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610B1 -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610B1
KR100452610B1 KR10-2002-0016694A KR20020016694A KR100452610B1 KR 100452610 B1 KR100452610 B1 KR 100452610B1 KR 20020016694 A KR20020016694 A KR 20020016694A KR 100452610 B1 KR100452610 B1 KR 10045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motor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799A (ko
Inventor
박종길
최안식
성태수
정욱
Original Assignee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6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공기조화 유니트에서 블로워 및 모터가 차량의 앞쪽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블로워 케이스 및 대쉬보드의 구조를 개량하여 앞쪽에서 블로워 및 모터만을 따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블로워 및 모터의 교체 시간과 노력을 감축시키고, 아프터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차량 실내측의 인스트루먼트 판넬(2) 안쪽과 전방의 대쉬 판넬(3)의 사이에 설치하되, 난방용 히터코어(11)와, 냉방용 에버퍼레이터(12)와, 이들을 내장하는 좌, 우 케이스(13a)(13b)와, 그 앞쪽의 내, 외 공기 흡입덕트(14a)(14b)와, 이 흡입덕트(14a)(14b)를 통해 실내 공기 또는 실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블로워(15)와 이 블로워 구동용 모터(16), 그리고 이들 블로워 및 모터를 내장하는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로 이루어 지는 공기조화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블로워(15) 및 모터(16)의 축(16a)이 빠질 수 있도록 전반부(21)와 후반부(22)로 구획한 후, 그 구획부(23)상에 체결용 조립수단(30)을 형성하고, 상기한 대쉬 판넬(3)은 상기한 공기조화 유니트의 전방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힌지(41)로써 회전 개폐가능한 도어(40)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HEATER-VENT-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모터와 블로어가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타입의 공기조화 유니트에서 수리 및 교체의 빈도가 가장 높은 모터와 블로어 어셈브리만을 따로 분해 할 수 있도록 개량하므로써 수리 보수가 간편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 조화를 목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공기조화 유니트를 도 1에서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한다.
즉, 공기조화 유니트(1)는 실내측의 인스트루먼트 판넬(2) 안쪽과 전방의 대쉬 판넬(3)의 사이에 설치되는 바, 난방용 히터코어(11)와, 냉방용 에버퍼레이터(12)와, 이들을 내장하는 좌, 우 케이스(13a)(13b)와, 그 앞쪽의 내, 외 공기 흡입덕트(14a)(14b)와, 이 흡입덕트(14a)(14b)를 통해 실내 공기 또는 실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블로워(15)와 이 블로워 구동용 모터(16), 그리고 이들 블로워 및 모터를 내장하는 좌, 우 블로워 케이스(17a)(17b)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 유니트(1)는 상기의 블로워(15)와 그 모터(16)의 고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블로워 및 모터를 수리 또는 교체할 목적으로 공기조화 유니트 전체를 분해하는 일이 많다.
즉, 차량의 실내측에서 이스트루먼트 판넬(2)을 탈거하고, 이어서 공기조화 유니트(1) 전체를 분해 하여 들어 낸 후, 좌, 우 케이스(13a)(13b)와, 히터 및 에버퍼레이터(12)와, 흡입덕트(14a)(14b)와, 블로워(15)와 모터(16)가 설치된 부분을 모두 다 분해해야 교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 유니트(1)는 블로워(15) 및 모터(16) 만을 따로분해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리 및 교체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으며, 기타 다른 주변부품까지 분해 해야 하기 때문에 파손, 긁힘, 등의 손상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공기조화 유니트에서 블로워 및 모터가 차량의 앞쪽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블로워 케이스 및 대쉬보드의 구조를 개량하여 앞쪽에서 블로워 및 모터만을 따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블로워 및 모터의 교체 시간과 노력을 감축시키고, 아프터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차량 실내측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안쪽과 전방의 대쉬 판넬의 사이에 설치하되, 난방용 히터코어와, 냉방용 에버퍼레이터와, 이들을 내장하는 좌, 우 케이스와, 그 앞쪽의 내, 외 공기 흡입덕트와, 이 흡입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 또는 실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블로워와 이 블로워 구동용 모터, 그리고 이들 블로워 및 모터를 내장하는 좌, 우 블로워 케이스로 이루어 지는 공기조화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블로워 및 모터의 축이 빠질 수 있도록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한 후, 그 구획부상에 체결용 조립수단을 형성하고, 상기한 대쉬 판넬은 상기한 공기조화 유니트의 전방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힌지로써 회전 개폐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블로워 케이스 21 : 전반부
22 : 후반부 23 : 구획부
30 : 체결수단 31 : 걸고리
32 : 걸림턱 33 : 플랜지부
34 : 나사구멍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 3에서 보듯이 공기조화 유니트(1)는 차량 실내측의 인스트루먼트 판넬(2) 안쪽과 전방의 대쉬 판넬(3)의 사이에 설치하되, 난방용 히터코어(11)와, 냉방용 에버퍼레이터(12)와, 이들을 내장하는 좌, 우 케이스(13a)(13b)와, 그 앞쪽의 내, 외 공기 흡입덕트(14a)(14b)와, 이 흡입덕트(14a)(14b)를 통해 실내 공기 또는 실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블로워(15)와 이 블로워 구동용 모터(16), 그리고 이들 블로워 및 모터를 내장하는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로 이루어 지는것은 종래와 대동소이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와, 대쉬 판넬(3)에 새로운 구성이 마련된다.
