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580B1 - 삼치환된페닐유도체 - Google Patents

삼치환된페닐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580B1
KR100437580B1 KR1019970706458A KR19970706458A KR100437580B1 KR 100437580 B1 KR100437580 B1 KR 100437580B1 KR 1019970706458 A KR1019970706458 A KR 1019970706458A KR 19970706458 A KR19970706458 A KR 19970706458A KR 100437580 B1 KR100437580 B1 KR 10043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carbon atoms
rti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049A (ko
Inventor
페터 누쓰바우머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505080.3A external-priority patent/GB9505080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505858.2A external-priority patent/GB950585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526593.0A external-priority patent/GB9526593D0/en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1998070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5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33/5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29/5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in ortho-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5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29/6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6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71/2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4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86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39/88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86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39/94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식에서, 치환체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및 염증성 및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의 그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Description

삼치환된 페닐 유도체{Trisubstituted Phenyl Derivatives}
본 발명은 신규한 유기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특히 증식성 및(또는) 염증성 질환 및 암 치료용 약품으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 특히,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히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R2는 5- 또는 6-위치에 있으며, 단, R1및 R2는 동시에 히드록시 또는 아실옥시일 수 없고,
a) W는 -CH2CH2-를 나타내고, R3은 하기 화학식 1의 기를 나타내며, R4는 하기 화학식 2의 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b) W는 -CH2CH2-, -CH=CH-, -CH2O- 또는 -CH2NR5-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헤테로원자는 고리 B에 결합하고, R5는 수소,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낸다), R3및 R4는 인접 고리 B와 함께 하기 화학식 a 또는 하기 화학식 b의 축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R6은 수소, 알킬, 알콕시 또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X는 산소, 히드록시이미노 또는 알콕시이미노를 나타내고,
R7및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알킬, 아실 또는 알콕시카르보닐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부호---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R9는 수소, 알킬티오, 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아실, 아미노, 아실아미노, 디아실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시아노, 히드록시, 알콕시 또는 머캅토를 나타내며,
Y는 N 또는 CR11를 나타내며,
R10은 수소, 알킬, 아실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알킬을 나타내며,
R11은 수소, 알콕시카르보닐, 시아노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Z는 O 또는 S를 나타내며,
V는 부호---가 단일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NH를 나타내고, 부호---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N을 나타내며,
단, R9가 히드록시 또는 머캅토를 나타내고 Y가 N을 나타내는 경우, 화합물은 주로 하기 화학식 It의 토토머 형태, 또는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존재하며, 본원에서는 간단히 "본 발명의 화합물"로 지칭한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9'는 O 또는 S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관심있는 약리 활성, 특히 항증식, 항염증 및 항종양 활성을 갖는다.
알킬은 그 자체로 또는 알콕시와 같은 치환체의 일부로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특히, 메틸 또는 에틸이다. 아실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의 잔기, 특히 알킬, 아릴알킬 또는 아릴 카르복실산의 잔기이고, 여기에서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페닐이고, 카르보닐기를 포함한 아실의 알킬렌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바람직한 아실 잔기는 아세틸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군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고, W는 -CH2CH2-를 나타내며, R3및 R4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축합 고리계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군은 하기 화학식 Ip 또는 하기 화학식 Ip'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R1p 및 R2p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히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R2p는 5- 또는 6-위치에 있으며, 단, R1p및 R2p는 동시에 히드록시 또는 아실옥시일 수 없고,
R9p는 수소, 알킬, 알콕시카르보닐, 아실, 아미노, 아실아미노, 디아실아미노,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시아노,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Yp는 N 또는 CH를 나타내며,
R10p는 수소, 알킬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단, R9p가 히드록시를 나타내고 Yp가 N을 나타내는 경우, 화합물은 주로 하기 화학식 Ipt의 토토머 형태, 또는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존재한다.
Figure pct00009
추가의 바람직한 군은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 Io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R1o 및 R2o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알킬, 아실 또는 알콕시를 나타내고,
R6o, R7o, R8o 및 Xo는 R6, R7, R8및 X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달리 설명하지 않으면, 알킬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 특히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구체적으로 1 내지 6개, 및 특히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이다. 치환체로서 또는 치환체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저급 알킬은 직쇄 또는 분지쇄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 특히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추가의 바람직한 군은 하기 화학식 Is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R1s는 히드록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고;
R2s는 히드록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며, 5- 또는 6-위치에 있고, 여기에서, R1s 및 R2s는 동시에 히드록시일 수 없으며,
a) Ws는 -CH2CH2-이고;
R3s는 화학식 -COR6s의 기 (여기에서, R6s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 또는 아미노이다)이며,
R4s는 아미노,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아미노, 각각의 알킬부에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알킬아미노, 알킬부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또는 알콕시부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이거나,
b) Ws는 -CH2CH2-, -CH2NH-, -CH2O- 또는 -CH=CH-이고 (여기에서, 질소 또는 산소 원자는 고리 B에 결합한다),
R3s 및 R4s는 고리 B와 함께 하기 화학식 as 또는 bs의 축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부호---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고;
R9s는 수소,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티오,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아미노, 디아세틸아미노,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아미노, 히드록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 또는 머캅토이며;
Ys는 N 또는 CR11s이며 (여기에서, R11s는 수소이거나, 알콕시부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이며),
R10s는 수소,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알콕시부에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알콕시벤질이며;
Z 및 V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단, R9s가 히드록시 또는 머캅토이고 Ys가 N이면, 화합물은 주로 하기 화학식 Its의 토토머 형태, 또는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존재한다.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R'9s는 O 또는 S이다.)
더욱 추가로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군은 하기 화학식 Iss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15
상기 식에서,
R1ss는 히드록시,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고;
R2ss는 히드록시 또는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며, 5- 또는 6-위치에 있으며, 여기에서, R1ss 및 R2ss는 동시에 히드록시일 수 없으며,
Wss는 -CH2CH2-, -CH2NH-, -CH2O- 또는 -CH=CH-이고, 여기에서, 질소 또는 산소 원자는 고리 B에 결합하며;
R3ss 및 R4ss는 고리 B와 함께 하기 화학식 ass 또는 bss의 축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상기 식에서,
부호---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이고;
R9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0ss는 수소, 메틸, 2,5-디메톡시벤질 또는 2,6-디메톡시벤질이며;
Z 및 V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여기에서, R9s가 히드록시 또는 머캅토이면, 화합물은 주로 하기 화학식 Itss의 토토머 형태, 또는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존재한다.
Figure pct00018
(상기 식에서, R1ss및 R2ss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R'9SS는 산소 또는 황이다.)
