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445B1 -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445B1
KR100446445B1 KR1020030026695A KR20030026695A KR100446445B1 KR 100446445 B1 KR100446445 B1 KR 100446445B1 KR 1020030026695 A KR1020030026695 A KR 1020030026695A KR 20030026695 A KR20030026695 A KR 20030026695A KR 100446445 B1 KR100446445 B1 KR 100446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hole
air drill
drill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주)태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연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연메디칼
Priority to KR102003002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6Control means;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4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fluid-pressure or pneumat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pneumat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에어드릴에 있어서, 시술자가 한 손 만으로도 에어드릴의 조작이 가능하여 환자의 골격이나 보조기구등에 천공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시술시 다른 손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시술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에어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외과용 의료기구로서 시술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복구할 수 없는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의 기능성을 향상한 의료용 에어드릴이다.
본 발명에서 논술되는 실시예는 특히, 오른손잡이의 시술자가 에어드릴을 잡았을때 검지는 작동스위치에 위치시키고 엄지는 드라이브 선택레버에 위치시켜 에어드릴을 조작함으로서 시술과정에서 왼손은 항상 다른 시술 동작을 할 수 있는 자유로움을 갖도록 구성되는 즉, 에어드릴의 몸체에 직각방향으로 놓여지는 드라이브 선택수단을 갖으며, 이 수단에 의하여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의 흐름방향을 제어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드라이브장치의 회전 속도와 회전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의료용 에어드릴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Medical air-dril of drive control and the machine.}
본 발명은 의료용 에어드릴에 있어서 내부에 설치된 드라이브장치의 드라이브 방향과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환자의 피시술골격에 구멍을 천공하는 외과적 시술과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에어드릴을 제공하는 목적이다.
종래에도 본 발명과 같은 목적을 갖는 의료용 에어드릴이 개발되어 있으나 회전기능에 충실한 반면, 회전방향이나 회전속도 등을 조작하는 선택 기능이 단순하고 그 선택레버의 위치가 손잡이로부터 멀리 위치함으로서 선택레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에어드릴을 잡은 손 이외의 다른 손으로 드라이브 선택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시술과정에서 타측손이 행하던 시술동작을 멈추게 됨으로서 일련의 시술과정이 중단되어 신속한 시술이 불가능하거나 때로는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야 함으로서 시술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포함하게 되었다,
그리고,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회전속도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 그 회전속도가 고속회전하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두가지 드라이브 구동만을 구비한 구성이므로 신중한 천공 시술에 있어서는 간혹 복구가 어려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매우 신중하게 천공부위에 드릴비트를 접속시키고 저속으로 천공 위치에 드릴비트가 자리잡히도록 한 후, 소망하는 천공을 위하여 고속으로 천공 시술되어야 함에도 종래의 에어드릴은 항상 고속으로 회전됨으로서 매우 정교하고 신중한 천공 드릴시술작업이 어려움으로서 안전 사고를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근래에 와서는 상기 드라이브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구성의 작동스위치를 부착한 의료용 에어드릴이 개발되어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드라이브를 구동하는 공압을 2단 구조의 스위치로 인하여 그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한 것으로서 시술자가 작동스위치를 1단위치로 누르면 공압이 드라이버에 적은 량이 유입되게 하고 2단위치까지 깊숙히 조작하면 대용량의 공압이 드라이버로 유입되어 드라이버가 고속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량된 에어드릴은 시술자가 에어드릴의 스위치를 신중하게 조작하기 위하여 에어드릴을 잡은 손이 긴장되는 요인이 되어 스위치를 오작동시키게 되거나 미숙한 시술자인경우 고속회전하는 드릴에 의하여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시술자가 한 손으로도 에어드릴을 협지하는 동시에 회전 드라이브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선택레버를 갖춘 의료용에어드릴을 제공한다.
