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125A - Ic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Ic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125A
KR20040072125A KR1020030008073A KR20030008073A KR20040072125A KR 20040072125 A KR20040072125 A KR 20040072125A KR 1020030008073 A KR1020030008073 A KR 1020030008073A KR 20030008073 A KR20030008073 A KR 20030008073A KR 20040072125 A KR20040072125 A KR 20040072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ush rod
push button
push
oute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첸시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3000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125A/ko
Publication of KR2004007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 H05K5/0295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having eje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3Separation or disconnection a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IC 카드 커넥터는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를 연결하고 카드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지지 구조체는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I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갖는다. 긴 푸시 로드는 지지 구조체 상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IC 카드를 연결 위치로부터 배출하는데 효율적이며, 푸시 로드는 외부 단부를 갖는다. 푸시 버튼은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로부터 동일선 상으로 돌출한 비작동 위치와 푸시 로드의 일 측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비작동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탄성 수단은 작동 위치쪽으로 푸시 버튼을 편의시키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커플링된다. 래치는 비작동 위치에서 푸시 버튼을 유지하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IC 카드 커넥터 {IC CARD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의 형태의 IC 카드 판독 시스템에서 메모리 카드와 같은 IC 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IC 카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IC(집적 회로) 카드는 본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메모리 회로 또는 다른 전자 프로그램 형태의 지능을 포함한다. 임의 형태의 카드 판독기는 카드 상에 저장된 정보 또는 메모리를 판독한다. IC 카드는 오늘날의 전자 사회에서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폰, 뮤직 플레이어, ATMs, 케이블 텔레비젼 디코더, 장난감, 게임기, pc 어댑터 및 다른 전자 제품과 같은 수많은 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IC 카드는 전기 커넥터를 통해 카드 판독기 시스템 및 다음 외부 장비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 어레이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카드 상의 정보 및 프로그램에 신속히 접근하기 위해 카드를 즉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 커넥터는 카드의 단자 어레이와 가요성 결합하기 위한 접촉자를 포함한다.
다양한 IC 카드 커넥터는 임의 형태의 카드 배출 기구를 포함함으로써 IC 카드는 커넥터 안쪽으로 간단히 삽입되고, 배출 기구는 카드를 커넥터에서 제거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예컨대, 배출 기구는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한 배출 레버 및 선형 이동 가능한 푸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레버는 카드 커넥터에서 카드를 배출하기 위해 IC 카드와 결합 가능하다. 푸시 부재는 배출 레버와 결합 가능한 내부 단부와 노출된 외부 단부를 갖는 긴 푸시 로드일 수 있다. 푸시 로드의 외부 단부 상에 장착된 푸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푸시 버튼은 푸시 로드에서 동일 선상으로 돌출하는 작동 위치와, 이동 간에 푸시 버튼과 푸시 로드 사이의 마찰 간섭을 이용하여 푸시 로드의 일 측부에서 각을 이루어 돌출하는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로드의 외부 단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마찰 간섭은 푸시 버튼을 그 비작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이다. 불행히도, 이러한 마찰 간섭은 푸시 버튼의 확실한 래칭 결합을 제공하지 않고, 지속적 마모로 인해 푸시 버튼은 헐거워져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그리고 다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IC 카드 커넥터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를 연결하고 커넥터로부터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IC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IC 카드 커넥터는 연결 위치로의 이동시 IC 카드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수단을 갖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배출 기구가 지지 구조체 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 위치로부터 카드를 배출하도록 IC 카드와 결합할 수 있으며, 선형으로 이동가능한 푸시 부재와 피봇식으로 이동가능한 배출 부재를 포함한다. 푸시 부재는, 배출 레버와 결합할 수 있는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를 갖는 긴 푸시 로드에 의해 제공된다. 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로부터 직선으로 돌출되는 작동 위치와, 푸시 로드의 일 측면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되는 비작동 위치 사이의 이동시 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푸시 버튼이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탄성 수단은 푸시 버튼을 작동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 커플링된다. 래치 수단은 푸시 버튼을 비작동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탄성 수단은 긴 코일 스프링과 같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 신장되고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에 각각 고정되는 대향 단부를 갖는 긴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긴 탄성 부재 또는 코일 스프링은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의 각각의 보어에 배치된다. 푸시 버튼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보어는 서로 동일 선상에 있게 된다. 푸시 버튼은 축상에서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푸시 버튼은 비작동 위치의 축의 일 측면으로 피봇된다. 보어는 축의 대향 측면에 위치되어,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긴 탄성 부재가 신장된다.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보어의 노출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보어의 축방향으로 영역이 분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래치 수단은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하나에 있는 래치 홈과,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다른 하나에 있는 래치 돌출부를 포함한다. 래치 홈과 래치 돌출부는,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래치 돌출부가 래치 홈에 래칭 결합하기 위해 스냅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IC 카드가 연결 위치에 있고, IC 카드를연결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푸시 버튼이 IC 카드의 외측 단부 위에 놓이도록, 푸시 버튼은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IC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
도3은 푸시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의 푸시 로드의 외단부의 확대 사시도.
