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475B1 - 드롭리프터 - Google Patents

드롭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475B1
KR100444475B1 KR10-2002-0037938A KR20020037938A KR100444475B1 KR 100444475 B1 KR100444475 B1 KR 100444475B1 KR 20020037938 A KR20020037938 A KR 20020037938A KR 100444475 B1 KR100444475 B1 KR 10044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guide
shaft
rotary shaft
pos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280A (ko
Inventor
정정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4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롭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스프로킷(11a)이 구비되는 상단회전축(11)과, 이 상단회전축(11)의 아래쪽으로 위치되면서 양단에 스프로킷(12a)이 구비되는 하단회전축(12)과, 상기 상단회전축(11)의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13)와, 상기 상단회전축(11)의 회전력을 하단회전축(12)으로 전달하도록 스프로킷(11a,12a)을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체인(14)과, 이 연결체인(14)상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와, 이 지지브라켓트(15)의 선단에 용접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받침대(16)와, 이 받침대(16)의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위치결정유니트(20)와, 이 위치결정유니트(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수단(30)과, 상기 받침대(16)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받침대(16)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가이드축(41)과, 이 가이드축(41)상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용접결합으로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가 공기압에 의해 신장될 때 그 선단이 끼워지면서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위치를 결정지어 주는 한쌍의 가이드유니트(50)와, 상기 구동모터(13)와 공압발생수단(3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콘트롤러(17)로 구성되어져, 상기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위치결정유니트(20)와 가이드유니트(50)의 결합작동에 의해 받침대(16)의 정지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예방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드롭리프터{drop lifter}
본 발명은 드롭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순서대로 작업라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이송물을 승하강시킬 때 정확한 위치까지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드롭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롭리프터는 각각의 부품들이 조립순서대로 작업라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완제품을 생산해내는 작업라인상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보통 자동차를 생산하는 작업라인상에서는 BIW상태의 차체(미완성상태의 차체)를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롭리프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스프로킷(11a)이 일체로 결합된 상단회전축(11)과, 이 상단회전축(11)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하측에 위치되면서 양단에 스프로킷(12a)이 일체로 결합된 하단회전축(12)과, 상기 상단회전축(11)의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13)와, 이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상단회전축(11)의 회전력을 하단회전축(12)으로 전달하도록 종축방향으로 일치되는 스프로킷(11a,12a)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체인(14)과, 이 연결체인(14)상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와, 이 지지브라켓트(15)의 선단에 용접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받침대(16)와, 상기 구동모터(13)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단회전축(11,12)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공간상에 설치되는 소정의 지지축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는 각각 연결체인(14)에 의해 관통되면서 소정의 결합수단(도시않됨)에 의해 결합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는 각각의 선단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한쌍의 연결체인(14)을 가로지르는 횡축상에 일치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라인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던 이송물(차체)이 받침대(16)상에 얹혀지게 되면 콘트롤러(17)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3)가 일정한 회전수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체인(14)상에 지지브라켓트(15)를 매개로 결합된 받침대(16)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일정높이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받침대(16)상에 얹혀져서 일정높이로 상승된 이송물은 받침대(16)로부터 분리되어 다음의 조립라인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높이로 상승된 받침대(16)로부터 이송물이 분리되고 나면 상기 구동모터(13)는 콘트롤러(17)의 제어에 의해 역회전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일정높이로 상승되었던 받침대(16)는 원래의 위치로 하강되어 다음번의 작업에 대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단회전축(11,12)의 동력전달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프로킷(11a,12a)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14)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프로킷(11a,12a)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14)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의 사이틈(C)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사이틈(C)에 의해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상단회전축(11)은 구동모터(13)의 동력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을 하게 되지만, 상기 상단회전축(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는 하단회전축(12)은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상에서 상기 스프로킷(11a,12a)과 연결체인(14)사이에 발생하는 사이틈(C)으로 인해 회전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하단회전축(12)의 회전오차는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오차가 발생되면 상기 받침대(16)상에 이송물을 안착시키거나 또는 받침대(16)로부터 이송물을 분리시킬 때 작업의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에는 작업의 효율성이 감소되며 전체적으로도 생산성에 차질이 생기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받침대에 장착되는 위치결정유니트와 이 위치결정유니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가이드유니트를 이용하여 받침대의 승하강시 정지위치를 결정지어 주게 됨으로써, 상하단회전축의 동력전달에 사용되는 스프로킷과 연결체인사이에 사이틈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받침대의 승하강시 정지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받침대상에 이송물을 안착시키거나 또는 받침대로부터 이송물을 분리시킬 때 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드롭리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롭리프터는, 양단에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상단회전축과, 이 상단회전축의 아래쪽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양단에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하단회전축과, 상기 상단회전축의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단회전축의 회전력을 하단회전축으로 전달하도록 종축방향으로 일치되는 스프로킷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체인과, 이 연결체인상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와, 이 지지브라켓트의 선단에 용접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작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받침대의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위치결정유니트와, 이 위치결정유니트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수단과, 상기 받침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받침대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이 가이드축상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용접결합으로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니트가 공기압에 의해 신장될 때 그 선단이 끼워지면서 받침대의 승하강시 정지위치를 결정지어 주는 한쌍의 가이드유니트와, 상기 구동모터와 공압발생수단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드롭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드롭리프터에 장착되는 위치결정유니트 및 가이드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상단회전축 11a,12a - 스프로킷
