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658B1 -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658B1
KR100446658B1 KR10-2002-0019178A KR20020019178A KR100446658B1 KR 100446658 B1 KR100446658 B1 KR 100446658B1 KR 20020019178 A KR20020019178 A KR 20020019178A KR 100446658 B1 KR100446658 B1 KR 10044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disconnection
aerial
caller
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510A (ko
Inventor
강항식
윤우기
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2-001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6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81Call monitoring, e.g. for law enforcement purposes; Call tracing; 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icious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선 단선 감시 장치에 있어서 공중선이 단선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선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일정 주기마다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하는 과정과, 국선으로부터 상기 과정에 의한 착신을 알리는 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링신호에 이어서 수신되는 CID(Caller ID) 정보를 검출하여 발신자번호를 CID 수신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화번화가 등록된 전화번호 인지의 여부와 등록된 발신번호가 설정된 시간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단선임을 호스트(Host)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DISCONNECTION OF THE TELEPHONE LINE FOR CRIME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방범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선의 단선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 감시 장치는 가입자의 집이나 건물 등에 외부인이 침입하나 기타 이상 신호가 접수되면 이를 방범 회사에 통보하는 장치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방범 감시 장치는 집이나 건물의 안전을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방범감시 장치는 가입자의 집이나 건물에 열 감지 시스템 등의 외부 침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가입자 장치를 설치하고, 방범 회사에서는 상기 가입자 장치를 통해 외부 침입자나 기타 이상 신호를 포착하여 가입자의 집이나 기타 건물의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일반적인 방범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범 감시 장치는 공중선 단말기(101)와 신호 수신기(103)를 연결하는 PSTN(102)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범 감시 장치의 동작원리는 공중선 단말기(101)에서 집이나 건물에 설치한 감지 장치에 의하여 이상 신호나 이벤트(Event)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는 PSTN(102)을 통하여 신호 수신기(103)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 수신기(103)에서는 수신된 이상 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분석/정리한다. 또한 상기 신호 수신기(103)는 필요한 경우 상기 공중선 단말기(10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방범회사 직원들은 상기 신호 수신기(103)에 접수된 이상 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범 감시 장치에서는 신호를 신속히 그리고 정확하게 전송해 줄 회선이 중요하다. 만약 이러한 회선이 단선이 된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 단말기(101)에서 이상 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여도 상기 신호 수신기(103)에서는 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방범 감시 시스템에서는 단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공중선의 단선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감시하거나 일반 회선을 사용하여 감시하여 왔다. 그러나 전용회선을 사용할 경우 단선될 가능성이 적으나, 전용회선을 가설할 경우 설치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회선을 사용할 경우 공중선의 단선을 확인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신호를 발/수신하여 공중선의 단선 여부를 파악하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져 신호의 발/수신에 따른 통신비용이 발생하고, 또한 이 경우 신호의 발/수신의 주기가 길어지면 그 만큼 단선확인도 지연된다. 일반적으로 방범 회사에서는 공중선의 단선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6시간 정도의 간격으로 발/수신측과 통화를 하고 있다. 이는 통신비의 부담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간의 간격으로 단선여부를 신속히 파악하지 못하여 가입자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전용회선을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회선을 사용할 경우에 발생하는 통신비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회선을 사용할 경우 단선 확인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새로이 제공하는 발신자 번호(Caller ID; CID ; 이하 CID라고 칭한다.)