화학식 Iss의 화합물의 하위군에서, R1ss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다. 추가의 하위군에서, R2ss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다. 추가의 하위군에서, Wss는 -CH2CH2-이다. 추가의 하위군에서, R3ss 및 R4ss는 고리 B와 함께 화학식 ass 또는 bss의 축합 고리계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R9s는 각각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알콕시이고; R10ss는 수소, 메틸 또는 2,5- 또는 2,6-디메톡시벤질이며; Z는 O이며; V는 N이며; 부호---는 이중 결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방법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하기 화학식 IIa, IIb 또는 IIc의 화합물을 통상의 방식으로 환원시키는, 하기 화학식 Ia 및 Ib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상기 식에서, 치환체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는
b) 하기 화학식 IIIa 또는 하기 화학식 IIIb의 모노시클릭 전구체로부터 출발하여, 퀴놀린 및 퀴나졸린의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 비시클릭 고리계의 헤테로사이클을 폐환시키는, 하기 화학식 Ic 및 Id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상기 식에서,
R9''는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킬이고,
R'7은 알킬을 나타내며,
R'8은 알콕시카르보닐, 시아노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다른 치환체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는
c)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하기 화학식 Ie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상기 식에서,
D는 O 또는 NR5를 나타내고,
R12는 이탈기를 나타내며,
다른 치환체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는
d)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커플링시키는, 하기 화학식 If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상기 식에서,
R13은 Sn(알킬)3-기 또는 B(R14)2-기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R14는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를 나타내거나, 2개의 치환체가 붕소 원자와 함께 9-보라-비시클로노난 또는 카테콜보란으로부터 유도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치환체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는
e) 화학식 I의 상이한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관능기 전환, 예를 들면, 에스테르, 아미드 및 에테르 절단,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 관능기의 아실화 및 알킬화, 탈카르복실화에 의해,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계의 화학적 조작, 예를 들면, -C=N- 결합의 환원 또는 -C=N- 결합에의 부가반응에 의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들 반응에서, 관능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반응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회수한다.
방법 a)를 바람직하게는 Pd, Pt 또는 Rh, 가장 바람직하게는 목탄상 Pd와 같은 수소첨가 촉매와 함께 수소를 사용하는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의 수소첨가 반응을 위한, 및 불활성 용매, 예를 들면, 알코올 중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리드와 같은 복합 금속 수소화물을 사용하는 쉬프(Schiff)-염기 (화학식 IIc)의 환원반응을 위한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방법 b)를 적절하게 치환된 벤젠 유도체로부터 출발하여 벤젠 고리에 융합된 헤테로사이클의 합성을 위한 표준 반응에 따라 수행한다.
방법 c)를 -20 내지 12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60℃의 온도에서 아세톤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불활성 용매 및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중에서 적합한 염기,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카르보네이트 또는 알칼리 하이드리드의 존재하에 벤질 할로게나이드, 벤질 술페이트 또는 벤질 메실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벤질브로마이드를 사용하는 O- 및 N-알킬화에 대한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방법 d)를 전이 금속 촉매하에,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VIIIb의 알킨에 보론하이드리드를 아릴할로게나이드, 바람직하게는 아릴요오다이드 및 아릴브로마이드와 함께 첨가하여 제조된 비닐보란의 커플링 또는 비닐스탄난의 커플링 (스틸레(Stille) 커플링)에 대한 표준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과 반응시키거나, 하기 화학식 VIIIa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Xa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IIa의 출발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상기 식에서, 치환체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W-는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를 나타낸다). 본 방법은 -7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염기, 예를 들면, 알킬 리튬, 알칼리 하이드리드 또는 알칼리 아미드, 예를 들면, 나트륨 아미드 및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또는 알칼리 알코올레이트로 인 성분을 처리하고,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0℃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톨루엔 또는 디메틸술폭시드와 같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카르보닐 성분으로동시에 또는 후속적으로 전환시킴에 의한, 비티히(Wittig)/호르너(Horner)/에몬스(Emmons) 유형 반응에 대한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세틸렌을 사용하는 할로올레핀의 헤크(Heck) 반응에 대한 표준 절차에 따라, 하기 화학식 VIIIb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Xb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IIb의 출발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상기 식에서, 치환체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R15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요오드를 나타낸다.)
화학식 III의 출발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출발 물질 및 중간물질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법에 따라 또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하기 실시예에서, 온도는 섭씨 온도(℃)이다.
실시예 1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세틸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방법 a)
5-[2-(2,5-디메톡시페닐)에테닐]-2-아세틸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 150㎎을 에틸 아세테이트 10㎖에 용해시켰다. 팔라듐 (목탄 상 10%) 25㎎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 상에 여과시켰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81-83℃.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0
실시예 R1 R2 R6 R7 R8 X 융점
2 OCH3 5-OCH3 O-nBu Ac H O 58℃
3 -"- 6-OCH3 OCH3 Ac H O 108℃
4 -"- 5-OCH3 CH3 H H O 오일
5 -"- -"- NH2 H H O 112℃
실시예 6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에틸-퀴나졸린(방법 a)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에틸-퀴나졸린 150㎎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중에 용해시켰다. 팔라듐 (목탄 상 10%) 20㎎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 밤새 교반하고 후속적으로 셀라이트 상에 여과시켰다.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시클로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74℃.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B, 화학식 C 및 화학식 D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실시예 형태 W R1 R2 Y R9 Z R10 융점
7 C -CH2CH2- OCH3 5-OCH3 - - O H 157℃
8 B -"- -"- -"- N OC2H5 - - 80℃
9 B -"- -"- -"- N NAc2 - - 118℃
10 B -"- -"- 6-OCH3 N OCH3 - - 133-135℃
11 C -"- -"- -"- - - O H 198-201℃
12 B -"- OH 5-OCH3 N OCH3 - - 176-180℃
13 B -"- OCH3 -"- N NHCH3 - - 147-150℃
14 B -"- -"- 5-OH N OCH3 - - 174-176℃
15 B -"- -"- 5-OCH3 N H - - 78-80℃
16 B -"- -"- -"- N OCH3 - - 62℃
17 B -"- -"- -"- N CH3 - - 70℃
18 B -"- OC2H5 5-OC2H5 N C2H5 - - 80℃
19 B -"- C2H5 5-C2H5 N -"- - - 42℃
20 B -"- OCH3 6-OCH3 N -"- - - 104-108℃
실시예 21
6-(2,5-디메톡시벤질아미노)-3H-퀴나졸린-4-온(방법 a)
건조 메탄올 12㎖ 중 6-아미노-3H-퀴나졸린-4-온 200㎎과 2,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206㎎의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황색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 메탄올 10㎖에 재현탁시켰다. 이 혼합물을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리드 85㎎으로 처리하고, 모든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수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물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하여 순수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203-205℃.
실시예 22
(2,5-디메톡시페닐)에틸-4-히드록시-3-퀴놀린 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방법 b)
디에틸 {4-[2-(2,5-디메톡시페닐)에틸]아닐리노}메틸렌-말로네이트 1.48g를 가온 디페닐에테르 20㎖에 용해시키고 30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냉 혼합물을 펜탄으로 희석하고, 침전을 모으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사를 이소프로판올로부터 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을 띤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95-198℃.
실시예 23
6-(2,5-디메톡시벤질옥시)-3H-퀴나졸린-4-온(방법 b)
5-(2,5-디메톡시벤질옥시)-2-포르밀아미노벤즈아미드 90㎎을 용매 없이 쿠겔로어(Kugelrohr) 장치내에서 1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결정을 수득하였다. 융점 155-158℃.
