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129B1 -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129B1
KR100446129B1 KR10-2001-0088642A KR20010088642A KR100446129B1 KR 100446129 B1 KR100446129 B1 KR 100446129B1 KR 20010088642 A KR20010088642 A KR 20010088642A KR 100446129 B1 KR100446129 B1 KR 10044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ctv
monitor
unit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792A (ko
Inventor
문남진
Original Assignee
써니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니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써니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7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요 기술구성은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병렬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전환기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병렬 연결되고, 제 n가정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n가정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 n가정의 상기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n전환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 따르면 CCTV용 CCD카메라를 현관이나 외부에 부착하여 CCTV용 CCD카메라 1대로 어느 하나의 가정 또는 복수의 가정에서 공유할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VIDEO PHONE SYSTEM FOR DOOR CAPABLE OF DUALLY MONITORING}
본 발명은 기존의 비디오-폰에 별도의 CCTV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하여 비디오-폰을 볼 수 있는 도어용 비디오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문자의 얼굴과 방문자의 전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감시가 가능한 다목적용 스위치를 이용한 최첨단 보안 시스템이다.
각 가정에는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도어용 비디오폰이 설치된다.
이러한 통상의 도어용 비디오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와,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20)로 구성된다.
카메라부(10)는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와, 방문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12)와, 실내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스피커(13)와, 멜로디를 발생하는 버튼(14) 및 멜로디 발생장치(15)로 구성된다.
모니터부(20)는 외부의 방문자의 음성을 송출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핸드셋(21)과, 카메라(11)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2)와, 카메라부(10)의 멜로디 발생장치(15)와 연동하여 멜로디를 발생하는 멜로디 발생장치(23)와, 모니터(22)의 동작 및 기타 제어를 위한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조작패널(24) 및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5)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비디오폰의 동작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방문자가 버튼(14)을 조작하면 카메라부(10)의 멜로디 발생장치(15) 및 모니터부(20)의 멜로디 발생장치(23)에서 멜로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부(20)의 모니터(22)는 제어에 따라 방문자를 항시 촬영하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조작에 따라 방문자를 촬영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의 사용자가 핸드셋(21)을 들어 방문자와 통화를 하면 사용자의 음성이 방문자에게 송출되고, 방문자의 음성이 사용자에게 송출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방문자를 모니터(22)를 통해 확인함과 동시에 용건을 확인후 현관문을 개방시키거나 방문자의 방문을 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비디오폰은 단순히 방문자의 얼굴부분인 상반신만을 촬영하기 때문에 방문자의 전신을 확인할 수 없어 방문자의 휴대 물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문자의 휴대 물품을 확인할 수 없는 점을 이용하여 방문자가 돌연 강도로 변하여 각종 범죄를 일으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와 CCTV용 CCD카메라를 현관측에 부착하고, 카메라와 CCTV용 CCD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전환기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방문자의 신원 및 휴대 물품까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CTV용 CCD카메라 1대로 여러 가구의 다세대에서 공유할 수 있어서 특정 가정에 방문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설치비를 최소한으로 낮추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구성의 블록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부 11 : 카메라
20 : 모니터부 22 : 모니터
110 : CCTV용 CCD카메라 120 : 전환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부와 모니터부로 이루어진 도어용 비디오폰에 있어서,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병렬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전환기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병렬 연결되고, 제 n가정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n가정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 n가정의 상기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n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전환기는, 6단자 토글 스위치이며,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이 각각 공통 접속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선이 제 1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이 제 2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전원선이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통해 제 3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비디오선이 제 4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부의 비디오선이 제 5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비디오선이 제 6단자에 접속되어, 최초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선과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 및 상기 카메라부의 비디오선과 상기 모니터부의 비디오선을 서로 접속시켜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모니터부로 패스시키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면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전원선과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 및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비디오선 및 상기 모니터부의 비디오선을 서로 접속시켜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모니터부로 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CCTV용 CCD카메라는 아파트복도, 계단, 주택현관 앞, 가로등또는 어두운 골목길 등 로비게이트에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CCTV용 CCD카메라는 주차장, 어린이 놀이터 또는 엘리베이터 내,외 등에 설치되고 각 세대에서는 그 중 1개소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은 도어용 비디오폰에 있어서, 계단식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상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전환기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연결되고, 제 2가정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2가정의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제 2가정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2전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제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비디오폰과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100)은,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와,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20)와, CCTV용 CCD카메라(110) 및 전환기(120)로 구성된다.
