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251B1 - 경화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경화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251B1
KR100448251B1 KR10-2001-0060571A KR20010060571A KR100448251B1 KR 100448251 B1 KR100448251 B1 KR 100448251B1 KR 20010060571 A KR20010060571 A KR 20010060571A KR 100448251 B1 KR100448251 B1 KR 10044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ard
type
passage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683A (ko
Inventor
미카미미쓰구
모리요시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ublication of KR2002003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6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투입된 각종 경화 A, B, C, D의 진위 및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각 경화를 금액 종류별로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경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하도록 하는 경화 처리 장치(1)에 있어서,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여 경화 지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을 설치하여, A, B, C, D 경화와 코인형 IC 카드 X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경화 처리 장치 {COI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환전기, 서비스 기기 등에 사용되는 경화 처리 장 치로서, 이른바 포인트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는 경화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 환전기, 서비스 기기 등(이하, 단지「자동 판매기」라고 함)에는, 통상 경화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경화를 금액 종류별로 선별 수용 하는 동시에,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선별 수용된 경화를 지급하는 경화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래의 경화 처리 장치는, 통상, 경화의 진위와 금액 종류만을 판별하는 경화 판별 수단과, 진짜 경화로 판별된 경화만을 금액 종류마다 수용하는 경화 수용 수단과, 수용된 경화만을 거래 정보에 따라 거스름돈으로서 지급하는 경화 지급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경화 처리 장치에서는, 이들 각 수단에 의해서 경화만을 처리하고 있다.
한편, 자동 판매기에, 근래 상거래의 촉진을 위해 채용되고 있는 이른바 포인트 시스템, 즉 상거래 시의 금전 정보 등을 포인트로서 카드(포인트 카드)에 기억하는 동시에, 이 포인트에 따라 이후의 거래 시에 감액 등을 행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드에 대하여 금전 정보의 입출력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자동 판매기 내에, 종래의 경화 처리 장치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새로이 카드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전용 리더 라이터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술한 포인트 카드로는, 통상, 금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기입하여 연산 처리하는 IC 칩모듈과, 이 IC 칩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전력의 공급 및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안테나 코일 등을, 원판형상의 보디, 즉 코인형의 보디 내에 매설한 이른바 코인형 IC 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입 경화의 진위(眞僞) 및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경화를 금액 종류별로 수용하고, 상기 수용한 경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하도록 하는 경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여 상기 경화 지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경화와 상기 코인형 IC 카드를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 처리 장치의 개념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개념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경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코인형 IC 카드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경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코인형 IC 카드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 5은 도 1의 경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코인형 IC 카드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경화 처리 장치의 주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코인형 IC 카드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화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화 처리 장치의 개념 사시도이다.
이 경화 처리 장치(1)는,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장치 본체(2)와, 이 장치 본체(2)의 최상부에 설치되고,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된 투입 경화의 진위와 정화(正貨)의 금액 종류 등을 선별하는 경화 선별부(4)와, 이 경화 선별부(4)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경화 선별부(4)에 의해 선별된 정화를 금액 종류별로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코인 튜브로 이루어지는 경화 수용부(5)와, 이 경화 수용부(5)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경화 수용부(5)로부터 정화를 지불하는 경화 지급부(6)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경화 수용부(5)는, 사용 빈도가 높은 경화를 미리 수용하는 보조 튜브(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의 부호(8)는 경화 처리 장치(1) 내에 진입한 액상 물질(세제 등의 액체)를 외부로 배제하는 액상 물질 배출 튜브이다.
다음에, 상술한 경화 처리 장치(1)의 경화 선별부(4)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경화 처리 장치(1)의 주요부 개념 정면도이다.
이 경화 처리 장치(1)의 경화 선별부(4)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4종류의 A정화, B정화, C정화, D정화와, 위화(僞貨)와의 선별을 행하는 것이며, 또한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의 선별도 행하는 것이다.
이 경화 선별부(4)의 경화 투입구(3)의 바로 아래에는,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판별 통로(10)가 형성되고, 그 도중에는 판별 센서(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판별 센서(1)는,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되어, 판별 통로(10)로 안내된 원판체가, A경화, B경화, C경화, D경화인지 여부, 즉 각종 경화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원판체가 진짜 경화(정화)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경화의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주지의 센서(코일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판별 센서(11)는,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도 판별한다.
한편, 판별 통로(10)의 종단에는, 하단의 축을 중심으로 상단이 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개폐되는 주지의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판별 통로(10)의 종단은, 위화 및 위조된 코인형 IC 카드를 안내하는 위화 배출 통로(13)와, 진짜 A, B, C, D 경화 및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를 안내하는 제1 통로(14)로 분기되어 있다.
