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806A -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806A
KR19990027806A KR1019970050336A KR19970050336A KR19990027806A KR 19990027806 A KR19990027806 A KR 19990027806A KR 1019970050336 A KR1019970050336 A KR 1019970050336A KR 19970050336 A KR19970050336 A KR 19970050336A KR 19990027806 A KR19990027806 A KR 1999002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ide mirror
stay
fixing plate
driver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806A/ko
Publication of KR1999002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806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운전자의 후방 관측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양측면에 가이드 편(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 글래스(1)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00)와; 측벽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편(102)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11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방되는 작동홈(112)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118)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110)와; 일측에는 미러(122)가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스테이(110)의 볼(118)과 볼대우를 이루며 설치되는 인사이드 미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테이(110)를 고정 플레이트(100)에 대해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작동홈(112)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16)과, 고정 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상기 작동홈(112)의 고정홈(116)에 삽입되는 탄성클립(10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에 필요한 후방시계를 확보케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운전자의 후방 관측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을 하거나 주차 또는 후진을 위하여 후방을 관측할 경우에 운전자의 후방 시계 확보를 위하여 자동차에는 백 미러가 제공되며, 이러한 백 미러에는 자동차의 좌 우측에 자동차의 폭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자동차 실내에 부착되는 인사이드 미러가 있다.
인사이드 미러는 운전석 전방에 있는 윈드 실드 글래스의 상단이나 헤드라이닝에 스테이에 의해 부착되며, 판 유리에 금속의 반사막을 붙인 것으로 야간 운행시 후방 차량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운전자에게 반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반사율을 최대로 억제한 크롬 거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의 설치 상태를 도 1을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 윈드 실드 글래스(1)의 상부에 스테이(10)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테이(10)의 타측에는 볼(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10)의 볼(12)에는 인사이드 미러(20)가 회전가능하게 피봇결합된다. 한편, 인사이드 미러(20)는 하우징(22)과 지지플레이트(24)와 미러(26)로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24)는 스테이(10)의 볼(12)이 안착되는 홀더(2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플레이트(24)가 상, 하, 좌, 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스테이(10)의 볼(12)과 볼대우를 이루며 하우징(22)의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22)의 전면에는 미러(26)가 고정되며, 하우징(22)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24)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하우징(22)의 각도를 조절하는 노브(28)가 설치되어 야간에 후방차량에 조사되는 불빛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후방시계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운전석에 체구가 작은 운전자가 탑승할 경우 상대적으로 앉은 키도 작은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의 눈의 위치와 인사이드 미러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운전자의 후방시계가 좁아지며 또한, 운전자의 눈의 위치와 인사이드 미러와의 각도가 커지게 되므로 운전자의 후방확인 시선 각도가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운전자의 전방주시가 소홀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가중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에 필요한 후방시계를 확보케 하기 위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고정 플레이트와 스테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고정 플레이트 102: 가이드 편
104: 탄성클립 110: 스테이
112: 작동홈 114: 가이드 홈
116: 고정홈 118: 볼
120: 인사이드 미러 122: 미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면에 가이드 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 글래스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측벽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가이드 편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방되는 작동홈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와; 일측에는 미러가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스테이의 볼과 볼대우를 이루며 설치되는 인사이드 미러와; 상기 스테이를 고정 플레이트에 대해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작동홈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과,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상기 작동홈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탄성클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 플레이트와 스테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양측면에 가이드 편(102)이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클립(104)이 설치되어 있는 고정 플레이트(100)의 일측이 자동차 윈드 실드 글래스(1)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100)의 타측에는 스테이(110)가 슬라이딩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스테이(110)의 일측에는 측벽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편(102)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114)이 구비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방되는 작동홈(112)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 플레이트(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한편, 작동홈(112)의 양측벽에는 복수의 고정홈(116)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홈(116)에는 고정 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클립(104)이 삽입되어 고정 플레이트(100)에 대해 스테이(11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스테이(110)의 타측에는 볼(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118)에는 인사이드 미러(120)가 설치된다.