도4는 푸시 버튼과 푸시 로드의 외단부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3과 유사하지만, 푸시 버튼과 푸시 로드의 외단부의 상부 분할부가 가상으로 도시된 도면.
도6은 도5와 유사하지만, 푸시 버튼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IC 카드
32 : 지지 구조체
34 : 리셉터클
36 : 채널
38 : 인쇄 회로 기판
40 : 커넥터
42 : 접촉부
44 : 배출 레버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성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은 그 목적과 장점과 함께,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후속 설명을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면, 특히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IC 카드 커넥터가 도시된다.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14) 상에 장착된,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2로 지시되는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는 바닥부 상에 단자 어레이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접촉자를 IC 카드(20)의 전방측에 장착한다. 접촉자들은 인쇄 회로 기판(14)의 상부 상에서 적절한 회로 트레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IC 카드(20)는 바닥부 상의 단자 어레이가 IC 카드의 전방측에서 커넥터(16)의 접촉자(18)와 결합하는 내부 연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지지 구조체(12)로 삽입된다.(도1) 배출 기구는 지지 구조체(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 위치로부터 카드를 배출하도록 IC 카드와 결합 가능하다. 특히, 배출 기구는 선형 이동 가능한 푸시 로드(22)와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한 배출 레버(24)를 포함한다. 푸시 로드는 이중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선형 왕복 이동 가능하다. 레버(24)는 연결 위치로부터 카드를 배출하도록 IC 카드(20)의 전방 에지를 결합하기 위한 제1 단부(24a)를 포함한다. 배출 레버의 제2 단부(24b)는 푸시 로드(22)의 말단부(22)와 결합 가능하다. 따라서, 푸시 로드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내향하여 선형적으로 푸싱될 때, 푸시 로드의 말단부(22a)는 연결 위치로부터 IC 카드(20)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도록 배출 레버(24)를 피봇한다.
종래 기술의 커넥터(10)는 푸시 로드(22)의 기단부(22b)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푸시 버튼은 푸시 로드(22)의 기단부(22b)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돌출하는 작동 위치로 도1에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작업자는 푸시 로드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도록 화살표 "C"방향으로 푸시 버튼을 눌러, 상술한 바와 같이 IC 카드 배출시킨다. 푸시 버튼은 푸시 로드의 일측의 비작동 위치로 피봇 가능하고 마찰력 또는 간섭 끼워맞춤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된다. 주로, 푸시 버튼이 다양한 멈춤쇠에 의해 작동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에, 작동 위치에서 비작동 위치로의 푸시 버튼의 이동은 간섭 끼워맞춤에 의해 행해지고, 푸시 버튼은 상기 푸시 버튼과 푸시 로드 사이의 간섭 마찰력을 이용하여 비작동 위치에 유지된다. 푸시 버튼은 수 조작에 의해 전체적으로 이동된다. 푸시 버튼과 푸시 로드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이 반복적인 사용동안 약해지게 되고 결국에는 느슨해지게 되어 비작동 위치에 유지될 수 없는 문제가 이러한 장치에서 계속하여 직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러한 IC 카드 커넥터를 개선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 커넥터(30)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는 전방 하부측(20a) 상에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20)를 접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커넥터(30)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IC 카드(20)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특히, IC 카드 커넥터(30)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된 IC 카드(20)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34)을 형성하는 지지 구조체(32)를 포함한다. 측부 채널(36)은 IC 카드를 커넥터 안으로 안내한다. 지지 구조체(32)는 상부 측부 상에 회로 트레이스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38) 상에 장착된다.
