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284B1 - 자동차용 계기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계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284B1
KR100435284B1 KR10-2001-0020448A KR20010020448A KR100435284B1 KR 100435284 B1 KR100435284 B1 KR 100435284B1 KR 20010020448 A KR20010020448 A KR 20010020448A KR 100435284 B1 KR100435284 B1 KR 10043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ment panel
steering wheel
vehicle
driv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709A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28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차실의 전면에 설치되는 센터페시아(300)에 계기류들로 구성된 계기판(100)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100)이 스티어링휠(200)을 틸팅시 연동되면서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축(400)과 연결대(500)로 연결시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200)을 신체에 알맞은 위치로 틸팅시, 계기판(100)이 스티어링휠(200)과 연동되면서 스티어링휠(200)에 가리지 않게 됨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200)을 팅팅시키는 경우에도, 계기판(100)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아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계기판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운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계기판{Vehicle dashboard}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계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스티어링휠을 틸팅시 계기판이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신체에 알맞은 위치로 스티어링휠을 틸팅시키는 경우에도 계기판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계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실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임으로 조작하여 변경해 가면서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티어링휠(200')이 틸팅레버(410')에 의해 힌지액슬(420')을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휠(200')의 전면에는 각종 계기류들로 구성된 계기판(100')이 센터페시아(300')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상태를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계기판(100')이 센터페시아(300')에 브라켓(600')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관계로, 차량을 운행하려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틸팅레버(410')를 조작하여 스티어링휠(200')을 힌지액슬(420')을 중심으로 틸팅시, 상기 스티어링휠(200')이 계기판(100')의 계기류들을 가리어 사각지대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중 계기판독을 어렵게 하여 차량의 상태, 예를 들면 주행속나 연료의 잔류량등의 판독을 방해 함으로서 운전자를 매우 답답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계기판(100')을 통해 계기류를 육안으로 확인시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전방을 제대로 주시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티어링휠을 틸팅시 계기판이 연동되면서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축과 계기판을 연결대로 연결시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을 신체에 알맞은 위치로 틸팅시에 계기판이 스티어링휠에 가리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팅팅시킨 경우에도 계기판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운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계기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계기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계기판 200 : 스티어링휠
300 : 센터페시아 400 : 스티어링축
410 : 틸팅레버 420 : 힌지액슬
600 : 계기판브라켓 610 : 가이드드홈
700 : 티바 810 : 가이드돌기
800 : 티바브라켓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계기판도 도 2와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실의 전면에 설치되는 센터페시아(300)에 계기류들로 구성된 계기판(100)이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계기판(100)이 스티어링휠(200)을 틸팅시 연동되면서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축(400)과 연결대(500)로 연결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대(500)는 계기판(100)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의 일측단부가결합되고, 상기 계기판(100)에 일측단부가 결합된 연결대(500)의 타측단부는 스티어링축(400)의 일측부에 각각 결합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려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틸팅레버(410)를 조작하여 스티어링휠(200)이 적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힌지액슬(420)을 중심으로 스티어링축(400)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스티어링축(400)이 전방 및 후방으로 회전된 양만큼 계기판(100)이 전후로 이동 됨으로서, 스티어링휠(200)에 계기판(100)에 설치된 계기류들이 가려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계기판(100)이 설치된 센터페시아(300)의 내부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티바(700)를 설치하고, 상기 티바(70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돌기(810)가 돌출되어 형성된 티바브라켓(800)을 설치하며, 상기 티바브라켓(800)의 가이드돌기(81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계기판브라켓(600)을 계기판(1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틸팅레버(410)를 조작하여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힌지액슬(420)을 중심으로 스티어링축(400)을 전후로 회전시켜 스티어링휠(200)을 틸팅시키는 경우, 계기판(100)의 상하부에 설치된 계기판브라켓(600)이 티바(700)의 중앙에 설치된 티바브라켓(800)의 가이드돌기(810)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계기판(100)이 이동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계기판브라켓(600)에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티바브라켓(800)의 가이드돌기(810)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홈(610)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계기판(100)이 상하로 안정적인 상태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200)을 신체에 알맞은 위치로 틸팅시, 계기판(100)이 스티어링휠(200)과 연동되면서 스티어링휠(200)에 가리지 않게 됨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200)을 팅팅시키는 경우에도, 계기판(100)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아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계기판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운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을 틸팅시 계기판이 연동되면서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축과 계기판을 연결대로 연결시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을 신체에 알맞은 위치로 틸팅시에 계기판이 스티어링휠에 가리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팅팅시킨 경우에도 계기판을 육안으로 확인해 가면서 운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차실의 전면에 설치되는 센터페시아(300)에 계기판(100)이 스티어링휠(200)을 틸팅시 연동되면서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축(400)과 계기판(100)이 연결대(500)로 연결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100)이 설치된 센터페시아(300) 내부에 한쌍의 티바(700)를 설치하고, 상기 티바(70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돌기(810)가 돌출되어 형성된 티바브라켓(800)을 설치하며, 상기 티바브라켓(800)의 가이드돌기(81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계기판브라켓(600)이 계기판(1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계기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브라켓(600)에는 티바브라켓(800)의 가이드돌기(810)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홈(61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계기판.
KR10-2001-0020448A 2001-04-17 2001-04-17 자동차용 계기판 KR10043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48A KR100435284B1 (ko) 2001-04-17 2001-04-17 자동차용 계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448A KR100435284B1 (ko) 2001-04-17 2001-04-17 자동차용 계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09A KR20020080709A (ko) 2002-10-26
KR100435284B1 true KR100435284B1 (ko) 2004-06-11

Family

ID=2770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448A KR100435284B1 (ko) 2001-04-17 2001-04-17 자동차용 계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2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2339A (ja) * 1984-10-24 1986-05-2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チルトメ−タ−装置
JPS6181431U (ko) * 1984-11-05 1986-05-30
KR19980044917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핸들과 일체로 틸팅되는 계기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2339A (ja) * 1984-10-24 1986-05-2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チルトメ−タ−装置
JPS6181431U (ko) * 1984-11-05 1986-05-30
KR19980044917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핸들과 일체로 틸팅되는 계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09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7639B2 (en) Automobile
JPH0679626U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
JP2009113584A (ja) シフト装置
KR100435284B1 (ko) 자동차용 계기판
GB2442120A (en) Vehicle overhead assembly having a combination mirror and storage bin assembly
KR200171905Y1 (ko) 차량용 모니터 장착 구조물
JP5059722B2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S6350170Y2 (ko)
JPS63158621A (ja) 自動変速機用可倒式シフトレバ−装置
JP310251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3185896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200140979Y1 (ko) 접이식 인스트루먼트 패널
JPS6234337Y2 (ko)
JPS6210822Y2 (ko)
JPH0826033A (ja) 乗用自動車の後方確認装置
KR20010094552A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장치
JP2002347465A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24626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KR19980030521U (ko) 자동차의 백미러 승강장치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JPH051654U (ja) ステアリングロツク取付構造
KR19990027549U (ko) 반사광이 조절되는 자동차용 룸미러
KR970015175A (ko)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뒷좌석 구조물
KR19980022075A (ko) 자동차의 도어 미러 노브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