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619B1 - 물류 박스 - Google Patents

물류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619B1
KR100451619B1 KR10-2002-0035535A KR20020035535A KR100451619B1 KR 100451619 B1 KR100451619 B1 KR 100451619B1 KR 20020035535 A KR20020035535 A KR 20020035535A KR 100451619 B1 KR100451619 B1 KR 100451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es
iron
length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941A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10-2002-003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6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941A/ko
Priority to AU2003245053A priority patent/AU2003245053A1/en
Priority to PCT/KR2003/001128 priority patent/WO2004000668A1/en
Priority to CNB038147998A priority patent/CN1307081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3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 B65D21/045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nesting after rotation around a vertical axis about 180°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上廣下峽)의 장방형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측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속된 요철 면을 형성하되 장길이의 양 측면에는 요와 철이 각기 짝수로 이루어지고 한쪽 모서리 면에는 요가 형성되고 다른 쪽 모서리 면에는 철이 형성되는 양측 면이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며, 단 길이의 측면에는 일 측면 중앙부에 요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철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면 서로 포개어 지고, 상하부 박스의 방향을 달리 하면 요철부분이 서로 엇갈려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 박스{ Circulation Box }
본 발명은 물품의 운송이나 보관을 위한 박스에 관한 것으로 다단적재 및 중첩보관이 가능하고, 규격별로 모듈 화하여 저장 및 운송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물류박스에 관한 것이다.
물류박스는 박스형상의 공간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여 내부 물품을 보호하는 작용과 일정 단위의 물품을 포장하는 작용 및 물품의 효율적인 분배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물류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종래 일반적인 사용되는 물류박스는 같은 크기의 장방형 박스를 사용하거나 박스형상의 상부에 덮개를 씌우거나 또는 덮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해주는 구조로써 물품의 운송이나 적재시 박스내부에 물품을 수납한 후 덮개를 덮거나 같은 크기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컨테이너 또는 화물차량에 실어 운반하고 보관 시에도 박스에 적층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적층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반드시 덮개를 씌우거나 같은 크기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증가요인이 발생하고 공박스 공급 및 사용후 회수시에도 덮개를 씌운 상태로 회수를 할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덮개를 제거하여 따로 적층한 후 박스 본체만 포개어 운반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같은 크기의 경우 회수시에 같은 공간으로 회수가 되어야 하므로 많은 물류비의 증가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장거리 운송 시에는 회수비용의 과다로 1회용 박스를 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들 박스는 보관이나 운반시 각기 독립된 형태로 적층됨으로 불안정하여 넘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높이 쌓아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으며, 덮개가 상부에 적층된 박스의 무게를 부담함으로서 덮개의 훼손이 심하여 내구성이 낮은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박스의 경우 동일한 크기의 박스를 사용하고,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규격별로 통일화되어 있지 않아 물품의 크기에 맞지 않는 박스를 사용하거나 빈 적재공간이 발생하는 등 적재 공간의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물류박스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덮개 없이도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박스 본체가 상부의 무게를 부담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평면구조를 맞춤 구조로 하여 평면상 다양한 배열로 배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대적으로 높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의 물류박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규격의 박스를 각기 조합할 수 있도록 모듈화 함으로서 물품의 크기에 따른 효율적인 적재공간을 제공하고, 규격이 다른 박스를 사용하여 적층하더라도 안정된 상태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물류박스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공박스 공급 및 회수시 사용공간을 최소화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평면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의 정면 상태도
도3은 도2의 a-a부 절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적층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 상태도
도5는 빈 박스의 중첩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평면 배열 상태도
도7은 모듈로 구성한 본 발명의 평면 배열상태도
*주요부분의 간단한 설명
10.본체 11.장길이 측면 12.단 길이 측면
