편 (4) 의 접촉부 (4a) 에 접촉시킨 제 2 장착위치에 지지되게 되어 앞쪽으로 크게 노출되지 않는 수납상태가 된다. 또한, SD 카드 (60) 가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SD 카드 (60) 의 오목부 (62) 에는 제 2 탄성편 (19) 이 들어가서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장착위치에 지지되어 있던 SD 카드 (60) 를 제 1 장착위치로 이동시켜 안테나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9 의 상태의 SD 카드 (60) 를 안쪽으로 얕게 밀어넣으면 된다. 그럼으로써, 제 2 걸어맞춤 핀 (27) 이 핀 걸림부 (12a) 로부터 이탈되어 도 10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트형 캠홈 (12)내를 하류로 이동하므로, 제 2 코일스프링 (29) 의 탄성력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부재 (26) 의 걸어맞춤부 (26a) 에 의해 SD 카드 (60) 는 도 11, 12 에 나타내는 순서로 제 1 장착위치까지 되밀린다. 도 11 은 노치 (11) 로 퇴피해 있던 걸어맞춤 암 (15) 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가 앞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연장로 (25) 에서 귀환로 (24) 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도 12 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귀환로 (24) 의 복귀 핀 걸림부 (24a) 에 걸려 SD 카드 (60) 가 제 1 장착위치까지 되돌아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이 조작자는 제 2 장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SD 카드 (60) 를 한번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 1 장착위치까지 이동시켜 안테나 회로사용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단, 도 7 내지 도 12 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통과하는 경로는, SD 카드 (60) 가 제 1 장착위치에서 제 2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경로와, 반대로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의 경로가 다르다.
이렇게 하여 SD 카드 (60) 를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까지 이동시켜 안테나 회로사용상태로 한 후, 다시 SD 카드 (60) 를 제 2 장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조작자는 SD 카드 (60) 를 안쪽으로 깊게 밀어넣으면 된다. 그럼으로써, 도 13a 내지 도 1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핀 걸림부 (24a) 에 걸려 있던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제 2 안내홈 (23) 을 거쳐 연장로 (25) 로 이동해 가므로, 그대로 SD 카드 (60) 를 밀어넣어 가면 도 8 의 상태를 거쳐 도 9 의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까지 이동시켜 안테나 회로사용상태로 한 SD 카드 (60) 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SD 카드 (60) 를 안쪽으로 얕게 밀어넣은 다음 조작력을 제거하면 된다. 그럼으로써, 도 14a 내지 도 1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핀 걸림부 (24a) 에 걸려 있던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제 2 안내홈 (23) 의 도중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제 1 코일스프링 (20) 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슬라이드 부재 (14) 및 걸어맞춤 암 (15) 이 앞쪽으로 되밀리게 되므로,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하트형 캠홈 (21) 을 하류로 진행하여 SD 카드 (60) 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된 SD 카드 (60) 를 바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D 카드 (60) 를 제 1 장착위치를 지나쳐 바로 제 2 장착위치에 장착시킬 수도 있다. 즉, 삽입된 SD 카드 (60) 를 안쪽으로 깊이 밀어넣으면 도 15 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하트형 캠홈 (21) 에서 제 1 안내홈 (22) 을 거쳐 연장로 (25) 로 이동해 가므로, 그대로 SD 카드 (60) 를 밀어넣으면 도 8 의 상태를 거쳐 도 9 의 상태로 이행한다.