CCTV용 CCD카메라(110)는 현관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CCTV용 CCD카메라(110)는 현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의 용도에 따라 마을 공공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골목을 감시하거나 주택의 담장 주변을 감시할 수 있도록 골목이나 주택 인접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며, 그 용도에 따라 어디에든지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별도의 녹화 장치를 이용하여 CCTV용 CCD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녹화할 수도 있다.
전환기(120)는 모니터부(20)의 일측 또는 현관 벽면에 별도로 설치되며, 카메라부(10)의 영상 신호 및 CCTV용 CCD카메라(110)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모니터부(20)의 모니터(22)에 인가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에서 전환기(120)는 6단자 DPDT 토글 스위치형을 기본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푸쉬형 또는 슬라이드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전환기(120)는 먼저 CCTV용 CCD카메라(110)와 카메라부(10) 및 모니터부(20)의 각각의 -전원선과, 각각의 +전원선을 각각 공통 접속시키고, 카메라부(10) 및 모니터부(20)의 오디오선을 공통 접속시킨다. 그런 다음 공통 -전원선과 접속된 별도의 -전원선이 전환기(120)의 제 1단자에 접속되고, 카메라부(10)의 비디오선이 제 2단자에 접속되며,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이 제 4단자애 접속되고, CCTV용 CCD카메라(110)의 비디오선이 제 5단자에 접속되며, 제 1단자와 제 6단자가 서로 연결되고, 제 3단자와 제 4단자가 서로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문자가 현관측에 설치된 카메라부(10)의 버튼(14)을 조작하면 카메라부(10) 및 모니터부(20)에서 멜로디가 발생한다.
그러면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모니터부(20)의 조작패널(24)을 통해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면 카메라(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전환기(120)는 카메라부(10)의 비디오선과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을 연결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주자가 전환기(120)를 조작하면 카메라부(10)의 비디오선과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의 연결이 해제됨과 동시에 CCTV용 CCD카메라(110)의 비디오선과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이 연결되어 CCTV용 CCD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다시 거주자가 전환기(120)를 조작하면 카메라부(10)의 카메라(11)에서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제 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비디오폰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200)은, 제 1가정의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20)와, 제 2가정의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10')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20')와, 제 1가정 또는 제 2가정의 현관 일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210)와, CCTV용 CCD카메라(210)와 병렬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카메라부(10)의 카메라(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카메라(1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부(20)의 모니터(22)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전환기(220)와, CCTV용 CCD카메라(210)와 병렬 연결되고, 제 2가정의 카메라부(10')의 카메라(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2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2가정의 카메라(1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 2가정의 모니터부(20')의 모니터(22')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전환기(2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는 두 개의 전환기와 하나의 CCTV용 CCD카메라가 사용되는 두 가정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계단식 아파트 또는 다가구 주택을 예로 들었으나 복수의 전환기와 하나의 CCTV용 CCD카메라가 사용되는 복도식 아파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골목이나 현관 주변 지역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 복도식 아파트에 본 발명을 적용시에는 영상 신호 및 전원을 증폭하는 증폭 수단이 선로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 1전환기(220) 및 제 2전환기(230)는 각 가정의 모니터부(20, 20')의 일측 또는 벽면에 별도로 설치되며, 각 가정의 카메라부(10, 10')의 영상 신호 및 CCTV용 CCD카메라(210)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각 가정의 모니터부(20,20')에 인가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제 1전환기(220) 및 제 2전환기(230)는 6단자 DPDT 토글 스위치형을 기본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푸쉬형 또는 