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219B1 -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219B1
KR100438219B1 KR10-2001-0016854A KR20010016854A KR100438219B1 KR 100438219 B1 KR100438219 B1 KR 100438219B1 KR 20010016854 A KR20010016854 A KR 20010016854A KR 100438219 B1 KR100438219 B1 KR 10043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panel
main panel
join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751A (ko
Inventor
류성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01-001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2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4Joining superposed plates by pie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21D19/08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for flang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 패널 구조의 구조체를 프레스 가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금형의 수를 줄이고, 가공시간을 단축하며, 패널간의 결합이 강화되도록,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접합하는 접합체 형성 단계; 및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는 상기 프레싱 단계에서 목표형태가 되도록 설정된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주 패널용 블랭크의 설정위치에 접합시킨다.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는 최적블랭킹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주 패널의 블랭크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프레싱 단계 후에는, 프레스된 상기 접합체의 접합력을 강화하는 접합력 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의 수행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장치는, 상기 펀치 및 상기 금형 상형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은, 주 패널용 블랭크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펀치 및 상기 금형 상형 중 다른 하나의 표면 또한 주 패널용 블랭크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A METHOD FOR PRESSING BLANK OF MULTI-PANEL STRUCTURE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패널 구조의 구조체를 프레스 가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금형의 수를 줄이고, 가공시간을 단축하며, 패널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press) 가공이라 함은, 판재의 재료에 힘을 가해 소성 변형시켜 패널(panel)의 형상을 형성하는 가공방법이다. 이러한 프레스 가공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은 통상적인 프레스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평판 형태의 블랭크(120)를 프레스 장치(110)에 투입하여 금형(金型; metallic pattern)의 하형(130) 위에 안착시킨 후, 금형 상형(140)이 하압(下壓)하여 홀딩 비드(150; holding bead)를 통해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금형 하형을 구성하는 펀치(160; punch)가 상압(上壓)함으로써, 금형 상형(140)의 굴곡 및 펀치(160)의 형상에 따라 블랭크(120)를 변형시킴으로써 가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금형은, 금형 상형 1개 및 금형 하형을 구성하는 구성 금형 3개 등 총 4개의 금형이 필요하게 된다.
프레싱 공정 후에는, 프레스 장치로부터 패널을 이탈시켜, 홀딩 비드 부위를 절단함으로써 하나의 패널을 완성하게 된다.
절단된 홀딩 비드 부위는 폐기되는데, 이러한 폐 스크랩(scrap)은 투입된 블랭크 부재의 1/4 내지 1/3 정도에 해당하는 많은 양이 되므로, 폐 스크랩을 줄이기위하여, 투입되는 블랭크의 형태를 프레싱 후에 형성될 패널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제작하기 위한 기술(통상 '최적블랭킹 방법' 혹은 'optimal blanking method'이라고 부른다)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문헌을 참조로 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X. Chen and R. Sowerby, "The Development of ideal Blank Shapes by the Method of Plane Stress Characteristics", Int. J. Mech. Sci., Vol. 34, No. 2, pp. 159-166, 1992』, 『K. Chung & O. Richmond, "Sheet forming process design based on ideal forming theory", Proc. NUMIFORM'92, pp. 455-460, 1992』
『이충호, 허훈, "박판금속 성형공정에서의 블랭크 설계 및 변형률 예측", 대한기계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I), pp.451-456, 1995』, 『박상후, "이상적 성형이론과 변형경로 반복법을 이용한 최적 블랭크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pp9-20, 1996』, 『정동원, 이상제, "기하학적 방법을 이용한 초기 박판형상 추정(Prediction of initial blank shape by using geometrical method)", 한국해양공학괴, 제13권 제3(I)호, pp.12-19, 1999.8』 등을 들 수 있다.
최적블랭크의 형상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데, 기하학적 모델링 방법(geometric mapping method), 선형 역사상법(linear inverse mapping method), 이상적 성형이론(ideal forming theory) 등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상기 기하학적 모델링 방법은 블랭크가 성형될 때 블랭크의 소재들이 이동하지 않는 직선(symmetry line)의 존재에 착안하여 이를 기준선으로 하여 프레싱 후의 소재의 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싱 전의 소재의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성형 전의 최적 블랭크의 형상을 계산하고, 상기 선형 역사상법은 유한요소 해석(finite element analysis)에 기초하여 프레싱 후 형상의 유한요소들을 회전(rotation) 및 사영(projection) 사이의 변형을 역으로 추적하여 프레싱 전 형상을 계산하며, 상기 이상적 성형이론은 프레싱 후의 형상, 블랭크의 두께와 재료의 물성(이방성계수, 가공 경화지수, 강성계수, 초기 변형률 등)을 기초로 최소한의 경로로 변형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프레싱 전의 최적 블랭크 형상을 계산한다.
