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755B1 -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755B1
KR100438755B1 KR10-2001-0043374A KR20010043374A KR100438755B1 KR 100438755 B1 KR100438755 B1 KR 100438755B1 KR 20010043374 A KR20010043374 A KR 20010043374A KR 100438755 B1 KR100438755 B1 KR 10043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wheat
radish
food
powderles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315A (ko
Inventor
김진봉
Original Assignee
김진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봉 filed Critical 김진봉
Priority to KR10-2001-004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7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02Dough mixes; Baking or bread improvers; Premixes
    • A21D10/005Solid, dry or compact materials; Granules;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밀을 이용한 식품에 소화력을 증진시키고 별도의 화학조미료 없이도 단맛 등을 높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밀조성물은 무의 껍질을 탈피하고 탈피된 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며 절단된 무를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시켜 무분말을 형성하는 무분말 제조공정과; 메밀을 탈피, 분쇄한 메밀가루에 대해 상기 무분말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무분말의 함량이 25∼35 부피%가 되도록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메밀 및 무분말을 일정 용기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Description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A BUCKWHEAT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ED BUCKWHEAT FOOD}
본 발명은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효한 성분이 다량 함유된 메밀에 소화력을 증진시키고 조미료 기능을 수행하는 무성분을 첨가한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밀은 전분, 비전분, 다당류, 단백질, 지질, 착색물질 등이 구성성분으로 된 작물로서 주성분이 전분이지만 단백질이 12∼15%가 함유되어 이고 아미노산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리고 메밀은 국수, 냉면, 빵, 묵, 수제비, 부침, 전병, 떡 등의 식품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밀에 일반적인 곡물에서 보다 라이신 함량이 월등히 높고, 총지방산의 39.4%가 리놀산으로 양질의 불포화 지방산이며, 루틴과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비타민P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함량이 높아 성인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식이요법 임상실험결과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밀을 이용한 식품은 소화력이 약한 환자나 쇠약자 등은 그 취식에 다소 제한이 따르므로 소화제와 같은 약품을 섭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메밀을 이용한 식품의 제조시에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과 같은 화학조미료를 투입해야 하므로 건강식품으로서의 효과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메밀을 이용한 식품에 소화력을 증진시키고 별도의 화학조미료 없이도 단맛 등을 높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무의 껍질을 탈피하고 탈피된 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며 절단된 무를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시켜 무분말을 형성하는 무분말 제조공정과; 메밀을 탈피, 분쇄한 메밀가루에 대해 상기 무분말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무분말의 함량이 25∼35 부피%가 되도록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메밀 및 무분말을 일정 용기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메밀가루 제조공정, 20:무즙 제조공정,
30:반죽공정, 40,80:포장공정,
60:혼합공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밀조성물은 메밀을 탈피, 분쇄한 메밀가루에 무를 분쇄한 무즙을 투입, 혼합하여 반죽한 것으로, 메밀이 갖는 특징 즉 라이신 함량이 월등히 높고, 총지방산의 39.4%가 리놀산으로 양질의 불포화 지방산이며, 루틴과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비타민P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함량이 높아 성인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그 고유의 효능에 디아스타아제(Diastase)와 같은 소화효소가 다량 함유된 무를 첨가하므로서 메밀식품에 소화기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무가 갖는 천연 당분 등에 의한 천연조미료 성분에 의해 별도의 화학조미료 사용을 억제하여 건강식품으로서의 효과가 증진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무즙의 함량은 메밀가루에 대하여 그 함량이 5∼70 부피%가 되도록 혼합하므로서 메밀가루의 반죽을 위해 별도의 물을 사용하지 않도록 된 것이다.
특히, 상기 무즙의 함량을 메밀가루에 대해 35∼45부피%로 혼합하여 구성하므로서 메밀식품의 제조성과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메밀을 탈피기로 탈피하고 탈피된 메밀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메밀가루를 만드는 메밀가루 제조공정(10)과, 무의 껍질을 탈피하고 탈피된 무를 믹서기에 넣어 분쇄하여 무즙을 제조하는 무즙 제조공정(20)과, 상기 메밀가루 제조공정에서 형성된 메밀가루에 대해 상기 무즙 제조공정에서 형성된 무즙의 함량이 5∼70 부피%가 되도록 혼합하고 별도의 물없이 반죽하여 메밀반죽을 만드는 반죽공정(30)과, 상기 반죽공정에서 반죽된 메밀반죽을 진공 포장하는 포장공정(40)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밀 가루제조공정과 무즙 제조공정은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는 비순서적인 공정이다.
상기 무즙 제조공정(20)은 분쇄기에 의해 무를 절단, 분쇄한 후 압착기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과 액체가 분리되도록 가압, 여과하여 무즙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방법에 의해 반죽된 상태의 메밀조성물은 소비자가 이를 구매하여 메밀국수, 메밀막국수, 메밀부침, 메밀수제비, 메밀전병 등을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하면 별도로 반죽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반죽시에 물 대신 무즙이 사용되어 해당 식품의 소화흡수력이 향상되고, 혈액순환촉진, 고혈압, 당뇨, 뇌출혈, 냉증, 신경통 등의 성인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밀조성물은 메밀을 탈피, 분쇄한 메밀가루에 분쇄한 메밀가루에 무를 절단 건조시켜 분쇄한 무분말의 함량이 5∼70 부피%가 되도록 혼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밀조성물도 무가 건조되어 분말화된 것이므로 무의 고유성분이 포함되어 메밀 고유의 성분인 라이신, 리놀산, 루틴, 비타민P, 마그네슘, 칼슘 및 칼륨의 함량이 높아 성인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고 무에 포함된 디아스타아제(Diastase)와 같은 소화효소 및 당분에 의해 소화력이 향상되고 화학조미료 사용을 억제하여 건강식품으로서의 효과가 증진된다.