실시예 24
3-(2,6-디메톡시벤질)-6-(2,5-디메톡시벤질옥시)-3H-퀴나졸린-4-온(방법 c)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80%) 12㎎를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 10㎖ 중 3-(2,6-디메톡시벤질)-6-히드록시-3H-퀴나졸린-4-온 115㎎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2,5-디메톡시벤질브로마이드 85㎎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수성 pH7 완충 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2/1)시킨 후 순수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48-150℃.
실시예 24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B 및 C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형태 W R1 R2 Z R10 Y R9 융점
25 C -CH2O- OCH3 5-OCH3 O 2,5-DMB - - 92℃
26 C -CH2O- OCH3 6-OCH3 O 2,6-DMB - - 167-170℃
27 B -CH2O- OCH3 6-OCH3 - - N OCH3 170-172℃
2,5-DMB = 2,5-디메톡시벤질
2,6-DMB = 2,6-디메톡시벤질
실시예 28
(E)-6-[2-(2,5-디메톡시페닐)에테닐]-4-메톡시퀴나졸린(방법 d)
아르곤 대기하 0℃에서, 2,5-디메톡시페닐아세틸렌 500㎎을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 30㎖에 용해시키고, 9-보란비시클로[3.3.1]노난 450㎎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6-요오도-4-메톡시퀴나졸린 650㎎, 인산칼륨 800㎎,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64㎎과 디옥산 15㎖를 비닐보란 중간물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물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을 띤 오일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8.77 (s, 1H), 8.19 (d, J=2㎐, 1H), 8.10 (dd, J=2+8.8㎐, 1H), 7.90 (d, J=8.8㎐, 1H), 7.60 (d, J=16.5㎐, 1H), 7.24 (d, J=16.5㎐, 1H), 7.18 (d, J=2.4㎐, 1H), 6.80-6.90 (m, 2H), 4.21 (s, 3H), 3.88 (s, 3H), 3.84 (s, 3H).
실시예 28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W R1 R2 Y R9 융점
29 -CH=CH-(E) OCH3 5-OCH3 N C2H5 105℃
실시예 30
6-[2-(2,5-디메톡시페닐)에틸]-3-메틸-4-퀴나졸리논(방법 e)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퀴나졸리논 34㎎을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 4㎖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80%) 4㎎으로 처리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메틸 요오다이드 0.1㎖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2)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83-85℃.
실시예 30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B 및 C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형태 W R1 R2 Y R9 Z R10 융점
31 C -CH2CH2- OCH3 5-OCH3 - - O 2,5-DMB 78-80℃
32 C -CH2O- -"- -"- - - O CH3 150℃
33 B -CH2CH2- -"- -"-
Figure pct00044
OCH3 - - 150-151℃
34 C -"- -"- 6-OCH3 - - O 2,6-DMB 140-142℃
실시예 35
6-[2-(2,5-디메톡시페닐)에틸]-2,3-디히드로-1H-퀴나졸린-4-온(방법 e)
6-[2-(2,5-디메톡시페닐)에틸]-3H-퀴나졸린-4-온 130㎎을 아세트산 3㎖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보로하이드리드 58㎎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2M 수성 pH7 완충 용액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38-140℃.
실시예 35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D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W R1 R2 Z R10 융점
36 -CH2CH2- OCH3 5-OCH3 O CH3 110-112℃
실시예 37
4-아미노-6-[2-(2,5-디메톡시페닐)에틸]-퀴나졸린(방법 e)
디옥산 중 4-디아세틸아미노-6-[2-(2,5-디메톡시페닐)에틸]-퀴나졸린 50㎎과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의 용액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다시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60-165℃.
실시예 38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이소프로필옥시퀴나졸린(방법 e)
6-[2-(2,5-디메톡시페닐)에틸]-3H-퀴나졸린-4-온 150㎎을 환류에서 옥시염화인 5㎖과 오염화인 100㎎과 함께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 다음, 빙냉 2M 수성 pH7 완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켜 조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클로로퀴나졸린을 수득하여,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사용하거나,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조중간물질을 이소프로판올 중 나트륨 이소프로폭시드 (이소프로판올 20㎖ 중 나트륨 8.3㎎으로부터 제조)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물에 따루어 부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조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2/1)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8.73 (s, 1H), 7.92 (d, J=2㎐, 1H), 7.82 (d, J=8.5㎐, 1H), 7.66 (dd, J=2+8.5㎐, 1H), 6.68-6.80 (m, 3H), 5.62 (sep, J=6.2㎐, 1H), 3.77 (s, 3H), 3.71 (s, 3H), 2.91-3.1 (m, 4H), 1.47 (d, J=6.2㎐, 6H).
실시예 38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형태 W R1 R2 Y R9 Z R10 융점
39 B -CH2CH2- OCH3 5-OCH3 N SCH3 - - 95℃
40 C -"- -"- -"- - - S H 185-190℃
실시예 41
6-[2-(5-히드록시-2-메톡시페닐)에틸]-3H-퀴나졸린-4-온(방법 e)
6-[2-(5-히드록시-2-메톡시페닐)에틸]-4-메톡시퀴나졸린 90㎎을 메탄올 8㎖에 용해시키고, 4N 수성 염산 1㎖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2M 수성 pH7 완충액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9/1)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221-224℃.
실시예 42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방법 e)
건조 디클로로메탄 6㎖ 중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 115㎎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50㎎의 혼합물을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35㎎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수성 pH7 완충용액에 따루어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8/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80-82℃.
실시예 43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메틸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방법 e)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 110㎎을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 6㎖에 용해시키고,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80%) 13㎎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메틸 요오다이드 0.2㎖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수성 pH7 완충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7/1)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73℃.
실시예 43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R1 R2 R6 R7 R8 X 융점
44 OCH3 5-OCH3 OCH3 CH3 CH3 O 오일
실시예 45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세틸아미노 벤조산 에틸에스테르(방법 e)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세틸아미노-벤조산 부틸에스테르 93㎎, 리튬 브로마이드 100㎎,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55㎎과 건조 에탄올 4㎖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0.1N 수성 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6/1)에 의해 순수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93℃.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R1 R2 R6 R7 R8 X 융점
46 OCH3 6-OCH3 OC2H5 Ac H O 87-90℃
실시예 45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W R1 R2 Y R9 융점
47 CH2CH2 OCH3 5-OCH3
Figure pct00045
OH 189-193℃
실시예 48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방법 e)
5-[2-(2,5-디메톡시페닐)에틸]-2-아세틸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 87㎎을 메탄올 6㎖에 용해시키고, 4N 염산 1㎖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6/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50-55℃.