그런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 패널은 경우에 따라서 복수의 패널을 결합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로 제작되기도 하는데, 주 패널에 보강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패널의 일 형태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 패널 구조체의 제작방법은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였다.
즉, 상기 통상적인 프레스 가공 방법에 의하여 주 패널(210) 및 보강 패널(220)을 각각 제작한 후에, 이들을 결합하고, 그 결합체(200)를 스폿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하나의 주 패널에 하나의 보강 패널이 결합되는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주 패널을 제작하기 위한 4개의 금형과, 보강 패널을 제작하기 위한 4*N(여기서 N은 보강 패널의 수이다) 개의 금형 등 총 4N+4 개의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였다.
또한, 각각의 패널을 제작한 후 이들을 접합하여야 하므로, 최종 구조체의 제작에 걸리는 시간은 '단위 프레싱 시간 * 패널의 개수 + 접합에 걸리는 시간' 의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여기서 상기 '단위 프레싱 시간'은 블랭크를 프레싱하여 하나의 패널을 제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별도로 제작된 각 패널을 결합함에 있어 편차가 발생할 소지가 많았으며, 이 경우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한다고 하여도, 완전한 결합을 달성하기 힘들어 강도 부족의 원인이 되고, 특히 상기 구조체가 자동차용 패널인 경우에는 주행시 삐걱거리는 차체 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패널 구조의 구조체를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구성패널의 결합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제작할 수 있는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통상적인 프레스 가공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주 패널에 보강 패널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패널의 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 및 주 패널용 블랭크에의 접합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주 패널용 블랭크에 접합할 때 접합부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장치에서 프레스 가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은,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접합하는 접합체 형성 단계; 및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는 최적블랭킹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주 패널의 블랭크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싱 단계 후에는, 프레스된 상기 접합체의 접합력을 강화하는 접합력 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합력 강화단계는, 복수개소에 스폿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는, 상기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의 설정위치에 연접(連接)시키는(즉, 인접하게 맞대는) 연접단계; 및 상기 연접된 블랭크를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접합시킴으로써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단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위의 접합은 스폿 용접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 중 어느 하나의 블랭크의 상기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를 버링(burring) 하는 단계; 및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 중 다른 하나의 블랭크의 상기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접단계는 상기 버링(burring)에 의해 형성된 벌(burr)을 상기 관통홀에 끼워맞춤으로써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결합하고,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관통홀에 끼워 맞춰진 벌(burr)을 확장시킴으로써 결합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접단계는 접합체의 프레스 후에 보강 패널의 형태가 목표상태에 도달하게 되는 위치에 연접되며, 상기 접합단계에서 접합부위는 접합강도가 보장되도록, 접합체의 프레스 전후에 접합부위의 왜곡이 없는 곳에 설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접단계에서 상기 연접위치는,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 눈금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싱하는 단계; 및 프레싱된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서의 목표형상에 해당되는 눈금자의 프레싱 전의 위치를,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 및 연접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접위치 결정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접합단계에서 상기 접합부위는,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 설정형태의 식별마크를 복수개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싱하는 단계; 및 프레싱된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서 상기 식별마크의 형태의 왜곡이 없는 부위 중 복수 개소를 접합부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부위 결정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의 수행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장치는, 금형 상형과 금형 하형을 구비하여, 상기 금형 하형 위에 투입되는 평판 형태의 블랭크를 금형 상형이 하압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금형 하형을 구성하는 펀치가 상기 블랭크를 상압함으로써 상기 금형 상형의 굴곡 및 상기 펀치의 형상에 따라 블랭크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구조체를 성형하는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치 및 상기 금형 상형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은, 주 패널용 블랭크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스 장치에서, 상기 펀치 및 상기 금형 상형 중 다른 하나의 표면 또한 주 패널용 블랭크에 접합된 하나 이상의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은,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준비(S310)하고, 상기 준비된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주 패널용 블랭크에 접합함으로써 접합체를 형성한 후(S320), 이 접합체를 프레싱하여(S340), 그 결과 형성된 복수 패널 구조체의 접합력을 강화(S350)하는 것이다.
