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004B1 -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004B1
KR100369004B1 KR10-2000-0062723A KR20000062723A KR100369004B1 KR 100369004 B1 KR100369004 B1 KR 100369004B1 KR 20000062723 A KR20000062723 A KR 20000062723A KR 100369004 B1 KR100369004 B1 KR 10036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ay
housing
clamp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929A (ko
Inventor
백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2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00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러가 마련된 하우징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하우징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안정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이 바디 패널(10)상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에 볼(110)이 형성된 스테이(100)와; 전면에 미러(210)가 설치되며, 하부 내측이 스테이(100)의 볼(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과 스테이(100)의 볼(110)간의 접촉부위와 대향되는 타측에 위치되며, 내측면이 스테이(100)의 볼(110)과 접촉되고, 복수의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하우징(200)에 고정 설치되며, 주행시 스테이(100)의 볼(110)을 향해 에어가 안내되도록 에어 유입구멍(311)이 형성된 클램프(310)와; 차량의 주행 유무에 따라 스테이(100)의 볼(110)과 하우징(200)간의 회전 토오크를 가변시키는 토오크 가변수단(3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STRUCTURE FOR FIXING A OUTSIDE MIRROR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주행함에 있어서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전방 및 후방 시계(視界)를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방 시계는 윈드 쉴드 글래스를 통해 확보하게 되고, 후방 시계는 아웃 사이드 미러 및 인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특히 아웃 사이드 미러는, 좌,우측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육안(肉眼)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차선 변경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디 패널(10) 양측면 또는 좌,우 사이드 도어에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아웃 사이드 미러(20)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아웃 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를 보면,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미러(mirror;1)가 설치된 하우징(housing;2)을 바디 패널(body panel;8)에 고정되는 스테이(stay;3)로 구성되는 바, 스테이(3)의 선단에 하우징(2)의 저부 내측을 위치시켜 볼트(4)와 너트(5)로 고정한다.
스테이(3)의 선단은 볼(ball;3')을 형성하고 하우징(2)의 저부는 스테이(3)의 볼(3') 일부가 대응되도록 호(弧) 형상의 지지부(6)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지부(6)와 대향되고 스테이(3)의 선단 일부와 대응되는 클램프(clamp;7)를 형성하여 하우징(2)과 스테이(3)의 고정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8)은 커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사이드 미러의 고정은, 스테이(3)의 선단에 형성된 볼(3')일측에 하우징(2)의 지지부(6)를 위치시킨 후, 스테이(3)의 볼(3') 타측에 클램프(7)를 위치시켜 지지부(6)와 대향되게 한다.
그리고 볼트(4)와 너트(5)를 이용하여 하우징(2)의 지지부(6)와 클램프(7)를 고정하여 스테이(3)의 볼(3')이 소정 마찰력으로 접촉되게 하고, 최종적으로 커버(8)를 하우징(2)에 끼워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이와같이 스테이(3)의 볼(3')에 하우징(2)을 결합한 상태에서 하우징(2)을 회전 시키면, 스테이(3)의 볼(3')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2)이 미세하게 회전되면서 미러(1)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하우징(2)의 지지부(6) 및 클램프(7)와 스테이(3)의 볼(3')간의 면마찰이 이루어지면서 미세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에 있어서는,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하우징(2)이 주행풍 즉, 강한 맞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스테이(3)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안정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볼트(4)와 너트(5)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클램프(7) 및 하우징(2)의 지지부(6)와 볼(3')간의 마찰력 즉, 회전 토오크력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와같이 회전 토오크력을 크게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하우징(2)의 각도를 조절할 때 큰 힘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미러가 마련된 하우징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하우징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안정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이 바디 패널상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에 볼이 형성된 스테이와; 전면에 미러가 설치되며, 하부 내측이 스테이의 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의 볼간의 접촉부위와 대향되는 타측에 위치되며, 내측면이 스테이의 볼과 접촉되고,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며, 주행시 스테이의 볼을 향해 에어가 안내되도록 에어 유입구멍이 형성된 클램프와; 차량의 주행 유무에 따라 스테이의 볼과 하우징간의 회전 토오크를 가변시키는 토오크 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아웃 사이드 미러가 채용된 자동차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바디 패널 100 : 스테이 110 : 볼
111, 321 : 걸림돌기 200 : 하우징 210 : 미러
220 : (호형상의)지지부 300 : 토오크 가변수단
310 : 클램프 311 : 에어 유입구멍
320 : 슬라이더 340 : 스프링 400 : 커버
410 : 관통홈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스테이(stay;100)와 하우징 (housing;200) 그리고 클램프(clamp;310)와 토오크 가변수단(300)으로 대별된다.
스테이(100)는 일단이 자동차의 바디 패널(body panel;10)이나 좌,우 사이드 도어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써 타단에는 볼(ball;110)이 형성된다.
하우징(200)은 전면에 미러(mirror;21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 내측이 스테이(100)의 볼(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우징(200)의 하부 내측면에는 호(弧) 형상의 지지부(220)가 마련되어 있어, 이 지지부(220)가 볼(1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면 접촉되는 것이다.
클램프(310)는, 하우징(200)의 지지부(220)와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어 스테이(100)의 볼(110) 일측면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하우징(200)과 결합된다.