즉,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블로워(15) 및 모터(16)의 축(16a)이 빠질 수 있도록 전반부(21)와 후반부(22)로 구획한 후, 그 구획부(23)상에 체결용 조립수단(30)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한 대쉬 판넬(3)은 상기 공기조화 유니트의 전방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힌지(41)로써 회전 개폐가능한 도어(4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의 구획부(23)상에 마련하는 체결용 조립수단(30)은, 도 5의 상측 및 하측의 부분확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걸고리(31) 및 걸림턱(32)과, 나사구멍(34)을 가진 다수의 플랜지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그리고 대쉬 판넬(3)에 마련된 도어(40)는 힌지(41)를 상측에 가지는 여닫이 형태가 바람직하고, 그 하측에는 닫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구(42)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사항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부수적인 구성들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 가능한 것이므로 어느 한가지 특정한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기조화 유니트(1)에 있어서, 블로워(15) 및 모터(16)의 이상이 발견되고, 그 사실이 판명되면 교체 및 수리가 매우 용이하다.
즉, 도 3에서 보듯이 대쉬 판넬(3)의 전방에서 잠금구(42)를 해제하여 도어(40)를 열면, 바로 공기조화 유니트(1)의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가 노출되고, 그 둘레에 마련된 체결수단(30)까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체결수단(30)의 걸고리(31)를 걸림턱(32)으로부터 이탈시킨다거나, 플랜지부(33)의 나사를 풀어준다거나 하므로써, 구획부(23)를 기준으로 전반부(21)를 후반부(22)로부터 쉽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반부(21)를 후반부(22)로부터 분해 하고 나면 블로워(15) 및 모터(16)의 축(16a)을 빼내어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블로워(15) 및 모터(16)의 교체나 수리가 끝나면 구획부(23)가 일치하도록 다시 전반부(21)를 후반부(22)에 밀착시키고, 체결수단(30)을 고정시키면 일차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의 조립이 완료 되고, 이어서 대쉬 판넬(3)의 도어(40)를 닫고 잠금구(42)를 걸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대수판넬에 도어를 설치하고, 그 안쪽에 설치된 공기조화 유니트의 블로워 케이스를 일부 반분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블로워 및 모터의 교체/수리가 신속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고, 더 나가서 아프터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 실내측의 인스트루먼트 판넬(2) 안쪽과 전방의 대쉬 판넬(3)의 사이에 설치하되, 난방용 히터코어(11)와, 냉방용 에버퍼레이터(12)와, 이들을 내장하는 좌, 우 케이스(13a)(13b)와, 그 앞쪽의 내, 외 공기 흡입덕트(14a)(14b)와, 이 흡입덕트(14a)(14b)를 통해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블로워(15)와 이 블로워 구동용 모터(16), 그리고 이들 블로워 및 모터를 내장하는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로 이루어 지는 공기조화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블로워(15) 및 모터(16)의 축(16a)이 빠질 수 있도록 전반부(21) 일부와 후반부(22)로 구획한 후, 그 구획부(23)상에 체결용 조립수단(30)을 형성하고,
    상기한 대쉬 판넬(3)은 상기한 공기조화 유니트의 전방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힌지(41)로써 회전 개폐가능한 도어(40)를 구비하여 이루어 지되, 상기 힌지 타측에는 도어 개폐를 단속하는 잠금구(42)가 마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 우 블로워 케이스(20)의 체결용 조립수단(30)은,
    걸림턱(32)과;
    걸고리(31)와;
    나사구멍(34)을 가진 다수의 플랜지부(33);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KR10-2002-0016694A 2002-03-27 2002-03-27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KR10045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694A KR100452610B1 (ko) 2002-03-27 2002-03-27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694A KR100452610B1 (ko) 2002-03-27 2002-03-27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99A KR20030077799A (ko) 2003-10-04
KR100452610B1 true KR100452610B1 (ko) 2004-10-14

Family

ID=3237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694A KR100452610B1 (ko) 2002-03-27 2002-03-27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50677A1 (it) * 2005-09-29 2007-03-30 Denso Thermal Systems Spa Gruppo di ventilazione a doppia ventola per veico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255A (ja) * 1996-03-11 1997-09-16 Zexel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H1071827A (ja) * 1996-09-02 1998-03-17 Denso Corp 送風機ユニット
JPH10119539A (ja) * 1996-10-16 1998-05-1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255A (ja) * 1996-03-11 1997-09-16 Zexel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H1071827A (ja) * 1996-09-02 1998-03-17 Denso Corp 送風機ユニット
JPH10119539A (ja) * 1996-10-16 1998-05-1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99A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625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045261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 유니트
KR1015904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889390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JP200407481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971628B2 (ja) 送風機取付構造
KR200358419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도어 구조
KR100391286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CN210554030U (zh) 用于电动汽车的空调箱和电动汽车
KR100484008B1 (ko)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JP3668859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400797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9795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00005506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H067935Y2 (ja) バス用冷房装置
KR20040095432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연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장치
KR20050017468A (ko) 자동차 제상구조
KR20100065893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10161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50103798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20080066349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180127659A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