또, 위화 배출 통로(13)는, 메인 플레이트(60)의 정면측, 즉, 도 1에 나타낸 경화 선별부(4)의 정면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위화 배출 슈트에 연통되어 있고, 이 위화 배출 슈트는, 도시하지 않은 경화 지급구에 연통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제1 통로(14)에는, 전체로서 정면이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 주지의 제1 분배 레버(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1 통로(14)의 종단은, 도면의 좌측으로 경사진 제2 통로(16)와, 도면의 좌측으로 약간 경사진 제3 통로(20)로 분기되어 있다. 제2 통로(16)는, A, C 경화를 안내하는 통로이며, 또한 제3 통로(20)는, 기본적으로 B, D 경화와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를 안내하는 통로이다.
또, 이 제1 분배 레버(15)는, 메인 플레이트(60)로부터 돌출되었을 때에, 옆쪽에 있는 제2 통로(16)를 해방하는 동시에 저면에 있는 제3 통로(20)를 폐쇄하고, 메인 플레이트(60) 측에 흡인되었을 때에, 제2 통로(16)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3 통로(20)를 개방한다.
또, 제2 통로(16)의 하류단에는, 좌측단의 축을 중심으로 우단이 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개폐되는 주지의 제2 분배 레버가(1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분배 레버(17)에 의해, 제2 통로(16)의 종단은, A 경화를 안내하는 제4 통로(18)와, 상기 제4 통로(18)에 대하여, 메인 플레이트(60)의 정면측에 설치되고, C 경화를 안내하는 제5 통로(19)로 분기되어 있다.
한편, 제3 통로(20)의 하류단에는, 하단의 축을 중심으로 상단이 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개폐되는 주지의 제3 분배 레버(2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분배 레버(23)에 의해, 제3 통로(20)의 종단은, 메인 플레이트(60)의 배면측에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금고측으로 통하는 제6 통로(21)와, 상기 제6 통로(21)에 대하여, 메인 플레이트(60)의 정면측에 설치되고, B, D 경화 및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를 안내하는 제7 통로(22)로 분기되어 있다.
또 제6 통로(21)는, 경화 수용부(5)(후술함)의 각 코인 튜브(51), (52), (53), (54) 내에 수용된 A, C, B, D 경화가, 각각 일정한 수용 매수에 도달한 경우에, 그 이후에 투입되는 각 경화를 상기 금고로 안내하는 통로이다.
또, 제7 통로(22)의 하류단에는, 하단의 축을 중심으로 상단이 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개폐되는 제4 분배 레버(2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4 분배 레버(26)에 의해, 제7 통로(22)의 종단은,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를 안내하는 제8 통로(24)와, 상기 제8 통로(24)에 대하여 메인 플레이트(60)의 정면측에 설치되고, B 경화 및 D 경화를 안내하는 제9 통로(25)로 분기되어 있다.
또, 이 제9 통로(25)의 하류단에는, 제1 분배 레버(15)와 동일 구조의 주지의 제5 분배 레버(2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5 분배 레버(27)에 의해, 제9 통로(25)의 종단은, 도면의 좌측으로 경사진 제10 통로(28)와, 도면의 좌측으로 약간 경사진 제11 통로(29)로 분기되어 있다. 제10의 통로(28)는, B 경화를 안내하는 통로이며, 또한 제11의 통로(29)는 D 경화를 안내하는 통로이다.
또, 이 제5 분배 레버(27)는, 메인 플레이트(60)로부터 돌출되었을 때에, 옆쪽에 있는 제10 통로(28)를 해방하는 동시에, 저면에 있는 제11 통로(29)를 폐쇄하고, 메인 플레이트(60) 측으로 흡인되었을 때에, 제10 통로(28)를 폐쇄하는 동시에, 제11 통로(29)를 개방한다.
한편, 제8 통로(2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 선별부(4)에 형성된 구멍(4a)를 통하여, 경화 수용부(5)의 보조 튜브(7) 내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각코인 튜브(51), (52), (53), (54)(후술함) 측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이 제8 통로(24)의 하류단은 상기 위화 배출 슈트에 연통되어 있다.
또, 제8 통로(24)중, 보조 튜브(7) 내의 상류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8 통로(24) 내에 전송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정보 입출력 수단(4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정보 입출력 수단(42)은, 코인형 IC 카드 X를 일시 보류하는 보류 수단(31)과, 상기 보류 수단(31)에 의해 일시 보류된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의 안테나 코일(4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보류 수단(31)은, 도 2에 나타낸 경화 처리 장치(1)의 주요부 개념 단면도를 도시한 도 3과 같이, 보류 레버(32)와, 상기 보류 레버(32)를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33), 및 상기 솔레노이드(33)의 구동축에 삽입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류 수단(31)에서는, 솔레노이드(33)가 오프하고 있는 초기 상태에서는, 보류 레버(32)의 선단(32a)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8 통로(24)에 돌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 때 코인형 IC 카드 X가 보류 수단(31)으로 안내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류 레버(32)의 선단(32a)이 코인형 IC 카드 X의 주위면을 지지하여, 상기 코인형 IC 카드 X를 보류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33)가 온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류 레버(32)의 선단(32a)이 제8 통로(24) 내로부터 회피하여, 상기 제8 통로(24)의 상류를 해방하고, 이것에 의해 보류하고 있었던 코인형 IC 카드 X를, 도 6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8 통로(24)의 하류를 향해 안내한다.