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어보면 일정 주기마다 등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전화걸기)을 하는 장치와, 국선으로부터 착신을 알리는 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링 신호에 이어서 수신되는 상기 장치의 CID 정보를 검출하여 발신자 번호를 확인하여 CID 수신서버로 전달하는 장치와, 등록된 발신번호가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단선임을 호스트 서버로 전달하는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새로이 제공하는 발신자 번호(Caller ID;CID)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어보면 일정 주기마다 등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전화걸기)을 하는 과정과, 국선으로부터 착신을 알리는 링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링 신호에 이어서 수신되는 상기 장치의 CID 정보를 검출하여 발신자 번호를 확인하여 CID 수신서버로 전달하는 과정과, 등록된 발신번호가 설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단선임을 호스트 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공중선 단선 감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선 단선 감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측 전화기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D 수신기의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D 수신서버의 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이용한 공중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중선 단선 감시장치 및 방법이 내부 블록 구성과 각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신측 단말기(202)는 가입자 측에 설치하여 가입자의 집이나 건물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공중선 단말기(101)외에 전화 발신장치(201)를 추가하였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의 역할은 종래의 공중선 단말기(101)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입자의 집이나 건물등에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기타 이상 신호가 접수되면 이를 PSTN(203)을 통하여 공중선 수신기(205)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는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가 이상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접수하여 이를 상기 공중선 수신기(205)에 전달할 경우에는 발신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가 통신을 하지 않을 경우에만 통신을 하게 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역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주기에 의해 등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시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다이얼링을 위해 설정된 주기는 가입자 또는 방범회사 측에서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될 주기는 간단한 키 조작으로 입력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주기는 공중선의 단선이 치명적인 지역에서는 주기를 짧게 하고 공중선의 단선이 덜 치명적인 지역에서는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3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중선 수신기(205)는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에서 전송한 이상 신호나 이벤트 정보를 PSTN(203)을 통하여 전달받은 경우 이를 호스트(Host)서버(208)에 전달하는 기능과 상기 호스트서버(208)에서 공중선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PSTN(203)을 통해 공중선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ID 수신기(206)는 상기 공중선 수신기(205)와는 별도로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로부터의 착신을 감시하고, 상기 착신이 감지될시 응답하지 않고 대기하고 있다가 링 울림이 중지되면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CID 수신서버(209)에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전화번호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4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중선 수신기(205)와 상기 CID 수신기(206)는 통합하여 하나의 수신기(207)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CID 수신기(206)의 기능은 공중선 수신기(205)에 내장된다.
상기 호스트 서버(208)는 상기 공중선 수신기(205)에서 발신한 이상 신호나 이벤트를 분석/정리며, 또한 필요시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CID 수신서버(209)로부터 공중선의 단선 정보를 수신하여 방범회사 측에 통보한다.
CID 수신서버(209)는 상기 CID 수신기(206)로부터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전화번호를 통보 받거나,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통보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에서 설정된 시간과 관련하여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에서 설정된 시간보다 조금 길게 설정한다. 그 이유는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에서 다이얼링을 시도할 경우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가 통신 중일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등록된 전화번호가 설정된 시간 내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공중선이 단선임을 상기 호스트 서버(208)에 통보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5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호스트 서버(208)와 상기 CID 수신서버(209)는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21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기능은 호스트 서버(208)에 내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화 발신장치(201)의 제어 흐름도이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 2의 공중선 단선 감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00)단계에서는 발신할 전화번호와 타이머(Timer), 그리고 링백톤(Ring Back Tone)의 횟수를 설정한다. 