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336B1 - 폐쇄형 묘생산 장치 - Google Patents

폐쇄형 묘생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336B1
KR100445336B1 KR10-2001-0071372A KR20010071372A KR100445336B1 KR 100445336 B1 KR100445336 B1 KR 100445336B1 KR 20010071372 A KR20010071372 A KR 20010071372A KR 100445336 B1 KR100445336 B1 KR 100445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ir
shelf
seedl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789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01-0071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3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를 충전한 강판과 배수홈(18a)을 구비한 바닥판(18)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한 벽체(10); 상기 벽체(10)에서 내측으로 덕트(12)와 다공판(14) (15)에 의한 재배공간을 형성하여 재배공간 내외로 공기 순환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통기수단; 상기 재배공간 내부에서 식물묘를 다단의 적층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선반(20); 상기 선반(20)에서 각층의 상단에 구비되는 광원(30); 상기 벽체(10)의 내외로 공조기(40), 송풍기(42), 실외기 (44), 가습기(50)를 구비하는 공조수단; 및 상기 재배공간의 온습도와 기류를 설정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공조수단으로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공광, 가습, 기류유동 등 최적의 환경 조건이 구비된 밀폐 공간 내에서 재배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하면서 묘소질이 균일한 우량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쇄형 묘생산 장치 {Closed transplant 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폐쇄형 묘생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광, 가습, 기류유동 등 최적의 환경 조건이 구비된 밀폐 공간 내에서 재배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하면서 묘소질이 균일한 우량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폐쇄형 묘생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묘생산은 온실내의 자연광 환경 조건에서 이루어지나,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온실내의 환경이 수시로 변동하여 묘의 생육과 품질이 불균일하므로 묘의 계획적 생산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공광을 이용하여 식물생장상 내에서 묘를 생산하는 시도가 있으나, 재배실이 협소할 뿐 아니라 상대습도의 제어에 정확성이 떨어지고, 균일한 기온과 상대습도 분포를 위한 기류속도 제어가 충분하지 않아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다. 특히 배양묘 순화 또는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상대습도, 광, 기류속도, 기온 등 환경조절의 정확성이 결여되면 묘가 고사되거나 도장되어 묘소질이 저하된다.
또한, 식물생장상의 벽체로서 단열재가 아닌 강판을 사용함에 따라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어 환경제어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생산비가 증가되므로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곤란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식물묘의 대량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자원과 에너지를 절감하고, 생력화하여 생산비를 낮추려면 온실과 같이 자연광 조건에서 묘를 생산하는 방법보다 묘소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면서 완전하게 제어되는 환경하에서 우량묘를 생산할 수 있는 폐쇄형 묘생산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인공광, 가습, 기류유동 등 최적의 환경 조건이 구비된 밀폐 공간 내에서 재배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하면서 묘소질이 균일한 우량묘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폐쇄형 묘생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 실험을 통하여 우량묘의 대량생산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 조건을 확립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선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벽체 12: 덕트
14, 15: 다공판 16: 곡면판
18: 바닥판 20: 선반
22: 조명다이 24: 육묘다이
30: 광원 40: 공조기
50: 가습기 60: 제어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열재를 충전한 강판과 배수홈(18a)을 구비한 바닥판(18)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한 벽체(10); 상기 벽체(10)에서 내측으로 덕트(12)와 다공판(14)(15)에 의한 재배공간을 형성하여 재배공간 내외로 공기 순환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통기수단; 상기 재배공간 내부에서 식물묘를 다단의 적층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선반(20); 상기 선반(20)에서 각층의 상단에 구비되는 광원(30); 상기 벽체(10)의 내외로 공조기(40), 송풍기(42), 실외기(44), 가습기(50)를 구비하는 공조수단; 및 상기 재배공간의 온습도와 기류를 설정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공조수단으로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기수단에는 하방으로 유공비가 점감하는 상류다공판(14)과, 하방으로 유공비가 점증하는 하류다공판(15)이 사용된다.
또한, 선반(20)에서 광원(30)이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다이(22)는 지주(21)에 고정되고, 각 조명다이(22)의 하방에 위치하는 육묘다이(24)는 다단턱(23)을 이용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거치된다.