한편, 안테나 코일(43)은, 보류 수단(31)보다 약간 상류에 위치하는 제8 통로(24)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와 제1 내지 제5 분배 레버(15), (17), (23), (26), (27)는,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각각 개폐 구동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경화 처리 장치(1)의 경화 수용부(5)를 상세히 설명한다.
경화 수용부(5)는, 서로 직경이 상이한 4종류의 A정화, B정화, C정화, D정화를 각각 수용하는 것이며, 또 소정의 코인형 IC 카드 X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 경화 수용부(5)는, A 경화를 수용하는 코인 튜브(51)와, C 경화를 수용하는 코인 튜브(52)와, B 경화를 수용하는 코인 튜브(53)와, D 경화를 수용하는 코인 튜브(54)와, 상기 보조 튜브(7)(도 1 및 도 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코인 튜브(51)는 제4 통로(18)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 코인 튜브(52)는, 제5 통로(19)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 코인 튜브(53)는, 제10의 통로(28)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 코인 튜브(54)는, 제11 통로(29)의 하류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 보조 튜브(7)는, 그 내부에 제8 통로(24)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보조 튜브(7) 내에는, 통상, 사용 빈도가 높은 경화를 미리 수용해두지만,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보조 튜브(7) 내에 코인형 IC 카드 X를 수용하고 있다. 또, 이 코인형 IC 카드에는, 미리, 금전 정보가 포인트수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 제8 통로(24)의 하류에 위치하는 부분의 보조 튜브(7)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화를 보조 튜브(7) 내에 투입하기 위한 경화 투입구(7a)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경화 처리 장치(1)의 경화 지급부(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경화 지급부(6)는,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경화 수용부(5)의 각 코인 튜브(51), (52), (53), (54)로부터 각각, A경화, C경화, B경화, D경화를 지급하는 것이며, 또한 보조 튜브(7) 내에 수용된 코인형 IC 카드 X를, 경화 지급구로 지급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 이 경화 지급부(6)는, 통상, 보조 튜브(7) 내에 수용된 사용 빈도가 높은 경화를, 거스름돈으로서 경화 지급구로 지급한다.
또, 이러한 구성의 경화 처리 장치에서는, 상술한 판별 센서(11), 제4 분배 레버(26), 정보 입출력 수단(42), 보조 튜브(7), 및 경화 지급부(6)는,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여, 경화 지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판별 센서(11)는, 투입 경화의 진위 및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를 판별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의 판별 수단을구성하고, 또 제4 분배 레버(26)는,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를, 경화 지급구에 연통되는 소정의 통로(제8 통로(24))로 안내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의 분배수단을 구성한다.
또, 정보 입출력 수단(42)은, 상기 소정의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진짜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의 정보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고, 또 보조 튜브(7)는, 코인형 IC 카드 X를 미리 수용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의 코인형 IC 카드 수용 수단을 구성한다. 또, 경화 지급부(6)는 코인형 IC 카드 수용 수단 내에 수용된 코인형 IC 카드 X를 지급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의 코인형 IC 카드지급 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술한 경화 처리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고, 또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경화 투입구(3) 내에 원판체가 투입되면, 상기 원판체는 판별 통로(10)로 안내되고, 판별 센서(11)에 의해 A경화, B경화, C경화, D경화인가 여부, 즉 각종 경화의 진위가 판별되고, 또한 진짜 경화(정화)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정화의 금액 종류도 판별된다. 또한 이 원판체는, 판별 센서(11)에 의해, 코인형 IC 카드인가 여부의 진위도 판별된다.
한편,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투입된 원판체가 위조된 경화(위화), 또는 위조된 코인형 IC 카드로 판정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그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개방하고, 동시에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이로 인해, 판별통로(10) 내를 전동하는 위화, 또는 위조된 코인형 IC 카드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위화 배출 통로(13)로 안내되고, 도시하지 않은 배출 슈트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경화 지급구에 반환된다.