상기 타이머는 현재 감시 중인지 여부에 따라 현재 감시중 모드일 경우에는 'Z'분으로 또는 현재 무감시중 모드일 경우에는 'Y'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Z' 분이나 'Y' 분은 설정자가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시중일 경우가 감시중이 아닐 경우보다 더 짧은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202)를 세팅(Seting)할 경우나 또는 필요한 경우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설정 시간도 수정하여야 한다. 또한 링백톤(Ring Back Tone)의 횟수도 설정자가 임의대로 설정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설정된 링백톤(Ring Back Tone)의 횟수를 'X'회라고 규정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05)단계에서는 현재 감시중인지 여부를 파악하여 감시중 모드일 경우에는 (310)단계로 이동하고 현재 무감시중 모드일 경우에는 (32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10)단계에서는 감시중 모드일경우의 타이머 'Y'분을 구동한다. 전화 발신장치(201)의 (315)단계는 전화 끊기(Hook on)후 'Y'분이 지났는지를 파악하여 'Y'분이 경과되면 (330)단계로 이동한다. 전화 발신장치(201)의 (320)단계는 현재 무감시중 모드일 경우의 타이머 'Z'분을 구동한다. 전화 발신장치(201)의 (325)단계는 전화 끊기(Hook on)후 'Z'분이 지났는지를 파악하여 'Z'분이 경과되면 (330)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30)단계에서는 감시중 모드일 경우에는 'Y'분 또는 무감시중 모드일 경우에는 'Z'분이 경과되면 전화걸기(Hook off)를 시도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35)단계에서는 전화선이 통신중인가를 판별한다. 전화선이 통신중이 아닐 경우에는 (345)단계로 이동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공중선 단말기(200)가 통화중일 경우 상기 전화 발신장치는 (340)단계로 이동하여 전화끊기를 한 후에 다시 (330)단계로 이동한다. 전화 발신장치(201)의 (345)단계에서는 다이얼링을 시도한 후 링백톤(Ring Back Tone)을 확인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50)단계에서는 링백톤이 정상인지 유무를 파악한다. 상기 링백톤이 정상이 아닐 경우에는 (340)단계로 돌아가 전화끊기(Hook on)를 한 후에 다시 (330)단계로 이동하여 전화걸기를 시도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의 링백톤이 정상인 경우에는 (355)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전화 발신장치(201)의 (355)단계에서는 링백톤이 미리 설정한 'X'회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링백톤의 횟수가 상기에서 설정한 'X'회인 경우에는 (360)단계로 이동하여 전화끊기(Hook on)를 한 후에 다시 (305)단계로 돌아간다. 링백톤의 횟수가 상기에서 설정한 'X'회가 아닌 경우에는 (340)단계로 돌아가 전화끊기를 한 후에 다시 (330)단계로 돌아가 전화걸기를 시도한다. 이 경우 링백톤의 횟수가 'X'가 되지 않더라도 상기 CID 수신기(206)에 발신자 번호가 표시된다. 하지만 다시 전화걸기를 시도하여 단선여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ID 수신기(206)의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CID 수신기(206)의 기능은 전화 발신장치(201)에 의해 발신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이를 CID 수신서버(209)에 전달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 2의 공중선 단선 감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CID 수신기(206)는 (400)단계에서 동작을 시작한다. 상기 CID 수신기(206)의 (405)단계는 링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상기 CID 수신기(206)의 (410)단계는 전화 발신장치(201)로부터 다이얼링이 시작되면 링이 울린다. 상기 CID 수신기(206)의 (415)단계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링 울림이 멈추고, 이 때 링이 울리는 동안 전화받기를 하지 않는다.CID 수신기(206)의 (420)단계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상기 CID 수신기(206)의 (425)단계는 수신된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CID 수신서버(209)에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CID 수신서버(209)의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CID 수신서버(209)의 기능은 CID 수신기(206)로부터 전달받은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단선 여부를 파악하여 호스트 서버(208)에 통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 2의 공중선 단선 감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500)단계에서 수신될 전화번호와 수신될 전화번호의 타이머를 설정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타이머는 전화 발신장치(201)의 설정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설정시간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화 발신장치(201)의 설정시간과 같거나 또는 조금 긴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505)단계는 설정된 단말기의 타이머를 카운터하기 시작한다.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510)단계는 실시간으로 수신된 전화번호가 있는지 유무를 파악한다. 이 경우 수신된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515)단계로 이동하고 수신된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525)단계로 이동한다.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515)단계에서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등록된 전화번호 인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등록된 전화번호 일 경우에는 (520)단계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고 ,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닐 경우에는 (5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정보를 삭제한다.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520)단계에서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등록된 전화번호일 경우 등록된 단말기의 타이머를 지우고 다시 (505)단계로 돌아가 등록된 단말기의 타이머를 카운터를 시작한다.
