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909B1 -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909B1
KR100938909B1 KR1020080002228A KR20080002228A KR100938909B1 KR 100938909 B1 KR100938909 B1 KR 100938909B1 KR 1020080002228 A KR1020080002228 A KR 1020080002228A KR 20080002228 A KR20080002228 A KR 20080002228A KR 100938909 B1 KR100938909 B1 KR 10093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ation
artificial tooth
recognition
recognizing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336A (ko
Inventor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9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6Control means;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8Motors; Power supp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3Control of rotation of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4Supports for holding tooth drills in order of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 식립용기구인 드릴링과 드라이버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식립용 기구인 드릴링과 드라이버에 인식태그 또는 인식형상을 포함하여 인공치아 수술기의 핸드피스에 포함된 인식장치로써 수술기구의 운전특성을 구분하여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식립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기능을 하는 드릴링을 위한 드릴과 식립을 위한 드라이버를 인공치아 수술기에 연결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고속운전과 저속정압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자의 오류를 방지하여 인공치아 시술 성공률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식부를 포함하는 식립용 기구와,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인공치아 수술기로 구성되어, 식립용 기구 연결시 상기 식립용 기구의 운전 특성을 구분하여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인공치아,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드릴, 드라이버, 기구인식장치, 색도인식장치, 인식센서, 형상인식장치, 인식봉

Description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n Device for Sensing A Dendtal Implant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치아 식립용기구인 드릴링과 드라이버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식립용 기구인 드릴링과 드라이버에 인식태그 또는 인식형상을 포함하여 인공치아 수술기의 핸드피스에 포함된 인식장치로써 수술기구의 운전특성을 구분하여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식립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기능을 하는 드릴링을 위한 드릴과 식립을 위한 드라이버를 인공치아 수술기에 연결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고속운전과 저속정압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자의 오류를 방지하여 인공치아 시술 성공률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공치아인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를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에는 스크류타입의 픽스츄어가 사용되는데, 상기 픽스츄어 몸통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치과 및 정형외과의 보철물 등을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사용된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시술능력의 향상에 힘입어, 현대에는 인공치아의 성공률 향상에 따라 인공치아 시술은 보편화 되어지고 시술의 편의성이 대두되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인공치아의 시술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인공치아가 매식될 홈을 치조골에 드릴링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다음으로 상기 드릴링되어 있는 위치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식립하게 된다. 이러한 인공치아 시술은 일반적으로 인공치아 수술기와 식립용 기구를 이용하고, 수술용 모터는 인공치아 시술위치 확보를 위해 드릴링을 한 후 인공치아를 식립하게 된다. 상기 식립용 기구는 드릴과 드라이버가 있는데, 드릴은 인공치아가 식립될 위치에 드릴링하는 작업을 하는데 사용되고, 드라이버는 상기 드릴링되어 있는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는 드릴링을 위해서는 고속회전을 하고, 인공치아 식립을 위해서는 저속 정압운전을 하게 된다.