슬라이드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 제 1전환기(220)는 CCTV용 CCD카메라(210)와 제 1가정의 카메라부(10) 및 모니터부(20)의 -전원선이 각각 공통 접속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0)의 +전원선이 제 1단자에 접속되며, 모니터부(20)의 +전원선이 제 2단자에 접속되고, CCTV용 CCD카메라(210)의 +전원선이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1)를 통해 제 3 단자에 접속되며, 카메라부(10)의 비디오선이 제 4단자에 접속되며,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이 제 5단자에 접속되고, CCTV용 CCD카메라(210)의 비디오선이 제 6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또 제 2전환기(230)는 CCTV용 CCD카메라(210)와 제 2가정의 카메라부(10') 및 모니터부(20')의 -전원선이 각각 공통 접속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0')의 +전원선이 제 1단자에 접속되며, 모니터부(20')의 +전원선이 제 2단자에 접속되고, CCTV용 CCD카메라(210)의 +전원선이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2)를 통해 제 3단자에 접속되며, 카메라부(10')의 비디오선이 제 4단자에 접속되며,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이 제 5단자에 접속되고, CCTV용 CCD카메라(210)의 비디오선이 제 6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또 CCTV용 CCD카메라(210)의 +전원선에 다이오드(D1, D2)를 역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이유는 제 1가정 또는 제 2가정에서 제 1전환기(220) 및 제 2전환기(230)를 각각 조작시 CCTV용 CCD카메라(210)와 모니터(22, 22')간에 각각 폐회로를 구성하여 CCTV용 CCD카메라(210)의 영상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문자가 현관측에 설치된 제 1가정의 카메라부(10)의 버튼(14)을 조작하면 제 1가정의 카메라부(10) 및 모니터부(20)에서 멜로디가 발생한다.
그러면 제 1가정에 있는 거주자가 모니터부(20)의 조작패널(24)을 통해 특정스위치를 조작하면 카메라(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제 1전환기(220)는 카메라부(10)의 +전원선과 모니터부(20)의 +전원선 및 카메라부(10)의 비디오선과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을 연결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거주자가 제 1전환기(220)를 조작하면 카메라부(10)의 +전원선과 비디오선 및 모니터부(20)의 +전원선과 비디오선의 연결이 해제됨과 동시에 CCTV용 CCD카메라(210)의 +전원선과 모니터부(20)의 +전원선 및 CCTV용 CCD카메라(210)의 비디오선 및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이 연결되어 CCTV용 CCD카메라(210)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CCTV용 CCD카메라(210)가 동작되어 CCTV용 CCD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모니터(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제 2가정에서 거주자가 제 2전환기(230)를 조작하면 CCTV용 CCD카메라(210)의 +전원선과 제 2가정의 모니터부(20')의 +전원선 및 CCTV용 CCD카메라(210)의 비디오선 및 모니터부(20')의 비디오선이 연결됨으로써 CCTV용 CCD카메라(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제 2가정의 모니터(22')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하여 제 2가정의 거주자가 제 1가정의 방문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 2가정에 방문자가 방문하여도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제 3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의 경우는 방문객의 주변환경을 보고 싶을 때, CCTV카메라 1대를 "로비게이트'에 설치하여 30 내지 50가구 각 세대에서 비디오폰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케이블을 설치할 때 시설비가 저렴하다. 도 4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낸 종래의 비디오폰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300)은, 제 1가정의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32)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34)와, 제 2가정의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33)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35)와, 아파트 복도, 계단, 주택현관 앞, 가로등 없는 어두운 고목길 및 취약지역(로비게이트)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31)와, CCTV용 CCD카메라(31)와 병렬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카메라(32)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3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카메라(32)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34)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전환기(320)와, CCTV용 CCD카메라(31)와 병렬 연결되고, 제 2가정의 카메라(33)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3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2가정의 카메라(33)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 2가정의 모니터(35)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전환기(330)로 구성된다.