또한, 상기 광원(30)의 일형태로서 횡으로 배치되는 40W 형광등(32)과 그 양단으로 배치되는 20W 형광등(34)에 의해 8.5cm 떨어진 지점에서 평균 84.1±25.1μmolㆍm-2ㆍ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유지하고, 광원(30)의 다른 형태로서 종으로 배치되는 55W 형광등(36)에 의해 13.5cm 떨어진 지점에서 평균 560±49μmolㆍm-2ㆍ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폐쇄형 묘생산 장치가 구현된다. 이는 묘소질이 균일한 우량묘의 대량 생산에 있어 투입되는 에너지 절감, 자원 절감 및 생력화를 이루고자 자연광이 투과되지 않도록 단열재로 둘러 쌓인 폐쇄 시스템으로서 시스템 내부와 외부의 공기ㆍ물ㆍ열 등의 교환이 기본적으로 제한되며, 기온ㆍ상대습도ㆍ광ㆍ기류속도ㆍCO2농도 등의 환경 요소가 완전하게 제어되는 공간에서 묘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벽체(10)에 단열재를 충전한 강판과 배수홈(18a)을 구비한 바닥판(18)이 사용된다. 밀폐공간 내에서 외부로의 열손실을 극소화하고 장치의 폐쇄도를 증가시키고자 KS 규격품으로서 두께 100mm의 폴리우레탄을 단열재로 충전한 강판(밀도 45kgㆍm-3, 열전도계수 0.02Wㆍm-1ㆍK-1, 압축강도 18Nㆍcm-2, 굽힘강도 42Nㆍcm-2)을 사용하여 벽체(10)의 6면을 구성한다. 벽체(10)의 저면을 구성하는 바닥판(18)은 밀폐공간 내부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홈(18a)을 구비한다. 바닥판(18)은 경사진 유로 형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배수홈(18a) 상측으로 다공의 철판을 덮은 이중 구조로 한다. 복수의 배수홈(18a)을 일지점으로 연결하여 수집되는 물이 하나의 배수구로 배출되도록 한다. 물론 바닥판(18)에도 단열재가 최대한 충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벽체(10)에서 내측으로 덕트(12)와 다공판(14)(15)에 의한 재배공간을 형성하여 재배공간 내외로 공기 순환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통기수단을 구비한다. 덕트(12)는 시스템의 좌우측과 상부에 걸쳐 공기가 순환되도록 설치되고, 다공판(14)(15)은 덕트(12)의 입구와 출구에 유공비(opening ratio)가 서로 달라지도록 복수로(예컨대 4장씩) 설치된다. 다공판(14)(15)은 다공철판(perforated steel plate)을 의미하며 후술하는 <실험예 2>와 같이 유공비에 의해 유동저항 및 기류속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통기수단에 의해 폐쇄형 묘생산 장치 내부의 기류속도(0∼1.0±0.1mㆍs-1), 기온(5∼40±0.3℃) 및 습도(0∼100±3%RH)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배공간 내부에서 식물묘를 다단의 적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선반(20)이 사용된다. 선반(20)은 각 칸마다 육묘용 플러그트레이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 즉 육묘다이(24)(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선반(20)의 길이가 커서 취급이 곤란한 경우 중앙에 별도의 지주를 설치하고 좌우 2칸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선반(20)의 하단에 바퀴(26)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한 구조로 한다. 바퀴(26)는 직경 30mm의 캐스터를 사용하여 선반(20) 하단의 네 모서리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 치수로서 벽체(10)에 의한 밀폐공간은 4,900mm(W) x 4,700mm(D) x 3,250mm(H)이고, 그 내부의 재배공간은 3,400mm(W) x 3,200mm(D) x 2,500mm(H)이고, 덕트(12)의 단면은 3,200mm(W) x 650mm(D)이고, 다공판(14)(15)은 3,180mm(W) x 610mm(D) x 0.8mm(T)이고, 선반(20) 전체는 3,100mm(W) x 580mm(D) x 2,400mm(H)이고, 받침대인 육묘다이(24)는 1,565mm(W) x 580mm(D) x 1.2mm(T)이다. 이러한 치수는 후술하는 시스템의 설계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10) 내부에서 덕트(12)의 양 끝단에 공기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자 3,400mm(W) x 1,021mm(D) x 0.3mm(T)인 스테인레스 강판을 650mm의 곡률반경으로 성형한 곡면판(16)을 설치한다. 물론 벽체(10)의 상단 모서리를 곡면으로 성형하면 곡면판(16)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반(20)에서 각층의 상단에 광원(30)이 구비된다. 광원(30)으로 고압나트륨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램프로부터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램프와 식물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근접 조명이 불가능하고 광질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3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여광원(30)을 구성하며, 상세 구성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조기(40), 송풍기(42), 실외기(44), 가습기(50)를 구비하는 공조수단이 상기 벽체(10)의 내외로 장착된다. 공조기(40)는 3kW 용량의 가열기(히터)와 5HP 용량의 증발기로 구성된 유닛쿨러를 사용한다. 공조기(40)의 하류단에 송풍량 90m3ㆍmin의 송풍기(42)를 설치한다.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44)는 3HP 용량의 반폐형 공기압축기(2DL-3-2, Bitzer), 컨덴서(DC3-030, DONGHWA), 수액기, 액분리기 등을 구비한다.