이에 도 1 및 도 2는 종래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및 인공치아 수 술기를 통한 인공치아 식립과정을 나타낸 것인데, 식립용 기구(300)를 인공치아 수술기(100)에 결합한 후 상기 식립용 기구(300)의 자루부 상측이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식립용기구 고정편(170)에 의해 탈착식으로 결합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고정 결합된 식립용기구(300)를 회전시킬 전동모터(130)를 통해 회전력 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식립용 기구(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식립용 기구(300)는 먼저 치조골에 드릴링을 하는 드릴이 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드릴링된 공간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드라이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드릴은 고속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치조골에 인공치아가 설치될 구멍을 천공하게 되고, 상기 드라이버는 저속 정압으로 회전운동을 상기 천공된 구멍에 인공치아를 식립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플로우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인공치아 시술과정은 상기 식립용 기구(300)인 드릴을 먼저 연결하고(S1), 다음 상기 전동모터(130)를 수동으로 고속운전 설정하여(S2), 드릴링 작업을 하게 된다(S3). 그리고, 상기 드릴링 작업을 마친 후 상기 드릴을 제거한 후, 드라이버를 연결하고(S4), 수동으로 상기 전동모터(130)를 저속 정압운전을 설정하여(S5), 상기 드라이버로 인공치아를 식립하게 된다(S6). 이렇게 상기 식립용 기구(300)는 드릴과 드라이버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인공치아 수술기는 드릴링과 드라이버의 변경을 시술자가 수동으로 운전 조건을 설정해야 하고, 이에 따라 시술자의 오류로 인해 식립시 고속운전을 하게 될 경우 치조골에 손상을 주거나 임플란트와 치조골 사이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고 골유착에 실패할 수도 있게 되었 다. 따라서, 시술자의 수동 설정에 따른 의료사고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적절하지 아니한 식립용 기구가 장착된 경우 경보 등이 울리지 아니하므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시술하게 되어 그 피해는 더 심각해질 수도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술자의 오류를 방지하고 드릴과 드라이버를 구분하여 줄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능을 하는 드릴링을 위한 드릴과 식립을 위한 드라이버를 인공치아 수술기에 연결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고속운전과 저속정압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자의 오류를 방지하여 인공치아 시술 성공률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공치아 식립용기구에 드릴에는 인식부를 포함하고, 드라이버에는 인식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여 기구 인식장치가 상기 드릴을 인식하는 경우 고속모터를 가동시키도록 하며,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저속정압 모터가 가동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식립용 기구를 식별함으로써 간편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인공치아 시술시 드라이버에 인공치아 결합 후 식립시 고속 진행을 하게 됨으로써 치조골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는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인공치아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에 색도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립용기구 인식장치에 색도인식장치인 색도 인식센서를 부착하여 간단하게 상기 식립용기구를 인식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치아 식립용기 구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에 형상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립용기구 인식장치에 형상인식장치인 형상 인식봉을 포함하여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인식부의 위치 및 상기 기구인식장치의 인식센서의 위치를 각각 상응하게 인공치아 수술기 하부 또는 상부에 놓아 식립용 기구를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외부에서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인식부를 포함하는 식립용 기구와,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인공치아 수술기로 구성되어, 식립용 기구 연결시 상기 식립용 기구의 운전 특성을 구분하여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식립용 기구는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색도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는 상기 식립용 기구의 색도인식부의 색 깔을 감지할 수 있는 색도 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식립용 기구는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는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형상인식부는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형상인식장치는 인식봉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통해 식립용 기구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식립용 기구를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색도인식부 및 형상인식부를 병행하여 포함하고,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는 색도인식부의 색깔을 감지할 수 있는 색도 인식장치 및 형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색도인식부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어 있는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구인식장치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색도인식부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아니한 식립용 기 구의 자루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구인식장치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외부 하측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색도인식부는 상기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 상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구인식장치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외부 상측에 포함되어 있어 하측에 있는 상기 색도인식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색도인식부는 식립용 기구의 몸통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기구인식장치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외부 하측에 포함되어 있어 하측에 있는 상기 색도인식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색도인식부는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있도록 저속정압 회전운동을 하는 드라이버의 몸통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식립용 기구를 인식하여 시술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식립용 기구를 인식하여 연결된 식립용 기구와 운전특성이 다를 경우 작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를 장착하여 인공치아 수술기를 통해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식립용 기구를 연결하는 수술기구 연결단계와,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판단하는 드릴연결 