인사이드 미러(120)는 하우징(124)과 미러(122)와 지지플레이트(126)로 구성된다. 즉, 지지플레이트(126)는 스테이(110)의 볼(118)이 안착되는 홀더(1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플레이트(126)가 상, 하, 좌, 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스테이(110)의 볼(118)과 볼대우를 이루며 하우징(124)의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124)의 전면에는 미러(122)가 고정되며, 하우징(124)의 하부에는 지지플레이트(126)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하우징(124)의 각도를 조절하는 노브(128)가 설치되어 야간에 후방차량에 조사되는 불빛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을 도 4a와 도 4b를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우선, 운전석에 운전자가 탑승하면 운전자의 눈의 위치와 알맞도록 스테이(110)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테이(110)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홈(112)의 가이드 홈(114)에 고정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편(102)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스테이(110)는 고정 플레이트(100)에 대해 전, 후로 슬라이딩 된다. 그런 다음 운전자에게 알맞은 높이가 선택되면 고정 플레이트(100)의 탄성클립(104)이 작동홈(112)의 고정홈(116)에 삽입되어 스테이(110)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인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후방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좋은 위치에 선정되므로 운전자의 후방 시계는 더욱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즉, 운전석에 체구가 작은 운전자가 탑승할 경우 운전자의 눈의 위치와 인사이드 미러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인사이드 미러를 운전자의 눈과 가깝게 조절하여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넓어지게 하며 또한, 운전자의 눈의 위치와 인사이드 미러와의 각도가 커지게 되므로 인사이드 미러를 조절하여 운전자의 눈과 인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작아지게 하여 운전자가 후방을 관측 할 때에 보다 편리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는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에 필요한 후방시계를 확보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양측면에 가이드 편(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윈드 실드 글래스(1)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100)와;
    측벽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100)의 가이드 편(102)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11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방되는 작동홈(112)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볼(118)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110)와;
    일측에는 미러(122)가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스테이(110)의 볼(118)과 볼대우를 이루며 설치되는 인사이드 미러(120)와;
    상기 스테이(110)를 고정 플레이트(100)에 대해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작동홈(112)의 양측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16)과, 고정 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상기 작동홈(112)의 고정홈(116)에 삽입되는 탄성클립(10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KR1019970050336A 1997-09-30 1997-09-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KR19990027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336A KR19990027806A (ko) 1997-09-30 1997-09-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336A KR19990027806A (ko) 1997-09-30 1997-09-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806A true KR19990027806A (ko) 1999-04-15

Family

ID=6604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336A KR19990027806A (ko) 1997-09-30 1997-09-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8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20B1 (ko) * 2013-04-17 2014-03-17 백현식 자동차 실내용 백밀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20B1 (ko) * 2013-04-17 2014-03-17 백현식 자동차 실내용 백밀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JP2601392Y2 (ja) 車外視認装置
KR0157792B1 (ko) 차량용 룸미러 상하조절장치
KR19990029111U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WO1998054020A2 (en) Sun visor extension device
KR10022324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KR200306268Y1 (ko)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KR200151404Y1 (ko) 자동차 후사경의 반사광 조절장치
KR0119554Y1 (ko) 룸미러의 볼록거울장치
KR19990033843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KR19980066491A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40033651A (ko) 자동차의 운전자 눈높이 사이드 미러
KR19980029250U (ko) 차량용 선바이저
KR940008669Y1 (ko) 자동차용 백미러
JPH1086666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00066372A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의 설치방법
KR940007458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146067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19980052034A (ko) 승합차의 후방 사각지역용 미러장치
KR19980028818U (ko)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37084U (ko)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12789U (ko)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KR1998003040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해소용 보조미러
KR19980018067U (ko) 긁힘 방지 수단을 갖는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