실시예 48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R1 R2 R6 R7 R8 X 융점
49 OCH3 6-OCH3 OC2H5 H H O 53-55℃
50 -"- 5-OCH3 -"- H H O 오일
51 -"- 6-OCH3 OCH3 H H O 90-93℃
실시예 52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히드록시-퀴놀린(방법 e)
a)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히드록시-3-퀴놀린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 300㎎을 메탄올 10㎖에 용해시키고, 10%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2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1N 염산에 따루어 붓고, 에탄올 3%를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켜 상응하는 유리 카르복실산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48-151℃.
b)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히드록시-3-퀴놀린 카르복실산 150㎎을 열 디페닐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1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냉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6N 염산으로 추출하였다. 산성 수성층을 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한 다음, 수산화암모늄 수용액을 사용하여 중화시켰다(pH 7).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디클로로메탄/메탄올=95/5)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을 띤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41-145℃.
실시예 52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W R1 R2 Y R9 융점
53 -CH2CH2- OCH3 5-OCH3 -CH= OCH3 오일
1H-NMR (CDCl3): 8.36 (d, J=2㎐, 1H), 7.52 (dd, J=2+8.6㎐, 1H), 7.48 (d, J=7.7㎐, 1H), 7.32 (d, J=8.6㎐, 1H), 6.68-6.78 (m, 3H), 6.26 (d, J=7.7㎐), 3.80 (s, 3H), 3.79 (s, 3H), 3.74 (s, 3H), 2.90-3.04 (m, 4H).
출발 물질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 5-[2-(2,5-디메톡시페닐)에테닐]-2-아세틸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
4.1밀리몰의 n-부틸리튬 (헥산 중 1.6M 용액 0.4㎖)을 -40℃에서 건조 테트라히드로푸란 30㎖ 중 디이소프로필아민 412㎎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2,5-디메톡시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672㎎을 이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추가의 30분 동안 교반하고, -70℃로 냉각시키고,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 8㎖ 중 2-아세틸아미노-5-포르밀-벤조산 메틸에스테르 300㎎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염화암모늄 수용액에 따루어 부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고,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9/1)시켜 표제 화합물을 E- 및 Z-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1H-NMR (CDCl3): 11.05 (s, 1H E-이성질체), 11.00 (s, 1H Z-이성질체), 8.72 (d, J=8.8㎐, 1H E-이성질체), 8.52 (d, J=8.8㎐, 1H Z-이성질체), 8.16 (d, J=2.2㎐, 1H E-이성질체), 7.95 (d, J=2.2㎐, 1H Z-이성질체), 7.74 (dd, J=2.2+8.8㎐, 1H E-이성질체), 7.42 (dd, J=2.2+8.8㎐, 1H Z-이성질체), 7.41 (d, J=16.4㎐, 1H E-이성질체), 7.14 (d, J=2.6㎐, 1H E-이성질체), 7.05 (d, J=16.4㎐, 1H E-이성질체), 6.72-6.89 (m), 6.67 (d, J=12.2㎐, 1H Z-이성질체), 6.55 (d, J=12.2㎐, 1H Z-이성질체), 3.97 (s, 3H E-이성질체), 3.87 (s), 3.83 (s, 3H E-이성질체), 3.78 (s, 3H Z-이성질체), 3.59 (s, 3H Z-이성질체), 2.25 (s, 3H E-이성질체), 2.22 (s, 3H Z-이성질체).
B) (E)-5-[2-(2,6-디메톡시페닐)에테닐]-2-아세틸아미노 벤조산 메틸에스테르
A)항 하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표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11.07 (s, 1H), 8.68 (d, J=8.8㎐, 1H), 8.13 (d, J=2.2㎐, 1H), 7.76 (dd, J=2.2+8.8㎐, 1H), 7.54 (d, J=16.6㎐, 1H), 7.41 (d, J=16.6㎐, 1H), 7.18 (t, J=8.3㎐, 1H), 6.60 (d, J=8.3㎐, 2H), 3.96 (s, 3H), 3.91 (s, 6H), 2.25 (s, 3H).
C) (E/Z)-5-[2-(2,5-디메톡시페닐)에테닐]-2-아세틸아미노-벤조산 부틸에스테르
A)항 하에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표제 물질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11.10 (s, 1H E-이성질체), 11.06 (s, 1H Z-이성질체), 8.70 (d, J=8.8㎐, 1H E-이성질체), 8.54 (d, J=8.8㎐, 1H Z-이성질체), 8.12 (d, J=2.2㎐, 1H E-이성질체), 7.96 (d, J=2.2㎐, 1H Z-이성질체), 7.74 (dd, J=2.2+8.8㎐, 1H E-이성질체), 7.42 (dd, J=2.2+8.8㎐, 1H Z-이성질체), 7.41 (d, J=16.4㎐, 1H E-이성질체), 7.14 (d, J=2.6㎐, 1H E-이성질체), 7.05 (d, J=16.4㎐, 1H E-이성질체), 6.72-6.89 (m), 6.67 (d, J=12.2㎐, 1H Z-이성질체), 6.65 (d, J=12.2㎐, 1H Z-이성질체), 4.36 (t, J=6.5㎐, 2H E-이성질체), 4.23 (t, J=6.5㎐, 2H Z-이성질체), 3.86 (s, 3H E-이성질체), 3.82 (s, 3H E-이성질체), 3.77 (s, 3H Z-이성질체), 3.58 (s, 3H Z-이성질체), 2.24 (s, 3H E-이성질체), 2.21 (s, 3H Z-이성질체), 1.20-1.85 (m), 1.02 (t, J=7.3㎐, 3H E-이성질체), 0.96 (t, J=7.3㎐, 3H Z-이성질체).
D)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에틸-퀴나졸린
a) 6-요오도-4-에틸-퀴나졸린
나트륨 154㎎을 건조 메탄올 20㎖에 용해시키고, 4-클로로-6-요도도-퀴나졸린 1.2g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한 다음,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잔사를 수성 pH7 완충 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잔사를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상에 여과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킨 후, 표제 화합물을 약간의 황색을 띤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10-113℃.
b)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에틸-6-퀴나졸린
아르곤을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 12㎖ 중 6-요오도-4-메톡시-퀴나졸린 200㎎의 용액을 통하여 15분 동안 통과시켰다. 이어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40㎎, (2,5-디메톡시페닐)아세틸렌 113㎎, 요오드화구리(I) 11㎎과 트리에틸아민 22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겔,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2/1)시킨 후 순수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03-105℃.
D)항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다음의 화학식 IIb의 화합물 (E-Q)들을 수득하였다.
E)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퀴나졸린-4-온, 융점: 180-183℃.
F) 6-[2-(2,6-디메톡시페닐)에티닐]-4-메톡시-퀴나졸린, 융점: 140-142℃.
G)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에톡시-퀴나졸린, 융점: 75-77℃.
H) 6-[2-(2,6-디메톡시페닐)에티닐]퀴나졸린-4-온, 융점: 219-221℃.
I) 6-[2-(2-벤질옥시-5-메톡시페닐)에티닐]-4-메톡시-퀴나졸린, 융점: 112-114℃.
J)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메틸-퀴나졸린, 융점: 113-116℃.
K)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메톡시-퀴나졸린, 융점: 103-105℃.
L) 6-[2-(2,5-디에틸페닐)에티닐]-4-에틸-퀴나졸린, 융점: 56℃.