이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준비한다(S310).
이 때,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는 최적블랭킹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주 패널의 블랭크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은 후술되어질 연접위치 결정방법에 의해 결정되어 설정된 형상으로 한다.
구체적인 최적블랭크의 형상 결정은 종래기술에서 지적한 바의 문헌을 기초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준비된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접합체를 형성한다(S320).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S320)는 프레스 과정에서 두 블랭크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설정개소의 설정지점에서 양 블랭크를 접합시키는 것으로 하되, 상기 설정 개소는 통상 2개소 이상의 복수개소이면 충분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S320)는, 상기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의 설정위치에 연접(連接)시키는 연접단계(S325) 및 상기 연접된 블랭크를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접합시키는 접합단계(S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접단계(S325)는 양 블랭크를 인접하게 맞대는 단계이며, 상기 접합단계(S330)는 맞대어진 양 블랭크가 후술되는 프레스 과정에서 두 블랭크가 그 맞대어진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접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접단계(S325)에서 설정위치는, 상기 접합체가 후술할 프레스 단계에 의해 성형될 때 보강 패널의 형태가 목표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설정위치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은 일예로,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먼저,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 눈금자를 표시한 후(S410), 종래 방법에 의한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S420).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는 상기 설정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일회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주 패널용 블랭크를 말한다.
상기 눈금자는 프레스 전후의 위치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에 적합한 임의의 간격으로 보강 패널이 접합될 면에 표시될 수 있고, 그 형태는 일예로 격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눈금자의 표시는 프레스 가공시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에칭(etching), 타각(舵角)등으로 새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눈금자가 표시된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스 가공(S420)하면, 그 눈금자의 형태가 패널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데, 이 변형된 눈금자를 기초로 변형전의 상기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 및 주 패널용 블랭크에 연접되어질 설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430).
다시 도3을 참조로, 상기 접합단계(S330)에서, 상기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는 상기 접합체가 상기 프레스 단계(S340)에서 접합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프레스 단계(S340) 전후에 접합부위의 왜곡이 없는 곳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접합부위의 설정개소 및 설정지점은 일예로, 도 5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설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먼저,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 식별마크를 표시한 후(S510), 종래 방법에 의한 프레스 가공을 실시한다(S520).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는 상기 설정개소 및 설정지점을 결정하기 위해 일회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주 패널용 블랭크를 말한다.
상기 식별마크는 프레스 전후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에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그 형태는 일예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식별마크의 표시는 프레스 가공시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에칭(etching), 타각(舵角)등으로 새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식별마크가 표시된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스 가공(S520)하면, 그 식별마크의 패널 상의 위치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거나 변형되지 아니하는데,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아니하는 위치를 상기 설정지점으로 복수개소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530). 만약 다양한 굴곡으로 인하여 형태가 변형되지 아니하는 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그 형태가 최소로 변형되는 위치를 상기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아니하는 위치로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3을 참조로, 상기 접합단계(S330)는, 연접된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상기 설정개소의 설정지점에 스폿 용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S320)에서 상기와 같이 접합체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한다(S340).
상기 프레싱 단계(S340)는, 통상의 프레싱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하되, 다만 보강 패널이 덧대어지는 부위의 금형은 보강 패널용 블랭크가 변형될 부피를 고려하여 음각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방법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레스 가공 장치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패널(610)의 내측으로 보강 패널(620)이 덧대어지는 구조의 구조체(610,62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형 하형(650)을 구성하는 펀치(640; punch)의 표면이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되는 것이다.
주 패널의 외측으로 보강 패널이 덧대어지는 구조의 구조체의 경우에는 상기 금형 상형(630)이 음각 형성되어짐은 자명하며, 또한 주 패널의 내 외측으로 보강 패널이 복수개소 덧대어지는 구조의 구조체의 경우에는 상기 금형 상형(630) 및 펀치(640) 모두가 음각 형성되어짐은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장치에 의하여 가공되는 상기 접합체는 일체로 프레스 가공되어 복수 패널 구조체로 가공되는 것이다.
상기 접합체 프레싱 단계(S340) 후에는, 프레스 됨으로써 형성된 구조체의 접합력을 강화시킨다(S350).