즉, 오른손으로 에어드릴을 협지하면 검지 손가락으로 드라이브 작동스위치를 조작하고 엄지 손가락으로는 드라이브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드라이브선택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의 에어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표현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드릴몸체부를 발취하여 표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드릴몸체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드릴몸체부의 스풀설치공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지상태 드라이브 선택 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감속정회전상태 드라이브 선택 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정상속도 정회전상태 드라이브 선택 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역회전상태 드라이브 선택 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의 로터와 로터하우징 발취 분해사시도이다.
*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에어드릴몸체 12 ; 손잡이 13 ; 드라이브헤드
14 ; 배출통로 15 ; 공압통로 20 ; 드릴척
30 ; 척결합장치 33 ; 회전축 34 ; 드릴척연결공
40 ; 작동제어장치 43 ; 공급라이너 44 ; 공급홀
44c ; 정회전통로 44d ; 역회전통로 44b ; 연결통로
44a ; 공급통로 46 ; 스위치설치공 50 ; 드라이브선택장치
51 ; 선택레버 54 ; 선택스플 55 ; 역회전선택홀
56 ; 정회전선택홀 58c ; 고속정회전위치홀 58 ; 스풀설치공
58a ; 정지위치홀 58d ; 역회전위치홀 58b ; 감속정회전위치홀
60 ; 에어공급장치 60 ; 에어공급장치 61 ; 공급파이프
70 ; 드라이브장치 80 ; 감속장치 90 ; 회전력전환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공급장치와 드라이브장치, 작동제어장치, 드라이브선택장치로 크게 구분되어 구성되며, 그 구분된 장치들은 기능을 부가한 상세 장치들과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첨부도면을 참고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표현한 단면사시도로서, 한손에 들어가는 크기 정도이고 상부는 드라이브헤드(13) 부분이고 하부는 손잡이(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권총형상의 에어드릴몸체(11)이다.
상기 손잡이(12)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드라이브설치공(12a)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감속장치(80)와 드라이브장치(70) 및 에어공급장치(60)를 부설한다.
상부에 형성된 드라이브헤드(13)의 내부에는 상기 드라이브설치공(12a)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천공된 드릴척연결공(34)과 직렬로 연장되어 관통되어 있고 그 내부에 회전력전환장치(90)와 척결합장치(30)가 부설되고 전방의 외부에는 드릴척(20)이 탈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에어드릴몸체(11)의 중간에는 전방을 향하는 작동제어장치(40)가 위치되도록 스위치설치공(46)을 형성하며 이 스위치설치공(46)의 하측으로는 공압통로(15)가 천공되어 상기 에어공급장치(60)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T"자 형상의 공급통로(44a)를 형성하고 상부 끝단에 3개의 연결통로(44b)를 나란히 천공하여 에어드릴몸체(11)에 직각방향으로 천공된 스풀설치공(58)과 관통시키고 이 스풀설치공(58)에 드라이브선택장치(50)를 부설한다.
상기, 스풀설치공(58)의 우측면에는 역회전위치홀(58d), 정지위치홀(58a), 감속정회전위치홀(58b), 고속정회전 위치홀(58c)이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장치(60)의 일측에는 배출통로홀(14a)과 연통된 배출통로(14)가 손잡이(12)의 내부에 천공되어 있다.
상기, 드릴척(20)은 공지의 구조로 이루어진 일반 적인 것으로서 내부에는 회전력전환장치(90)의 드라이브축(92)과 결합되는 회전축(33)이 내부에 부설되어 있으며 외부의 하우징은 척결합장치(30)에 협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척결합장치(30)는 슬라이더(31)에 의하여 단속되는 고정볼(32)에 의하여 상기 드릴척(20)을 협지한다.
