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488B1 -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488B1
KR100452488B1 KR10-2000-0080475A KR20000080475A KR100452488B1 KR 100452488 B1 KR100452488 B1 KR 100452488B1 KR 20000080475 A KR20000080475 A KR 20000080475A KR 100452488 B1 KR100452488 B1 KR 100452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insulator
shock absorber
vehicle body
absorb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438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0-008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4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차체 결합용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15)와 차체(17)가 서로 결합시 이들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18)와 너트(19)로 결합되는 것으로, 인슐레이터(15)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쇽 업소버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분산하여 전달하도록 상측면(21b)에 물결모양의 형상이 구비된 제1완충부재(21)와, 제1완충부재(21)의 상측면(21b)에 형성된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측면(22b)에 형성하여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완충부재(22)로 이루어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Insulator)를 차체에 결합시 그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차량의 측방향 성분을 포함한 충격이 쇽 업소버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충격이 다시 차체에 전달되어 발생하는 충격소음(Rattle nose)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BUFFER UNIT OF SOCK ABSORBER ASSEMBLY}
본 발명은 쇽 옵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를 차체에 결합시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Insulator)와 차체 사이에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쇽 업소버로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충격소음(Rattle noise)을 저감하는 쇽 옵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시 도로사정 등에 따라 많은 충격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충격이나 진동은 자동차의 손상은 물론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것이 쇽 업소버이며, 이 쇽 업소버는 자동차의 주행중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쇄(減殺)시켜 승차감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쇽 업소버 어셈블리는 미도시된 스트러트의 내부에 쇽 업소버가 내장됨과 더불어 이 쇽 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는 스트러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장착되고 스트러트의 외주에는 상부 스프링시트(12)와 하부 스프링시트(도시 않음)가 각각 장착된다.
상부 스프링시트(12)와 하부 스프링시트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3)이 안착되어 지지되어 있으며, 상부 스프링시트(12) 위의 피스톤 로드(11)에는 베어링(14)을 개재하여 인슐레이터(15)가 끼워지게 되어 있으며, 이 인슐레이터(15)와 피스톤 로드(11)는 너트(16)를 매개로 서로 체결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5)와 차체(17)에는 결합홀을 형성하여 이 결합홀에 볼트(18)와 너트(19)로 체결하여 인슐레이터(15)와 차체(17)가 서로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를 차체에 직접 결합하게 되어 차체에 가해진 충격이 쇽 업소버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충격이 다시 차체에 전달됨으로써 충격소음(Rattle nos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를 차체에 결합시 그 사이에 완충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차량의 측방향 성분을 가진 충격이 쇽 업소버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충격이 다시 차체에 전달되어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저감하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와 차체가 서로 결합시 이들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인슐레이터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쇽 업소버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분산하여 전달하도록 상측면에 물결모양의 형상이 구비된 제1완충부재와, 제1완충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된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측면에 형성하여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재와 제2완충부재의 결합면의 횡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인슐레이터 17 : 차체
18 : 볼트 19 : 너트
21,31,41 : 제1완충부재 22,32,42 : 제2완충부재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의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의 인용 도면에서 사용되었던 구성부재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한다.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15)와 차체(17)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인슐레이터(15)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완충부재(21)와 차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완충부재(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완충부재(21,22)는 차체(17)에 결합되는 인슐레이터(15)의 결합부위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인슐레이터를 차체 결합시 사용되는 볼트의 삽입을 위해 각각 삽입홀(21a,22a)를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인슐레이터(15)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제1완충부재(21)의 상측면(21b)에는 횡방향으로 물결모양의 형상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하는 제2완충부재(22)의 하측면(22b)에는 제1완충부재(21)의 상측면(21b)에 형성된 물결모양과 상응하는 모양이 형성됨으로써 제1완충부재(21)와 제2완충부재(22)가 서로 결합시 밀착되게 결합한다.