상기 접합력 강화단계(S350)는,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S320)에서 접합된 접합체의 접합강도가 통상 충분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단계로서, 이는 프레싱된 구조체의 임의의 위치에 복수개소 스폿 용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설정개소의 설정지점에서 양 블랭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프레싱 단계(S340)후에도 그 접합 강도가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상기 접합력 강화단계(S350)를 요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접합체 형성단계(S320)에서는 접합단계(S330)에서 설정개소의 설정지점에 스폿 용접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다음과 같이 접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710)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720) 중 어느 하나의 블랭크의 상기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를 버링(burring) 하는 단계; 및 상기주 패널용 블랭크(710)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720) 중 다른 하나의 블랭크의 상기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관통홀(73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접단계(S320)에서는 상기 버링(burring)에 의해 형성된 벌(740; burr)을 상기 관통홀(730)에 끼워맞춤으로써 주 패널용 블랭크(710)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720)를 결합하고,
상기 접합단계(S330)에서는 상기 관통홀(730)에 끼워 맞춰진 벌(740; burr)을 확장시킴으로써 결합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보강 패널용 블랭크(720)에 벌(740; burr)을, 주 패널용 블랭크(710)에 관통홀(730)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벌(740; burr) 확장은 임의의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여 확장시킬 수 있으나, 단순하게는 정(750)을 망치 등으로 두드림으로써 할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의 블랭크 결합구조는, 제1실시예의 연접단계(S320) 및 접합단계(S330)에서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상대 위치가 흐트러짐이 없도록, 벌(burr)과 관통홀을 블랭크에 미리 형성하여 정확한 위치에 연접 및 접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패널 구조의 구조체를 프레스 가공하기 위하여,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접합한 접합체를 프레싱하기 위한 금형 4개만으로 복수 패널 구조체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결합위치 및 접합부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싱하기 위한 펀치 금형을 포함하더라도 총 5개의 금형이면 복수 패널 구조체를 프레싱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보강 패널이 복수 개 적용되는 경우에도, 더 많은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복수 패널 구조체를 프레스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작에 걸리는 시간도, '접합에 걸리는 시간 + 단위 프레싱 시간' 으로 줄일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호간의 위치가 어긋남이 없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적블랭킹 방법에 의해 결정된 주 패널의 블랭크를 이용하므로 폐 스크랩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삭제
  2. (정정)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 중 어느 하나의 블랭크의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를 버링(burring) 하는 버링단계;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 중 다른 하나의 블랭크의 상기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관통홀형성단계;
    상기 버링(burring)에 의해 형성된 벌(burr)을 상기 관통홀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의 설정위치에 연접(連接)시키는 연접단계;
    상기 관통홀에 끼워 맞춰진 벌(burr)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 및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주 패널용 블랭크는 최적블랭킹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주 패널의 블랭크 형상으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프레싱 단계 후에는, 프레스된 상기 접합체의 접합력을 강화하는 접합력 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접합력 강화단계는, 복수개소에 스폿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접합부위의 접합은 스폿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정정)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주 패널용 블랭크의 설정위치에 연접시키는 연접단계;
    상기 연접된 블랭크를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접합시킴으로써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연접단계에서 상기 연접위치는,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 눈금자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싱하는 단계; 및
    프레싱된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서의 목표형상에 해당되는 눈금자의 프레싱 전의 위치를, 보강 패널용 블랭크의 형상 및 연접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접위치 결정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11. (정정) 보강 패널용 블랭크를 주 패널용 블랭크의 설정위치에 연접시키는 연접단계;
    상기 연접된 블랭크를 설정지점, 설정개소의 접합부위에 접합시킴으로써 접합체를 형성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합체를 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접합단계에서 상기 접합부위는,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 설정형태의 식별마크를 복수개소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를 프레싱하는 단계; 및