20. 요(凹) 30.철(凸) 40.손잡이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류박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上廣下峽)의 장방형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측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속되고 동일 두께를 갖는 요철면이 내외 표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장길이의 양측면에는 요와 철이 각기 짝수로 이루어지고 한쪽 모서리 면에는 요가 형성되고 다른 쪽 모서리 면에는 철이 형성되는 구조로 양측면이 대칭 되도록 구성하고, 단 길이의 측면에는 일 측면 중앙부에 요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철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조는 각 박스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면 서로 포개어 지고, 상하부 박스의 방향을 달리 하면 요철부분이 서로 엇갈려 안정된 상태로 적층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물건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하부 박스의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서 연속적으로 적층할 수 있으며, 물품이 수납된 박스의 무게를 벽체가 부담하고, 벽체가 요철구조로서 강도가 보강되어 운반도중의 충격이나 무게에 의한 박스의 파손이 방지되어 물품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러 가지 박스를 짝수단위로 배치할 경우 배수크기의 박스를 적층할 수 있으므로 서로 맞물려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적재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정된 상태로 맞물려 운반도중 넘어지거나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례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평면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전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박스 본체(10)는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上廣下峽)의 장방형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각 측면(11)(12)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속된 요(20)와 철(30)이 형성된다.
장길이의 측면(11)에 형성하는 요철은 요와 철이 각기 2개로서 교대로 형성되며, 도면상 좌로 부터 요-철-요-철이 연속되어 형성된다.
측면 벽체의 두께는 대략 5mm이며, 요철의 깊이는 대략 10mm로 형성된다.
상기 장길이의 측면에 형성된 요철은 양측면에 각기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단길이의 측면(12)에 형성한 요철은 한쪽 측면 중앙부에는 요(20)가 형성되고, 다른 쪽 측면에는 철(30)이 형성된다.
요부분은 상부면으로 부터 대략 10cm하부에 손잡이(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철 부분보다 돌출 되지 않도록 대략 10mm이하의 돌출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측면으로 여러 개의 박스를 배열하여 적층하더라도 손잡이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배열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박스를 운반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기본 적인 실시형태는 단 길이의 폭(a)이 230mm,장길이의 폭(b)이 550mm,높이가 230mm이며, 상하부 폭이 10mm차이가 나도록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길이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와 철은 각기 145mm,130mm이며, 단길이의 측면에 형성되는 요와 철의 길이는 각기 90mm,70mm가 된다.
상기한 실시례에서 폭과 높이는 근사한 비율로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으며, 각기 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폭의 크기 a,b 와 높이c 세 요소 중 하나의 요소를 전 단계의 박스크기보다 배수로 구성함으로서 용이하게 모듈화 할 수 있다.
다음 표는 물류용 박스를 모듈 화하는 실시례를 표현한 것으로 각기 7개의 박스를 사용하여 모듈 화한 구성예를 보인 것이다.
구분/단위치수 a b c 용량비
L1 1 1 1 1
L2 1 2 1 2
L3 1 2 2 4
L4 2 2 2 8
L5 2 2 4 16
L6 4 2 2 16
L7 4 2 4 32
상기 구조는 가장 작은 규격을 기본형으로 하여 단길이의 폭a, 장길이의 b, 높이c 를 배수로 구성함으로서 다양한 배열 조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품의 크기에 맞는 박스를 선택 사용할 수 있고, 박스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폭과 높이에 있어 배수 관계로 구성됨으로서 서로 견고하게 맞물린 상태로 적층 및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적층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적층시 상하부 박스의 방향을 달리하여 적층함으로서 요철부분이 서로 엇갈려 덮개 없이도 적층이 가능하게 된다.
도5는 박스의 반송시 상하부 박스 방향을 같게 하여 서로 포갤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물품의 하역후 빈 박스의 운반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기본형의 박스를 사용하여 평면 배열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7은 박스를 규격별로 모듈화 하여 적층한 평면 상태를 보인 것으로 물품의 크기에 맞는 박스를 선택하여 공간상 조합을 통하여 적층하고 배열함으로서 공간을 최적상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각각의 박스는 크기가 다르더라도 높이와 폭에서 배수관계를 이룸으로서 견고하게 맞물린 상태로 적재된다.
본 발명은 덮개 없이도 적층이 가능하며, 측벽이 요철구조로 되어 있어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으며, 적층시 박스 본체가 상부의 무게를 부담함으로서 운송중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면상 다양한 배열과 안정된 상태로 적층이 가능하며, 규격별로 모듈화된 박스를 사용함으로서 물품의 크기에 맞는 박스를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 적층함으로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으며 공박스 공급 및 회수시 운송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박스사용시 운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시 옮겨 담는 번거로움도 없앨 수 있다.