다음에, 이 카드용 커넥터 장치에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16, 1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 은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의 삽입을 개시한 직후의 평면도이고, 도 17 은 이 SD 카드 (50) 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는 안쪽의 제 2 장착위치까지는 삽입할 수 없으므로, 제 1 장착위치에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와 긴 치수의 SD 카드 (60) 는그 폭치수나 외부접속단자군의 단자배열 등이 공통화되어 있다. 따라서, 도 6, 7 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요컨대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삽입하여 제 1 장착위치에 장착시키거나,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배출시키는 경우의 동작과 완전히 동등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도 16 의 상태에서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를 조작자가 밀어넣으면 제 1 걸어맞춤 핀 (16) 은 하트형 캠홈 (21) 을 통해 제 1 안내홈 (22) 으로 이동하고, 밀어넣는 조작력이 제거되면 이 걸어맞춤 핀 (16) 은 하트형 캠홈 (21) 으로 되돌아 가 핀 걸림부 (21a) 에 걸리기 때문에, SD 카드 (50) 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 의 상태에서 SD 카드 (50) 를 조작자가 얕게 밀어넣으면 핀 걸림부 (21a) 에 걸려 있던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제 2 안내홈 (23) 으로 이동하므로, 밀어넣는 조작력이 제거되면 이 걸어맞춤 핀 (16) 은 하트형 캠홈 (21) 을 하류로 진행하여 SD 카드 (50) 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도 17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착위치에 장착시킨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의 후단부가 앞쪽으로 돌출되는 치수 (L1) 와, 제 2 장착위치에 장착시킨 긴 치수의 SD 카드 (60) 의 후단부가 앞쪽으로 돌출되는 치수 (L2) 가 대략 동등해지도록 이들 제 1 및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예에 의하면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긴 치수의 SD 카드 (60) 일지라도,이것을 안쪽의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면 수납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외관을 해치거나 휴대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배출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가이드홈 (9) 을 갖는 제 1 배출기구 (6) 와,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로 향해 이동가능한 제 2 배출기구 (7) 를 형성하여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제 1 장착위치와 제 2 장착위치 사이에서 간단하고 원활하게 왕복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예컨대 안테나 회로를 사용할 때에만 이 SD 카드 (60) 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해 두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이 SD 카드 (60) 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수납해 두는 실용적인 사용방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에 배출력을 부여하는 제 1 코일스프링 (20) 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에 배출력을 부여하는 제 2 코일스프링 (29) 이 설치되어 있어 언제나 안정된 조작력으로 SD 카드의 밀어넣는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코일스프링의 장수명화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를 도 18 내지 도 2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예는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로 이동시킨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배출시킬 때에만 조작자가 배출용 조작부재 (70) 를 밀어넣도록 설계되어 있고,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9) 의 형상이 상기 실시형태의 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예의 가이드홈 (9) 에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걸리게 하여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핀 걸림부 (21a) 를 갖는 하트형 캠홈 (21) 과, 핀 걸림부 (21a) 의 하류측에서 하트형 캠홈 (21)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안내홈 (23) 과, SD 카드가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 1 걸어맞춤 핀 (16) 의 진로를 가이드하는 귀환로 (24) 와, 안내홈 (23) 및 귀환로 (24)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로 (25) 가 형성되어 있고, 귀환로 (24) 내에는 이 귀환로 (24) 를 이동중인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걸리게 하여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복귀 핀 걸림부 (24a) 가 형성되어 있다. 단, 상기 실시형태의 예와는 달리, 귀환로 (24) 와 안내홈 (23) 에 의해 순환로가 구성되어 있지는 않으며,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복귀 핀 걸림부 (24a) 에서 안내홈 (23) 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부재 (70) 를 밀어넣기 조작하여 이 걸어맞춤 핀 (16) 을 안내홈 (23) 까지 밀어올릴 필요가 있다.
도 19 는 제 2 장착위치에서 이동해 온 긴 치수의 SD 카드 (60) 가 제 1 장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부재 (70) 를 밀어넣으면 복귀 핀 걸림부 (24a) 에 걸려 있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안내홈 (23) 으로 밀어올려지기 때문에, 이 걸어맞춤 핀 (16) 은 하트형 캠홈 (21) 을 하류로 진행하여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SD 카드 (60) 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19 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SD 카드 (60) 를 밀어넣은 경우에는 복귀 핀 걸림부 (24a) 에 걸려 있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귀환로 (24) 를 안쪽으로 진행하여 연장로 (25) 에 도달하는 것뿐이므로, 이 SD 카드 (60) 를 제 2장착위치에 장착시킬 수는 있어도 배출시킬 수는 없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의 예는 긴 치수의 SD 카드 (60) 의 배출시에만 조작부재 (70) 를 사용하고, 긴 치수의 SD 카드 (60) 의 장착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나, 짧은 치수의 SD 카드 (50) 를 착탈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예와 동일하게 SD 카드를 직접 밀어넣어 조작한다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예를 도 21 내지 도 2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예는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간단히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 (9) 의 형상이 상기 각 실시형태의 예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예의 가이드홈 (9) 에는 제 1 걸어맞춤 핀 (16) 을 걸리게 하여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핀 걸림부 (21a) 를 갖는 하트형 캠홈 (21) 과, 핀 걸림부 (21a) 의 상류측에서 하트형 캠홈 (21)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안내홈 (22) 과, 핀 걸림부 (21a) 의 하류측에서 하트형 캠홈 (21)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안내홈 (23) 과, 제 1 및 제 2 안내홈 (22,23) 에 연이어 통하여 안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로 (25) 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각 실시형태의 예와는 달리, SD 카드가 제 2 장착위치에서 제 1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 1 걸어맞춤 핀 (16) 의 진로를 가이드하는 귀환로는 생략되어 있다.