12 - 하단회전축 13 - 구동모터
14 - 연결체인 15 - 지지브라켓트
16 - 받침대 17 - 콘트롤러
20 - 위치결정유니트 30 - 공압발생수단
41 - 가이드축 50 - 가이드유니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롭리프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스프로킷(11a)이 일체로 결합된 상단회전축(11)과, 이 상단회전축(11)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하측에 위치되면서 양단에 스프로킷(12a)이 일체로 결합된 하단회전축(12)과, 상기 상단회전축(11)의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13)와, 이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상단회전축(11)의 회전력을 하단회전축(12)으로 전달하도록 종축방향으로 일치되는 스프로킷(11a,12a)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체인(14)과, 이 연결체인(14)상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와, 이 지지브라켓트(15)의 선단에 용접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받침대(16)와, 이 받침대(16)의 작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받침대(16)의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위치결정유니트(20)와, 이 위치결정유니트(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수단(30)과, 상기 받침대(16)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받침대(16)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가이드축(41)과, 이 가이드축(41)상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용접결합으로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가 공기압에 의해 신장될 때 그 선단이 끼워지면서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위치를 결정지어 주는 한쌍의 가이드유니트(50)와, 상기 구동모터(13)와 공압발생수단(3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콘트롤러(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단회전축(11,12)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공간상에 설치되는 소정의 지지축상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는 각각 연결체인(14)에 의해 관통되면서 소정의 결합수단(도시않됨)에 의해 결합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는 각각의 선단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한쌍의 연결체인(14)을 가로지르는 횡축상에 일치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는 도 6에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6)의 후방측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공압실린더(21)와, 이 공압실린더(21)를 따라 직선왕복 이동하는 실린더축(22)과, 이 실린더축(22)의 선단에 힌지(23a)를매개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실린더축(22)의 신장작동시 상기 가이드유니트(50)의 안쪽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베어링스토퍼(23)와, 상기 실린더축(22)을 감싸면서 받침대(16)의 전방측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하우징(24)중 공압실린더(21)가 관통하는 부위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및 기타 외부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재질의 스크래퍼(25)가 압입되어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압실린더(21)는 받침대(16)의 저면에 용접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트(21a)와 조립볼트(21b)의 결합력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하우징(24)은 받침대(16)의 저면에 용접결합되는 하우징브라켓트(24a)와 용접결합되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니트(50)는 도 6과 도 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디귿자(ㄷ)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개구된 일측이 상기 베어링스토퍼(23)쪽을 향하도록 가이드축(41)상에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51)과, 이 가이드하우징(51)내의 내부공간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면서 개구된 일측이 베어링스토퍼(23)쪽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51)내에 위치되는 가이드블록(52)과, 상기 가이드하우징(51)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각각의 선단이 가이드블록(52)의 상하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면서 회전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52)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쌍의 높이조정나사(5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니트(50)는 받침대(16)의 승하강완료시베어링스토퍼(23)의 전방쪽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가이드블록(52)의 내부공간이 위치되도록 가이드축(41)상에 각각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압발생수단(30)은 공기를 보관하는 공기탱크(31)와,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32)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롭리프터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드롭리프터의 받침대(16)는 도 4와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때 위치결정유니트(20)를 구성하는 실린더축(22)은 공압실린더(21)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공압에 의해 상기 공압실린더(2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또한 상기 실린더축(22)의 선단에 결합된 베어링스톱퍼(23)는 한쌍의 가이드유니트(50)중 가이드축(41)의 하측에 위치된 가이드블록(52)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후, 작업라인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던 이송물(차체)이 하강되어 있던 받침대(16)상에 얹혀지게 되면 공압실린더(21)내에 존재하고 있던 압축공기가 콘트롤러(17)의 제어에 의해 대기로 배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압실린더(21)로부터 돌출되어 있던 실린더축(22)은 공압이 해제됨에 따라 공압실린더(21)쪽으로 후퇴되는 작동을 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실린더축(22)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던 베어링스톱퍼(23)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52)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축(22)의 후퇴작동으로 베어링스톱퍼(23)가가이드블록(52)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콘트롤러(17)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3)가 일정한 회전수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체인(14)상에 지지브라켓트(15)를 매개로 결합된 받침대(16)가 도 4와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6)의 상승높이는 콘트롤러(17)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높이로서, 한쌍의 가이드유니트(50)중 가이드축(41)의 상측에 위치된 유니트까지 상승되게 된다.
