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30B1 -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30B1
KR100452530B1 KR10-2002-0040649A KR20020040649A KR100452530B1 KR 100452530 B1 KR100452530 B1 KR 100452530B1 KR 20020040649 A KR20020040649 A KR 20020040649A KR 100452530 B1 KR100452530 B1 KR 10045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holder
cam
window glass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651A (ko
Inventor
에구치도모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2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핀을 사용하여 홀더본체의 글라스 홈 내에 차량용 창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글라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창유리를 캠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창유리를 핀을 통해서 덜컹거림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수단) 글라스 홀더(10)는, 차량용 창유리(20)를 끼워넣을 수 있는 글라스 홈(41)을 가지는 홀더본체(40)와 글라스 홈(41) 내에 창유리(20)를 고정하기 위한 핀(50)을 구비한다. 글라스홈(41)의 하측에는 캠(60)이 형성되어 있다. 캠(60)은 창유리(20)의 단면을 밀어올리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glass holder of window glass for vehicles}
본 발명은, 핀을 사용하여 홀더본체의 글라스 홈 내에 차량용 창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글라스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창유리를 캠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창유리를 핀을 통해서 덜컹거림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핀을 사용하여 홀더본체의 글라스 홈 내에 차량용 창유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차량용 창유리의 유지장치」를 이미 제안했다(일본 특허출원 2000-182859호).
또한, 핀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나 보스를 편심시켜서 창유리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 홀더가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1)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02-033126호
(2)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02-033127호
(3)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02-033128호
그러나, 상기한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유지장치에서는, 홀더본체의 글라스 홈의 바닥과, 창유리의 단면과의 사이나, 핀과 이것을 삽입하는 창유리의 관통구멍과의 사이에 덜컹거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청구항 1)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창유리를 캠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창유리를 핀을 통해서 덜컹거림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창유리나 그 관통구멍의 치수오차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글라스 홀더의 부착용 볼트를 사용하여 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글라스 홀더의 구조를 간편화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글라스 홀더에 볼트를 나사끼움하는 너트를 인서트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볼트의 나사끼움방향과 캠의 회전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볼트를 조일 때에 캠에 의해서 창유리를 밀어올릴 수 있다.
도 1은 글라스 홀더의 일부 단면도
도 2는 글라스 홀더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캠의 확대도
도 4는 글라스 홀더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글라스 홀더 20 - 창유리
21 - 관통구멍 30 - 캐리어 플레이트
31 - 부착구멍 40 - 홀더본체
41 - 글라스 홈 42 - 대향편
43 - 대향편 44 - 연결편
45 - 개구부 46 - 입구측 지지구멍
47 - 출구측 지지구멍 48 - 삽입구멍
49 - 가이드편 50 - 핀
51 - 축부 52 - 머리부
53 - 축본체 54 - 축선단
55 - 오목홈 60 - 캠
61 - 캠면 R1∼R4 - 반경
70 - 볼트 80 - 너트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괄호안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번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도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글라스 홀더(10)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1) 내지 (2)를 구비하고 있다.
(1) 홀더본체(40)
홀더본체(40)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창유리(20)를 끼워넣을 수 있는 글라스 홈(41)을 가지는 것이다.
(2) 핀(50)
핀(50)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라스 홈(41) 내에 창유리(20)를 고정하는 것이다.
둘째, 글라스 홈(41)의 하측에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60)을 형성하고 있다.
캠(60)은,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유리(20)의 단면(端面)을 밀어올리는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핀(50)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1) 내지 (2)이 구비되어 있다.
(1) 축부(51)
축부(51)는,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유리(20)의 표리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21)을 통과하는 것이다.
(2) 머리부(52)
머리부(52)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5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둘째, 핀(50)의 축부(51)의 외경은,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홀더본체(40)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1) 내지 (3)이 구비되어 있다.
(1) 연결편(44)
연결편(44)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며, 창유리(20)의 승강기구(도시하지 않음)의 캐리어 플레이트(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2) 개구부(45)
개구부(45)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라스 홈(41)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며, 캠(60)이 출입하는 것이다.
(3) 삽입구멍(48)
삽입구멍(48)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편(44)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캐리어 플레이트(30)의 부착구멍(31)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볼트(70)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다.
둘째, 캠(60)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70)에 지지되어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캠(60)에는, 볼트(70)를 나사끼움하기 위한 너트(80)가 인서트성형되어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캠(60)은, 볼트(70)를 너트(80)에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창유리(20)의 단면을 서서히 밀어올리도록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면의 설명]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글라스 홀더의 일부단면도, 도 2는 글라스 홀더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캠의 확대도, 도 4는 글라스 홀더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글라스 홀더(10)]
도면 중, 10은 글라스 홀더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글라스 홀더(10)는, 차량용,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창유리(2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글라스 홀더(1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어 내에 내장된 승강기구(예를 들어 윈도 레귤레이터)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30)를 통해서 연결되며, 창유리(20)를 유지한 상태로 승강된다.
