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443B1 -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443B1
KR100440443B1 KR10-2001-0083130A KR20010083130A KR100440443B1 KR 100440443 B1 KR100440443 B1 KR 100440443B1 KR 20010083130 A KR20010083130 A KR 20010083130A KR 100440443 B1 KR100440443 B1 KR 10044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agnostic
user
environment
diagnostic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093A (ko
Inventor
김진경
신경철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1-008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4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단말기 진단 장치가 단말기의 재구동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저장해 두어, 단말기가 재구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개입없이 단말기 진단 장치 스스로 재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사용환경 유지 절차도 자동으로 수행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환경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경감시키기 위한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대기하는 사용환경 수집 및 대기 단계;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에서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감시하는 재구동 감시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저장된 사용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사용환경 유지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자 환경을 복구하는 사용환경 복구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EXECUTION AND SEAMLESS USE OF DIAGNOSTIC MONITOR FOR USER EQUIPMENTS}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동작 및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가 동작할 때 진단 장치와 자동으로 연결 설정되도록 하며, 사용환경을 계속 유지토록 하는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동작 및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단말기 진단 장치는 단말기 개발 초기부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 단말기 진단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진단 정보를 단말기에게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진단 정보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한다.이때, 단말기는 단말기 진단 장치로부터 진단 명령을 수신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가 원하는 진단 정보가 무엇인지 확인한 후 해당 진단 정보를 단말기 진단 장치로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은 단말기가 동작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며, 단말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단말기 진단 장치를 통해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단말기가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나서, 단말기 진단 장치를 구동해야 한다.
그런데, 개발중인 단말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완성된 단말기와 달리 랙(RACK)에 여러 장의 보드를 장착한 형태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고 또한 탑재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단말기를 개발하는 과정중에는 아직 기능적으로 불안정한 단말기가 오동작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그때마다 단말기를 하드웨어적으로 리셋(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다시 인가하는 것을 의미함)하고 다시 구동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아울러, 이때 단말기 진단 장치를 통해 진단 정보를 획득하던 사용자는 단말기 뿐만 아니라 단말기 진단 장치도 다시 구동해야 하며, 또한 자신이 원하는 진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획득하던 진단 정보를 다시 요청하는 등의 절차(이하에서는 이를 '사용환경 유지 절차'라 함)를 수행해야 한다. 물론, 개발이 종료되어 단말기가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이러한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지만, 단말기를 개발하는 동안에는 이러한 과정이 너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비록, 단말기가 오동작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리셋하고 다시 구동해야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단말기 외에 단말기 진단 장치도 재구동하고, 또 이전에 자신이 사용하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이전에 획득하던 진단 정보를 다시 요청하는 등의 절차를 다시 수행하는 것은 단말기 진단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대단히 불편한 것이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 진단 장치를 통해 다섯 종류의 진단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면 단말기 진단 장치는 다섯 종류의 진단 명령을 각각 단말기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그리고, 단말기 진단 장치가 진단 명령을 단말기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매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진단 명령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매번 단말기를 재구동할 때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는 것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 진단 장치가 단말기의 재구동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저장해 두어, 단말기가 재구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개입없이 단말기 진단 장치 스스로 재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사용환경 유지 절차도 자동으로 수행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환경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경감시키기 위한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 진단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상태 천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의 내부 상태 천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단말기 진단 장치간의 메시지 송수신 절차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의 자동 연결 설정 및 사용 환경 유지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100 : 단말기 120 : 단말기능 수행부140 : 진단제어부 160 : 진단명령 수신부180 : 진단결과 송신부 200 : 단말기 진단 장치2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0 : 사용자 환경 DB260 : 진단처리부 280 : 진단결과 수신부290 : 진단명령 송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대기하는 사용환경 수집 및 대기 단계;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에서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감시하는 재구동 감시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저장된 사용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사용환경 유지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자 환경을 복구하는 사용환경 복구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정상 동작중에 수행되는 진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환경 저장수단;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에서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환경 저장수단으로부터 이전의 진단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가 수행할 진단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진단처리수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획득하여 상기 진단처리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진단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진단처리수단에서 생성된 진단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진단명령 송신수단;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진단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진단결과 수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진단 장치가 단말기의 재구동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저장하여, 단말기가 재구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개입없이 단말기 진단 장치 스스로 재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사용환경 유지 절차도 자동으로 수행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환경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 진단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진단 시스템은 단말기(100)와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100)는 진단 정보를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진단제어부(140), 진단명령 수신부(160)와 진단결과 송신부(180) 그리고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능 수행부(120)를 포함한다.