상기, 회전력전환장치(9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드라이브장치(70)의 회전력의 토르크를 상승시키는 감속장치(80)의 회전방향을 직각으로 변환되도록하는 목적으로서 외주곡면을 따라 회전하는 드라이브종동기어(91)가 상기 감속장치(80)의 감속베벨기어(82)에 맞물려있는 상태에서 드라이브헤드(13)의 내부에서 구름작동되도록 드라이브축(92)을 포함하여 전환장치커버(93)로 조립되어 상기 드릴척(20)의 회전축(33)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속장치(80)는 상기 회전력전환장치(90)의 드라이브종동기어(91)와 맞물리는 감속베벨기어(82)를 포함하는 감속유성기어(81)가 드라이브설치공(73)의 상부에 구름작동되도록 부설되어 있다.
상기 감속유성기어(81)는 하부에 설치된 드라이브장치(70)에서 로터(7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로터축(73)과 맞물려진 상태임으로 베인하우징(72)에서 고속회전하는 로터(71)의 회전력의 토르크를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인하우징(72)은 로터(71)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정회전공압홀(72a) 및 역회전공압홀(72b)이 좌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홀(72c)이 천공되어 상기 로터(71)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베인(71a)이 접촉되어 회전하는 로터회전실(7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공급장치(60)는 세 장의 디스크로 배열되어 진 구조로서 상측은 공급홀(63)을 형성하여 중앙의 공급파이프(61)와 연통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손잡이(12)에 천공된 배출통로홀(14a)과 일치하는 위치에 놓여지고 디스크상에 회수홀(64)을 천공하였다.
상기 회수홀(64)은 하측에 조립되어진 회수소켓(62)에 의하여 안내되며 첨부도면 도 3a에서 처럼 공압어뎁터(A)와 회수호스(B), 공급호스(C)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공급장치(60)의 공급홀(63)과 일치하는 곳에는 에어공급구(15a)가 천공되어 연결된 공압통로(15)에 의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스위치설치홀(46)에 닿아 관통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스위치설치홀(46)에는 공급홀(44)을 한 방향으로 천공한 공급라이너(43)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구동밸브(42)를 삽입하고 끝단에 구동스위치(41)를 부착하여 상기 공압통로(15)로 압송되는 공압을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40)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설치공(46)의 상부에는 전방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놓여 천공된 스풀설치공(58)과 연통되는 공급통로(44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스위치설치공(46)의 상측 중앙에서 부터 상부로 향하여 하나의 공급통로(44a)로 연장되고 상단에서 가로방향으로 넓어지는 "T"자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공급통로(44a)에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결정하는 세개의 연결통로(44b)를 천공하여 가로 방향의 스풀설치공(58)에 관통시켰다.
상기 스풀설치공(58)에는 좌측으로부터 역회전선택홀(55)과 정회전선택홀(56)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측면에 키(57)를 일체로 형성한 선택스플(54)을 끼우고 좌측에는 스풀마감판(59)을 조립하고 우측에는 선택레버(51)를 돌출시켜 고정나사(52)로 조립하여 고정하되 상기 키(57)에 의하여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상기 선택레버(51)를 회전시키면 선택스풀(54)이 정확하고 동일한 각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레버(51)의 내측에는 볼고정구(53)를 설치하여 상기 정, 역회전위치홀(58a, 58b, 58c, 58d)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구성된 에어드릴(10)이며, 미설명부호 "P1" 엄지, "P2"는 검지, "P3"은 중지, "P4"는 약지, "P5"는 소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가장 핵심적인 발명은 첨부도면 도 3에서 표현된 바와같이 한 손으로 에어드릴(10)을 협지하면 에어드릴(10)의 에어드릴몸체(11)를 이루는 손잡이(12)가 시술자의 손바닥에 위치하여 중지(P3)에서 소지(P5)까지 손잡이(12)부분을 편하게 협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12)부분을 