상기 CID 수신서버(209)의 (525)단계에서는 설정된 전화번호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530)단계로 이동하여 등록된 전화번호의 해당 공중선이 단선 되었음을 호스트(Host)서버(208)에 통보한다. 또한 설정된 전화번호가 아직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510)단계로 돌아가 수신된전화번호가 있는가를 계속해서 확인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통화료의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일반 전화회선을 사용하여 해당 공중선의 단선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중선의 단선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방범 및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전화번호 발신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면 전용회선을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전용회선을 사용한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전용회선 가설에 필요한 추가 비용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방범 및 보안시스템, 각종 모니터링 시스템 등 전화회선의 단선이 치명적인 시스템에 적용하여, 일반 전화회선을 사용하는 비용으로 전용회선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방범 감시 시스템에서 발신자 번호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이용한 공중선 단선 감시 장치에 있어서,
    소정 주기로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 설정 횟수의 정상적인 링백톤이 수신될 시 통화를 차단하는 전화 발신장치와,
    상기 전화 발신장치의 다이얼링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로부터 착신 링과 함께 제공되는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발신자 번호 수신기와,
    적어도 상기 소정 주기보다 큰 주기로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발신자 번호 수신기를 통해 상기 발신자 번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하는 발신자 번호 수신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번호 수신서버는,
    상기 발신자 번호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발신자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들 중 하나가 아닐 시 상기 발신자 번호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방범 감시 시스템에서 발신자 번호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이용한 공중선 단선 감시 방법에 있어서,
    (a) 소정 주기로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한 후 설정 횟수의 정상적인 링백톤이 수신될 시 통화를 차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의 다이얼링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로부터 착신 링과 함께 제공되는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적어도 상기 소정 주기보다 큰 주기로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발신자 번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선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중선 단선 감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수신된 발신자 번호가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들 중 하나가 아닐 경우, 상기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단선 감시 방법.
KR10-2002-0019178A 2002-04-09 2002-04-09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044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178A KR100446658B1 (ko) 2002-04-09 2002-04-09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178A KR100446658B1 (ko) 2002-04-09 2002-04-09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510A KR20030080510A (ko) 2003-10-17
KR100446658B1 true KR100446658B1 (ko) 2004-09-04

Family

ID=3237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178A KR100446658B1 (ko) 2002-04-09 2002-04-09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47B1 (ko) 2010-02-10 2011-10-20 주식회사 에스원 전화망 단선 및 기기 상태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5485A1 (en) * 1994-11-15 1996-05-23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24074A (ko) * 1998-12-01 1999-03-25 서원용 전화 단선감지장치 및 방법
KR100241962B1 (ko) * 1997-05-29 2000-02-01 윤종용 키폰시스템을이용하여구현된경비시스템및그에의한경비방법
KR20000073947A (ko) * 1999-05-17 2000-12-05 남명해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경보장치
JP2001069267A (ja) * 1999-08-26 2001-03-16 Nec Corp 警備監視システムと警備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5485A1 (en) * 1994-11-15 1996-05-23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KR100241962B1 (ko) * 1997-05-29 2000-02-01 윤종용 키폰시스템을이용하여구현된경비시스템및그에의한경비방법
KR19990024074A (ko) * 1998-12-01 1999-03-25 서원용 전화 단선감지장치 및 방법
KR20000073947A (ko) * 1999-05-17 2000-12-05 남명해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경보장치
JP2001069267A (ja) * 1999-08-26 2001-03-16 Nec Corp 警備監視システムと警備監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547B1 (ko) 2010-02-10 2011-10-20 주식회사 에스원 전화망 단선 및 기기 상태 확인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510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1075B2 (ja) 通信方法および交換機
US7248157B2 (en) Wireless phone-interface device
US6014426A (en) Telephone line integrity monitoring system
KR100446658B1 (ko) 방범 시스템에서 전화선 단선 감시 장치 및 방법
JPH11234432A (ja) 警備システム
CA2750066C (en) Facsimile aware alarm monitoring station and method
JP3107647B2 (ja) 異常通報装置
JP4328449B2 (ja) 強制回線接続装置
JP3112714B2 (ja) 自動情報送信装置
JP2003289401A (ja) 異常通報システム、異常通報装置および通報受信装置
JP4368091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装置
JP4043274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3526395B2 (ja) Isdn回線中継装置
JPH0158557B2 (ko)
JP3009313B2 (ja) 情報送信装置
KR101159802B1 (ko) 방범시스템의 통신장치
CN1819603B (zh) 模拟中继接口盗打电话检测方法
KR20050045769A (ko) 인터폰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330870B1 (ko) 원격 감시 기능을 갖는 교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JPH07107206A (ja) 通信制御方法及び装置
JP5619792B2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CA2214525C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lephone line monitoring
JP3486544B2 (ja) 監視システム
JP3401591B2 (ja) 警備システム
JP2000251179A (ja) 独居老人安否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