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008B1 -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 Google Patents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008B1
KR100484008B1 KR10-2002-0073292A KR20020073292A KR100484008B1 KR 100484008 B1 KR100484008 B1 KR 100484008B1 KR 20020073292 A KR20020073292 A KR 20020073292A KR 100484008 B1 KR100484008 B1 KR 10048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anel
frame
present
b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231A (ko
Inventor
김성경
Original Assignee
(주)삼정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정공조 filed Critical (주)삼정공조
Priority to KR10-2002-007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0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견고한 외관미를 제공하며 내부 청소나 점검시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조인트가 상호 조립되되 각각 단턱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분리를 제어하는 역할의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된 내측에 임펠러 등이 설치되어 덕트와 연결 설치되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프레임은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접하는 단턱에 밀봉테이프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패널에 의해 양측면이 넓게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청소나 수리 및 교체작업을 매우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이 매우 수월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조인트로 인하여 견고한 외관미를 제공하고, 밀봉테이프의 부착으로 인하여 공기와 소음의 누출을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Case In-line fan type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된 팬에 의해 송풍 또는 환풍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기 위한 통로로서, 송풍 및 환풍의 기능 외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덕트에는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해 임펠러(impeller)나 팬을 내장한 송풍케이스가 연결 설치되어 덕트를 통한 송풍 및 환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송풍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송풍케이스(1)의 내측 벽면에는 흡음재(2)가 설치되고, 외측 벽면에는 도어(3)가 경첩(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케이스(1)의 내부에는 모터베이스(B)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M)가 설치되고, 모터(M)에는 임펠러(I)가 설치되며, 임펠러(I)의 전면에는 공기유도관(G)이 설치된다.
한편, 송풍케이스(1)의 전면과 배면 그리고 저면에는 덕트(D)에 송풍케이스(1)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덕트연결판(P)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송풍케이스(1)는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I)의 회전에 의해 송풍(또는 환풍)되므로 덕트(D)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송풍케이스(1)는 대부분 함석판을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송풍케이스(1)는 규격화된 부품을 단순 조립하는 방식이 아닌, 함석판을 이용하여 송풍케이스(1)의 외형을 제작하므로 조립작업의 분업화와 단순화가 불가능하여 송풍케이스(1)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송풍케이스(1)는 함석판이 주는 투박함과 단순함으로 인해 송풍케이스(1)의 외관미가 저하되었고, 단순한 상자 형상의 구조상 충격에 의해 쉽게 구겨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송풍케이스(1)는 외측면에 구비된 도어(3)의 크기가 작으므로 임펠러(I)나 송풍케이스(1) 내부의 청소나 점검을 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즉, 송풍케이스(1)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어(3)를 개방한 후, 청소 또는 점검작업을 진행해야 되는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송풍케이스(1)는 도어(3)의 크기가 작으므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활동공간이 협소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송풍케이스(1) 내부의 청소나 점검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도어(3)가 송풍케이스(1)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방식이 아닌, 경첩(4)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이므로 송풍케이스(1)의 내부 청소나 점검 작업 중에 도어(3)와 빈번하게 부딪쳐서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화된 부품에 의해 송풍케이스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고한 외관미를 제공할 수 있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케이스의 내부 청소나 점검시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는 다수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조인트가 상호 조립되되 각각 단턱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분리를 제어하는 역할의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된 내측에 임펠러 등이 설치되어 덕트와 연결 설치되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프레임은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접하는 단턱에 밀봉테이프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의 구조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몸체(20),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 도어패널(40)(45) 그리고 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20)는 송풍케이스(10)의 골격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프레임(21)과 프레임조인트(25)의 상호 조립으로 형성된다. 이중 몸체(20)를 이루는 프레임(21)은 그 형상이 대략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21)의 일측 모서리부분에는 격자형상의 단턱(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22)중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과 접하는 단턱(22)에는 밀봉 및 방음기능의 밀봉테이프(23)가 부착되고, 프레임(21)과 상호 조립되는 프레임조인트(25)에도 프레임(21)과 마찬가지로 단턱(26)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은 몸체(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은 프레임(21)에 형성된 단턱(22)에 의해 그 설치가 보다 쉽게 이루어진다. 즉, 프레임(21)에 형성된 단턱(22)으로 인하여 단순히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을 몸체(2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삽입한 후, 나사(70) 또는 볼트 등을 체결하므로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의 조립작업이 쉽게 마무리된다.
상기한 도어패널(40)(45)은 몸체(20)의 양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패널(40)(45)은 잠금수단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데, 잠금수단의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잠금레버(50)를 사용하였다. 즉, 몸체(20)의 양측면 프레임(21)에 각각 4개의 잠금레버(50)를 설치하므로 도어패널(40)(45)을 손쉽게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 그리고 도어패널(40)(45)은 내측에 흡음재(60)가 설치되어 흡음(吸音)기능과 단열(斷熱)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0)를 이루고 있는 프레임(21)중 덕트(D)와 접하는 전면과 후면에는 다수개의 덕트연결판(P)이 나사(70) 또는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덕트(D)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고, 몸체(20)의 내측에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I)가 설치되며, 임펠러(I)의 전면에는 공기유도관(G)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에 덕트연결판(P)이 설치되므로 덕트(D)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송풍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I)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는 역할을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덕트(D)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능을 하는 송풍케이스(10)는 그 특성상 내부의 청소나 임펠러(I)의 수리 및 교체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내부를 개방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는 몸체(20)의 양측면에 분리 가능한 도어패널(40)(45)이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전술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20)의 양측면에 설치된 도어패널(40)(45)중 특히, 몸체(20)의 좌측면에 조립되는 도어패널(40)은 평상시에 잠금수단의 일 예인 잠금레버(50)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청소 등에 의해 송풍케이스(10)의 내부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단순히 잠금레버(50)를 회전시킨 후, 도어패널(40)에 설치된 손잡이(41)를 당김으로 몸체(20)에서 도어패널(40)(45)을 손쉽게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패널(40)(45)이 분리된 송풍케이스(10)는 한쪽 측면 또는 양측면이 넓게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청소나 임펠러(I) 등의 수리 및 교체작업을 매우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도 크게 단축된다.