특히, 상기 무분말의 함량을 메밀가루에 대해 25∼35부피%로 혼합하여 구성하므로서 메밀식품의 제조성과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밀을 탈피기로 탈피하고 탈피된 메밀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메밀가루를 만드는 메밀가루 제조공정(50)과, 무의 껍질을 탈피하고 탈피된 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며 절단된 무를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시켜 무분말을 형성하는 무분말 제조공정(60)과, 상기 메밀가루 제조공정에서 형성된 메밀가루에 대해 상기 무분말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무분말의 함량이 5∼70 부피%가 되도록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70)과, 상기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메밀 및 무분말을 일정 용기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8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메밀가루 제조공정과 무분말 제조공정은 비순서적인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 무분말 제조공정(60)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로 무를 저온 건조기에 투입하여 10∼65℃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무말랭이를 분쇄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메밀에 포함된 유효한 성분을 섭취함과 동시에 첨가되는 무 성분에 의해 메밀식품의 소화력이 향상되고 천연조미료의 기능이 수행되어 화학조미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메밀의 건강식품으로서의 기능이 배가될 뿐만 아니라 반죽된 메밀조성물의 경우 별도로 사용자가 반죽하지 않고 손쉽게 구매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무의 껍질을 탈피하고 탈피된 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며 절단된 무를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시켜 무분말을 형성하는 무분말 제조공정과;
    메밀을 탈피, 분쇄한 메밀가루에 대해 상기 무분말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무분말의 함량이 25∼35 부피%가 되도록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에서 혼합된 메밀 및 무분말을 일정 용기에 넣어 포장하는 포장공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분말 제조공정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로 무를 저온 건조기에 투입하여 10∼65℃로 건조시키고 건조된 무말랭이를 분쇄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43374A 2001-07-19 2001-07-19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43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374A KR100438755B1 (ko) 2001-07-19 2001-07-19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374A KR100438755B1 (ko) 2001-07-19 2001-07-19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315A KR20030008315A (ko) 2003-01-25
KR100438755B1 true KR100438755B1 (ko) 2004-07-05

Family

ID=2771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374A KR100438755B1 (ko) 2001-07-19 2001-07-19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7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376A (ko) * 1993-04-30 1994-11-17 박태호 미나리 냉면
KR950010770A (ko) * 1993-10-13 1995-05-15 허남철 건강 야채 국수의 제조방법
KR19980033654A (ko) * 1998-04-29 1998-07-25 최원종 건강 국수
KR20000008605A (ko) * 1998-07-15 2000-02-07 임영기 냉면국수의 제조방법
KR20000030432A (ko) * 2000-02-29 2000-06-05 이운구 매실냉면
KR101295803B1 (ko) * 2009-03-31 2013-08-12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인터넷을 통한 줄기세포은행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3376A (ko) * 1993-04-30 1994-11-17 박태호 미나리 냉면
KR950010770A (ko) * 1993-10-13 1995-05-15 허남철 건강 야채 국수의 제조방법
KR19980033654A (ko) * 1998-04-29 1998-07-25 최원종 건강 국수
KR20000008605A (ko) * 1998-07-15 2000-02-07 임영기 냉면국수의 제조방법
KR20000030432A (ko) * 2000-02-29 2000-06-05 이운구 매실냉면
KR101295803B1 (ko) * 2009-03-31 2013-08-12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인터넷을 통한 줄기세포은행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315A (ko) 200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62164A (ja) 亜鉛含有パスタ
CN102742793B (zh) 一种奶油南瓜紫薯包的制作方法
CN109998118A (zh) 一种功能性营养早餐谷物食品
WO2006132042A1 (ja) 食薬栄養末と油脂
CN104585637A (zh) 一种紫薯燕麦冲调粥及其制备方法
CN102599417B (zh) 杂粮挂面
KR101813446B1 (ko) 매실 추출액을 이용한 국수제조방법
KR102000908B1 (ko) 장단콩가루가 함유된 면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면류
CN103461415B (zh) 一种泥螺面包及其加工方法
KR100438755B1 (ko) 메밀식품의 제조를 위한 메밀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2342410B (zh) 一种黄色杂粮保健产品及其制备方法
CN104054788A (zh) 一种芹菜保健饼干
KR102333231B1 (ko) 산수유 쌀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166499A (ja) 山伏茸を配合した健康食品
KR100370775B1 (ko) 생식이 가능한 곡물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80089A (zh) 一种无花果复合面粉及其制备方法
CN111616360B (zh) 一种海红果助消化片
KR100477854B1 (ko) 천연재료의 분말이 함유된 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03252A (zh) 杂粮挂面
CN103651682A (zh) 一种豆沙月饼的制作方法
KR20020081195A (ko) 식품 조성물
KR101890139B1 (ko) 해삼을 포함하는 영양식품
KR100525518B1 (ko) 은행이 가미된 기능성 어묵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78030A (ko) 홍삼, 한약재, 곡물 혼합 저온 발효 식품
CN106261612A (zh) 一种香菇浆面条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