배양묘의 순화,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우량묘를 완성하려면 묘생산 시스템내의 상대습도가 90∼95%의 높은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상부 우측 덕트(12)에 설치되는 2대의 초음파 가습기(50)는 최대분무량이 2 ℓㆍh-1정도의 것을 선정한다. 가습기(50)로부터 발생된 가습 입자는 공조기(40)에 부착된 송풍기(42)에 의해서 덕트(12)의 하류단에서 상류다공판(14)을 통하여 재배공간의 선반(20) 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가습기(50)를 포함한 공조수단의 안정적인 작동으로 상대습도 분포가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때 가습기(50)는 초음파 방식(오성사, HU-4200)과 전극봉 방식(서울시스템, SBU-10)이 있는 바, 이에 대한 가습 입자의 크기 분포를 비교하고자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r(2600C series, Malvern)를 사용하여 비교실험을 실시하고 측정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험예 1>
초음파식과 전극봉식 가습기에서 발생된 가습 입자의 평균 직경은 각각 7.58±0.14μm, 9.01±0.06μm로서, 초음파식에서 발생된 가습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가습기(50)에서 발생되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산 거리가 길고 부유가 쉽게 이루어져 상대습도의 균일한 공간 분포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므로 묘생산 장치 내의 균일한 상대습도 분포를 위하여 초음파식 가습기의 적용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구분반복 가습입자의 평균 직경 (μm)
초음파식 증기식
1 7.61 9.01
2 7.70 8.96
3 7.42 9.07
평균 7.58 9.01
표준편차 0.14 0.06
한편 가습기(50)를 덕트(12)의 상류단 측에 설치하는 경우 가습 입자의 일부가 응축되어 덕트(12)의 바닥면을 흐르거나 고이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가습기(50)를 덕트(12)의 하류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12)의 상류단 및 하류단의 바닥면에는 응축수 회수를 위한 물받이를 설치하고 바닥판(18)의 배수홈(18a)과 연통시킨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재배공간의 온습도와 기류를 설정치로 유지하기 위해 공조수단으로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기(60)가 설치된다. 제어기(60)로서 PID controller(UP750, Yokogawa)와 인버터(SV-iG5, LG)를 각각 1대씩 설치하여 시스템 내의 온도, 상대습도 및 기류속도를 제어한다. 인버터의 입력주파수에 따라 송풍기(42)에 부착된 3상 구동용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면서 장치내의 기류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된다. 이외에도 제어기(60)에 의해 시스템 내의 기온ㆍ상대습도ㆍ광ㆍCO2농도 등의 환경 요소도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후술하는 다공판(14)(15)과 연계되는 구성을 바탕으로 기류속도를 제어한 결과는 <실험예 2>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일한 분포를 이룸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주요 구성으로서 벽체(10), 공기순환용 덕트(12) 등의 통기수단, 묘생산용 다단 선반(20), 광원(30), 공조수단과 함께 상기 주요 구성품을 제어하여 공기조화와 기류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60)를 구비하여 완전한 폐쇄형 묘생산 장치를 구현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의 다공판(14)(15)은 하방으로 유공비가 점감하는 상류다공판(14)과, 하방으로 유공비가 점증하는 하류다공판(15)으로 구성된다. 각 다공판(14)(15)은 유공비(opening ratio)가 각각 10.05%, 14.45%, 17.01%, 40.22%가 되도록 직경 10mm의 구멍이 타공되는 구성에 있어 동일하다. 반면 장치내에서의 기류속도, 기온 및 상대습도 분포의 균일성을 고려하여 덕트(12)의 입구측인 상류다공판(14)은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40.22%, 17.01%, 14.45%, 10.05%의 유공비 순서로 배열하고, 출구측인 하류다공판(15)은 반대로 상단에서 하단까지 10.05%, 14.45%, 17.01%, 40.22%의 순서로 배열한다. 이러한 배열을 도출하기 위한 비교실험은 다음의 <실험예 2>를 참조한다.