따라서,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치수의 SD 카드 (60) 를 삽입해 가고, 이것을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하거나, 또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실시형태의 예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지만, 제 2 장착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SD 카드 (60) 를 조작자가 밀어넣으면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핀 (16) 이 연장로 (25) 에서 제 2 안내홈 (23) 을 거쳐 하트형 캠홈 (21) 까지 되돌아 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SD 카드가 제 1 장착위치와 제 2 장착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한번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SD 카드의 삽입량이 다른 제 1 장착위치와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하고, 제 1 장착위치에 있는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 1 단자부와, 제 2 장착위치에 있는 SD 카드의 외부접속단자와 접촉하는 제 2 단자부를 형성한 카드용 커넥터 장치이므로, 짧은 치수의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긴 치수의 SD 카드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여 앞쪽으로의 돌출량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대응하는 단자편 끼리를 금속판제의 일체품 등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해 두면, 전자장치 본체로의 부착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고, 비용절감도 도모하기 쉽다.
또한, 짧은 치수의 SD 카드를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한 경우에도, 긴 치수의 SD 카드를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한 경우에도 앞쪽으로 돌출되는 SD 카드의 치수는 등등해지도록 양 장착위치를 설정해 두면, 외관상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보기에 좋아지고, 사용성도 향상된다.
또한,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배출기구와,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배출기구를 구비하고, 각 배출기구에 슬라이드 부재나 하트형 캠홈, 걸어맞춤 핀, 탄성지지부재 등을 설치해 두면, 제 1 장착위치 또는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SD 카드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배출시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Claims (5)

  1. 외부접속단자군을 형성한 카드가 개구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삽입공간내에 있어서 안쪽방향인 카드삽입방향을 따르도록 겹치지 않게 배치시킨 제 1 단자부 및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간에 상기 카드의 상기 삽입공간내로의 삽입량이 다른 제 1 장착위치와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외부접속단자군이 상기 제 1 단자부에만 접촉하고, 또한 상기 카드가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외부접속단자군이 상기 제 2 단자부에만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가 각각 상기 삽입공간내로 삽입된 상기 카드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같은 수의 단자편을 갖고, 또한 이들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대응하는 상기 단자편 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의 대응하는 상기 단자편 끼리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금속판제의 일체품으로 이루어지고, 이 일체품의 일부에 외부회로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배출방향의 길이가 다른 2 종류의 상기 카드에 대해, 일측의 짧은 치수의 카드를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카드가 상기 개구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치수와, 타측의 긴 치수의 카드를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하였을 때에 이 카드가 상기 개구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치수가 대략 동등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카드를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배출기구와,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카드를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배출기구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배출기구에 각각, 상기 안쪽방향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한 슬라이드 부재와, 이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하트형 캠홈을 따라 이동하는 걸어맞춤 핀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카드의 배출방향으로 향해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드가 상기 제 1 장착위치 또는 상기 제 2 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 대응하는 상기 배출기구의 상기 걸어맞춤 핀이 상기 하트형 캠홈의 핀 걸림부에 걸려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상기 카드를 상기 삽입공간내의 안쪽으로 밀어넣어 상기 걸어맞춤 핀을 상기 핀 걸림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 카드가 배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10-2002-0014121A 2001-03-26 2002-03-15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452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88265 2001-03-26
JP2001088265A JP4363793B2 (ja) 2001-03-26 2001-03-26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19A KR20020075719A (ko) 2002-10-05
KR100452801B1 true KR100452801B1 (ko) 2004-10-14

Family

ID=1894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121A KR100452801B1 (ko) 2001-03-26 2002-03-15 카드용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9911B2 (ko)
EP (1) EP1246312B1 (ko)
JP (1) JP4363793B2 (ko)
KR (1) KR100452801B1 (ko)
CN (1) CN1203587C (ko)
DE (1) DE60212483T2 (ko)
TW (1) TW5545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1885B2 (en) * 2001-12-11 2006-01-03 Molex Incorporated Secure digital memory card socket