<제 4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낸 종래의 비디오폰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아파트 단지내의 주차장, 어린이 놀이터, 엘리베이터 내,외 등에 설치된 CCTV카메라를 각 세대에서는 1개소를 선택하여 기존 비디오-폰으로 감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지하주차장을 감시할 경우 관리인이 TV로 보아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불필요한 시설을 안하므로 경제적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400)은, 주차장에 설치되는 카메라부(44) 및 제1가정의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47)와, 어린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카메라부(45) 및 제2가정의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48)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카메라부(46)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49)와, 주차장, 어린이 놀이터 및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41,42,43)와, CCTV용 CCD카메라(41,42,43)와 병렬 연결되고, 주차장 카메라(44)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4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주차장의 카메라(44)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47)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전환기(420)와, CCTV용 CCD카메라(42)와 병렬 연결되고, 어린이 놀이터의 카메라(45)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42)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어린이 놀이터의 카메라(45)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 2가정의 모니터(48)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2전환기(430)와, CCTV용 CCD카메라(43)와 병렬 연결되고, 엘리베이터의 카메라(46)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43)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엘리베이터 카메라(46)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3가정의 모니터(49)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제3전환기(440)로 구성된다.
<제 5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낸 종래의 비디오폰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비디오-폰이 없는 세대에서는 TV로 감수하는 경우이다. 다만 인터폰은 설치되어야 하며 인터폰으로 음성을 확인하고 TV리모콘을 작동하여 스위치를 절환해서 영상을 볼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폰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비가 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500)은, 제1 가정의 현관 밖에 설치되는 실외인터폰(52) 및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인터폰(53)과, 제 1가정 또는 제 2가정의 현관 일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51)와, CCTV용 CCD카메라(51)와 연결되고, 제 1가정의 TV(54)와 VTR(55)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5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인터폰(52)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TV화면(54)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전환기(52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TV(54)에 전달되는 영상입력은 인터폰(52)의 음성을 확인한 후 리모콘으로 영상입력을 지정하면 스위치 절환에 의하여 VTR(55)이 작동하고 TV화면(54)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제 6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있어서 도1에 나타낸 종래의 비디오폰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6실시예는 계단식 아파트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이다. 계단식 아파트는 CCTV카메라 1대로 2세대에서 공유하므로 기존 비디오-폰의 외부 모듈카메라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경비를 절감하고 보안관리의 기능이 극대화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600)은, 엘리베이터 양쪽에 있는 제1 가정의 현관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의 모듈이 제거되고 인터폰만 설치되며 실내의 모니터(62)와, 제2가정의 카메라모듈이 제거되고 현관측에 설치되는 인터폰 및 실내에 설치되는 모니터부(63)와,
제 1가정 또는 제 2가정의 중앙에 있는 엘리베이터 상부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61)와, CCTV용 CCD카메라(61)와 병렬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6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모니터(62)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전환기(620)와, CCTV용 CCD카메라(61)와 병렬 연결되고, 제 2가정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CCTV용 CCD카메라(61)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2 가정의 인터폰에서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제2가정의 모니터(63)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2전환기(630)로 구성된다.