잡은 나머지 손가락중 검지(P2)는 작동제어장치(40)의 구동스위치(41)에 위치하게되며 엄지(P1)는 우측에 돌출된 선택레버(51)에 접촉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엄지(P1)를 이용하여 선택레버(51)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작은 시술자가 한 손만으로 에어드릴(10)을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에 의하여 다른 손이 자유롭게 됨으로서 시술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정확하게 천공 드릴 시술을 행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시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만들며, 시술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장점으로 환자의 회복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시술자의 엄지(P1)에 의하여 드라이브의 선택이 완료되면 검지(P2)를 이용하여 구동스위치(41)를 조작하면 드릴비트(2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 손으로 조작되는 본 발명의 에어드릴(10)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드릴(10)이 정지 되어 있는 상태인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대기 상태(평상시의 보관)로서 선택레버(51)의 회전 위치는 정지위치홀(58a)에 위치하고 있음으로 선택스풀(54)의 정, 역회전선택홀(55, 56)들이 연결통로(44b)의 어떤것 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구동스위치(41)가 조작되어 구동밸브(42)가 열려도 공압통로(15)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이 공급홀(44)을 통하여 공급통로(44a)와 연결통로(44b)에 공급되어도 선택스풀(54)이 연결통로(44b)를 차단하고 있음으로 공압이 드라이브장치(70)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수로 구동스위치(41)를 조작하여도 에어드릴(10)은 작동하지 않는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가 드릴링 시술을 위하여 엄지(P1)를 이용하여 선택레버(51)를 상측으로 1단 회전시키면 첨부도면 도 9에서와 같이 선택레버(51)가 정지위치홀(58a)에서 감속정회전위치홀(58b)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선택레버(51)는 선택스풀(54)을 회전시켜 정회전선택홀(56)이 연결통로(44b)와 정회전통로(44c)에 약30%정도만 일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선택레버(51)의 조작이 완료된 후 구동스위치(41)를 검지(P2)로 누르면 구동밸브(42)가 공급라이너(43)에서 이동하여 개방함으로 공급홀(44)과 연통되며, 이때 공압통로(15)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이 공급홀(44)을 통과하여 공급통로(44a)를 경유하고 연결통로(44b)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인입된 공압은 약30%만 연통된 좁은 정회전선택로(56)를 통하여 드라이브장치(70)의 정회전통로(44c)로 공급됨으로서 드라이브장치(70)는 감속되어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감속 구동되는 드라이브장치(70)는 드릴척(20)에 고정된 드릴비트(21)를 천천히 회전 시켜 줌으로서 드릴링 시술단계를 신중하고 정확한 시술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브장치(70)가 회전하는 작용은 첨부도면 도 10의 단면"10-10"선을 따라 단면한 도 10b에서와 같이 정회전통로(44c)를 통하여 공급된 공압이 로터하우징(72)의 정회전공압홀(72a)로 압력이 인입됨으로서 로터회전실(72d)에 접촉된 로터(71)의 베인(71a)이 밀려 회전 됨으로 로터(71)는 정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정교하게 시술을 시행하여 드릴 천공위치를 확보한 후 드릴비트(21)를 시술 부위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드릴비트(21)를 역회전 시킬 필요가 있음으로, 시술자는 다시 엄지(P1)를 이용하여 드라이브선택장치(50)의 선택레버(51)를 하향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역회전 구동은 첨부도면 도 11과 같이 선택레버(51)를 역회전위치홀(58d)에 위치시키도록 회전하여 줌으로서 선택스풀(54)의 역회전선택홀(55)이 연결통로(44b)와 역회전통로(44d)를 연통시켜 준다.
그리고 구동스위치(41)가 조작되면 공압통로(15)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이 역회전통로(44d)로 공급됨으로 드라이브장치(70)는 역회전하여 드릴비트(21)를 역회전 시킨다.