M) 6-[2-(2,6-디메톡시페닐)에티닐]-4-에틸-퀴나졸린, 융점: 155-157℃.
N) 5-[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2-아미노-벤즈아미드
1H-NMR (d3-DMSO): 7.90 (br s, 1H), 7.75 (d, J=2㎐, 1H), 7.27 (dd, J=2+8.5㎐, 1H), 7.15 (br s, 1H), 6.93-7.05 (m, 4H), 6.90 (dd, J=3+8.8㎐, 1H), 6.71 (d, J=8.5㎐, 1H), 3.79 (s, 3H), 3.72 (s, 3H).
O) 6-[2-(2,5-디에톡시페닐)에티닐]-4-에틸-퀴나졸린
1H-NMR (CDCl3): 9.21 (s, 1H), 8.30 (m, 1H), 7.93-8.04 (m, 2H), 7.08 (m, 1H), 6.82-7.1 (m, 2H), 4.13 (qua, J=7㎐, 2H), 4.02 (qua, J=7㎐, 2H), 3.32 (qua, J=7.5㎐, 2H), 1.50 (t, J=7㎐, 3H), 1.48 (t, J=7.5㎐, 3H), 1.41 (t, J=7㎐, 3H).
P) 6-[2-(5-벤질옥시-2-메톡시페닐)에티닐]-4-메톡시퀴나졸린
1H-NMR (CDCl3): 8.81 (s, 1H), 8.37 (d, J=1.8㎐, 1H), 7.96 (dd, J=1.8+8.6㎐, 1H), 7.89 (d, J=8.6㎐, 1H), 7.30-7.50 (m, 5H), 7.18 (d, J=3㎐, 1H), 6.98 (dd, J=3+9㎐, 1H), 6.85 (d, J=9㎐, 1H), 5.05 (s, 2H), 6.20 (s, 3H), 3.90 (s, 3H).
Q) 6-[2-(2,5-디메톡시페닐)]퀴나졸린, 융점: 100-102℃.
R) 4-디아세틸아미노-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퀴나졸린
a) 4-아미노-6-요오도-퀴나졸린
4-클로로-6-요오도-퀴나졸린 500㎎을 수산화암모늄 수용액 30㎖로 처리하고 2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침전된 표제 화합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1H-NMR (d6-DMSO): 8.66 (d, J=1.8㎐, 1H), 8.4 (s, 1H), 8.02 (dd, J=1.8+8.7㎐, 1H), 7.85 (br s, 2H), 7.45 (d, J=8.7㎐, 1H).
b) 4-디아세틸아미노-6-요오도-퀴나졸린
4-아미노-6-요오도-퀴나졸린 340㎎, 피리딘 1㎖과 아세트산 무수물 20㎖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냉 혼합물을 얼음/물에 따루어 붓고, 격렬하게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시클로헥산=2/1) 정제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9.36 (s, 1H), 8.22 (dd, J=1.9+8.9㎐, 1H), 8.17 (d, J=1.8㎐, 1H), 7.90 (d, J=8.9㎐, 1H), 2.34 (s, 6H).
c) 4-디아세틸아미노-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퀴나졸린
표제 물질을 C/b항 하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수득하였다.
1H-NMR (CDCl3): 9.33 (s, 1H), 8.09 (dd, J=0.7+8.8㎐, 1H), 8.04 (dd, J=1.65+8.8㎐, 1H), 7.95 (dd, J=0.7+1.65㎐, 1H), 7.06 (d, J=2.9㎐, 1H), 6.90 (dd, J=2.9+9㎐, 1H), 6.82 (d, J=9㎐, 1H), 3.86 (s, 3H), 3.76 (s, 3H), 2.30 (s, 6H).
S)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메틸아미노-퀴나졸린
a) 6-요오도-4-메틸아미노-퀴나졸린:
4-아미노-6-요오도-퀴나졸린의 합성에 대해 설명된 방법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융점: 245℃.
b)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4-메틸아미노-퀴나졸린
표제 물질을 D/b항 하에 기재된 바와 유사하게 수득하였다.
T) 6-[2-(2,5-디메톡시페닐)에티닐]-퀴나졸린
U) 디에틸 {4-[2-(2,5-디메톡시페닐)에틸]아닐리노}메틸렌-말로네이트
4-[(2,5-디메톡시페닐)에틸]아닐린 820㎎과 디에틸 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 690㎎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95℃로 가열하였다. 냉각하여 생성물을 결정화시키고,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1H-NMR (CDCl3): 10.98 (d, J=13.8㎐, 1H), 8.51 (d, J=13.8㎐, 1H), 7.14-7.22 (m, 2H), 7.01-7.09 (m, 2H), 6.78 (d, J=8.7㎐, 1H), 6.70 (dd, J=3+8.7㎐, 1H), 6.66 (d, J=3㎐, 1H), 4.31 (qua, J=7.1㎐, 2H), 4.24 (qua, J=7.1㎐, 2H), 3.78 (s, 3H), 3.74 (s, 3H), 2.86 (s, 4H), 1.38 (t, J=7.1㎐, 3H), 1.33 (t, J=7.1㎐, 3H).
V) 5-(2,5-디메톡시벤질옥시)-2-포르밀아미노벤즈아미드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 15㎖ 중 2-포르밀아미노-5-히드록시벤즈아미드 140㎎의 용액을 후속적으로 탄산칼륨 160㎎과 2,5-디메톡시벤질브로마이드 180㎎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진공에서 증류 제거하였다. 잔사를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고, 분리된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135-138℃.
W) 3-(2,6-디메톡시벤질)-6-히드록시-3H-퀴나졸린-4-온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80%) 76㎎을 건조 디메틸포름아미드 20㎖ 중 6-히드록시-3H-퀴나졸린-4-온 400㎎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2,6-디메톡시벤질브로마이드 560㎎을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수성 pH7-완충 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소량의 N,O-비스-알킬화된 생성물에 이어 순수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으로 수득하였다. 융점: 243-245℃.
X) 3-(2,5-디메톡시벤질)-6-히드록시-3H-퀴나졸린-4-온
V)항 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융점: 203℃.