진단제어부(140)는 진단명령 수신부(160)로부터 진단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해당 단말기능 수행부(120)로 전달하며, 단말기능 수행부(120)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진단결과 송신부(180)로 전달한다.진단명령 수신부(160)는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부터 진단 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진단제어부(140)로 전달한다.진단결과 송신부(180)는 진단제어부(140)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송출한다.단말기능 수행부(120)는 단말기(100)가 수행하여야 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진단제어부(140)의 요청에 따라 진단 결과를 생성하여 이를 진단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진단처리부(260), 진단명령 송신부(290), 진단결과 수신부(280)와 사용환경 데이터베이스(DB)(240)를 포함한다.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통해 단말기 진단 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획득하여 진단처리부(260)로 전달하며, 동시에 이를 사용환경 DB(24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진단처리부(260)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진단처리부(2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요구 사항을 가공하여 단말기(100)의 진단제어부(140)가 식별할 수 있는 진단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진단명령 송신부(290)로 전달한다.진단명령 송신부(290)는 진단처리부(260)가 생성한 진단 명령을 단말기(100)로 송출한다.진단결과 수신부(280)는 단말기(100)로부터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진단처리부(260)로 전달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단말기 진단 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단말기(100)로부터 획득된 진단 정보는 진단정보 표시창(20A~20C)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데, 도 2에서는 A 진단 정보, B 진단 정보와 C 진단 정보가 각각 A 진단정보표시창(20A), B 진단정보 표시창(20B)과 C 진단정보 표시창(20C)을 통해 출력되고 있다.상기 진단정보 표시창(20A~20C)은 자신이 어떤 진단 정보를 출력하고 있는지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타이틀 영역(24), 실제로 획득한 진단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25), 그리고 진단 명령을 생성하도록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입력받는 입력 영역(26)으로 구성된다.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진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작버튼과 더 이상 진단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중단하기 위한 중지버튼을 입력 영역(26)에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환경이라 함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어떤 진단정보표시창을 통해 진단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떤 진단 정보가 출력되고 있는지 알게 되면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개입없이 해당 진단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진단 명령을 단말기 진단 장치 스스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UE : User Equipment)의 내부 상태 천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먼저 UE 실행이전상태(s11)에서 전원을 인가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로딩한 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UE 정상동작상태(s12)로 천이한다(s11→s12).단말기(100)는 UE 정상동작상태(s12)에서 여러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부터 진단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진단제어부(140)가 요청된 진단 정보를 수집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진단제어부(140)는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체크하여 주기적으로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통보한다.
단말기(100)는 UE 정상동작상태(s12)에서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의 오류가 발생하면 UE 비정상상태(s13)로 천이한다(s12→s13).UE 비정상상태(s13)에서는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하드웨어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단말기(100)를 UE 실행이전상태(s11)로 천이시킨다(s13→s11). 물론, 이 때에는 진단제어부(140)를 비롯한 단말기(100)의 모든 구성 블록의 동작이 중단된다.또한, 단말기(100)가 UE 정상동작상태(s12)에 있을 때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거나 하드웨어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UE 실행이전상태(s11)로 천이할 수 있다(s12→s11).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DM : Diagnostic Machine)의 내부 상태 천이도이다.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GUI 방식의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사용자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데, DM 실행이전상태(s21)에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DM 정상동작상태(s22)로 천이한다(s21→s22). 이때, 진단처리부(260)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진단 명령을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단말기(100)로부터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적절히 가공한 후, GUI 화면을 통해 진단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DM 정상동작상태(s22)일 때, 만약 진단처리부(260)가 단말기(100)로부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통보받지 못하면,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자동적으로 DM 자동실행시도상태(s23)로 천이한다(s22→s23). 이러한 경우는 단말기(100)가 UE 실행이전상태(s11)나 UE 비정상동작상태(s13)인 경우 발생한다.
이후, DM 자동실행시도상태(s23)에서,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동작이 중지되며 동작이 중지될 때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가 사용환경을 획득하여 사용환경 DB(240)에 저장한 후, 자동적으로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계속 대기한다. 이후에, 단말기(100)가 UE 정상동작상태(s12)로 진입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통보하면, 이를 수신한 단말기 진단 장치(200)의 진단처리부(260)는 자동으로 저장된 사용환경을 바탕으로 진단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100)로 전송한 후 DM 정상동작상태(s22)로 천이한다(s23→s22).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단말기 진단 장치간의 메시지 송수신 절차도이다.