지지 구조체(23)는 IC 카드(20)의 단자 어레이(20a)를 굴곡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촉자(42)를 갖는 커넥터(40)를 장착시킨다. 접촉자(42)는 인쇄 회로 기판(38) 상의 회로 트레이스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IC 카드(20)의 선단 에지(20b)는 IC 카드의 측부 에지를 수납하는 커넥터의 한 쌍의 측부 채널(40b)에 의해 안내되어 커넥터(40)의 슬롯(40a)으로 삽입된다.
일반적으로, 배출 기구는 지지 구조체(3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배출 기구는 카드의 선단 에지가 커넥터(40)의 슬롯(40a)에 배치되는 연결 위치로부터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해 IC 카드(20)의 선단 에지(20b)와 결합 가능하며, IC 카드 상의 단자 어레이는 커넥터의 접촉부(42)와 결합된다. 이러한 배출 기구는 연결 위치로부터 IC 카드를 배출시키도록 IC 카드(20)의 선단 에지(20a)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단부(44a)를 갖는 피봇식으로 장착된 배출 레버(44)를 포함한다. 배출 레버는 선형 이동 가능한 긴 푸시 로드(46)의 말단부(46a)와 결합 가능한 제2단부(44b)를 갖는다. 푸시 로드는 이중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위해 지지 구조체(32)의 아암부(32a) 내에 선형으로 왕복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동에서, 푸시 로드(46)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내부로 가압될 때, 배출 레버(44)의 제2 단부(44b)를 갖는 푸시 로드 말단부(46a)의 내부 결합은 배출 레버의 제1 단부(44a)가 IC 카드(20)의 선단 에지(20b)를 결합시키고 연결 위치로부터 IC 카드를 배출시킨다.
도2와 관련하여 도3을 참조하면, 푸시 버튼(48)은 도면 부호 50과 같이 푸시 로드(46)의 외부 단부(46b)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푸시 버튼(48)은 도2에 도시된 작동 위치에서 도3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푸시 로드의 외부 단부(46b) 상에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푸시 버튼(38)의 작동 위치에서, 푸시 버튼은 신장된 푸시 로드의 외부 단부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돌출한다. 도3에 도시된 비작동 상태에서, 푸시 버튼은 푸시 로드의 외부 단부(46b)의 일측면으로부터 각도를 가지고 돌출한다.
일반적으로, 탄성 수단은 푸시 로드(46b)의 외부 단부(46b)와 도2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향하도록 푸시 버튼을 편의시키는 푸시 버튼(48) 사이에 결합된다. 특히, 탄성 수단은 양호한 실시예에서 푸시 버튼(48)과 푸시 로드의 외부 단부(46b) 사이에 신장된 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신장된 탄성 수단(50)에 의해 제공된다. 코일 스프링은 각각의 구조물의 내부에 장착되어서 코일 스프링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감춰지고, 코일 스프링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의 비작동 위치에 있을 경우만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구조물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해, 푸시 버튼(48)은 분할되어 푸시 버튼 반부(48a)를 형성한다. 푸시 버튼 반부의 내부면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50a)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52)를 형성하도록 천공된다. 푸시 로드의 외부 단부(46b) 또한 분할되어 단부 반부(54) 쌍을 형성한다. 단부 반부의 내부면은 코일 스프링(50)의 제2 단부(50b)를 수용하는 보어(56)를 형성하도록 천공된다. 코일 스프링은 적절한 접착제와 같은 것에 의해 홈의 단부에 적절하게 고정된 코일 스프링의 대향 단부(50a, 50b)들에 의해 홈(52, 56)에 조립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의 길이 잔여부는 신축 가능하다. 푸시 버튼(48)이 푸시 로드(46)의 외부 단부(46b)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돌출하는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보어(52, 56)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동일 선상에 있다. 푸시 버튼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코일 스프링(50)은 신장되고, 따라서 푸시 버튼을 작동 위치를 향해 후방으로 편의된다. 푸시 버튼이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래칭되지 않는다면, 코일 스프링(50)은 푸시 버튼(48)을 도2 및 도6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자동적으로 회전시킨다. 보어(52, 56) 내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50)과 함께, 푸시 버튼 반부(48a) 및 반부(54)는 보어 내의 코일 스프링을 폐쇄하도록 적절하게 함께 접착될 수 있다.