즉, 첨부도면 도 11b의 단면"11-11"선과 같이 역회전통로(44d)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이 로터하우징(72)의 역회전공압홀(72d)로 압력이 인입됨으로서 로터회전실(72d)에 접촉된 로터(71)의 베인(71a)이 밀려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됨으로 로터(71)는 역회전한다
한편, 상기에서 감속정회전상태로 시술하면서 드릴비트(21)를 시술부위에서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빠르게 천공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시술자가 엄지(P1)를 이용하여 선택레버(51)를 상부로 회전시켜 정회전위치홀(58c)에 위치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선택레버(51)가 정회전위치홀(58c)로 조작되면 첨부도면 도 10에서와 같이 정회전선택로(56)가 연결통로(44b)와 정회전통로(44c)에 100%로 일치시켜 줌으로서 구동스위치(41)의 조작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압이 100% 드라이브장치(70)에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라이브장치(70)는 소정의 정해진 속도로 고속회전하여 드릴비트(21)를 최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드릴링 시술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시술자가 한 손으로 에어드릴을 협지한 상태에서 에어드릴의 드릴비트 회전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회전 되도록 선택하거나 구동과 정지 및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작이 가능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시술하던 불편을 해소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드릴를 협지하지 않는 다른 손을 이용하여 환부를 잡아 유지하거나 다른 동작을 자유롭게 함으로서 질좋은 시술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매우 신속한 시술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속도를 저속과 고속으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음으로 매우 정교한 드릴 천공 시술 때는 저속으로 선택하여 드릴비트의 회전을 천천히 회전시켜서 정교한 드릴 시술을 신중히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시술시 발생할 수 있는 복구 불가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진보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드라이브장치와 감속장치 및 드릴척 결합장치가 내부에 부설되고 상기 공압을 조정하여 에어드릴의 구동을 제어하는 의료용 에어드릴 제어방법에 있어서,
    에어공급장치와 드라이브장치 및 감속장치가 에어드릴몸체의 내부에 부설되고 상기 에어드릴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드라이브헤드를 형성하고 내부에 회전력전환장치와 척결합장치 및 드릴척을 부설하고;
    상기 에어드릴몸체의 중간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작동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제어장치와 연동되는 드라이브선택장치를 상기 에어드릴몸체의 측면에 설치하여 시술자가 한 손으로 협지하고 중지와 약지 및 소지는 에어드릴몸체의 손잡이부분을 협지하고 검지는 작동제어장치에 위치하며, 엄지는 드라이브선택장치에 위치하여 시술자가 한 손으로 에어드릴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2. 공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드라이브장치와 감속장치 및 드릴척 결합장치가 내부에 부설되고 상기 공압을 조정하여 에어드릴의 구동을 제어하는 의료용 에어드릴 제어장치에 있어서,
    에어공급장치(60)의 공급홀(63)과 연통되는 공압통로(15)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스위치설치홀(46)에 닿아 관통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설치공(46)에는 작동제어장치(40)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설치공(46)의 상부에는 "T"문자 형상의 공급통로(44a)를 가로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공급통로(44a)에는 세개의 연결통로(44b)를 천공하여 가로 방향의 스풀설치공(58)에 관통시키고;
    상기 스풀설치공(58)에는 선택레버(51)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드라이브선택장치(50)가 부설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선택장치(50)는 역회전선택홀(55)과 정회전선택홀(56) 및 키(57)가 일체로 형성된 선택스풀(54)에 키홈(51a)이 형성되고 볼 고정구(53)를 부설한 선택레버(51)를 고정나사(52)로 조립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선택장치(50)의 선택레버(51)가 위치하는 에어드릴몸체(11)의 우측면에는 정지위치홀(58a)과 역회전위치홀(58b) 및 감속정회전위치홀(58c), 고속정회전위치홀(58d)이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드라이브장치(70)의 중앙에 다수의 베인(71a)이 방사형으로 부착된 로터(71)가 삽입 조립된 로터하우징(72)이 있고;
    상기 로터하우징(72)은 상부에 정회전공압홀(72a)과 하부에 역회전공압홀(72b)이 천공되며 타측에는 중간에 배출홀(72c)이 편심축상에 천공된 로터회전실(72d)과 관통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장치.