클램프(310)의 전면에는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주행풍중의 일부가 볼(110)을 향해 안내될 수 있도록 에어 유입구멍(311)이 관통 형성된다.
토오크 가변수단(300)은, 스테이(100)의 볼(110)과 하우징(200) 즉, 하우징 (200)의 지지부(220)와 클램프(310)간의 회전 토오크력 즉, 마찰력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슬라이더(slider;320) 그리고 스프링(340)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320)는 클램프(310)의 에어 유입구멍(311)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 유입구멍(311)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압력에 의해 볼(110)을 향해 슬라이딩 이송되어진다.
그리고 에어가 유입되지 않을때에는 볼(110)과 접촉되지 않도록 에어 유입구멍(311)상에는 슬라이더(320)를 에어 유입방향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40)이 개재된다.
이 슬라이더(320)의 내측면에는 즉, 볼(110)의 일측 외면과 대응되는 면에는 세레이션 즉, 걸림돌기(321)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321)와 선택적으로 이 맞물림될 수 있도록 볼(110)의 일측 외면에도 걸림돌기(111)가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더(320)를 스프링(340)을 통해 에어 유입방향을 향해 탄성지지함에 있어서는,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20)가 이탈될 우려가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 유입구멍(311)의 내주면에는 걸림턱(312)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400)은 하우징(200)의 전면에 위치되는 커버로써 전면에는 클램프(300)를 향해 에어가 안내될 수 있도록 관통홈(410)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먼저 주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는 하우징(200)을 회전 시키게 되면, 스테이(100)의 볼(110)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200)이 미세하게 회전되면서 미러(21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하우징(200)의 지지부(220) 및 클램프(300)와 스테이(100)의 볼(110)간의 회전 토오크력 즉, 면 마찰이 이루어지면서 미세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주행풍이 하우징(200)의 전면으로 강하게 유입되게 되고, 이 에어는 커버(400)의 관통홈(410)을 거쳐 클램프(310)의 에어 유입구멍(311)으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에어의 유입에 의해 에어 유입구멍(311)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320)가 스프링(340)의 탄성력을 극복한채 볼(110)을 향해 이동되게 되며, 동시에 그 전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21)가 볼(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11)에 이 맞물림된다.
따라서 상호간에는 강한 회전 토오크력이 발생됨으로써 강한 주행풍에 의해서도 하우징(200)이 회전되지 않게된다.
즉, 하우징(200)의 미러(210)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게되어 후방 시야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 유무에 따라 하우징 및 클램프와 볼간의 회전 토오크력을 가변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자동차의 정지시에는 하우징을 통한 미러의 조절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고, 주행시에는 회전을 차단하여 미러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안정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단이 바디 패널상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에 볼이 형성된 스테이와;
    전면에 미러가 설치되며, 하부 내측이 스테이의 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스테이의 볼간의 접촉부위와 대향되는 타측에 위치되며, 내측면이 스테이의 볼과 접촉되고,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며, 주행시 스테이의 볼을 향해 에어가 안내되도록 에어 유입구멍이 형성된 클램프와;
    차량의 주행 유무에 따라 스테이의 볼과 하우징간의 회전 토오크를 가변시키는 토오크 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가변수단은, 상기 클램프의 에어 유입구멍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볼과 대응되는 내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클램프의 에어 유입구멍 내측에 마련되어 슬라이더를 에어 유입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에어 유입구멍 내주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더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턱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0-2000-0062723A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10036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23A KR100369004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23A KR100369004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929A KR20020031929A (ko) 2002-05-03
KR100369004B1 true KR100369004B1 (ko) 2003-01-24

Family

ID=1969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723A KR100369004B1 (ko) 2000-10-24 2000-10-24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3838B1 (de) * 2010-09-28 2014-04-23 SMR Patents S.à.r.l. Außenspie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929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9192A1 (en) Motor-driven steering system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ension thereof
KR101261093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0369004B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JP2010070168A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取付構造
JP3238915B2 (ja) バンパーへの機材取付構造
KR100934779B1 (ko) 빗물제거용 차량의 사이드미러장치
JPS598559A (ja) スリツプリング
KR100369006B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조절장치
EP1369602A3 (de) Befestigungsteil für eine diebstahlgesicherte Befestigung eines Fahrzeugrades an einer Radnabe
CN110792908A (zh) 车辆、显示装置及转动结构
KR0145970B1 (ko) 차량의 룸 미러 설치구조
KR10221064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서포트 요크 간격 유지 및 래틀음 방지장치
JP4172695B2 (ja) ドアストッパ構造
KR100970117B1 (ko) 웜기어 백래쉬 조절장치 및 이를 장착한 조향장치
KR970004333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의 로우어 틸트 메모리(lower tilt memory)구조
KR0153072B1 (ko) 자동차용 전동틸트 컬럼
KR0167953B1 (ko) 차량의 후방 미러 설치 구조
KR100738396B1 (ko)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JP4140798B2 (ja) 自動ドアの駆動ユニット
KR940000521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KR100402118B1 (ko) 버스용 모니터 회전장치
KR20220089802A (ko) 액추에이터
KR19980043431U (ko) 차량용 사이드밀러구조
KR19980074860A (ko) 자동차용 수동식 레버 구동형 조향 휠 틸트(tilt) 스티어링 장치
KR20020040217A (ko) 차량용 나사 기어식 가변 조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