또,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투입된 원판체가, 정화이고 또한 A 경화라고 판단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그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 동시에 제1 분배 레버(15)를 작동시켜, 제2 통로(16)의 상류단을 개방하여 제3 통로(20)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또 제2 분배 레버(17)를 작동시켜, 제4 통로(18)의 상류단을 개방하여 제5 통로(19)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따라서, 경화 투입구(3) 내에 투입되어, 판별 통로(10) 내를 전동한 A 경화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제1 통로(14)로 안내된 뒤,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2 통로(16)로 안내되고, 또한 그 후 제2 분배 레버(17)에 의해 제4 통로(18)로 안내되고, 그리고 코인 튜브(51)에 적재 수용된다.
또,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투입된 원판체가, 정화이고 또한 C 경화라고 판단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그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 동시에 제1 분배 레버(15)를 작동시켜, 제2 통로(16)의 상류단을 개방하여 제3 통로(20)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또 제2 분배 레버(17)를 작동시켜, 제4 통로(18)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5 통로(19)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따라서, 경화 투입구(3) 내에 투입되어, 판별 통로(10) 내를 전동한 C 경화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제1 통로(14)로 안내된 뒤,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2 통로(16)로 안내되고, 또한 그 후, 제2 분배 레버(17)에 의해 제5 통로(19)로 안내되고, 그리고 코인 튜브(52)에 적재 수용된다.
또,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투입된 원판체가, 정화이고 또한 B 경화라고 판단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그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동시에 제1 분배 레버(15)를 작동시켜, 제2 통로(16)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3 통로(20)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제3 분배 레버(23)를 작동시켜, 제6 통로(21)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7 통로(22)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 제4 분배 레버(26)를 작동시켜, 제8 통로(24)의 상류단을 폐쇄하는 동시에 제9 통로(25)의 상류단을 해방한다. 또한, 제5 분배 레버(27)를 작동시켜, 제10 통로(28)의 상류단을 해방하여 제11 통로(29)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따라서, 경화 투입구(3) 내에 투입되어, 판별 통로(10) 내를 전동한 B 경화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제1 통로(14) 내에 안내된 뒤,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3 통로(20)로 안내되고, 또한 그 후, 제3 분배 레버(23)에 의해 제7 통로(22)로 안내된다. 또, 이 제7 통로(22)로 안내된 B 경화는, 또 제4 분배 레버(26)에 의해 제9 통로(25)로 안내되고, 그 후, 제5 분배 레버(27)에 의해 제10의 통로(28)로 안내되고, 그리고 코인 튜브(53) 내에 축적 수용된다.
또,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투입된 원판체가, 정화이고 또한 D 경화라고 판단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그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동시에 제1 분배 레버(15)를 작동시켜, 제2 통로(16)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3 통로(20)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제3 분배 레버(23)를 작동시켜, 제6 통로(21)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7 통로(22)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 제4 분배 레버(26)를 작동시켜, 제8 통로(24)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9 통로(25)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 제5 분배 레버(27)를 작동시켜, 제10의 통로(28)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1 통로(29)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따라서, 경화 투입구(3) 내에 투입되어, 판별 통로(10) 내를 전동한 D 경화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제1 통로(14) 내에 안내된 뒤,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3 통로(20)로 안내되고, 또한 그 후, 제3 분배 레버(23)에 의해 제7 통로(22)로 안내된다. 또, 이 제7 통로(22)로 안내된 D 경화는, 또 제4 분배 레버(26)에 의해 제9 통로(25)로 안내되고, 그 후, 제5 분배 레버(27)에 의해 제11 통로(29)로 안내되고, 그리고 코인 튜브(54) 내에 축적 수용된다.
한편, 이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각 코인 튜브(51), (52), (53), (54)에 축적 수용되는 A, C, B, D 경화의 매수가, 각각 일정 수용 매수를 넘는 경우에는, 그 이후에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되는 경화를, 즉시 금고측에 수용시킨다.
또, 각 코인 튜브(51), (52), (53), (54)에서의 각 경화 수용 매수가 각각 일정 매수에 도달한 것은, 각 코인 튜브(51), (52), (53), (54)에 설치된 각 오버플로 검출 센서에 의해서 검출한다.
예를 들면, A 경화를 수용하는 코인 튜브(51) 내에 축적 수용된 A 경화의 수용 매수가 일정 매수에 도달한 것이, 코인 튜브(51)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오버 플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는, 상술한 경화 선별부(4)는 다음과 같은 선별 동작을 행한다.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되어, 판별 통로(10)를 통과하는 원판체가,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정화로서 A 경화라고 판단되고, 또한 코인 튜브(51)의 오버 플로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코인 튜브(51) 내에 수용된 A 경화의 매수가 일정 매수에 도달한 것이 검지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이들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동시에, 제1 분배 레버(15)를 작동시켜, 제3 통로(20)의 상류단을 개방하여 제2 통로(16)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동시에, 제3 분배 레버(23)를 작동시켜, 제6 통로(21)의 상류단을 개방하여 제7 통로(22)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따라서, 경화 투입구(3) 내에 투입되어, 판별 통로(10) 내를 전동한 A 경화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제1 통로(14) 내에 안내되고, 또 이 A 경화는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3 통로(20)로 안내된다. 또한 이 A 경화는, 제3 분배 레버(23)에 의해 제6 통로(21) 내로 안내되고,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금고 내에 즉시 수용된다.