Y) 6-히드록시-4-메톡시퀴나졸린
6-히드록시-3H-퀴나졸린-4-온 200㎎과 포스포릴클로라이드 5㎖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로 가열하였다. 과량의 포스포릴클로라이드를 진공에서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건조 메탄올 중 나트륨 메톡시드 (80㎎ 나트륨으로 제조)의 용액에 용해시켰다. 2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사를 수성 pH7-완충 용액과 에틸 아세테이트에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에서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다음 반응에서 직접 사용하거나 실리카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1H-NMR (d6-DMSO): 10.25 (br.s, 1H), 8.61 (s, 1H), 7.79 (d, J=9㎐, 1H), 7.45 (dd, J=2.8+9㎐, 1H), 7.32 (d, J=2.8㎐, 1H), 4.09 (s, 3H).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익한 화학치료 특성을 갖고, 국소, 전신 또는 경구 투여에서 항증식/항염증 및(또는) 항암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 활성은 하기 시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실험에서는 하기의 약자를 사용한다:
BSA : 소 혈청 알부민
HaCaT : "성인 칼슘 체온(human adult calcium temperature)"으로 공지된 세포주
HeLa-O : 사람 경부(cervix)로부터의 종양 세포주
A375 : 사람 멜라노마 세포주
A549 : 사람 폐암 세포주
MDA-MB-231 : 사람 유방암 세포주
SW-480 : 사람 대장암 세포주
DMEM : 둘베코(Dulbecco's) 개량 이글(eagle) 배지
EGF : 표피 성장 인자
FCS : 태송아지 혈청
TGFα : 형질전환 성장 인자 α
BSA : 소 혈청 알부민
MDA-MB-435 : 사람 유방암 세포주
HT-29 : 사람 대장암 세포주
1. 사람 각질세포(keratinocyte) 세포주 HaCaT에서 증식의 억제:
정상 각질세포의 표현형 분화 특성을 매우 많이 보유하는, 자연 발생적으로 형질전환된, TGFα- 및 EGF-수용체 양성 비발암성 사람 각질세포 세포주인 HaCaT 세포 (Boukamp 등, J. Cell. Biol. 106: 761-771 [1988])를 2.2g/ℓ NaHCO3, 0.11g/ℓ 피루브산나트륨, 15mM Hepes, 5% 태송아지 혈청(FCS), 페니실린 (100U/㎖), 스트렙토마이신 (100㎍/㎖) 및 글루타민 (4mM로 최종 농도까지 증가시킴)을 보충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증식 분석을 위해,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여 분리시키고, 신선한 배지에 현탁시키고, 2000 내지 4000 세포/0.2㎖/웰로 96-웰 미세적정 평판에 접종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지를 등급별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선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3 내지 4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증식 정도를 술포로다민 B를 사용하는 색도계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Skehan 등,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1990]). 결과를 3회 측정치의 평균 ±표준 편차로 나타내었다.
본 시험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약 0.003μM 내지 약 3μM 범위의 IC50값으로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
2. 암 세포 증식의 억제:
종양 세포주, 예를 들면,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이용가능한 A375, A549, HeLa-O, MDA-MB-231, SW-480, MDA-MB 435 및 HT-29를 5 내지 10%의 열 불활성화된(56℃/30분) FCS와 항생제를 보충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60 내지 90% 합류의 시점에서, 세포를 회수하고, 트립신 처리하고, 신선한 성장 배지에 현탁시키고, 96 웰 세포 배양 평판에 1000 내지 5000세포/웰 범위의 농도로 접종하였다. 세포를 등급별 농도의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 5% CO2로 평형화시킨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3 내지 4일 동안 0.2㎖/웰의 최종 용적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증식 정도를 현탁액 중에서 성장하는 세포에 대해MTS를 이용하는 색도계 분석 (Buttke 등, J. Immunol. Meth. 157: 233-240 [1993])에 의해 또는 부착 세포에 대해 술포로다민 B에 의해 측정하였다. 본 실험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0.01 내지 5μM 범위의 IC50으로 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예를 들면, 염증성/증식성 피부 질환 및 피부암 및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면,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관련 습진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편평태선, 천포창(Pemphigus), 수포성 유천포창(pemphigoid), 수포성 표피박리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혈관염, 홍반, 피부성 호산구과다증, 홍반성 루푸스 및 원형 탈모증과 같은 종양 질병의 억제에서와 같이 증식성/염증성 질환 및 암의 치료에서 항증식제/항염제 및 항암제로서 용도가 지시된다.
이러한 사용을 위해, 사용되는 투여량은 물론 예를 들면,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 투여 방식 및 원하는 치료에 의존하여 다양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화합물을 약 1㎎/㎏ 내지 약 30㎎/㎏(동물체중)의 일일 투여량으로, 적합하게는 일일 2회 내지 4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경우 만족스러운 결과가 성취된다. 가장 큰 동물에 대해, 총 일일 투여량은 예를 들면, 일일 4회 이하로 나누어 투여되는 방식 또는 지체(retard) 형태로 통상적으로 투여될 경우 약 70㎎ 내지 약 2000㎎이다. 단위 투여 형태는 1종 이상의 고형 또는 액형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의 혼합물내에 예를 들면, 약 17.5㎎ 내지 약 1000㎎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러한 적응증에서의 사용에 대한 공지 기준과 유사한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을 통상의 화학치료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희석제, 및 임의로 추가의 부형제와 혼합하여, 예를 들면, 정제 및 캡슐제의 형태로 경구 투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연고제 또는 크림제와 같은 통상의 제형으로 외용으로, 또는 비경구적으로 또는 정맥내 투여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의 농도는 물론 사용된 화합물, 원하는 치료 및 제형의 특성에 의존하여 다양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외용 투여형에서 약 0.05 내지 약 5중량%, 특히 약 0.1 내지 약 1중량%의 농도에서 만족스러운 결과가 성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1종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혼합함에 의한 그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히 염증성 및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약품으로서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염증성 및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암의 치료를 요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및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s의 화합물, 및 특히 화학식 Iss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6, 16 및 17의 화합물, 즉,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에틸-퀴나졸린과 각각 상응하는 4-메톡시 및 4-메틸 화합물은 항증식제/항염제 및 항암제로서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이며, 특히 실시예 6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시험 1에서, 이들 3종의 화합물은 IC50이 약 10nM이고, 상기 시험 2에서 IC50이 10 내지 200nM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46
    상기 식에서,
    R1은 히드록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고,
    R2는 히드록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이고, 5- 또는 6-위치에 있으며, 단, R1및 R2는 동시에 히드록시일 수 없고,
    a) W는 -CH2CH2-를 나타내고, R3은 화학식 -COR6의 기 (여기에서, R6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 또는 아미노임)를 나타내며, R4는 아미노,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아미노, 각각의 알킬부에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알킬아미노, 알킬부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카르보닐아미노, 또는 알콕시부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이거나, 또는
    b) W는 -CH2CH2-, -CH=CH-, -CH2O- 또는 -CH2NH-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질소 또는 산소 원자는 고리 B에 결합함), R3및 R4는 고리 B와 함께 하기 화학식 a 또는 하기 화학식 b의 축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화학식 a>
    Figure pct00047
    <화학식 b>
    Figure pct00048
    {상기 식에서,
    부호 ---는 단일 결합 또는 이중 결합을 나타내고,
    R9는 수소,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티오,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아미노, 디아세틸아미노,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아미노, 히드록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콕시 또는 머캅토를 나타내며,
    Y는 N 또는 CR11를 나타내며,
    R10은 수소,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 또는 알콕시부에 독립적으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알콕시벤질을 나타내며,
    R11은 수소, 또는 알콕시부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을 나타내며,
    Z는 O 또는 S를 나타내며,
    V는
    부호 ---가 단일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NH를 나타내고, 부호 ---가 이중 결합을 나타내는 경우 N을 나타내며,
    단, R9가 히드록시 또는 머캅토를 나타내고 Y가 N을 나타내는 경우, 화합물은 주로 하기 화학식 It의 토토머 형태, 또는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존재한다.