그리고, 하강되어있던 받침대(16)가 일정높이로 상승되면 콘트롤러(17)의 제어에 따라 공기압축기(31)가 구동되면서 공압실린더(2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압실린더(21)내에는 새로운 공압이 발생되면서 실린더축(22)은 공압실린더(21)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축(22)이 공압에 의해 공압실린더(21)로부터 돌출되면 그 선단에 결합되어 있던 베어링스톱퍼(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축(41)의 하측에 위치된 가이드유니트(50)의 가이드블록(52)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6)가 일정높이로 상승된 후 위치결정유니트(20) 및 가이드유니트(50)의 결합으로 그 위치가 완전히 결정되고 나면, 상기 받침대(16)상에 안착되어 있던 이송물은 받침대(16)로부터 분리되면서 다음의 조립라인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6)로부터 이송물이 분리되고 나면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가이드유니트(50)로부터 분리되게 되고, 또한 구동모터(13)는 콘트롤러(17)의 제어에 의해 역회전으로 구동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승되었던 받침대(16)는 원래의 위치로 하강되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와 가이드유니트(50)의 결합작동까지 종료한 다음 다음번의 작업을 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롭리프터를 사용하게 되면 상하단회전축(11,12)에 결합된 스프로킷(11a,12a)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14)사이에 일정간격의 사이틈(C)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위치결정유니트(20)와 가이드유니트(50)의 결합작동에 의해 상기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오차가 발생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롭리프터는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받침대(16)상에 이송물을 안착시키거나 또는 받침대(16)로부터 이송물을 분리시킬 때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결국에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면서 전체적으로도 생산성이 증대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대의 승하강시 위치결정유니트와 가이드유니트의 결합작동에 의해 받침대의 정지오차가 발생되는 것이 미리 예방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면서 전체적으로도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양단에 스프로킷(11a)이 구비되는 상단회전축(11)과, 이 상단회전축(11)의 아래쪽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면서 양단에 스프로킷(12a)이 구비되는 하단회전축(12)과, 상기 상단회전축(11)의 일단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모터(13)와, 상기 상단회전축(11)의 회전력을 하단회전축(12)으로 전달하도록 종축방향으로 일치되는 스프로킷(11a,12a)을 각각 연결하는 한쌍의 연결체인(14)과, 이 연결체인(14)상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15)와, 이 지지브라켓트(15)의 선단에 용접결합되는 소정크기의 받침대(16)와, 이 받침대(16)의 작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받침대(16)의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위치결정유니트(20)와, 이 위치결정유니트(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수단(30)과, 상기 받침대(16)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받침대(16)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가이드축(41)과, 이 가이드축(41)상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용접결합으로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가 공기압에 의해 신장될 때 그 선단이 끼워지면서 받침대(16)의 승하강시 정지위치를 결정지어 주는 한쌍의 가이드유니트(50)와, 상기 구동모터(13)와 공압발생수단(3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하는 콘트롤러(17)로 구성되는 드롭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니트(20)는 받침대(16)의 후방측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공압실린더(21)와, 이 공압실린더(21)를 따라 직선왕복 이동하는 실린더축(22)과, 이 실린더축(22)의 선단에 힌지(23a)를 매개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실린더축(22)의 신장작동시 상기 가이드유니트(50)의 안쪽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베어링스토퍼(23)와, 상기 실린더축(22)을 감싸면서 받침대(16)의 전방측 밑면에 고정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리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하우징(24)중 공압실린더(21)가 관통하는 부위에는 먼지 및 외부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래퍼(25)가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리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니트(50)는 종단면이 디귿자(ㄷ)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개구된 일측이 상기 베어링스토퍼(23)쪽을 향하도록 가이드축(41)상에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51)과, 이 가이드하우징(51)내의 내부공간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면서 개구된 일측이 베어링스토퍼(23)쪽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하우징(51)내에 위치되는 가이드블록(52)과, 상기 가이드하우징(51)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각각의 선단이 가이드블록(52)의 상하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면서 회전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록(52)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쌍의 높이조정나사(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리프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니트(50)는 받침대(16)의 승하강완료시 베어링스토퍼(23)의 전방쪽과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가이드블록(52)의 내부공간이 위치되도록 가이드축(41)상에 각각 용접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롭리프터.
