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038B1 -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038B1
KR100444038B1 KR10-2001-0049010A KR20010049010A KR100444038B1 KR 100444038 B1 KR100444038 B1 KR 100444038B1 KR 20010049010 A KR20010049010 A KR 20010049010A KR 100444038 B1 KR100444038 B1 KR 100444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se
assembly line
index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461A (ko
Inventor
송지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0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로봇과 리프터를 한 대씩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면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에 있어서, 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베이스 위에 설치된 인덱스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INDEXING DEVICE OF ASSEMBLING LINE FOR AUTOMOTIVE}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은 콘베이어가 설치되는 작업라인과 레일이 설치되고 이 레일 위를 작업대차가 이동하면서 조립하는 작업라인으로 나뉘어진다.
특히 다차종의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레일 위를 작업대차가 이동하면서 조립하는 조립라인이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 조립라인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작업대차(80)가 이동될 수 있는 레일(82)과, 이 레일(82)의 일측단에 조립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부(84)와, 레일(82)의 중간에 레일(82)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대기레일(86)과, 레일(82)의 타측단에는 양측으로 설치된 작업레일(88)과, 작업레일 (88)의 양측에 설치된 용접로봇(90)과 리프터(92)로 이루어진다.
조립라인의 작업은 대기레일(86)에 대기하고 있던 작업대차(80)가 로딩부 (84)로 이동하여 부품을 적재하고, 부품이 적재된 작업대차(80)는 작업레일(88) 위로 이동된다.
또한 작업레일(88) 위로 이동된 부품은 용접로봇(90)에 의해 용접되고, 용접이 완료된 제품은 리프터(92)에 의해 외부로 반출되며, 부품이 반출된 작업대차 (80)는 다시 대기레일(86)로 복귀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자동차 조립라인은 용접로봇과 리프터를 양측에 다 설치해야 되므로 이로 인해 설비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레일을 양측으로 설치해야 되므로 설치면적이 증대되어 면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용접로봇과 리프터를 한 대씩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면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조립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덱스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조립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작업대차 12 : 레일
14 : 로딩부 16 : 대기레일
18 : 인덱스장치 20 : 용접로봇
22 : 리프터 24 : 베이스
26 : 인덱스레일 28 : 베이스지지대
30 : 롤러 32 : 구동모터
34 : 감속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에 있어서, 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베이스 위에 설치된 인덱스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조립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자동차 조립라인은 중앙에 작업대차(10)가 이동될 수 있는 레일(12)과, 이 레일(12)의 일측단에 조립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부(14)와, 레일(12)의 중간에 레일(12)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대기레일(16)과, 레일(12)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인덱스장치(18)와, 인덱스장치(18)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용접로봇(20)과 리프터(2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인덱스장치(18)는 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24), 베이스(24)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24)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베이스(24) 위에 설치된 인덱스레일(26)을 포함한다.
베이스(24)는 레일(12)의 타측선단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베이스(2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에 연결 설치되고, 상부에는 작업대차(10)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인덱스레일(26)이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24)는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으로 설치될 경우를 설명하나 평판이 아닌 프레임으로 설치되도 무방하다.
또한 베이스(24)에는 베이스(24)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베이스지지대(2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이스지지대(28)의 상단에는 베이스(24)가 원활히 회전하도록 롤러(30)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회전수단은 구동모터(32)로서 베이스(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모터(32)는 베이스(24)의 회전각도와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모터(32)에 감속기(34)를 설치되므로 토오크 용량이 작더라도 중량의 베이스(24)를 무리 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인덱스레일(26)은 자동차 조립라인의 레일(12)에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레일 (12)위의 작업대차(10)가 인덱스레일(26)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인덱스레일(26) 위에 이동된 작업대차(10)는 베이스(24)의 일측에 설치된용접로봇(20)에 의해 용접되고 리프터(22)에 의해 외부로 반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조립라인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레일(16)에서 대기하고 있던 작업대차(10)를 로딩부(14)로 이동시켜 부품을 작업대차(10) 위에 적재한다.
부품을 적재한 작업대차(10)는 레일(12)을 따라 이동하여 레일(12)의 타측단에 도달하게 되고, 이 레일(12)에 연장된 인덱스레일(26) 위로 이동된다.
인덱스레일(26) 위로 이동된 작업대차(10)는 베이스(24)의 회전에 의하여 180°회전된다.
베이스(24)의 회전이 완료되면 용접로봇(20)에 의해 부품이 용접되고, 용접이 완료된 부품은 리프터(22)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반출된다.
동시에 다음순서의 작업대차(10)가 선행하던 작업대차(10)와 같은 방법으로 부품을 적재한 후, 레일(12)의 타측단에 대기하고, 용접이 완료되면 다음순서의 작업대차(10)는 인덱스레일(26)위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인덱스장치의 베이스(24)가 회전하면 선행하던 작업대차(10)는 레일(12)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음순서의 작업대차(10)는 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순서의 작업대차(10)는 용접로봇(20)에 의해 용접이 진행되고, 선행하던 작업대차(10)는 인덱스레일(26)에서 레일(12)로 이동된 후, 대기레일(16)로 복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는 용접로봇과 리프터를 한 대만 설치하여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장치가 차지하는 설치면적이 적게 소요되므로 면적효율이 증대된다.