<실험예 2>
폐쇄형 묘생산 장치 내에서 기온과 상대습도를 각각 25℃, 75%로 설정한 후 다공판(14)(15)의 배열을 달리한 가운데 묘생산 장치 내에서 기류속도, 기온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지점은 좌우 벽면 근처(벽면으로부터 0.4m 떨어진 지점) 및 중앙의 3개 부위와 각 부위의 수직방향으로 3점, 즉 묘생산 장치내의 바닥으로부터 각각 0.4m(하부), 1.25m(중앙), 2.1m(상부)에 해당되는 지점으로서 전부 9개 지점이다.
표 2에서 A, B, C는 다공판(14)(15)의 배열 상태로서, 배열 A는 전술한 본 발명의 경우이고, 배열 B는 다공판(14)(15)의 유공비를 20.4%로 동일하게 제작한 경우이고, 배열 C는 배열 A와 동일한 다공판(14)(15)을 정반대의 유공비로 배열한 경우이다. 실험 결과 배열 A의 경우 기류속도, 기온 및 상대습도 분포의 균일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물론 다공판(14)(15)을 사용한 상기 A, B, C 배열의 경우는 아예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기류속도, 기온 및 상대습도의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배열 종류 및 위치 기류속도 (mㆍs-1) 기온 (℃) 습도 (%)
다공판을 설치한 경우 A 상부 0.18±0.02 25.3±0.2 74.1±3.9
중앙 0.19±0.09 25.0±0.3 75.2±2.3
하부 0.16±0.05 25.1±0.1 78.1±3.4
B 상부 0.13±0.02 25.4±0.2 73.7±3.5
중앙 0.29±0.07 25.6±0.3 75.6±2.9
하부 0.37±0.10 25.2±0.1 80.3±3.8
C 상부 0.11±0.04 25.7±0.4 76.3±3.1
중앙 0.29±0.08 25.3±0.4 80.1±3.9
하부 0.51±0.11 24.9±0.1 85.3±4.2
다공판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상부 0.15±0.03 25.9±0.7 76.8±4.8
중앙 0.36±0.13 25.4±0.4 81.1±3.4
하부 0.68±0.15 25.1±0.3 89.1±2.8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선반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선반(20)에서 광원(30)이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다이(22)는 지주(21)에 고정되고, 각 조명다이(22)의 하방에 위치하는 육묘다이(24)는 다단턱(23)을 이용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거치된다. 지주(21)는 한 변의 길이가 30mm인 4각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각 3∼4단으로 구성되는 선반(20)은 각단 표면에서 식물묘의 종류, 초장 및 생육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얻도록 단차를 유지한다. 일예로 선반(20)을 3단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 단의 높이를 400mm, 700mm, 1,180mm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지주(21)의 좌우측에 10cm의 높이 간격으로 다단턱(23)을 설치하고 육묘다이(24)를 거치함에 따라, 선반(20)의 각 단에서 필요에 따른 적정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육묘다이(24)의 표면에서 실지수를높이고자 반사율이 매우 높은 유광 스테인레스 소재의 반사판(25)을 조명다이(22)에 개재시켜 광원(30)을 설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횡으로 배치되는 40W 형광등(32)과 그 양단으로 배치되는 20W 형광등(34)에 의해 광원(30)에서 8.5cm 떨어진 지점에서 평균 84.1±25.1μmolㆍm-2ㆍ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유지한다. 소비전력이 40W인 3파장 형광등(32)은 금호전기의 품명 FLR40EX-D/A 또는 동등 이상품을 4개씩 배치한다. 40W 형광등(32)의 양 끝 부분에서 광량자속이 낮아지는 것을 개선하여 각 단 표면에서 균일한 광량자속을 얻고자 40W 형광등(32)의 양 끝 부분으로부터 8.5cm 떨어진 지점에 소비전력이 20W인 3파장 형광등(34)을 1개씩 설치한다. 20W 형광등(34)은 금호전기의 품명 FL20SEX-D/18 또는 동등 이상품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종으로 배치되는 55W 형광등(36)에 의해 광원(30)으로부터 13.5cm 떨어진 지점에서 평균 560±49μmolㆍm-2ㆍ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유지한다. 55W 형광등(36)은 3파장 이중형광등으로서 OSRAM사의 품명 DULUXL55W/21-840 또는 동등 이상품 15개를 10cm 간격으로 설치한다.