KR10-2002-0037938A 2002-07-02 2002-07-02 드롭리프터 KR10044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38A KR100444475B1 (ko) 2002-07-02 2002-07-02 드롭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38A KR100444475B1 (ko) 2002-07-02 2002-07-02 드롭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280A KR20040003280A (ko) 2004-01-13
KR100444475B1 true KR100444475B1 (ko) 2004-08-16

Family

ID=3731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938A KR100444475B1 (ko) 2002-07-02 2002-07-02 드롭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8510B (zh) * 2018-02-28 2024-05-17 广东飞库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agv车的升降机构
CN117509489B (zh) * 2024-01-05 2024-03-12 山东明宇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物流搬运叉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006A (ja) * 1989-07-01 1991-02-15 Nippon Oil & Fats Co Ltd 重合開始剤および塩化ビニルの重合方法
KR950033197U (ko) * 1994-05-20 1995-12-16 헤스본 기계 주식회사 4주식 리프트기의 와이어 로프 연결구조
JPH0921246A (ja) * 1995-07-07 1997-01-21 Daiichi Giken Kk 昇降装置
KR0135148Y1 (ko) * 1996-11-30 1999-02-18 양재신 차량용 헤드램프 검사기의 실린더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006A (ja) * 1989-07-01 1991-02-15 Nippon Oil & Fats Co Ltd 重合開始剤および塩化ビニルの重合方法
KR950033197U (ko) * 1994-05-20 1995-12-16 헤스본 기계 주식회사 4주식 리프트기의 와이어 로프 연결구조
JPH0921246A (ja) * 1995-07-07 1997-01-21 Daiichi Giken Kk 昇降装置
KR0135148Y1 (ko) * 1996-11-30 1999-02-18 양재신 차량용 헤드램프 검사기의 실린더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280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71942B (zh) 顶升式快速组装机及其组装方法
WO2002079071A3 (en) Cargo power drive unit
KR20100125034A (ko) 자동차 차체 조립 공정용 리프트
CN108971955B (zh) 顶升式螺母拧装机及其拧装方法
KR100444475B1 (ko) 드롭리프터
KR101317141B1 (ko) 차량용 시트 투입장치
KR20100064820A (ko) 차량용 승강 리프터
CN110746101B (zh) 一种超薄液晶玻璃划线切割装置
CN111392408A (zh) 一种用于汽车零件点胶的传送设备及其工作方法
CN210524361U (zh) 一种铰链轴的装配工装
CN111496519A (zh) 行星齿轮架自动取料、装配机械装置
CN210257631U (zh) 一种设有二合一烫金头的多功能烫金机
CN209972632U (zh) 一种折叠式车身支撑臂双层汽车生产线
CN211902242U (zh) 一种毛巾布的堆叠升降机构
CN109940807B (zh) 模杆翻转装置
CN109956400B (zh) 一种自动随行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043918A (zh) 一种弹头自动刮药设备
CN210364618U (zh) 一种纸箱改向装置
CN109433943B (zh) 一种用于压合模送料的送料设备及其使用方法
CN206511603U (zh) 一种翻转输送物料装置
CN110576304A (zh) 一种异形螺栓自动上料定位机构
KR100783098B1 (ko) 무한궤도의 링크연결용 부쉬의 그리스 주입방법 및 그 장치
CN218402766U (zh) 一种阶梯旋转轮式送料机
CN219925336U (zh) 一种自动送料装置
CN113732582A (zh) 自动焊接加工输送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