단말기(100)와 단말기 진단 장치(200)가 모두 정상 상태일 때, 상기 도 2와 같이 A 진단 정보를 보고자 하는 사용자는 단말기 진단 장치(200)를 통해 A 진단정보 표시창을 열고 시작버튼을 클릭한다.이후, 사용자가 시작버튼을 클릭하면,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A 진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A 진단정보 획득 개시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100)로 전달한다(s31). 그러면, "A 진단정보 획득 개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A 진단 결과"를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송출한다(s32). 이때, "A 진단 결과"를 더이상 보고 싶지 않은 사용자는 중지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중지버튼을 클릭하면,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A 진단 결과"를 더 이상 전송하지 말라고 "A진단정보 획득 종료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100)로 전달한다(s33). 그러면, "A 진단정보 획득 종료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더 이상 "A진단 결과"를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송출하지 않는다.
단말기(100)가 UE 정상동작상태(s12)에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단말기(100)는 "정상 동작 중"메시지를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전송한다(s34). 이후에, 단말기(100)가 UE 비정상동작상태(s13) 또는 UE 실행이전상태(s11)로 진입하면, 단말기 진단제어부(140)는 "정상 동작 중" 메시지를 더이상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전송하지 못한다(s35).
단말기 진단 장치(200)가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정상 동작 중"이라는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DM 정상동작상태(s22)에서 DM 자동실행시도상태(s23)로 진입하고, 현재 어떤 진단표시창을 통해 진단 결과가 출력되고 있는지 이 순간의 사용환경을 사용환경 DB(240)에 저장한 후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대기한다.
다음으로, 단말기(100)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어 UE 정상동작상태(s12)로 진입하면, 단말기(100)는 즉시 "정상 동작 개시" 메시지를 단말기 진단 장치(200)로 전송한다(s36). 그러면, "정상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사용환경DB(240)에서 사용환경을 판독하여 이를 바탕으로 진단 명령을 생성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사용환경 유지 절차를 수행한 후(s37), DM 자동연결시도상태(s23)에서 DM 정상동작상태(s22)로 진입한다. 만약, 단말기 진단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가 A와 B 그리고 C의 진단 결과를 보고 있었다면, 이때 생성되는 진단 명령은 "A 진단정보 획득 개시 명령"과 "B 진단정보 획득 개시 명령"과 "C 진단정보 획득 개시 명령"이 된다. 단말기(100)는 사용환경 유지 절차를 통해 "진단정보 획득 개시 명령" 메시지들을 수신하면 이를 반영한 후 단말기(100)의 진단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이로써,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전까지 사용하던 사용환경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진단 장치의 자동 연결 설정 및 사용 환경 유지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진단처리부(260)는 주기적으로 단말기(100)로부터 "정상 동작 중" 메시지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하여(s4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정상 동작 중" 메시지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42).
확인 결과, "정상 동작 중" 메시지가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면, 진단처리부(260)는 타이머를 재구동하고 단말기(100)로부터 다음번 "정상 동작 중"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확인 결과, "정상 동작 중" 메시지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지 못했다면, 진단처리부(260)는 타이머가 만료되었는지를 검사한다(s43).
검사 결과,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면, 다시 단말기(100)로부터 "정상 동작 중"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s42). 이 과정을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검사 결과,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진단처리부(260)는 DM 정상 동작 상태에서 DM 자동실행시도상태로 천이하며, 이때까지의 사용환경을 수집하여 사용환경DB(240)에 저장한다(s44).