판단단계와,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일 경우 기구를 인식하는 기구인식 단계와, 상기 드릴을 고속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속운동 설정단계와, 상기 고속운동 설정된 후 드릴링 작업을 하는 드릴링 단계와, 상기 드릴링 단계 완료 후 연결된 식립용 기구가 드라이버인지 판단하는 드라이버연결 판단 단계와,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라이버인 경우 기구를 인식하는 기구인식 단계와, 상기 드라이버를 저속으로 정압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속정압운동 설정단계와, 상기 저속정압운전에 따라 드라이버로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인공치아 식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능을 하는 드릴링을 위한 드릴과 식립을 위한 드라이버를 인공치아 수술기에 연결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고속운전과 저속정압운전을 할 수 있도록 변환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자의 오류를 방지하여 인공치아 시술 성공률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공치아 식립용기구에 드릴에는 인식부를 포함하고, 드라이버에는 인식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여 기구 인식장치가 상기 드릴을 인식하는 경우 고속모터를 가동시키도록 하며,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저속정압 모터가 가동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식립용 기구를 식별함으로써 간편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인공치아 시술시 드라이버에 인공치아 결합 후 식립시 고속 진행을 하게 됨으로써 치조골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는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인공치아 시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에 색도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립용기구 인식장치에 색도인식장치인 색도 인식센서를 부착하여 간단하게 상기 식립용기구를 인식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에 형상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립용기구 인식장치에 형상인식장치인 형상 인식봉을 포함하여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인식부의 위치 및 상기 기구인식장치의 인식센서의 위치를 각각 상응하게 인공치아 수술기 하부 또는 상부에 놓아 식립용 기구를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외부에서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고, 도 4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며, 도 5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고, 도 5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며, 도 5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는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 수술기(100),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와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여 치조골에 드릴링을 하거나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식립용 기구(300),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가 상기 식립용 기구를 구분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인식장치(500) 및 상기 식립용 기구에 포함되어 상기 기구인식장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인식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는 통상적으로 종래의 식립용 기구인 드릴 또는 드라이버를 모터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있도록 하 는 구조로써 시술자가 쥐고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피스(110), 상기 식립용 기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모터(130),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식립용 기구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150) 및 상기 식립용 기구를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탈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식립용기구 고정편(170)을 포함한다.
상기 핸드피스(110)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한 측면에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통상적으로 시술자가 손에 잡기 편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피스(110)의 내부공간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본 발명의 핵심인 기구인식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써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를 구분하여 주고 이에 따라 전동모터가 고속회전하도록 할 것인지 저속 정압회전하도록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준다.
상기 전동모터(130)는 상기 식립용 기구를 회전시켜 치조골을 드릴링하여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공치아를 상기 천공된 구멍을 통해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동모터(130)는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 경우 고속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고, 드라이버인 경우 저속 정압회전운동을 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전동모터(130)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기구인식장치(500)를 통해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 구분하는 인식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야 할 것인데, 통상의 전동모터에 이러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기술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150)는 상기 전동모터(130)의 회전력을 하기의 식립용 기구(300)에 전달하여 식립용 기구가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적으로 상기 식립용 기구에 걸리도록 되는 고강도의 금속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력 전달부(150) 또한 기존의 인공치아 수술기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식립용기구 고정편(170)은 하기의 식립용 기구를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적으로 도 3a 내지 도 5c에서 도시된 것처럼 식립용기구를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 내부의 상측으로 내입시킬 때 밀어올리면 자연스럽게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 결합된 식립용 기구는 상기 식립용기구 고정편(170)을 측면으로 당겨서 그 고정을 이탈시켜 쉽게 분리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립용 기구가 드릴이나 드라이버로 구성되므로 상기 드릴 및 드라이버의 자루부 상측의 구성은 상기 식립용기구 고정편(17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식립용 기구(300)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내부에 내입되어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통해 드릴링을 하거나,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으로 긴 금속의 원통형 막대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특히 상기 식립용 기구(300)의 자루부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에 