차량은 자동차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차량이라도 좋다.
글라스 홀더(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1) 홀더본체(40)
(2) 핀(50)
(3) 캠(60)
(4) 볼트(70)
또한, 글라스 홀더(10)의 부품은, 상기한 (1) 내지 (4)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본체(40)]
홀더본체(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유리(20)를 끼워넣을 수 있는 글라스 홈(41)을 가지는 것이다.
홀더본체(40)는, 예를 들어 적도의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본체(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1) 글라스 홈(41)
(2) 1쌍의 대향편(42,43)
(3) 연결편(44)
또한, 홀더본체(40)의 부분은, 상기한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는다.
[핀(50)]
핀(5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라스 홈(41) 내에 창유리(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창유리(20)는, 그 표리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21)을 가지며, 이 관통구멍(21)을 핀(50)이 통과한다.
핀(50)은, 예를 들어 적도의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5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1) 축부(51)
(2) 머리부(52)
또한, 핀(50)의 부분은, 상기한 (1) 내지 (2)에 한정되지 않는다.
[글라스 홈(41)]
글라스 홈(41)의 바닥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고, 캠(60)이 출입하는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대향편(42,43)]
1쌍의 대향편(42,4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라스 홈(4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대향편(42,4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단면 ㄷ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1쌍의 대향편(42,43) 중, 일측의 대향편(4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지지구멍(46)을 구비한다.
상기 입구측 지지구멍(4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50)의 머리부(52)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1쌍의 대향편(42,43) 중, 타측의 대향편(4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측 지지구멍(47)을 구비한다.
상기 출구측 지지구멍(47)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측 지지구멍(46)에서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을 통해서 삽입된 핀(50)의 축부(51)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편(44)]
연결편(4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며, 캐리어 플레이트(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편(4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의 대향편(42)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편(4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편(44)의 부분은, 다음의 (1) 내지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삽입구멍(48)
삽입구멍(48)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편(44)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캐리어 플레이트(30)의 부착구멍(31)을 통해서 삽입되는 볼트(70)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다.
(2) 가이드편(49)
가이드편(49)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편(44)의 하단부에서 단면 L자형으로 굴곡되며, 캠(6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축부(51)]
축부(5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을 통과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축부(5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1) 축본체(53)
(2) 축선단(54)
축부(51)의 부분은, 상기한 (1) 내지 (2)에 한정되지 않는다.
[머리부(52)]
머리부(5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51)의 일단부에서 원반형으로 돌출된 것이다.
[축본체(53)]
축본체(53)는,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의 내측둘레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상기 축본체(53)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오목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오목홈(5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반원형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며, 축본체(53)의 외측둘레를 따라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선단(54)]
축선단(5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본체(53)로부터 길고 가늘게 원기둥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캠(60)]
캠(6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본체(40)의 연결편(4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글라스 홈(41)의 바닥의 개구부(45)를 통과해서 글라스 홈(41) 내로 출입하여, 글라스 홈(41) 내에 끼워져 들어간 창유리(20)의 하단면을 밀어올리는 것이다.
캠(60)은, 예를 들어 적도의 강성을 가지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캠(6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분을 구비한다.
(1) 캠면(61)
(2) 너트(80)
또한, 캠(60)의 부분은, 상기한 (1) 내지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캠면(61)]
캠면(6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6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너트(80)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되고,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기 캠면(61)의 반경(R1∼R4)은, 다음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R1<R2<R3<R4
또한, 캠면(61)을, 원호형상으로 만곡시켰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서리부를 가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너트(80)]
너트(8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6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인서트성형되어 있다.
또한, 너트(80)를, 캠(60)에 인서트 성형했으나, 별체로 해도 좋다.
(사용방법)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글라스 홀더(1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즉, 홀더본체(40)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30)에 부착하고, 그 후, 핀(50)을 사용해서 홀더본체(40)에 창유리(20)를 부착한다.
상기한 부착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핀(50)을 사용해서 홀더본체(40)에 창유리(20)를 부착한 후, 홀더본체(40)를 캐리어 플레이트(30)에 부착해도 좋다.
우선, 홀더본체(40)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30)에 부착한다.
즉,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70)를, 캐리어 플레이트(30)의 부착구멍(31)을 통과시켜서, 연결편(44)의 삽입구멍(48)에 삽입하고, 캠(60)의 너트(80)에 나사끼움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유리(20)를 홀더본체(40)의 글라스 홈(41)에 끼워 넣는다.