이러한 물결모양의 형상은 쇽 업소버로부터 제1완충부재(21)에 전달된 충격을 분산시켜 제2완충부재(2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쇽 업소버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제1완충부재(21)에 전해지면, 제1완충부재(21)의 상측(21b)에 형성된 물결형상에 의해 충격이 분산되어 제2완충부재(22)에 전달되어지므로 결국 차체(17)에 가해지는 충격은 미비해지는 것이다.
도 5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완충부재와 제2완충부재의 결합면의 횡방향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완충부재(31)와 제2완충부재(32)의 결합면의 횡방향 단면은 요철모양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완충부재(41,42)는 인슐레이터(15)의 각각의 결합볼트(18)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인슐레이터(15)와 차체(17)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18)의 수와 동일한 수의 제1 및 제2완충부재(41,42)가 사용된다. 이러한 결합볼트(18)의 각각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완충부재(41,42)는 파손이나 노후로 인해 교체할 경우 해당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완충부재(41,42)만 교체하면 되므로 보수가 간편하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완충부재(41,42)는 결합면의 횡방향 단면의 형상을 물결모양이나 요철모양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숍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의 상측면과 이와 결합되는 차체의 하측에 제1 및 제2완충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쇽 업소버로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의 상측면과 이와 결합되는 차체의 하측에 제1 및 제2완충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차량의 측방향 성분을 포함한 충격이 쇽 업소버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충격이 다시 차체에 전달되어 발생하는 충격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옵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와 차체가 서로 결합시 이들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측면에 구비되며 쇽 업소버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분산하여 전달하도록 상측면에 물결모양의 형상이 구비된 제1완충부재와, 상기 제1완충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된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하측면에 형성하여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완충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가 차체에 결합되는 부위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완충부재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볼트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완충부재의 결합면의 횡방향 단면이 요철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KR10-2000-0080475A 2000-12-22 2000-12-22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KR10045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75A KR100452488B1 (ko) 2000-12-22 2000-12-22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75A KR100452488B1 (ko) 2000-12-22 2000-12-22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438A KR20020051438A (ko) 2002-06-29
KR100452488B1 true KR100452488B1 (ko) 2004-10-12

Family

ID=2768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475A KR100452488B1 (ko) 2000-12-22 2000-12-22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4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468A (ja) * 1994-08-30 1996-03-12 Nok Corp ガスケット
KR19980039786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19980058788U (ko) * 1997-02-20 1998-10-26 이종철 패킹
KR19990007602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쇽업소버장치
KR20000013102U (ko) * 1998-12-23 2000-07-15 밍 루 차량용 쇽업소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468A (ja) * 1994-08-30 1996-03-12 Nok Corp ガスケット
KR19980039786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19980058788U (ko) * 1997-02-20 1998-10-26 이종철 패킹
KR19990007602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쇽업소버장치
KR20000013102U (ko) * 1998-12-23 2000-07-15 밍 루 차량용 쇽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438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997B1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0452488B1 (ko) 쇽 업소버 어셈블리의 완충부재
CN104589992A (zh) 一种悬置结构
AU689390B2 (en) Shock absorptive support structure
KR100552720B1 (ko) 프레임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0339223B1 (ko) 프레임 바디 차량의 프레임 장착구조
KR10045696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고정구조
KR100316958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20030042923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구
KR100475905B1 (ko)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KR100383976B1 (ko) 소형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370835B1 (ko) 대형 트럭의 캡 전방부 지지구조
KR100422554B1 (ko) 듀얼링크타입 리어 서스펜션의 마운팅구조
KR200291143Y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200152053Y1 (ko) 트레일링 링크의 포크구조
KR19990052805A (ko) 리어 현가 장치의 토션 빔 액슬
KR0140499Y1 (ko) 자동차 기관의 마운팅멤버 구조
KR200178371Y1 (ko) 상용 차량의 리프 스프링 사일런스 패드 결합구조
KR19990025513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시트 높낮이 조절장치
KR19980031515U (ko) 자동차의 컨트롤 아암 설치용 부시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KR20000013172U (ko) 자동차용 리어휠하우징
KR19980047211U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마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