Claims (3)

  1. 중앙에 작업대차가 이동될 수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일측단에 조립 부품이 로딩되는 로딩부와, 상기 레일의 중간에 레일과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대기레일과, 상기 레일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인덱스장치와, 인덱스장치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용접로봇과 리프터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조립라인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장치는 상기 레일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며 하부는 회전수단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는 작업대차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인덱스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무게를 분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장치.
KR10-2001-0049010A 2001-08-14 2001-08-14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KR100444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10A KR100444038B1 (ko) 2001-08-14 2001-08-14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10A KR100444038B1 (ko) 2001-08-14 2001-08-14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61A KR20030015461A (ko) 2003-02-25
KR100444038B1 true KR100444038B1 (ko) 2004-08-11

Family

ID=2771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10A KR100444038B1 (ko) 2001-08-14 2001-08-14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81B1 (ko) * 2010-12-03 2014-08-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 테이블을 활용한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1428134B1 (ko) * 2010-12-03 2014-08-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조립 공정 설비
KR101681688B1 (ko) * 2015-07-29 2016-12-23 아담스오텍 주식회사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080A (ja) * 1986-11-28 1988-06-0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車体の組立装置
JPH05170325A (ja) * 1991-12-19 1993-07-09 Daifuku Co Ltd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H0733242A (ja) * 1993-07-23 1995-02-03 Kito Corp ターンテーブルに固定された旋回レールと固定レールとの接合離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080A (ja) * 1986-11-28 1988-06-0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車体の組立装置
JPH05170325A (ja) * 1991-12-19 1993-07-09 Daifuku Co Ltd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H0733242A (ja) * 1993-07-23 1995-02-03 Kito Corp ターンテーブルに固定された旋回レールと固定レールとの接合離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61A (ko) 200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971B2 (en) Handling manipulator assembly
CN1325321C (zh) 操纵车身面板的设备
KR101198662B1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US9254539B2 (en) Manufacturing system
JPH0659851B2 (ja) 複数種の車体モデルの組付け方法
KR100444038B1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인덱스 장치
JPH05277848A (ja) 車体支持装置
KR20020090559A (ko) 차체조립용 용접지그 장치
JP2734283B2 (ja) 旋回型ロボット
RU2164201C2 (ru) Робот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сварки листоштамповочных элементов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CN211638780U (zh) 一种用于盾构刀盘焊接的工业机器人旋转倒挂装置
KR200187793Y1 (ko) 부품조립용턴테이블
JP3858524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方法
KR100494935B1 (ko) 이중 고정 행거
JPH10157676A (ja) 組み立て移載設備
JP3557337B2 (ja) 搬送ライン
US6910362B2 (en) Tilt mechanism for a transfer rail in a press transfer system
JP2988503B2 (ja) クランプ装置
KR100397987B1 (ko) 차체패널 이송용 대차 시스템
CN218926708U (zh) 焊接夹具切换装置
CN215393295U (zh) 一种用于液压支架结构件机器人单侧翻转焊接工作站
JP3164767B2 (ja) 長尺ワークの反転機構を備えた搬送台車
KR100412661B1 (ko) 로봇 행거
KR102433508B1 (ko) 리프팅장치
KR0176455B1 (ko) 직교좌표형 로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