또, 코인 튜브(52) 내에 축적 수용된 C 경화의 수용 매수가 일정 매수에 도달한 것이 상기 코인 튜브(52)의 도시하지 않은 오버 플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경우, 코인 튜브(53) 내에 축적 수용된 B 경화의 수용 매수가 일정 매수에 도달한 것이 상기 코인 튜브(53)의 도시하지 않은 오버 플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경우, 또는 코인 튜브(54) 내에 축적 수용된 D 경화의 수용 매수가 일정 매수에 도달한 것이 상기 코인 튜브(54) 내의 도시하지 않은 오버 플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도, 제어 장치는, 상술한 A 경화의 금고 수용 동작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또,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되어, 판별 통로(10)를 통과하는 원판체가, 판별 센서(11)의 검출 신호에 따라,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로 판별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그 판정 신호에 따라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를 작동시켜, 위화 배출 통로(13)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1 통로(14)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동시에 제1 분배 레버(15)를 작동시켜, 제2 통로(16)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3 통로(20)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한, 제3 분배 레버(23)를 작동시켜, 제6 통로(21)의 상류단을 폐쇄하여 제7 통로(22)의 상류단을 개방한다. 또, 제4 분배 레버(26)를 작동시켜, 제8 통로(24)의 상류단을 개방하여 제9 통로(25)의 상류단을 폐쇄한다.
따라서, 경화 투입구(3) 내에 투입되고 판별 통로(10) 내를 전동한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는, 정화 위화 분배 레버(12)에 의해 제1 통로(14) 내에 안내된 뒤, 제1 분배 레버(15)에 의해 제3 통로(20)로 안내되고, 또한 그 후, 제3 분배 레버(23)에 의해 제7 통로(22)로 안내된다. 또한 이 제7 통로(22)로 안내된 코인형 IC 카드 X는, 또 제4 분배 레버(26)에 의해 제8 통로(24)로 안내된다.
한편, 이 제8 통로의 상류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류 수단(31)을 구성하는 보류 레버(32)의 선단(32a)이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8 통로(24)로 안내된 코인형 IC 카드 X는, 경화 선별부(4)의 구멍(4a)를 통과한 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주위면이 보류 레버(32)의 선단부(32a)에 의해서 지지되어, 이것에 의해 보류된다.
또, 이 보류한 코인형 IC 카드 X의 양측에는, 정보 입력 수단(42)의 안테나 코일(4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이 안테나 코일(43)을 통하여, 보류한 코인형 IC 카드 X에 대하여, 비접촉으로 전력의 공급 및 정보의 입출력을 개시한다.
그 때, 제어 장치는, 안테나 코일(43)에 의해서 코인형 IC 카드 X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IC 모듈내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포인트수, 즉 금전 정보에 액세스하여, 그 금전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판독한 금전 정보와, 상거래에 필요한 금전 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판독한 금전 정보가 상거래에 필요한 금전 정보보다 작으면, 판독한 금전 정보를 상거래에 사용할 수 없다는 취지의 신호를 송출하고, 또 그 판독한 금전 정보에, 상거래에 의해 획득한 금전 정보를 가산(포인트 가산)하고, 그 가산한 결과의 값의 금전 정보를 IC 칩모듈 내에 재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판독한 금전 정보가 상거래에 필요한 금전 정보보다 크면, 판독한 금전 정보를 상거래에 사용하는 취지의 허용 신호를 송출하고, 또 그 판독한 금전 정보로부터 상거래에 사용하는 금전 정보를 감산하여, 그 감산한 결과의 값의 금전 정보를, IC 칩모듈 내에 재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상술한 코인형 IC 카드 X 에의 금전 정보의 재기입 처리, 즉 코인형 IC 카드에 대한 정보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것은, 상거래 시의 금전 정보를, 기본적으로 코인형 IC 카드 X에 기억된 금전 정보에 가산하기 때문에, 이른바 포인트 가산 방식의 포인트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한편, 이러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한 코인형 IC 카드 X 에의 정보의 입출력 처리가 종료되면, 제어 장치는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류 수단(31)의 솔레노이드(33)를 온한다. 그러면, 보류 레버(32)의 선단(32)은, 스프링(3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8 통로(24)로부터 회피하고, 이것에 의해 제8 통로의 상류를 해방한다.
따라서, 보류 레버(32)에 의해 보류되어 있던 코인형 IC 카드 X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 통로(24)의 하류를 향하여 안내되고, 도시하지 않은 상기 위화 배출 슈트를 통하여,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된다.