탈착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전동모터(13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부(15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식부(60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부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기구인식장치(50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립용 기구(300)는 치조골에 드릴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310)이 될 수도 있고, 상기 천공된 구멍에 인공치아가 식립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버(330)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드릴(3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멍을 천공하는 고강도 금속으로 이루어진 드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는 긴 원통형이나, 하부는 구멍을 천공하기 유리한 스크류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속으로 회전하여 천공을 한다. 이에 상기 드릴(310)은 상측에 위치하는 드릴 자루부(311)와 하측에 위치하는 드릴 몸통부(313)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드릴 자루부(311)의 상단부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내부에 내입되어 탈착식으로 고정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릴 몸통부(313)는 치조골에 직접적으로 고속 회전운동에 의해 인공치아가 식립될 구멍을 천공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드릴 자루부(311)에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인식부(600)가 형성될 수 있는데, 하기의 기구인장치(500)에 의해 인식되어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여부를 곧바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인식부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330)는 상기 드릴(310)에 의해 천공된 치조골의 구멍으로 인공치아를 식립할 수 있도록 하며 역시 상단부에는 드라이버 자루부(331)를 포함하고, 하단부에는 드라이버 몸통부(333)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드라이버(330)는 인 공치아를 식립하게 되는데, 인공치아는 보통 스크류 타입으로 저속 정압으로 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드릴에 의해 천공된 구멍에 천천히 식립된다. 상기 드라이버 자루부(331)는 상기 드릴 자루부와 같이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의 내부에 내입되어 탈착식으로 고정결합되어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드라이버 몸통부(333)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켓과 같은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상기 드릴에 의해 천공된 치조골의 구멍으로 상기 인공치아를 서서히 정압회전하여 식립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몸통부(333)의 상면에는 색도인식부(61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인공치아 수술기(100) 외부에 기구인식장치(500)가 포함되어 식립용 기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구인식장치(500)는 상기 식립용 기구(300)가 드릴(310)인지 드라이버(330)인지를 식별하여 줄 수 있는 장치이며 이러한 식별의 방법으로 색도인식으로써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고 형상인식으로써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기구인식장치(500)는 색깔을 구별하여 식별하는 경우 색도인식장치(510)일 수 있고, 형상을 구별하여 식별하는 경우 형상인식장치(530)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구인식장치(500)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 내부에 내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 외부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 외부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색도인식장치(510)는 도 3a 및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하기의 식립용 기구에 포함되는 인식부(600)가 색도인식부(610)인 경우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장치로써, 상기 인식부가 있는 방향으로 인식센서(5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색도의 용어에 대해 살펴보면, 눈으로 느끼는 색(색감 또는 색자극)은 색의 측색적(測色的)인 성질과 밝기(자극값)에 의해 정해지는데, 그 중에서 밝기를 무시한 색의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색도인식장치(510)는 색도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어떠한 색이 있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다. 또한 상기 인식센서(511)는 상기 색도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이면 족하며, 흔히 광학식 센서에 의해 빛을 쏘은 후 반사되는 빛을 측정함으로써 색도의 유무를 인식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식센서는 영상 센서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센서(511)는 상기 식립용 기구에 포함된 인식부의 색도를 인식하여 인공치아 수술기에 전달하여 전동모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킬지 저속 정압으로 회전시킬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형상인식장치(530)는 도 4a 및 도4b에서 볼 수 있듯이 하기의 식립용 기구에 포함되는 인식부(600)가 형상인식부(630)인 경우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장치로써, 상기 인식부가 있는 방향으로 인식봉(5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4a를 살펴보면, 상기 식립용 기구(300)의 형상인식부(630)는 함몰부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함몰부에 상기 인식봉(531)이 내입되는 경우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는 그에 따른 식립용 기구를 구분할 수 있고,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떠한 함몰부도 없는 경우 상기 인식봉(531)이 내입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는 그에 따른 식립용 기구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식부(600)는 식립용 기구(300)에 포함되어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가 어떠한 식립용 기구(300)가 결합되어 있는지를 식별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로써 그 인식방법에 있어서 색도로 인식하는 경우 색도인식부(610)를 포함할 수 있고, 형상으로 인식하는 경우 형상인식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5a 및 도 4a는 상기 인식부(600)가 식립용 기구(300) 중 드릴(310)에 포함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이는 단지 하나의 일례일 뿐, 이와는 반대로 상기 인식부(600)가 드라이버(330)에 포함되고 드릴(310)에 포함되지 아니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식립용 기구(300)는 드릴 또는 드라이버일 것이므로 상기 드릴 및 드라이버가 구분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에만 인식부(600)를 포함하여 다른 하나에는 인식부가 없으므로 자연스럽게 둘을 구분하여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식부(600)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식립용 기구(300)의 다른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이루게 된다.