푸시 버튼(48)은 바닥 푸시 버튼 반부(48a)내의 구멍(62)과 바닥 단부 반부(54)내의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피봇 샤프트(60)에 의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46a)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푸시 버튼은 단부 반부(54)로부터 푸시 버튼 반부(48a)의 상단 및 바닥 표면내의 한 쌍의 아치형 리세스(66) 안으로 종방향 돌출되는 한 쌍의 아치형 날개(64)에 의해 피봇 또는 회전 이동식으로 안내된다.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68로 표시된 래치 수단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에 푸시 버튼을 유지하기 위해 푸시 로드(46)의 외측 단부(46b)와 푸시 버튼(48) 사이에서 작동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치 수단(68)은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46b)의 단부 반부(54) 각각에 형성된 래치 홈(70)에 의해 제공된다. 래치 돌출부(72)가 푸시 버튼(48)의 각 푸시 버튼 반부(48a) 상에 제공된다. 래치 돌출부(72)는 푸시 버튼(48)이 도2 및 도6에 도시된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래치 홈(70)과 연결되지 않는다. 래치 돌출부(72)는 푸시 버튼이 도3 및 도5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래치 홈(70)과 래칭 연결된다. 푸시 버튼이 도3 및 도5의 비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래치 돌출부가 래치 홈과 래칭 연결되어 잠기도록 래치 홈과 래치 돌출부는 크기가 정해지고 상대적 위치된다. 따라서, 래치 수단(68)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억지 끼움 또는 마찰 끼움에 의존하기보다는, 작동 위치에 래치 버튼을 확실하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래치 버튼(48)이 도3 및 도5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래치 버튼은 IC 카드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 IC 카드(20)의 후방 에지(20c) 위에 놓인다. 따라서, 푸시 버튼은, 자체의 비작동 위치에서, IC 카드를 연결 위치에 유지하는 이중 기능을 실행한다.
최종적으로, 도4 및 도6을 참조하면, 푸시 버튼 반부(48a)는 정지 표면(76)을 구비하고 푸시 버튼의 외측 단부(46b)의 단부 반부(54)는 도2,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46)의 작동 위치를 한정하도록 정지 표면(76)을 결합하는 정지 표면(78)을 구비한다. 정지 표면(76, 78)은 연장된 푸시 로드(46)의 외측 단부(46b)로부터 동일 선상에 돌출된 작동 위치에 푸시 버튼(48)을 안정화시키도록 편평하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중심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예 및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세부 사항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 버튼과 푸시 로드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이 반복적인 사용동안 약해지게 되고 결국에는 느슨해지게 되어 비작동 위치에 유지될 수 없는 문제가 해결된,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를 연결하고 커넥터로부터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IC 카드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19)

  1.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를 연결하고 카드가 배출되는 IC 카드 커넥터이며,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I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갖는 지지 구조체와,
    지지 구조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IC 카드와 결합 가능하여 카드를 그 연결 위치로부터 배출하고,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한 배출 레버 및 이 배출 레버와 결합 가능한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갖는 긴 푸시 로드를 포함하는 선형 이동 가능한 푸시 부재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와,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로부터 동일선 상으로 돌출한 작동 위치와 푸시 로드의 일 측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비작동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푸시 버튼과,
    작동 위치쪽으로 푸시 버튼을 편의시키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커플링된 탄성 수단과,
    비작동 위치에서 푸시 버튼을 유지하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작동식으로 결합된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신장되고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에 각각 고정되는 대향 단부들을 갖는 긴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탄성 부재는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의 각각의 보어에 배치되며, 푸시 버튼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보어들은 서로 동일선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축 상에서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푸시 버튼은 비작동 위치에서 축의 일 측으로 피봇되며, 상기 보어는 축의 대향 측에 위치되어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긴 탄성 부재는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보어의 노출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보어의 축방향으로 영역 내에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하나에 래치 홈과,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다른 하나에 래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홈과 래치 돌출부는,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래치 돌출부가 래치 홈에 래칭 결합으로 스냅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상대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IC 카드가 연결 위치에 있고 연결 위치에 IC 카드를 유지하기 위해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푸시 버튼이 IC 카드의 외측 단부 위에 놓이도록,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0.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를 연결하고 카드가 배출되는 IC 카드 커넥터이며,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I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갖는 지지 구조체와,