또,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코인형 IC 카드 X를 제8 통로(24)의 하류로 안내한 뒤, 도 6의 솔레노이드(33)를 오프하기 때문에, 보류 레버(32)의 선단(32a)은, 스프링(34)의 가압력에 따라 제8 통로(24)의 상류에 돌출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8 통로(24)의 상류를 폐쇄하는 도 3의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 도 2 내지 도 6의 부호(24a)는, 보조 튜브(7) 내에 설치된 제8 통로(24)를, 상기 위화 배출 슈트에 연통되게 하기 위한 제8 통로(24)의 통로부이며, 또한도 3 내지 도 6의 부호(7b)는, 제8 통로(24)를 보조 튜브(7) 내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보조 튜브(7)에 형성한 구멍이다.
한편, 이 경화 처리 장치(1)를 설치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신규로 상거래를 행하는 경우는, 코인형 IC 카드 X가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번의 상거래를 촉진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경화 지급부(6)에 의해, 보조 튜브(7) 내에 미리 수용한 코인형 IC 카드 X를,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한다. 이 지급하는 코인형 IC 카드 X에는, 소정의 금전 정보가 포인트수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으므로(포인트수가 가산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의해 신규의 상거래자는, 다음번의 상거래 시에 이 기억된 금전 정보(포인트수)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상술한 보조 튜브(7) 내에 수용된 코인형 IC 카드 X의 지급 동작을, 자동 판매기에서의 상품 거래자가 코인형 IC 카드의 배출을 요구하는가 여부의 선택 버튼의 스위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경화 지급부(6)에 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 이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각종 경화와 코인형 IC 카드 X를 혼합하여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한 경우에도, 각종 경화와 코인형 IC 카드를 각각 별개독립적으로 처리할 수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복수 매의 코인형 IC 카드 X가 한번의 상거래에 있어서 경화 투입구(3)로부터 투입되는 경우에는, 최초에 경화 투입구(3)에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만을 진짜 코인형 IC 카드로 판별하여, 상기·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입출력 등의 처리를 행하고, 그 후에 경화 투입구(3)에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 X는 전부 위조된 코인형 IC 카드라고 판별하여, 정보의 입출력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서,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투입되는 A경화, B경화, C경화, D경화의 진위 및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경화를 금액 종류별로 수용하고, 상기 수용한 경화를 거스름돈의 액수에 따라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하도록 하는 경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여 경화 지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A, B, C, D 경화와 코인형 IC 카드 X를 하나의 경화 처리 장치로 처리할 수가 있다.
자동 판매기에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포인트 카드에 대하여 금전 정보의 입출력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경화 처리 장치는 경화만을 처리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자동 판매기 내에 종래의 경화 처리 장치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새로이 상기 카드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전용 리더 라이터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고, 그러므로 자동 판매기 내에 리더 라이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이로 인하여 자동 판매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설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나, 자동 판매기내부의 개조가 필요하게 되어 포인트 시스템의 도입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A, B, C, D 경화와 포인트 카드인 코인형 IC 카드 X를 1개의 경화 처리 장치로 처리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자동 판매기에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할 때에 경화 처리 장치(1)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카드 전용의 리더 라이터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상기 리더 라이터의 설치 공간을 자동 판매기 내에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기 리더 라이터의 설치 공간을 고려하면 자동 판매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급적 해결하여, 모든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할 수가 있는 동시에, 상기 포인트 시스템의 도입 시에 자동 판매기 내의 개조를 행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상기 도입작업이 매우 간단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 포인트 시스템을 간단히 도입할 수 있는 경화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종래의 문제, 즉 자동 판매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카드 전용 리더 라이터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포인트 시스템을 도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나, 자동 판매기 내부의 개조가 필요하게 되어 포인트 시스템의 도입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는, 종래, 자동 판매기에서의 포인트 시스템의 보급을 곤란하게 하는 요인의 하나로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으므로, 자동 판매기에서의 포인트 시스템을 보급시킬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와 같이,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을, 코인형 IC 카드 수용 