도 3은 선반(20)의 중간 이상층에, 도 4는 선반(20)의 중간 이하층에 각각 적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음의 <실험예 3> 및 <실험예 4>과 같이 광원(3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실험을 통하여 입증된다.
<실험예 3>
도 3과 같이 40W 형광등(32)을 배열한 후 20W 형광등(34)의 설치 유무에 따라 15점(A1∼3, B1∼3, C1∼3, D1∼3, E1∼3)에서 측정한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평균값이 표 3에 실려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수직거리 (cm) 광합성유효광량자속 (μmolㆍm-2ㆍs-1)
형광등 40W + 20W 형광등 40W
8.513.518.523.528.533.5 84.1±25.165.4±17.958.3±15.342.9±16.439.6±12.228.3± 9.5 65.9±42.442.4±29.334.3±20.823.7±15.127.0±16.019.1± 9.5
<실험예 4>
도 4와 같이 55W 형광등(36)을 배열한 후 9점(A1∼3, B1∼3, C1∼3)에서 측정한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평균값이 표 4에 실려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수직거리 (cm) 광합성유효광량자속(μmolㆍm-2ㆍs-1)
13.518.523.528.533.538.543.548.553.558.563.568.573.578.583.5 560±49447±72399±34333±34320±19283±22244±16219±24194±17164±14150± 8128±12118± 3108± 5101± 5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폐쇄형 묘생산 장치 내의 기온ㆍ상대습도ㆍ광ㆍ기류속도ㆍCO2농도 등의 미기상 요소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접목묘의 활착 단계, 삽수를 이용한 증식 또는 육묘 단계에서 과도한 증발산을 억제하여 고사됨없이 최적 환경조건에서 건전한 우량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폐쇄형 묘생산 장치에서는 선반을 이용한 다단 재배와 근접조명이 가능하여 재배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적은 에너지 투입으로 묘소질이 균일한 우량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폐쇄형 묘생산 장치에서 광량, 광질, 광주기, 광조사 방향 등 광환경조절에 의한 식물의 생장과 광형태형성 제어가 가능한 바, 광환경조절에 의해서 묘소질이 향상된다.
또한, 묘소질이 균일한 우량묘를 생산하여 정식하면 재배과정에서 농약, 비료 등의 투입이 경감되어 환경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수확량이 증대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단열재를 충전한 강판과 배수홈(18a)을 구비한 바닥판(18)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한 벽체(10);
    상기 벽체(10)에서 내측으로 덕트(12)와 재배공간 내외로 공기 순환을 위한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하방으로 유공비가 점감하는 상류다공판(14)과, 하방으로 유공비가 점증하는 하류다공판(15)을 구비한 통기수단;
    상기 재배공간 내부에서 식물묘를 다단의 적층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지주(21)에 고정되고, 광원(30)이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다이(22)의 하방에 위치하는 육묘다이(24)는 다단턱(23)을 이용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거치되는 선반(20);
    상기 선반(20)에서 각층의 상단에 구비되는 광원(30);
    상기 벽체(10)의 내외로 공조기(40), 송풍기(42), 실외기(44), 가습기(50)를 구비하는 공조수단; 및
    상기 재배공간의 온습도와 기류를 설정치로 유지하도록 상기 공조수단으로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물묘를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30)은 횡으로 배치되는 40W 형광등(32)과 그 양단으로 배치되는 20W 형광등(34)에 의해 8.5cm 떨어진 지점에서 평균 84.1±25.1μmolㆍm-2ㆍ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묘생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30)은 종으로 배치되는 55W 형광등(36)에 의해 13.5cm 떨어진 지점에서 평균 560±49μmolㆍm-2ㆍs-1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형 묘생산 장치.