상기 색도인식부(610)는 상기 식립용 기구(300)의 자루부나 몸통부에 일정학 색깔을 띠는 부분으로 이러한 색깔이 상기 기구인식장치(500)인 색도인식장치(51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색도인식장치의 인식센서(511)는 색깔을 감지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색도인식부(610)의 색깔을 통해 식립용 기구의 종류를 구별해 내어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에 전달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색도인식부(610)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식립용 기구(300)의 다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 된 상기 색도인식부(6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구인식장치인 색도인식장치(510)도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내외부에서 상기 색도인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살펴보면, 먼저 도 3a 및 도 3b에서 색도인식장치(510)를 통한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볼 수 있다. 이에 도 3a의 식립용 기구가 드릴(310)인 경우 드릴 자루부(311)에 색도인식부(610)가 포함될 수 있고, 이렇게 포함된 색도인식부(610)는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내부에 포함된 기구인식장치인 색도인식장치(510)의 인식센서(511)에 의해 식별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드릴이 고속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3b에서는 식립용 기구(300)가 드라이버(33)인 경우로써 상기 드라이버에 상기 색도인식부(610)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이로써 상기 색도인식장치(510)가 어떠한 색깔도 인식하지 아니하여 연결된 식립용 기구가 드라이버(330)임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저속 정압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 색도인식부(610)가 단지 드릴(310)에 포함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 이와는 반대로 상기 색도인식부(610)가 드라이버(330)에 포함되고 상기 드릴(310)에는 포함되지 아니한 구성도 있을 수 있을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도 4a 및 도 4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인식부인 형상인식부(630)는 상기 식립용 기구 중 드릴(310)에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 의 내부에 내입되는 드릴 자루부(31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상응하게 상기 기구인식장치인 형상인식장치(530)는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핸드피스(110) 내부에 포함되어 상기 형상인식부를 통해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형상인식부(630)는 상기 드릴의 자루부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함몰된 부위에 상기 형상인식장치(530)에 포함된 인식봉(531)이 닿게 되어 조금 더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310)임을 식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가 고속 회전운동하도록 전동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립용 기구가 드라이버(330)인 경우 상기 형상인식부(630)를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여 함몰부가 없으므로 상기 인식봉(531)이 더 짧은 형태로 존재하므로 인공치아 수술기(100)가 드라이버(330)임을 인식하여 저속 정압회전운동을 하도록 전동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형상인식부(630)는 함몰된 부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함몰된 부위는 단지 형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일례로 돌출된 부위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상이한 형상에 의해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는 상기 형상인식부(630)가 단지 드릴(310)에 포함된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 이와는 반대로 상기 형상인식부(630)가 드라이버(330)에 포함되고 상기 드릴(310)에는 포함되지 아니한 구성도 있을 수 있을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다음 상기 색도인식부(610) 및 색도인식장치(510)의 위치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5a는 상기 색도인식부(610)가 식립용 기구(300)의 자루부에서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에 내입되지 아니하는 부위에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게 상기 색도인식장치(510)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내부가 아닌 외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기구 인식부 및 기구 인식장치에 어떠한 고장이나 오류 등이 있는 경우 외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문제점을 파악하고 쉽게 고칠 수 있게 된다. 