    카드를 그 연결 위치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지지 구조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측 단부를 갖는 선형 이동 가능한 긴 푸시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와,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로부터 동일선 상으로 돌출한 작동 위치와 푸시 로드의 일 측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비작동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푸시 버튼과,
    작동 위치쪽으로 푸시 버튼을 편의시키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커플링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신장되고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에 각각 고정되는 대향 단부들을 갖는 긴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 탄성 부재는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의 각각의 보어에 배치되며, 푸시 버튼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보어들은 서로 동일선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축 상에서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되어 푸시 버튼은 비작동 위치에서 축의 일 측으로 피봇되며, 상기 보어는 축의 대향 측에 위치되어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긴 탄성 부재는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보어의 노출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보어의 축방향으로 영역 내에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6. 단자 어레이를 갖는 IC 카드를 연결하고 카드가 배출되는 IC 카드 커넥터이며,
    연결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I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갖는 지지 구조체와,
    카드를 그 연결 위치로부터 배출하기 위해 지지 구조체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측 단부를 갖는 선형 이동 가능한 긴 푸시 로드를 포함하는 배출 기구와,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로부터 동일선 상으로 돌출한 작동 위치와 푸시 로드의 일 측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비작동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긴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푸시 버튼과,
    비작동 위치에서 푸시 버튼을 유지하기 위해 푸시 로드와 푸시 버튼 사이에서 작동식으로 결합된 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하나에 래치 홈과, 푸시 로드 또는 푸시 버튼 중 다른 하나에 래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홈과 래치 돌출부는,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래치 돌출부가 래치 홈에 래칭 결합으로 스냅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상대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은, IC 카드가 연결 위치에 있고 연결 위치에 IC 카드를 유지하기 위해 푸시 버튼이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푸시 버튼이 IC 카드의 외측 단부 위에 놓이도록, 푸시 로드의 외측 단부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커넥터.
KR1020030008073A 2003-02-10 2003-02-10 Ic 카드 커넥터 KR20040072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073A KR20040072125A (ko) 2003-02-10 2003-02-10 Ic 카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073A KR20040072125A (ko) 2003-02-10 2003-02-10 Ic 카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125A true KR20040072125A (ko) 2004-08-18

Family

ID=3735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073A KR20040072125A (ko) 2003-02-10 2003-02-10 Ic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520A (ko) * 2008-01-11 2009-07-15 최대승 자동통행료징수 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520A (ko) * 2008-01-11 2009-07-15 최대승 자동통행료징수 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836B1 (en) Card connector
US20030119350A1 (en) Card ejection mechanism for electronic card connector
KR100503101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US7232320B2 (en) Card connector
KR20160090738A (ko) 카드 트레이 및 카드 커넥터
KR20100026909A (ko) 메모리 카드 커넥터
KR100452801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JPH08511115A (ja) Simカード及び標準カード用のsmtリーダー
JPH05508493A (ja) 集積回路基板に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装置
US7467959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 mechanism
JP4586003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970000554B1 (ko) 정보 프로세싱 매체용 커넥터 디바이스
US20050272283A1 (en) Board grounded memory card connector
JP387902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004891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0072125A (ko) Ic 카드 커넥터
JP2004259051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87164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455791B1 (ko) 케이블이 부착된 카드용 커넥터장치
JPH1021350A (ja) 非接触メモリカード及びカード利用端末並びにアダプタ装置
EP1445728A1 (en) Ic card connector
JP2824268B2 (ja) 電子機器
EP1134688A1 (en) IC card connector
JP200431112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439904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ej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