수단이나 코인형 IC 카드 지급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면, 상기 코인형 IC 카드 수용 수단이나 코인형 IC 카드 지급 수단을, 경화 처리 장치(1) 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자동 판매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와 같이, 코인형 IC 카드 수용 수단을, 경화 처리 장치(1) 내의 보조 튜브(7)로 구성하면, 보조 튜브(7) 내에 수용한 코인형 IC 카드 X를 경화 지급부(6)에 의해서 지급할 수도 있어, 코인형 IC 카드 수용 수단이나 코인형 IC 카드지급 수단을, 경화 수용부(5)나 경화 지급부(6)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경화 처리 장치(1)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만큼 경화 처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이른바 포인트 가산 방식의 포인트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지만,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는, 포인트 가산 방식의 포인트 시스템을 채용한 경화 처리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거래 시의 금전 정보를 원칙으로 하여 코인형 IC 카드 X에 기억된 금전 정보로부터 감산하는 이른바 포인트 감산 방식의 포인트 시스템을 채용한 경화 처리 장치라도 된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포인트 정보를 금전 정보로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포인트를 가산하고, 어떤 포인트수가 되면 경품과 교환하거나, 경품의 추첨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한 포인트 시스템에, 경화 처리 장치(1)를 이용할 수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에서는,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 판별을판별 센서(11)에 의해 행하여, 진짜 코인형 IC 카드 X를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를 판별하는 수단은 판별 센서(11)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판별 센서(11)에 의해 코인형 IC 카드 X의 종류를 판별한 뒤,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41)의 정보 입출력 수단(42)에 의해 코인형 IC 카드 X 에 대하여 실제로 정보의 판독 및 기입을 행하고, 이것에 의해 코인형 IC 카드 X의 진위를 판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화 처리 장치(1)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41)를 설치함으로써, A, B, C, D 경화와 코인형 IC 카드 X를 처리할 수 있는 포인트 시스템 대응의 경화 처리 장치가 되도록 했지만, 제8 통로(24)의 하류에 위치하는 보조 튜브(7)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경화를 상기 보조 튜브(7) 내에 투입하는 경화 투입구(7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경화 투입구(7a)에서 보조 튜브(7) 내에 상기 경화를 투입하여 사용하는 종전의 경화 처리 장치, 즉 포인트 시스템을 채용하지 않는 경화 처리 장치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 포인트 시스템을 간단히 도입할 수 있는 경화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투입 경화의 진위(眞僞) 및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경화를 금액 종류별로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경화를 거스름돈에 따라 경화 지급구로부터 지급하도록 하는 경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 빈도가 높은 경화를 미리 수용하는 보조 튜브, 및
    투입된 코인형 IC 카드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판별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여, 상기 경화 지급구로부터 배출하는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코인형 IC 카드 처리 수단은
    상기 투입 경화의 진위 및 금액 종류를 판별하는 동시에, 상기 코인형 IC 카드의 진위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
    판별된 진짜 경화와 진짜 코인형 IC 카드를 각각 별개의 통로로 분배하는 분배 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판별된 진짜 코인형 IC 카드를 상기 경화 지급구에 연통하는 코인형 IC 카드의 안내 통로로 안내하는 분배 수단, 및
    상기 안내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진짜 코인형 IC 카드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정보 입출력 수단
    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통로의 일부는 상기 보조 튜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입출력 수단은 상기 코인형 IC 카드를 보류(保留)하는 보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튜브 내에 설치된 상기 안내 통로의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 튜브 내에 설치된 상기 안내 통로의 일부 내에 상기 코인형 IC 카드가 보류되어 상기 코인형 IC 카드에 대해 정보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경화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1-0060571A 2000-11-09 2001-09-28 경화 처리 장치 KR100448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41921 2000-11-09
JP2000341921A JP2002150364A (ja) 2000-11-09 2000-11-09 硬貨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83A KR20020036683A (ko) 2002-05-16
KR100448251B1 true KR100448251B1 (ko) 2004-09-10

Family

ID=1881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571A KR100448251B1 (ko) 2000-11-09 2001-09-28 경화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68955B2 (ko)
JP (1) JP2002150364A (ko)
KR (1) KR100448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5653B2 (ja) * 2004-05-17 2011-02-02 シルバー電研株式会社 遊技媒体貸出しシステム
JP4597584B2 (ja) * 2004-06-01 2010-12-15 シルバー電研株式会社 遊技媒体貸出しシステム
JP4685373B2 (ja) * 2004-06-14 2011-05-18 シルバー電研株式会社 遊技媒体貸出しシステムにおける遊技媒体貸出機