도 5b는 상기 색도인식부(610)가 식립용 기구(300)의 자루부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색도인식장치(510)는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외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색도인식장치(510)의 인식센서를 통해 바로 아래의 색도인식부(61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c는 상기 색도인식부(610)가 식립용기구(300) 중 드라이버(330)의 드라이버 몸통부(333)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색도인식장치(510)는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100)의 외부 하측에 설치하여 색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 경우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면상에 색도인식부를 설치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드라이버의 몸통부 소켓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상기 식립용 기구를 인식하여 시술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시술순서에 따라 드릴 먼저 천공하고, 다음 인공치아를 식립하는데, 순서가 잘못되거나 적절치 않은 식립용 기구가 결합되는 경우 경보를 울려 시술자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잘못된 시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식립용 기구를 인식하여 연결된 식립용 기구와 운전특성이 다를 경우 작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탑재하여 시술의 오류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적절하지 아니한 식립용 기구가 설치된 경우 오작동 방지를 위해 전력을 차단하거나, 잠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과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를 이용한 인공치아 식립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종래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종래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시술방법은 식립용 기구(300)인 드릴을 먼저 연결하고(S1), 다음 상기 전동모터(130)를 수동으로 고속운전 설정하여(S2), 드릴링 작업을 하게 된다(S3). 그리고, 상기 드릴링 작업을 마친 후 상기 드릴을 제거한 후, 드라이버를 연결하고(S4), 수동으로 상기 전동모터(130)를 저속 정압운전을 설정하여(S5), 상기 드라이버로 인공치아를 식립하게 된다(S6). 이렇게 상기 식립용 기구(300)는 드릴과 드라이버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인공치아 수술기는 드릴링과 드라이버의 변경을 시술자가 수동으로 운전 조건을 설정해야 하고, 이에 따라 시술자의 오류로 인해 식립시 고속운전을 하게 될 경우 치조골에 손상을 주거나 임플란트와 치조골 사이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인체에 해를 끼치고 골유착에 실패할 수도 있게 되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드릴 및 드라이버 인식장치 기능이 있는 인공치아 수술기를 통한 시술방법은 상기 식립용 기구의 식별기능을 갖춘 드릴 및 드라이버 등의 인공치아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소시켰다. 이에 상기 플로우 차트에 나타난 시술방법은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를 장착하여 인공치아 수술기를 통해 인공치아를 시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식립용 기구를 연결하는 수술기구 연결단계(P1)와,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판단하는 드릴연결 판단단계(P2)와,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일 경우 기구를 인식하는 기구인식 단계(P3)와, 상기 드릴을 고속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속운동 설정단계(P4)와, 상기 고속운동 설정된 후 드릴링 작업을 하는 드릴링 단계(P5)와, 상기 드릴링 단계 완료 후 연결된 식립용 기구가 드라이버인지 판단하는 드라이버연결 판단 단계(P6)와,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라이버인 경우 기구를 인식하는 기구인식 단계(P7)와, 상기 드라이버를 저속으로 정압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속정압운동 설정단계(P8)와, 기 저속정압운전에 따라 드라이버로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인공치아 식립단계(P9)를 포함한다. 즉, 이렇게 본 발명의 인공치아 수술기(100)는 핸드피스(11) 내부 또는 외부에 기구인식장치(500)가 포함되어 드릴(310) 및 드라이버(330)의 자루부(311,331) 또는 몸통부(313,333)에 함몰부나 색도를 띤 마킹구조를 인식하여 드릴일 경우 고속운전을 하도록 하고, 드라이버로 교체하였을 경우 또 다른 함몰부나 마킹구조를 인식하여 저속 정압운전을 하도록 제 어하게 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를 장착한 인공치아 수술기
도 2는 종래발명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4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5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5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5c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를 이용한 수술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100 : 인공치아 수술기 110 : 핸드피스
130 : 전동모터 150 : 회전력 전달부
170 : 식립용기구 고정편 300 : 식립용 기구
310 : 드릴 311 : 드릴 자루부
313 : 드릴 몸통부 330 : 드라이버
331 : 드라이버 자루부 333 : 드라이버 몸통부
500 : 기구인식장치 510 : 색도인식장치
511 : 인식센서 530 : 형상인식장치
531 : 인식봉 600 : 인식부
610 : 색도인식부 630 : 형상인식부

Claims (13)

  1. 인식부를 포함하는 식립용 기구; 상기 인식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와, 상기 식립용 기구인식장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식립용 기구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공치아 수술기;로 구성되며,