KR100451161B1 (ko) * 2002-02-27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장치
JP3803098B2 (ja) * 2002-11-28 2006-08-0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ATE537585T1 (de) * 2003-02-19 2011-12-15 Hosiden Corp Kartenverbinder
TWI251389B (en) * 2003-10-29 2006-03-11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s
CN100405667C (zh) * 2004-11-29 2008-07-23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卡用连接装置
JP4799871B2 (ja) * 2005-01-13 2011-10-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607217B2 (ja) 2008-07-23 2011-01-05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5533028B2 (ja) 2009-04-01 2014-06-2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7704084B1 (en) * 2009-04-06 2010-04-27 Chieh-Yu Cheng USB connector extension/retraction device for USB flash drive
JP5013278B2 (ja) 2009-08-04 2012-08-29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TWI430076B (zh) * 2010-12-13 2014-03-11 Ability Entpr Co Ltd 訊號傳輸機構
JP5044049B1 (ja) * 2011-03-03 2012-10-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353203B2 (ja) 2013-08-07 2018-07-04 株式会社日本触媒 エチレンイミン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916993B (zh) * 2014-03-12 2017-06-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9455530B2 (en) * 2014-07-01 2016-09-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CN105337064B (zh) * 2014-07-11 2018-07-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11525939B (zh) * 2020-04-13 2021-09-17 重庆蓝岸通讯技术有限公司 Sd卡保护系统、方法及用于多卡槽合一连接器的保护电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208A (ja) * 1994-04-13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0357548A (ja) * 1999-06-16 2000-12-26 Kel Corp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1143815A (ja) * 1999-11-11 2001-05-2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構造
JP2001223044A (ja) * 2000-02-08 2001-08-1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59Y2 (ja) * 1990-04-26 1995-08-23 ホシデ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576837B2 (ja) * 1994-06-20 1997-0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US5478260A (en) * 1994-07-29 1995-12-26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JP3483454B2 (ja) * 1998-02-05 2004-01-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167781B1 (en) * 1998-11-30 2001-01-02 3Com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retaining position of cam follower
JP3252133B2 (ja) 1999-03-03 2002-01-28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の接触及び解除機構
JP3338415B2 (ja) * 1999-12-28 2002-10-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208A (ja) * 1994-04-13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0357548A (ja) * 1999-06-16 2000-12-26 Kel Corp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1143815A (ja) * 1999-11-11 2001-05-25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構造
JP2001223044A (ja) * 2000-02-08 2001-08-1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39911B2 (en) 2004-05-25
JP2002289280A (ja) 2002-10-04
EP1246312A2 (en) 2002-10-02
CN1378310A (zh) 2002-11-06
KR20020075719A (ko) 2002-10-05
EP1246312B1 (en) 2006-06-21
TW554583B (en) 2003-09-21
DE60212483D1 (de) 2006-08-03
EP1246312A3 (en) 2005-01-05
DE60212483T2 (de) 2007-02-22
JP4363793B2 (ja) 2009-11-11
CN1203587C (zh) 2005-05-25
US20020137375A1 (en)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801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452802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429763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5443395A (en) Ejector system for an IC card connector apparatus
US6761569B2 (en) Card connector device
JP4332133B2 (ja) メモリカード用ソケット
JP2002110298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30007012A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2008084624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128589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390291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90147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4259051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96177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15168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SG186517A1 (en) Card connector
JP382758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6877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2758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20040072125A (ko) Ic 카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