KR1020030026695A 2003-04-28 2003-04-28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KR100446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95A KR100446445B1 (ko) 2003-04-28 2003-04-28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695A KR100446445B1 (ko) 2003-04-28 2003-04-28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146U Division KR200322318Y1 (ko) 2003-04-28 2003-04-28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445B1 true KR100446445B1 (ko) 2004-09-01

Family

ID=3736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695A KR100446445B1 (ko) 2003-04-28 2003-04-28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4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09B1 (ko) 2008-01-08 2010-01-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515529B1 (ko) * 2014-09-04 2015-04-28 아이메디컴(주) 외과용 의료기구
KR101993206B1 (ko) * 2018-12-05 2019-09-30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드릴비트의 휨을 인지하는 의료용 드릴 장치
KR102346003B1 (ko) * 2021-02-15 2021-12-31 (주)볼팅마스타 교체식 토크렌치
WO2022124459A1 (ko) * 2020-12-08 2022-06-16 (주)볼팅마스타 교체식 토크렌치
KR102419812B1 (ko) * 2021-11-17 2022-07-12 (주)볼팅마스타 전동토크렌치의 기어박스 교체를 위한 커플링 디바이스
JP7115789B1 (ja) 2021-03-04 2022-08-09 アイメディコ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整形外科用電動器具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909B1 (ko) 2008-01-08 2010-01-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515529B1 (ko) * 2014-09-04 2015-04-28 아이메디컴(주) 외과용 의료기구
WO2016035980A1 (ko) * 2014-09-04 2016-03-10 아이메디컴(주) 외과용 의료기구
KR101993206B1 (ko) * 2018-12-05 2019-09-30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드릴비트의 휨을 인지하는 의료용 드릴 장치
WO2022124459A1 (ko) * 2020-12-08 2022-06-16 (주)볼팅마스타 교체식 토크렌치
KR102346003B1 (ko) * 2021-02-15 2021-12-31 (주)볼팅마스타 교체식 토크렌치
JP7115789B1 (ja) 2021-03-04 2022-08-09 アイメディコ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整形外科用電動器具
WO2022186412A1 (ko) * 2021-03-04 2022-09-09 아이메디컴(주) 정형외과용 전동기구
JP2022135875A (ja) * 2021-03-04 2022-09-15 アイメディコ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整形外科用電動器具
KR102419812B1 (ko) * 2021-11-17 2022-07-12 (주)볼팅마스타 전동토크렌치의 기어박스 교체를 위한 커플링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445B1 (ko)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EP1689564B1 (en) Twin chuck drill with one drive shaft
US3752241A (en) Pneumatic tool
JP2009534204A (ja) 動力工具
ATE448040T1 (de) Revolverkopf-hand- bohrmaschine/antriebsvorrichtung
KR200322318Y1 (ko)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장치
US8539980B2 (en) Device for controlled operation of a surgical or dental drive unit
US5213136A (en) Selection switch for fluid power motors
JP2002036019A (ja) 分岐管用開口部加工装置
JP2017042874A (ja) 空気式工具
CN112296950A (zh) 液压工作装置
JP2017042878A (ja) 空気式工具
JP2008073841A (ja) 空気動力工具用の切換バルブ・アセンブリ
US20230181299A1 (en) Dental handpiece that has flush capability
CA2864458C (en) Rock drill machine with feed leg
US6070810A (en) Bi-directional compressed air outlet
CN117297719B (zh) 一种可调节刀头工作方向的刨削手柄
JP4493800B2 (ja) さく孔機の操作装置
JP3224831U (ja) 給水構造を有するアングルフライスヘッド
SU772745A1 (ru) Переносна сверлильна машина
KR101989520B1 (ko) 전동 드릴
KR100482723B1 (ko) 밸브의 개폐장치
JPS6323658Y2 (ko)
CN110091437A (zh) 一种负压式吸尘电钻
KR200211553Y1 (ko) 태핑 겸용 드릴링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