KR10-2001-0071372A 2001-11-16 2001-11-16 폐쇄형 묘생산 장치 KR10044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372A KR100445336B1 (ko) 2001-11-16 2001-11-16 폐쇄형 묘생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372A KR100445336B1 (ko) 2001-11-16 2001-11-16 폐쇄형 묘생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789A KR20030040789A (ko) 2003-05-23
KR100445336B1 true KR100445336B1 (ko) 2004-08-21

Family

ID=295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372A KR100445336B1 (ko) 2001-11-16 2001-11-16 폐쇄형 묘생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914B1 (ko) * 2009-08-31 2012-02-29 주식회사농심 공장형 식물 재배시설의 기류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101B1 (ko) * 2011-02-17 2013-11-15 대한민국 접목·삽목묘 생산장치
JP6537339B2 (ja) * 2015-04-27 2019-07-03 株式会社スプレッド 植物栽培装置
CN104813864B (zh) * 2015-05-12 2017-06-20 沃华农业科技(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拿取的育苗盘
CN106613465A (zh) * 2015-10-31 2017-05-10 重庆市瑰邦农业开发有限公司 农作物育苗设备
CN108934623B (zh) * 2018-07-16 2020-10-16 东北大学 一种智能生态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5224A (ko) * 1984-01-24 1985-08-24 안호준 작물 촉성재배기
JPH10295198A (ja) * 1997-04-28 1998-11-10 Asahi Kogyosha:Kk 活着促進装置
JP2001016981A (ja) * 1999-07-12 2001-01-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接ぎ木苗の養生装置
JP2001231376A (ja) * 2000-02-25 2001-08-28 Toyota Motor Corp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JP2001251959A (ja) * 2000-03-10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多段式植物育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5224A (ko) * 1984-01-24 1985-08-24 안호준 작물 촉성재배기
JPH10295198A (ja) * 1997-04-28 1998-11-10 Asahi Kogyosha:Kk 活着促進装置
JP2001016981A (ja) * 1999-07-12 2001-01-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接ぎ木苗の養生装置
JP2001231376A (ja) * 2000-02-25 2001-08-28 Toyota Motor Corp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JP2001251959A (ja) * 2000-03-10 2001-09-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多段式植物育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914B1 (ko) * 2009-08-31 2012-02-29 주식회사농심 공장형 식물 재배시설의 기류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789A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3642C (en) Transplant production system
AU2016323373B2 (en) Culture device and culture method
JP7238947B2 (ja) なす科の苗栽培装置及び栽培方法
JP6123495B2 (ja) 多段棚式植物育成装置及び植物育成システム
KR100445336B1 (ko) 폐쇄형 묘생산 장치
JP3026253B2 (ja) 人工環境装置
KR20120110493A (ko)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KR101984711B1 (ko) 탄산시비 장치 및 복사방식 냉난방 장치를 구비하는 컨테이너형 스마트팜 시스템
JP3771152B2 (ja) 多段式育苗装置
CN112188831A (zh) 通风和照明装置
JP4858239B2 (ja) 多段式植物栽培装置における空調方法
US8051602B2 (en) System for conditioning crops
JP2002291349A (ja) 育苗装置および育苗方法
JPH02283219A (ja) 植物栽培装置
JP2011229454A (ja) 光合成パネル、光合成ラック及び植物育成システム
JPH01225422A (ja) 完全制御型植物工場の建屋
CN214155579U (zh) 人工气候室及送风装置
KR100850376B1 (ko) 미생물 고체배양용 배양장치
TW546113B (en) Sprout cultivation device
JPH01225423A (ja) 完全制御型植物工場の空調設備
JPH0618453Y2 (ja) 植物育成装置
JP2024022893A (ja) 栽培システム
KR20220017707A (ko) 재배사의 공조 시스템
KR20220162481A (ko)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
JPH01128729A (ja) 植物育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