    <화학식 It>
    Figure pct00049
    (상기 식에서, R9'는 O 또는 S를 나타낸다.)}
  2.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의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에틸-퀴나졸린, 또는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에톡시-퀴나졸린, 또는
    6-[2-(2,5-디메톡시페닐)에틸]-4-메틸-퀴나졸린 화합물.
  3. 하기 화학식 IIa, IIb 또는 IIc의 화합물을 통상의 방식으로 환원시켜서 하기 화학식 Ia 및 Ib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화학식 Ia>
    Figure pct00050
    <화학식 Ib>
    Figure pct00051
    <화학식 IIa>
    Figure pct00052
    <화학식 IIb>
    Figure pct00053
    <화학식 IIc>
    Figure pct00054
    (상기 식에서, 치환체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상기 반응에서, 관능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반응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회수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염증성 및 증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약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IIIa 또는 하기 화학식 IIIb의 모노시클릭 전구체로부터 출발하여, 퀴놀린 및 퀴나졸린의 공지된 제조 방법에 따라 비시클릭 고리계의 헤테로사이클을 폐환시켜서 하기 화학식 Ic 및 Id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화학식 Ic>
    Figure pct00055
    <화학식 Id>
    Figure pct00056
    <화학식 IIIa>
    Figure pct00057
    <화학식 IIIb>
    Figure pct00058
    (상기 식에서,
    R9''는 수소, 히드록시 또는 알킬이고,
    R'7은 알킬을 나타내며,
    R'8은 알콕시카르보닐, 시아노 또는 아실을 나타내며,
    다른 치환체들은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음),
    상기 반응에서, 관능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반응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회수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6.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하기 화학식 Ie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화학식 Ie>
    Figure pct00059
    <화학식 IV>
    Figure pct00060
    <화학식 V>
    Figure pct00061
    (상기 식에서,
    D는 O 또는 NR5를 나타내고,
    R12는 이탈기를 나타내며,
    다른 치환체들은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음),
    상기 반응에서, 관능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반응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회수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7.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과 커플링시켜서 하기 화학식 If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화학식 If>
    Figure pct00062
    <화학식 VI>
    Figure pct00063
    <화학식 VII>
    Figure pct00064
    (상기 식에서,
    R13은 Sn(알킬)3-기 또는 B(R14)2-기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R14는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를 나타내거나, 2개의 치환체가 붕소 원자와 함께 9-보라-비시클로노난 또는 카테콜보란으로부터 유도된 시클릭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R12는 이탈기를 나타내며,
    다른 치환체들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
    상기 반응에서, 관능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반응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회수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화합물의 제조 방법.
  8. 화학식 I의 상이한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관능기 전환, 예를 들면, 에스테르, 아미드 및 에테르 절단,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 관능기의 아실화 및 알킬화, 탈카르복실화에 의해,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계의 화학적 조작, 예를 들면, -C=N- 결합의 환원 또는 -C=N- 결합에의 부가반응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에서, 관능기는 적합한 보호기로 보호할 수 있고, 이를 후속적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반응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이렇게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리 형태 또는 존재하는 경우 염 형태로 회수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화합물을 1종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약 조성물.
KR1019970706458A 1995-03-14 1996-03-14 삼치환된페닐유도체 KR100437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05080.3A GB9505080D0 (en) 1995-03-14 1995-03-14 Organic compounds
GB9505080.3 1995-03-14
GBGB9505858.2A GB9505858D0 (en) 1995-03-23 1995-03-23 Organic Compounds
GB9505858.2 1995-03-23
GBGB9526593.0A GB9526593D0 (en) 1995-12-28 1995-12-28 Organic compounds
GB9526593.0 199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049A KR19980703049A (ko) 1998-09-05
KR100437580B1 true KR100437580B1 (ko) 2004-07-16

Family

ID=2726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458A KR100437580B1 (ko) 1995-03-14 1996-03-14 삼치환된페닐유도체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5990116A (ko)
EP (1) EP0815087B1 (ko)
JP (1) JP3194963B2 (ko)
KR (1) KR100437580B1 (ko)
CN (1) CN1101386C (ko)
AT (1) ATE208763T1 (ko)
AU (1) AU704544B2 (ko)
BR (1) BR9607240A (ko)
CA (1) CA2214131C (ko)
CZ (1) CZ289944B6 (ko)
DE (1) DE69616993T2 (ko)
DK (1) DK0815087T3 (ko)
ES (1) ES2168463T3 (ko)
FI (1) FI120537B (ko)
HK (1) HK1014440A1 (ko)
HU (1) HUP9801828A3 (ko)
MX (1) MX9707022A (ko)
NO (1) NO310356B1 (ko)
NZ (1) NZ304291A (ko)
PL (1) PL185875B1 (ko)
PT (1) PT815087E (ko)
RU (1) RU2164224C2 (ko)
SK (1) SK282155B6 (ko)
WO (1) WO1996028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498A (en) 1996-05-28 1998-05-05 Pfizer Inc. Alkynyl and azido-substituted 4-anilinoquinazolines
US6706721B1 (en) 1998-04-29 2004-03-16 Osi Pharmaceuticals, Inc. N-(3-ethynylphenylamino)-6,7-bis(2-methoxyethoxy)-4-quinazolinamine mesylate anhydrate and monohydrate
UA71945C2 (en) * 1999-01-27 2005-01-17 Pfizer Prod Inc Substituted bicyclic derivatives being used as anticancer agents
JP3270834B2 (ja) 1999-01-27 2002-04-02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抗がん剤として有用なヘテロ芳香族二環式誘導体
UA74803C2 (uk) 1999-11-11 2006-02-15 Осі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Інк. Стійкий поліморф гідрохлориду n-(3-етинілфеніл)-6,7-біс(2-метоксіетокси)-4-хіназолінаміну, спосіб його одержання (варіанти) та фармацевтичне застосування
US7087613B2 (en) 1999-11-11 2006-08-08 Osi Pharmaceuticals, Inc. Treating abnormal cell growth with a stable polymorph of N-(3-ethynylphenyl)-6,7-bis(2-methoxyethoxy)-4-quinazolinamine hydrochloride
KR100819716B1 (ko) * 2000-04-07 2008-04-07 칫소가부시키가이샤 신규한 디아미노 화합물, 당해 디아미노 화합물을사용하여 합성된 중합체, 및 당해 중합체를 사용하는니스, 배향막 및 액정 표시소자
EP1434585A1 (en) * 2001-10-12 2004-07-07 Warner-Lambert Company LLC Alkyne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WO2003043961A2 (en) * 2001-11-19 2003-05-30 Iconix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rho c activity
AU2003281168A1 (en) * 2002-07-17 2004-02-02 Warner-Lambert Company Llc Combination of an allosteric alkyn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with a selective inhibitor of cyclooxygenase-2 that is not celecoxib or valdecoxib