    프레싱된 상기 시험 주 패널용 블랭크에서 상기 식별마크의 형태의 왜곡이 없는 부위 중 복수 개소를 접합부위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접합부위 결정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패널 구조체 프레스 가공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1-0016854A 2001-03-30 2001-03-30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KR10043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854A KR100438219B1 (ko) 2001-03-30 2001-03-30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854A KR100438219B1 (ko) 2001-03-30 2001-03-30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751A KR20020076751A (ko) 2002-10-11
KR100438219B1 true KR100438219B1 (ko) 2004-07-02

Family

ID=2769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854A KR100438219B1 (ko) 2001-03-30 2001-03-30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2B1 (ko) 2006-11-01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30B1 (ko) * 2010-09-30 2013-03-11 서진산업 주식회사 테일 게이트 인너 성형 방법
FI125021B (fi) * 2012-09-28 2015-04-30 Rettig Lämpö Oy Menetelmä lämpöpatterin valmistamiseksi
KR101480233B1 (ko) * 2013-06-26 2015-01-09 서진산업 주식회사 시트크로스 멤버의 성형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330A (ja) * 1981-07-30 1983-02-05 Nissan Motor Co Ltd 溝加工用プレス型
JPS5897438A (ja) * 1981-12-04 1983-06-09 Kojima Press Co Ltd スペ−サ取付け方法
JPS6012226A (ja) * 1983-06-30 1985-01-22 Maruyamanoboru Seisakusho:Kk 複数製品のプレス加工方法
JPS6163327A (ja) * 1984-09-06 1986-04-01 Nhk Spring Co Ltd ベルト用無端金属バンドの製造方法
JPH01317628A (ja) * 1988-06-20 1989-12-22 Nagata Kogyo Kk 複層成形品の成形方法
US5813276A (en) * 1995-07-13 1998-09-29 Maeda; Naomi Press die of cement composit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10263716A (ja) * 1997-03-21 1998-10-06 Calsonic Corp 中空パネル状製品素材の二枚同時絞り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プレス装置並びに中空インシ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330A (ja) * 1981-07-30 1983-02-05 Nissan Motor Co Ltd 溝加工用プレス型
JPS5897438A (ja) * 1981-12-04 1983-06-09 Kojima Press Co Ltd スペ−サ取付け方法
JPS6012226A (ja) * 1983-06-30 1985-01-22 Maruyamanoboru Seisakusho:Kk 複数製品のプレス加工方法
JPS6163327A (ja) * 1984-09-06 1986-04-01 Nhk Spring Co Ltd ベルト用無端金属バンドの製造方法
JPH01317628A (ja) * 1988-06-20 1989-12-22 Nagata Kogyo Kk 複層成形品の成形方法
US5813276A (en) * 1995-07-13 1998-09-29 Maeda; Naomi Press die of cement composit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H10263716A (ja) * 1997-03-21 1998-10-06 Calsonic Corp 中空パネル状製品素材の二枚同時絞り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プレス装置並びに中空インシュレ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2B1 (ko) 2006-11-01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751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7017B2 (ja) 伝熱板の製造方法
KR20090007570A (ko) 저-스프링백 하프 쉘과 그러한 저-스프링백 하프 쉘 두 개로 구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1585439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인너패널의 제조방법
WO2006117412A3 (es) Traviesa de refuerzo de parachoques y método para su obtención
TW200803687A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ousing for LCD module and housing made by the same
KR100438219B1 (ko) 복수 패널 구조체의 프레스 가공 방법 및 프레스 장치
JP3767191B2 (ja) 集合ブランクおよびサイドメンバー
CN101844185B (zh) 具有一致厚度过渡部的金属板坯
US201900013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shaped square pipe, device for manufacturing l-shaped square pipe, and l-shaped square pipe
KR100955855B1 (ko) 2매 이상 판재로 성형된 부품의 제조 방법
JP2005041119A (ja) 金属板部材の樹脂インサート成形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板部材の樹脂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S62104633A (ja) 板状部材の固定方法
JP2002361322A (ja) 角形鋼管の製造方法および角形鋼管
JPH10202326A (ja) 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レス成形用板材
JP2004001003A (ja) 板状部材の接合方法
JPH1034328A (ja) 耐低サイクル疲労すみ肉溶接方法
JP2012250261A (ja) ドア補強部材の製造方法及びドア補強部材
JP3727533B2 (ja) 2枚重ね製品の成形方法
KR19990084245A (ko) 보강패널 일체 성형방법
JPH01190532A (ja) 自動車用プレスドアパネルの製造方法
JP4800528B2 (ja) 展開干渉形状を有する板状部品の成形方法
JPH0195818A (ja) 鈑金製箱の加工方法
JP2001328037A (ja) 板金部材の組付け方法及び板金部材の組付け構造
JP2000015333A (ja) ステンレス鋼板製キッチン天板材の形状矯正方法
JPS62156028A (ja) プレスにおける成形性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