이상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뿐만 아니라 CCTV용 CCD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방문자의 신원을 확실히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한 대의 CCTV용 CCD카메라를 각 가정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와 CCTV용 CCD카메라를 현관측에 부착하고, 카메라와 CCTV용 CCD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전환기를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함으로써 방문자의 신원 및 휴대 물품까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1대의 CCTV용 CCD카메라를 어느 하나의 가정 또는 복수의 가정에서 공유하므로 특정 가정에 방문한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아날로그형 및 디지털형 등의 다양한 비디오폰에 공용될 수 있어서 호환성과 경제성이 우수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카메라부와 모니터부로 이루어진 도어용 비디오폰에 있어서,
    현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병렬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상기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1전환기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병렬 연결되고, 제 n가정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n가정의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 n가정의 상기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 n전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전환기는 6단자 토글 스위치형 또는 푸쉬형 또는 슬라이드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이 각각 공통 접속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선이 제 1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이 제 2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전원선이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통해 제 3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비디오선이 제 4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모니터부의 비디오선이 제 5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비디오선이 제 6단자에 접속되어, 최초에는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선과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 및 상기 카메라부의 비디오선과 상기 모니터부의 비디오선을 서로 접속시켜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모니터부로 패스시키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면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전원선과 상기 모니터부의 +전원선 및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비디오선 및 상기 모니터부의 비디오선을 서로 접속시켜 상기 CCTV용 CCD카메라의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상기 모니터부로 패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도어용 비디오폰에 있어서,
    계단식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상측에 설치되는 CCTV용 CCD카메라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연결되고, 제 1가정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1가정의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모니터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1전환기와,
    상기 CCTV용 CCD카메라와 연결되고, 제 2가정의 인터폰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CCTV용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과 제 2가정의 인터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제 2가정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제2전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KR10-2001-0088642A 2001-04-02 2001-12-29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KR100446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365 2001-04-02
KR1020010017365 2001-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92A KR20020077792A (ko) 2002-10-14
KR100446129B1 true KR100446129B1 (ko) 2004-08-30

Family

ID=2769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642A KR100446129B1 (ko) 2001-04-02 2001-12-29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61B1 (ko) * 2006-07-11 2008-09-10 (주)탑마이크로시스템즈 통신망을 이용한 단지 내 통합 보안시스템
US8606209B2 (en) * 2009-06-24 2013-12-1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uners
KR200482783Y1 (ko) * 2016-01-27 2017-03-03 이형찬 마주보는 출입문의 쌍방 감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306A (ja) * 1992-09-25 1994-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メラ付インターホン用モニタテレビ
JPH06121314A (ja) * 1992-10-02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KR960028537A (ko) * 1994-12-31 1996-07-22 윤종용 방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JPH08297793A (ja) * 1995-04-25 1996-11-12 Mutsuo Tanaka 監視装置
JP2000101731A (ja) * 1998-09-28 2000-04-07 Aiphone Co Ltd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306A (ja) * 1992-09-25 1994-04-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メラ付インターホン用モニタテレビ
JPH06121314A (ja) * 1992-10-02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KR960028537A (ko) * 1994-12-31 1996-07-22 윤종용 방범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JPH08297793A (ja) * 1995-04-25 1996-11-12 Mutsuo Tanaka 監視装置
JP2000101731A (ja) * 1998-09-28 2000-04-07 Aiphone Co Ltd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92A (ko) 200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RP200310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television interphone monitor system to a concierge station over the internet
KR100446129B1 (ko)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RU68734U1 (ru) Видеодомофо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на охраняемый объект
JPS6367088A (ja) 集合住宅用ドアホンカメラシステム
WO2019209143A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видеодомофонной трансля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KR200240810Y1 (ko) 이중 감시가 가능한 도어용 비디오폰 시스템
JP2548530B2 (ja) テレビ付インタ−ホン
JPH07215617A (ja) エレベータ防犯監視装置
JPH08297793A (ja) 監視装置
CN2893807Y (zh) 电视彩显安防门铃
KR100555404B1 (ko) 집합주택 관리 시스템의 공동현관 영상전송 장치
KR100932530B1 (ko) 자동전환장치를 가지는 공동현관 출입통제 시스템
KR100279807B1 (ko) 착탈식 모니터를 이용한 홈 오토 메디아 시스템
JP2002218073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用分岐器
JPH01158887A (ja) 遠隔制御装置
KR100498136B1 (ko) 랜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KR100922307B1 (ko) 복수의 비디오폰 시스템을 이용한 방문자의 감시제어장치
JP2009130522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978516B1 (ko) Cctv에 연동하여 방문자의 감시제어가 이루어지는비디오 폰 시스템
KR100279809B1 (ko) 착탈식 모니터를 이용한 홈 오토 메디아 시스템
JP2004171383A (ja) 共同住宅警報監視用複合盤
JP3093619U (ja) 携帯電話ネットワーク伝送の盗難防止監視装置
JPH0336096B2 (ko)
JP2003092635A (ja) 来訪者識別システム
JPH089956Y2 (ja) 集合住宅テレビ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切換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