    상기 식립용 기구는 상기 식립용 기구가 드릴인지 드라이버인지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 색도인식부 또는 형상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색도인식부 또는 형상인식부는 외부에서도 쉽게 관찰되어 용이하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식립용 기구의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는 상기 색도인식부 또는 형상인식부에 상응하여 상기 색도인식부의 색깔을 감지할 수 있는 색도인식장치 또는 상기 형상인식부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형상인식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식립용 기구를 인공치아 수술기에 연결시, 상기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에 의해 상기 식립용 기구가 고속운전이 필요한 드릴인지 저속정압운전이 필요한 드라이버인지의 운전 특성을 구분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의 전동모터 회전을 자동제어 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상기 식립용 기구와 운전특성이 다를 경우 전동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인식부는 돌출부 또는 함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형상인식장치는 인식봉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통해 식립용 기구를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용 기구의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아니한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용 기구의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아니한 식립용 기구의 자루부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립용 기구의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인공치아 수술기에 내입되지 아니한 식립용 기구의 몸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는 상기 식립용 기구를 인식하여 시술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알람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02228A 2008-01-08 2008-01-08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93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28A KR100938909B1 (ko) 2008-01-08 2008-01-08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28A KR100938909B1 (ko) 2008-01-08 2008-01-08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36A KR20090076336A (ko) 2009-07-13
KR100938909B1 true KR100938909B1 (ko) 2010-01-27

Family

ID=4133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228A KR100938909B1 (ko) 2008-01-08 2008-01-08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98B1 (ko) 2015-10-23 2017-03-22 김양수 핸드피스 구동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구동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5126A (en) * 1978-10-11 1981-12-08 Kaltenbach & Voigt Gmbh & Co. Dental treatment installation
KR100446445B1 (ko) 2003-04-28 2004-09-01 (주)태연메디칼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KR20070110023A (ko) * 2005-02-02 2007-11-15 싸뜰렉 자동 팁 인식 치과 치료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5126A (en) * 1978-10-11 1981-12-08 Kaltenbach & Voigt Gmbh & Co. Dental treatment installation
KR100446445B1 (ko) 2003-04-28 2004-09-01 (주)태연메디칼 의료용 에어드릴의 드라이브 제어방법 및 드라이브 제어장치
KR20070110023A (ko) * 2005-02-02 2007-11-15 싸뜰렉 자동 팁 인식 치과 치료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498B1 (ko) 2015-10-23 2017-03-22 김양수 핸드피스 구동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구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36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04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탭드릴
US10383732B2 (en) Cranial implant
US8029523B2 (en) Maxillary bone cutting system, k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645857C (en) An implant drill
US20100196844A1 (en)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US20030022132A1 (en) Device provided with a bone cutter
EP2835110A1 (en) Denture-fixing attachment having freely adjustable angle and position
US20170143351A1 (en) Implant placement trephine, prepackaged and sized implant / trephine kit, and methods of use
KR101067485B1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13306B1 (ko)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US20090286201A1 (en) Dental implant drill apparatus and method
KR100938909B1 (ko) 인공치아 식립용 기구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209332312U (zh) 应用于数字化导板种植手术的导板种植钻头
CN208212085U (zh) 口腔内部附着用参照标记
US20170354484A1 (en) Narrow Diameter Dental Implant with Multi-Unit Abutment
US20240023978A1 (en) Surgical Guide
KR101977127B1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101309095B1 (ko) 임플란트 픽스쳐의 위치탐색장치
JP2011152239A (ja) インプラント手術用歯肉パンチドリル
HUE025303T2 (hu) Kivágó eszköz
KR102315495B1 (ko) 어태치먼트의 자동인식을 통한 의료용 핸드피스의 구동방법
KR101295821B1 (ko) 치과용 드릴의 절삭깊이 제한장치 및 그 보관대
CN115844562A (zh) 医用工具
CN117813066A (zh) 用于植体手术的多功能钻头套件
KR100915682B1 (ko) 픽스츄어 절삭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