Claims (2)

  1. 물류용 박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고 상광하협(上廣下峽)의 장방형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 측면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속되고 동일 두께를 갖는 요철면이 내외 표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장길이의 양측면에는 요와 철이 각기 짝수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의 한쪽 모서리 면에는 요가 형성되고 다른 쪽 모서리 면에는 철이 형성되는 구조로 장길이 양측면이 대칭형 구조를 가지며,
    단 길이의 측면에는 일 측면 중앙부에 요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철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여
    빈 박스를 적층할 때는 상하부 박스를 동일한 방향으로 쌓아 서로 포개어 지도록 하고, 화물을 채운 상태에서는 상하부 박스의 방향을 달리 하여 상하부 박스의 요철이 서로 엇갈리도록 함으로서 덮개 없이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단길이의 폭을 a로 하고, 장길이의 폭을 b로 하며, 높이를 c로 하였을 때 a, b, c 세 요소 중 하나의 요소를 전 단계 박스의 길이 보다 배수로 구성함으로서 규격에 관계없이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박스.
KR10-2002-0035535A 2002-06-25 2002-06-25 물류 박스 KR100451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35A KR100451619B1 (ko) 2002-06-25 2002-06-25 물류 박스
AU2003245053A AU2003245053A1 (en) 2002-06-25 2003-06-09 Logistics box
PCT/KR2003/001128 WO2004000668A1 (en) 2002-06-25 2003-06-09 Logistics box
CNB038147998A CN1307081C (zh) 2002-06-25 2003-06-09 物流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535A KR100451619B1 (ko) 2002-06-25 2002-06-25 물류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941A KR20020060941A (ko) 2002-07-19
KR100451619B1 true KR100451619B1 (ko) 2004-10-08

Family

ID=2772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535A KR100451619B1 (ko) 2002-06-25 2002-06-25 물류 박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451619B1 (ko)
CN (1) CN1307081C (ko)
AU (1) AU2003245053A1 (ko)
WO (1) WO20040006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271A2 (en) * 2008-09-05 2010-03-11 The Coleman Company, Inc. Stackable portable cooler system
KR20210008755A (ko) 2019-07-15 2021-01-25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복합소재 저층형 물류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6443A (zh) * 2014-10-28 2015-02-25 宁波保税区攀峒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容器及模块化容器集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2168A (en) * 1969-10-27 1972-02-15 Rudkin Wiley Corp Nontilt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
JP2684022B2 (ja) * 1995-04-14 1997-12-03 英則 森田 苺の包装容器
JPH101139A (ja) * 1996-06-14 1998-01-06 Kawashima Kagaku Kk 連結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8271A2 (en) * 2008-09-05 2010-03-11 The Coleman Company, Inc. Stackable portable cooler system
WO2010028271A3 (en) * 2008-09-05 2010-06-03 The Coleman Company, Inc. Stackable portable cooler system
CN102164829A (zh) * 2008-09-05 2011-08-24 科尔曼公司 可堆叠的便携式冷柜系统
CN102164829B (zh) * 2008-09-05 2012-12-12 科尔曼公司 可堆叠的便携式冷柜系统
KR20210008755A (ko) 2019-07-15 2021-01-25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복합소재 저층형 물류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5053A1 (en) 2004-01-06
KR20020060941A (ko) 2002-07-19
CN1662423A (zh) 2005-08-31
WO2004000668A1 (en) 2003-12-31
CN1307081C (zh)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9092A (en) Container with sling divider
EP0856469A2 (en) Collapsible container stackable when collapsed
US4037750A (en) Transport-display case
CN101134523B (zh) 抽屉及使用了该抽屉的集装箱
KR100451619B1 (ko) 물류 박스
CN201338773Y (zh) 新型货物周转箱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AU2003245186B2 (en) A method of transporting unit loads
CN219619774U (zh) 包装箱
CN110155466A (zh) 一种非拆装可堆叠运输储存箱
CN217624828U (zh) 一种新型包装箱
CN214397707U (zh) 一种双层吸塑栈板
JP4116313B2 (ja) 運搬容器
JP2002096834A (ja) 移送用トレイ
CN210883114U (zh) 一种便于码垛的周转筐
CN219619775U (zh) 包装箱
KR102202860B1 (ko) 포장 박스
KR200185552Y1 (ko) 물품운반용 상자
CN217836775U (zh) 一种小零件运输托盘
CN214608868U (zh) 一种易碎品多层包装箱
JP4008205B2 (ja) 物品収納パレット
CN210028347U (zh) 一种非拆装可堆叠运输储存箱
JPH04267742A (ja) かよい箱
CN217436294U (zh) 一种用于车门护板的物流器具组件
CN107089401B (zh) 一种包装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