그 후, 핀(50)의 축부(51)를,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본체(40)의 입구측 지지구멍(46)에서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을 통과시켜서, 출구측 지지구멍(47)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서, 창유리(2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라스 홀더(10)를 통해서 캐리어 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한편, 핀(50)의 축부(51)의 외측둘레와,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의 내측둘레와의 사이에 틈이 있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70)를 회전시킨다.
또한, 이 때, 볼트(70)는, 너트(80)에 조이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볼트(70)를 회전시키면, 볼트(70)에 지지된 캠(60)도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4는, 볼트(70)의 축방향에서 보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캠(60)은, 도 4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60)이 회전하면, 그 캠면(61)의 반경(R1∼R4)이 점차로 증가하기 때문에, 캠면(61)에 눌려서 창유리(20)가 상승하여, 핀(50)의 축부(51)의 외측둘레가 창유리(20)의 관통구멍(21)의 내측둘레에 틈없이 밀착된다.
이 위치에서, 캠(60)의 회전이 정지되고, 그 후, 볼트(70)를 다시 조이면, 볼트(70)만이 회전하여 너트(80)에 조여진다. 이 때문에, 캠면(60)의 역회전도 방지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창유리를 캠면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창유리를 핀을 통해서 덜컹거림없이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창유리나 그 관통구멍의 치수오차를 허용할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글라스 홀더의 부착용 볼트를 사용하여 캠을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글라스 홀더의 구조를 간편화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글라스 홀더에 볼트를 나사끼움하는 너트를 인서트성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감소할 수 있다.
(청구항 5)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볼트의 나사끼움방향과 캠의 회전방향을 일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볼트를 조일 때에 캠에 의해서 창유리를 밀어올릴 수 있다.

Claims (5)

  1. 차량용 창유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글라스 홈을 가지는 홀더본체와,
    상기 글라스 홈 내에 상기 창유리를 고정하기 위한 핀을 구비하는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홈의 하측에는,
    상기 창유리의 단면을 밀어올리는 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창유리의 표리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의 상기 축부의 외경은,
    상기 창유리의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로 연장되며, 상기 창유리의 승강기구의 캐리어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편과,
    상기 글라스 홈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캠이 출입하는 개구부와,
    상기 연결편을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부착구멍을 통과하여 삽입되는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캠은,
    상기 볼트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볼트를 나사끼움하기 위한 너트를 인서트성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라스의 글라스 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볼트를 상기 너트에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창유리의 단면을 서서히 밀어올리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KR10-2002-0040649A 2001-09-28 2002-07-12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KR100452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1100 2001-09-28
JP2001301100A JP2003104051A (ja) 2001-09-28 2001-09-28 車両用窓ガラスのガラスホル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51A KR20030027651A (ko) 2003-04-07
KR100452530B1 true KR100452530B1 (ko) 2004-10-14

Family

ID=1912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649A KR100452530B1 (ko) 2001-09-28 2002-07-12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104051A (ko)
KR (1) KR100452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43916B2 (ja) 2020-04-30 2024-03-06 Agc株式会社 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ホルダ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04051A (ja) 2003-04-09
KR20030027651A (ko) 200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739A (en) Clam shell gear box housing and retainer
US4571222A (en) Tension roller for belt drive
KR950017449A (ko) 자동차 헤드램프
US4893219A (en) Headlamp adjusting mechanism
JP2005133931A (ja) 自動車用ボルト及びクランプの締結構造
JPH06280916A (ja) 調節可能なストップ部材
KR100452530B1 (ko)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JP3314343B2 (ja) 環状体の位置の可変な端面締付け装置
US4672714A (en) Door hinge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EP0706929B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moyeu de volant de direction de véhicule automobile sur un arbre de direction
KR100452531B1 (ko) 차량용 창유리의 글라스 홀더
JPH09120701A (ja) 自動車の前照灯における反射鏡傾斜角の調節装置
KR100534174B1 (ko) 합성수지제 부시
CA1254260A (en) Metal fitting part for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panels
JP2001270446A (ja) 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
KR0173816B1 (ko) 차량용 등구의 광축조정장치
KR200157358Y1 (ko) 자동차 조향기어 박스의 요크 지지용 플러그
JPS622442Y2 (ko)
KR100369004B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950002189Y1 (ko) 자동차용 외부측면 밀러의 지지축 체결수단
JPH0740110Y2 (ja) 駆動シャフト機構
KR0112380Y1 (ko) 스토퍼가 설치된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KR20060072139A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H11182103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の組み付け構造
KR100506713B1 (ko) 자동차용 램프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