JP2006034757A (ja) * 2004-07-29 2006-02-09 Sayama Precision Ind Co 遊技装置の玉貸機
JP4565932B2 (ja) * 2004-08-26 2010-10-20 シルバー電研株式会社 遊技玉貸出しシステムの玉貸機
JP2006068226A (ja) * 2004-09-01 2006-03-16 Asahi Seiko Kk Icコインのための読込・書込装置
JP4709989B2 (ja) * 2004-12-28 2011-06-29 旭精工株式会社 Icトークン、icトークンの射出成型型装置及びicトークンの製造方法
CA2617257A1 (en) * 2005-08-02 2007-02-08 Telequip Corporation Coin handling system for validation, sorting, and dispensing coins
KR100967253B1 (ko) * 2008-01-25 2010-07-01 오성룡 가동형 칠판의 텐션장치
JP5261655B2 (ja) * 2008-02-14 2013-08-14 旭精工株式会社 価値媒体処理装置
US8808079B2 (en) * 2009-04-16 2014-08-19 Scientific Games International, Inc. Lottery game reward system and method
CN107909706B (zh) * 2017-12-11 2023-06-02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币组件及其硬币自助兑换设备和兑换方法
CN107958530B (zh) * 2017-12-11 2023-06-02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硬币自助兑换设备和兑换方法
CN111311762A (zh) * 2020-03-17 2020-06-19 苏州雷格特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token发售暂存区设计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557A (en) * 1979-11-22 1983-02-22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Coin changer for a vending machine
WO1987004831A1 (en) * 1986-02-07 1987-08-13 Mars Incorporated Tokens and apparatus for handling tokens
JPS63141768U (ko) * 1987-03-09 1988-09-19
JPH07175959A (ja) * 1993-10-18 1995-07-14 Gemplus Card Internatl Sa 電子支払機構を備えるゲーム機
JPH10320607A (ja) * 1997-05-21 1998-12-04 Nippon Conlux Co Ltd 貨幣選別方法および装置
JPH1119330A (ja) * 1997-07-03 1999-01-26 Omron Corp 遊技機および集金管理システム
JP2000149099A (ja) * 1998-11-09 2000-05-30 Sanyo Electric Co Ltd 硬貨型半導体装置および商品販売方法
KR100367291B1 (ko) * 2000-01-17 2003-01-09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알에프 토큰 분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189A (en) * 1980-06-11 1982-01-11 Fuji Electric Co Ltd Coin sorter
GB8332443D0 (en) * 1983-12-06 1984-01-11 Mars Inc Tokens and handling devices
SE510359C3 (sv) * 1995-09-28 1999-06-21 Modul System Sweden Ab Foerfarande foer debitering medelst parkeringsautomater vid parkering
US6309098B1 (en) * 2000-04-07 2001-10-30 Ye Ping Wong Contactless-IC-card receive and read-write mechanism for an on-street parking met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557A (en) * 1979-11-22 1983-02-22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Coin changer for a vending machine
WO1987004831A1 (en) * 1986-02-07 1987-08-13 Mars Incorporated Tokens and apparatus for handling tokens
JPS63141768U (ko) * 1987-03-09 1988-09-19
JPH07175959A (ja) * 1993-10-18 1995-07-14 Gemplus Card Internatl Sa 電子支払機構を備えるゲーム機
JPH10320607A (ja) * 1997-05-21 1998-12-04 Nippon Conlux Co Ltd 貨幣選別方法および装置
JPH1119330A (ja) * 1997-07-03 1999-01-26 Omron Corp 遊技機および集金管理システム
JP2000149099A (ja) * 1998-11-09 2000-05-30 Sanyo Electric Co Ltd 硬貨型半導体装置および商品販売方法
KR100367291B1 (ko) * 2000-01-17 2003-01-09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알에프 토큰 분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60122A1 (en) 2002-05-23
JP2002150364A (ja) 2002-05-24
KR20020036683A (ko) 2002-05-16
US6868955B2 (en) 200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251B1 (ko) 경화 처리 장치
US5697482A (en) Games machine with electronic payment mechanism
JP4052683B2 (ja) 規則によって定められた機械式カウンタ及び電子支払装置を備えるコインゲーム機
US6889849B2 (en) Dual cash box note and ticket validator
US5839956A (en) Game play media lending machine and gaming house management system
AU2012319902B2 (en) Electronic payment system for automated machine
KR0132631B1 (ko) 경화처리장치
JPH10500796A (ja) ゲーム機のためのカード読取装置
ES2063956T3 (es) Mejoras introducidas en maquinas cobradoras.
US7033274B1 (en) Protected slot machine
JP4099757B2 (ja) 小型交通機関用料金装置
JP4349767B2 (ja) 遊技用システム
KR970005403B1 (ko) 경화처리장치
JP2000176145A (ja) 金銭代用円盤状体を利用した遊技システム
US20200175800A1 (en) Automated machine provided with a bill acceptor for driving a drive device
DE10055239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Erzielung eines geschlossenen Geldkreislaufs an einem münzbetätigen Unterhaltungsautomaten
JP2000140395A (ja) デ―タ記憶媒体処理装置
JP2001291077A (ja) 遊技場用システム
JP3150513B2 (ja) 有価データ記憶媒体処理装置
JP2001109928A (ja) 硬貨処理装置
JP2000317127A (ja) 遊技媒体貸出機および遊技システム
JP2001038035A (ja) 遊技媒体貸出機および遊技システム
JPH1052563A (ja) 遊技用装置
JP2006095065A (ja) 判別装置
JP2001286651A (ja) 遊技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