그리고 나서, 단말기(100)로부터 "정상 동작 개시"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정상 동작 개시"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계속 확인한다(s45). 만약, 단말기(100)로부터 "정상 동작 개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 진단 장치(200)는 바로 사용환경DB(240)에 저장하고 있던 사용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환경 유지 절차에 필요한 진단 명령을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자신은 DM 자동실행시도상태에서 DM 정상 동작 상태로 천이한다(s46).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환경 DB(240)에 저장된 사용환경 정보는 단말기 진단 장치(200)를 통해 표시되는 진단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할 진단 명령의 목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진단 장치(200)가 단말기(100)의 재구동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저장하여, 단말기(100)가 재구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개입없이 단말기 진단 장치 스스로 재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사용환경 유지 절차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환경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진단 장치가 단말기의 재구동 여부를 감시하고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저장하여, 단말기가 재구동되었을 때 사용자의 개입없이 단말기 진단 장치 스스로 재구동되도록 하고 또한 사용환경 유지 절차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환경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단말기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 진단 장치 사용환경을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대기하는 사용환경 수집 및 대기 단계;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에서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감시하는 재구동 감시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상기 저장된 사용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기와의 사용환경 유지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단말기 진단 장치의 사용자 환경을 복구하는 사용환경 복구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소정의 주기로 "정상 동작 중"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 진단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전송되는 "정상 동작 중" 메시지를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수신함으로써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동 감시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상기 단말기로부터 "정상 동작 개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환경 유지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정상 동작을 확인한 후, 사용환경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의 사용환경 유지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환경 정보는,
    상기 단말기 진단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진단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할 진단 명령의 목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의 자동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방법.
  7. 단말기로부터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정상 동작중에 수행되는 진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환경 저장수단;
    상기 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에서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환경 저장수단으로부터 이전의 진단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가 수행할 진단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진단처리수단;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획득하여 상기 진단처리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진단처리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진단 결과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
    상기 진단처리수단에서 생성된 진단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진단명령 송신수단;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진단결과를 수신하기 위한 진단결과 수신수단
    을 포함하는 단말기 진단장치.
KR10-2001-0083130A 2001-12-22 2001-12-22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KR10044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30A KR100440443B1 (ko) 2001-12-22 2001-12-22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30A KR100440443B1 (ko) 2001-12-22 2001-12-22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093A KR20030053093A (ko) 2003-06-28
KR100440443B1 true KR100440443B1 (ko) 2004-07-15

Family

ID=2957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130A KR100440443B1 (ko) 2001-12-22 2001-12-22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4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1837A (ja) * 1983-12-05 1985-06-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試験方式
KR0145872B1 (ko) * 1995-09-20 1998-08-17 김광호 셀룰라 이동무선전화기의 고장수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5805666A (en) * 1995-02-28 1998-09-08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26518A (ko) * 1999-09-07 2001-04-06 윤종용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KR20010048748A (ko) * 1999-11-29 2001-06-15 서평원 단말기의 무선 원격 진단 및 장애 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1837A (ja) * 1983-12-05 1985-06-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試験方式
US5805666A (en) * 1995-02-28 1998-09-08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KR0145872B1 (ko) * 1995-09-20 1998-08-17 김광호 셀룰라 이동무선전화기의 고장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26518A (ko) * 1999-09-07 2001-04-06 윤종용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KR20010048748A (ko) * 1999-11-29 2001-06-15 서평원 단말기의 무선 원격 진단 및 장애 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093A (ko) 200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91878A (ja) 遠隔診断・障害対応システム、遠隔診断・障害対応装置、遠隔診断・障害対応指示装置、遠隔診断・障害対応方法、及び遠隔診断・障害対応プログラム
KR20070030145A (ko) 통신장치, 통신상태 검출방법 및 통신상태 검출 프로그램
CN113055225A (zh) 网络故障分析数据的获取方法、终端及服务器
KR100440443B1 (ko)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US20210337011A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ile based on bmc, and medium
US20210173797A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ile based on bmc, and medium
CN115509812A (zh) 一种基于Keepalive双机热备的数据备份方法及服务器
JPH06250886A (ja) 計算機システムの遠隔監視方法及び遠隔計算機管理システム
JP3190880B2 (ja) スタンバイシステム、スタンバイ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513127B2 (ja) ホットスタンバイ高速切替えシステム
US20070050666A1 (en) Computer Network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Monitoring a Server
JP200234209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異常終了検出・復帰方法
KR100286222B1 (ko) 망관리부 자동 재부팅 방법
KR100425109B1 (ko) 세탁기의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95089B1 (ko) 금융 단말기 원격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0242329A (ja) テレメータシステム
JPH09319684A (ja) ヘルスチェック装置
JPH0528074A (ja) 伝送異常処理方式
JP2001147909A (ja) 状態監視システム
CN116450182A (zh) 自动化流程机器人的更新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9980035136A (ko) 브랜치 프로세서(bp)의 원격제어방법
KR20010073689A (ko) 메시지 큐를 이용한 프로세스 기동방법
JP3978028B2 (ja) マシン異常検知システム及び異常検知方法
JP2541502B2 (ja) 制御電文送受信方法
CN117290142A (zh) 核间心跳交互方法、系统、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