그리고 청소나 수리 및 교체작업이 끝난 후에는 도어패널(40)을 몸체(20)의 측면에 조립한 후, 잠금레버(50)를 회전시키므로 도어패널(40)을 확실하게 잠그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잠금레버(50)는 저면에 걸림턱(51)이 형성되므로 자중에 의해 잠금레버(50)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즉, 잠금레버(5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51)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프레임(21)의 모서리부분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잠금레버(50)는 더 이상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도어패널(40)의 잠금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에 설치되는 잠금레버(50)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잠금레버(50)가 해제되므로 도어패널(40)(45)의 설치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는 프레임(21)과 프레임조인트(25)의 상호 조립에 의해 송풍케이스(10)의 골격을 형성한 후,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 및 도어패널(40)(45)을 상하면과 좌우측면에서 단순히 끼워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즉, 규격화된 프레임(21)과 프레임조인트(25) 및 상·하부패널(35) 그리고 도어패널(40)(45)이 상호 조립되는 송풍케이스(10)는 종래의 송풍케이스(1) 조립작업 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수월하다. 이에 따라, 저임금의 기술인력을 통한 조립생산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크게 줄이게 된다.
그리고 송풍케이스(10)는 규격화된 부품의 상호 조립에 의해 생산되는 방식이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를 크게 절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는 함석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송풍케이스(1)에 비하여 미려하고 견고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10)는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 그리고 도어패널(40)(45)의 안쪽면에 흡음재(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임펠러(I)의 가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더욱이, 상부패널(30)과 하부패널(35)이 접하는 프레임(21)의 단턱(22)에는 밀봉테이프(23)가 부착되므로 임펠러(I)의 가동으로 인한 공기와 소음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는 프레임과 프레임조인트 및 도어패널의 상호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송풍케이스 조립작업 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수월하다.
따라서, 저임금의 기술인력을 통한 조립 및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크게 줄이며 생산성을 높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 이외에, 함석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미려하고 견고한 외관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패널에 의해 양측면이 넓게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청소나 임펠러 등의 수리 및 교체작업을 매우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청소 및 작업시간도 크게 단축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잠금레버의 저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므로 자중에 의해 잠금레버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패널의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도어패널의 설치상태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송풍케이스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접하는 프레임의 단턱에 밀봉테이프가 부착되므로 임펠러의 가동으로 인한 공기와 소음의 누출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송풍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송풍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송풍케이스 20 : 몸체
21 : 프레임 22,26 : 단턱
23 : 밀봉테이프 25 : 프레임조인트
30: 상부패널 35 : 하부패널
40,45: 도어패널 41 : 손잡이
50 : 잠금레버 51 : 걸림턱
60 : 흡음재 70 : 나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다수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조인트가 상호 조립되되 각각 단턱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의 분리를 제어하는 역할의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된 내측에 임펠러 등이 설치되어 덕트와 연결 설치되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프레임(21)은 상부패널(30) 및 하부패널(35)과 접하는 단턱(22)에 밀봉테이프(23)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몸체(20)의 양측면 프레임(21)에 걸림턱(51)이 형성된 다수개의 잠금레버(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KR10-2002-0073292A 2002-11-23 2002-11-23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KR10048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292A KR100484008B1 (ko) 2002-11-23 2002-11-23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292A KR100484008B1 (ko) 2002-11-23 2002-11-23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069U Division KR200306447Y1 (ko) 2002-11-23 2002-11-23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231A KR20040045231A (ko) 2004-06-01
KR100484008B1 true KR100484008B1 (ko) 2005-04-22

Family

ID=3734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292A KR100484008B1 (ko) 2002-11-23 2002-11-23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90B1 (ko) 2008-05-09 2014-07-04 신동규 공기 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26B1 (ko) * 2005-09-06 2007-10-05 에펠산업(주)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펌프 케이스
JP2020060307A (ja) * 2018-10-05 2020-04-16 Toto株式会社 排気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90B1 (ko) 2008-05-09 2014-07-04 신동규 공기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231A (ko)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806B2 (en) Duct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same
KR20170046117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KR100484008B1 (ko)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KR200306447Y1 (ko) 팬을 내장한 덕트용 송풍케이스
KR100964362B1 (ko) 공기조화기
JP3057929B2 (ja) 一体形空気調和機
JP645151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2097808A (ja) 室内組立家屋
JPH0861690A (ja) 空気調和機の化粧パネル
JPH10131391A (ja) 空気調和機付き建材及び建材への空気調和機取付構造
JP3948972B2 (ja) 空気調和装置
JP2543397Y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669927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8178345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101122155B1 (ko) 팬을 내장한 공조기용 송풍케이스
JP4922501B2 (ja) ワイヤードリモコン
KR20170019634A (ko) 여닫이 방식의 환기 장치
JPH0719589A (ja) 空気調和装置
JPH0629613Y2 (ja) 空調用天井パネル
JPH0332898Y2 (ko)
KR200460996Y1 (ko) 공조용 챔버유닛
JPH05735Y2 (ko)
KR100867696B1 (ko) 차량용 내외기 덕트조립구조
JPH06300356A (ja) 空調機のダンパー付吹出装置
JPH0288876A (ja) 出窓の結露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