WO2004006914A1 (en) * 2002-07-17 2004-01-22 Warner-Lambert Company Llc Combination of an allosteric alkyn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with celecoxib or valdecoxib
WO2004014384A2 (en) * 2002-08-13 2004-02-19 Warner-Lambert Company Llc Cyclic compounds containing zinc binding groups as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GB0319497D0 (en) * 2003-08-19 2003-09-17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SE0400234D0 (sv) * 2004-02-06 2004-02-06 Active Biotech Ab New compound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2007528393A (ja) * 2004-03-11 2007-10-11 カイセラ バイオ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皮膚の状態および毛の状態を予防および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20080031898A1 (en) * 2004-03-26 2008-02-07 David Nathaniel E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 of a neurotoxin treatment
GB0412769D0 (en) * 2004-06-08 2004-07-07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EP1780202B1 (en) * 2004-08-04 2013-02-27 Meiji Seika Pharma Co., Ltd. Quinoline derivative and insecticide containing same as active constituent
WO2008044688A1 (fr) * 2006-10-11 2008-04-17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Dérivé de l'urée
DE602008006679D1 (de) 2007-02-06 2011-06-16 Chelsea Therapeutics Inc Neue verbind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U2019232437A1 (en) 2018-03-07 2020-10-08 Bayer Aktiengesellschaft Identification and use of ERK5 inhibitors
WO2021026672A1 (en) * 2019-08-09 2021-02-18 Novartis Ag Heterocyclic wdr5 inhibitors as anti-cancer compoun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7740A1 (en) * 1991-02-01 1992-08-05 Sandoz Ltd. Benzyloxyphenyl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423A (en) * 1979-09-13 1981-05-09 Wellcome Found Antiviral agent
CA1219587A (en) * 1981-12-14 1987-03-24 Norman P. Jensen Hydroxybenzylaminobenzenes as anti-inflammatory agents
NZ213986A (en) * 1984-10-30 1989-07-27 Usv Pharma Corp Heterocyclic or aromatic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WO1988003806A1 (en) * 1986-11-19 1988-06-02 Chemex Pharmaceuticals, Inc.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sitions of catecholic butanes with zinc
JPH01501790A (ja) * 1986-11-19 1989-06-22 ケメ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リポキシゲナーゼ阻害剤
US4851423A (en) * 1986-12-10 1989-07-25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US5272167A (en) * 1986-12-10 1993-12-21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AU6062590A (en) * 1989-07-07 1991-02-06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WO1992020642A1 (en) * 1991-05-10 1992-11-26 Rhone-Poulenc Rorer International (Holdings) Inc. Bis mono-and bicyclic aryl and heteroaryl compounds which inhibit egf and/or pdgf receptor tyrosine kinase
US5480883A (en) * 1991-05-10 1996-01-02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Bis mono- and bicyclic aryl and heteroaryl compounds which inhibit EGF and/or PDGF receptor tyrosine kinase
GB9121943D0 (en) * 1991-10-16 1991-11-27 Sandoz Ltd Organic compounds,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US5656643A (en) * 1993-11-08 1997-08-12 Rhone-Poulenc Rorer Pharmaceuticals Inc. Bis mono-and bicyclic aryl and heteroaryl compounds which inhibit EGF and/or PDGF receptor tyrosine kina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7740A1 (en) * 1991-02-01 1992-08-05 Sandoz Ltd. Benzyloxyphenyl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15087B1 (en) 2001-11-14
ATE208763T1 (de) 2001-11-15
CN1183774A (zh) 1998-06-03
JP3194963B2 (ja) 2001-08-06
HUP9801828A2 (hu) 1999-03-29
CA2214131A1 (en) 1996-09-19
HUP9801828A3 (en) 2001-02-28
NO974118D0 (no) 1997-09-08
PT815087E (pt) 2002-04-29
CZ286997A3 (en) 1997-12-17
DK0815087T3 (da) 2002-03-11
FI120537B (fi) 2009-11-30
CZ289944B6 (cs) 2002-04-17
JPH11503412A (ja) 1999-03-26
PL185875B1 (pl) 2003-08-29
RU2164224C2 (ru) 2001-03-20
US5990116A (en) 1999-11-23
PL322134A1 (en) 1998-01-05
ES2168463T3 (es) 2002-06-16
HK1014440A1 (en) 1999-09-30
BR9607240A (pt) 1997-11-11
MX9707022A (es) 1998-06-30
NZ304291A (en) 1999-01-28
NO974118L (no) 1997-09-08
SK282155B6 (sk) 2001-11-06
WO1996028430A1 (en) 1996-09-19
SK124597A3 (en) 1998-01-14
AU704544B2 (en) 1999-04-29
NO310356B1 (no) 2001-06-25
DE69616993T2 (de) 2002-07-04
AU5144396A (en) 1996-10-02
FI973440A (fi) 1997-10-24
FI973440A0 (fi) 1997-08-21
EP0815087A1 (en) 1998-01-07
KR19980703049A (ko) 1998-09-05
CA2214131C (en) 2009-06-23
DE69616993D1 (de) 2001-12-20
CN1101386C (zh)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580B1 (ko) 삼치환된페닐유도체
CA2397450C (en) Crystalline salts of 7-[4-(4-fluorophenyl)-6-isopropyl-2-[methyl(methylsulfonyl)amino]pyrimidin-5-yl]-(3r,5s)-3,5-dihydroxyhept-6-enoic acid
KR890001549B1 (ko) 치환된 피리미딘 및 이의 제조방법
EP0661261B1 (en) Phenyl or phenylalkyl substituted naphtalene derivatives having retinoid-like activity as well as anti-tumor activities
PT91330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novos derivados de guanina
JPH05301838A (ja) スチレン誘導体
US4476132A (en) Acylquinolinone derivatives, and antiallergic prepara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allergic reactions using them
JPS6033114B2 (ja) 1,2−ベンズイソキサゾ−ル誘導体
JPH03167191A (ja) イソチアゾロ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腫瘍性疾患治療剤
US4258045A (en) Inhibitor of dihydrofolate reductase
CA3029004A1 (en) Phthalaz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parp1, parp2 and/or tubulin useful for the treatment of cancer
EP0516069A1 (en) Leukotriene B4 antagonist
CS9200024A3 (en) Sulfonamide derivatives,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compositions comprising them
EP0335979A1 (en) Thienopyrimidine derivatives
RU2118311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бис-(фенил)этан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EP0102175A1 (en) 5-Oxo-5H-(1)benzopyrano(2,3-b)pyridine derivatives, their production and use
EP0059108A1 (en) Derivatives of dihydroxybenzoic acid
EP1436293B1 (en) Polycyclic compounds having anti-tumor activity
US4536504A (en) Hexahydrodioxopyrimidines, their production and use
EP0303348B1 (en) 2-amino-5-hydroxy-4-pyrimidones
JPH01151535A (ja) フッ素化アラキドン酸誘導体類
JPH0892082A (ja) 好酸球機能阻害活性を有するベンゾフェノン誘導体
WO1997022588A1 (en) Use of hetarylacetic acid derivatives as leukotriene inhibitors
US4190656A (en) Uracil derivatives and production thereof
CA1189509A (en) Substituted 11-oxo-11h-pyrido [2,1-b] quinazo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