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491A - 자동차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491A
KR19980066491A KR1019970002073A KR19970002073A KR19980066491A KR 19980066491 A KR19980066491 A KR 19980066491A KR 1019970002073 A KR1019970002073 A KR 1019970002073A KR 19970002073 A KR19970002073 A KR 19970002073A KR 19980066491 A KR19980066491 A KR 1998006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vehicle
mirror
blind spot
r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진
이필근
Original Assignee
여태진
주식회사 하진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태진, 주식회사 하진무역 filed Critical 여태진
Priority to KR101997000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491A/ko
Publication of KR1998006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91A/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백미러의 상부의 일정부위를 전측으로 라운딩시킨 사각지대 식별부와 하부의 일정부위를 후측으로 라운딩시켜 저부식별부로하고, 사각지대 식별부와 저부 식별부외의 부분은 평면부로한 백미러를 가동부재에 형성된 요홈부에 고정하여 본체상에 구비된 수납부에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미러
도 1은 본발명인 백미러의 전체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발명인 백미러를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미러, 2 : 저부식별부, 3 : 사각지대 식별부, 4 : 평면부, 5 : 가동부재, 6 : 요홈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동차 주행중 사각지대의 차량과 주·정차시 차량의 저부(뒤바퀴)를 동시에 확인 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거울의 일정부위를 앞쪽으로 하부 일정개소를 후측으로 라운딩시킨 것이다.
(종래의 기술)
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대부분은 백미러에 의해 확인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차량이나, 차체 후미 저부에 있는 어린이나 물체로 인하여 접촉사고나 인명사고를 경험하였고, 이같이 사고를 일으크지 않았다라더라도 큰 충격을 받은 경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현존의 차량에는 사각지대나 차체 저부를 확인하기 위한 일방편으로 소형으로 제작된 별체의 보조 백미러나 아니면 백미러상에 보록거울을 고정 접착하여 백미러의 시야를 확대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백미러는 주간에 태양을 등지고 운행할 경우 햇빛이 백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후미의 차량을 확인할 수 없고, 이는 야간주행시에도 후미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후미의 차량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용 백미러는 별도의 보조용구를 장착하더라도 사각지대나 차량저부의 물체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또 태양빛이나 헤드라이트 불빛을 흡수할 수 없고, 또 운전자의 신장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진 백미러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백미러를 상·하, 좌·우로 위치를 조정하여야하는 문제점을 구유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본발명은 상기에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발명의 제1목적은 사각지대나 차량의 제부를 동시에 확인 가능한 백미러를 제공하는데 있고, 또 본발명의 제2의 목적은 차량의 후미에서 조사되는 태양빛이나 헤드라이트 불빛을 분산시키므로서 용이하게 후미차량을 식별하는 백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발명의 제3의 목적은 운전석에서 스위치나 레버의 조작없이 한번의 위치 고정으로서 차량후미의 모든 사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백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제1, 제2,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백미러의 상부 일정개소를 전측으로 또 하부일정개소를 후측으로 일정각도로 라운딩 시킨 것으로서, 이의 라운딩 각도는 시각적으로 식별이 어려울 정도의 미세한 각도이면 상기의 목적을 충족시킬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본 발명인 백미러의 전체 형상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발명을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1)은 백미러로서 상부의 일정부위를 전측으로 라운딩시킨 사각지대 식별부(3)와 후측으로 라운딩시킨 저부 식별부(2)로하고, 상기 사각지대 식별부와 저부식별부 외의 부분은 종래의 백미러와 같이 평면부(4)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백미러(1)는 가동부재(5)의 내측에 백미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구비한 요홈부(6)상에 고정하고, 이 가동부재(5)는 레버 삽입공(8)이 일측에 통공된 본체(10)상에 구비된 수납부(7) 삽입하여 레버 삽입공(8)으로 삽입된 위치조절 레버(9)를 가동부재(5)에 연결하여, 백미러(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자동차 주행중에 전측으로 라운딩된 사각지대 식별부(3)에 의해 차량후미에 근접한 타차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 하부의 후측으로 라운딩된 저부 식별부(2)는 주·정차시 차량의 뒤바퀴나 저부의 물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 평면부(4)에 의해서 기존의 평면거울과 같이 원거리의 차량과 물체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사각지대 식별부와 저부식별부를 전후측으로 라운딩시키므로서 주간에 햇빛과 야간의 후미차량에 의한 헤드라이트 불빛을 분산시키므로서 후미의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더욱이, 본발명은 백미러의 표면이 일정각도로 라운딩되어 있으므로, 빛이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백미러로 반사되는 불빛으로 후미의 차량을 식별할 수 없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백미러의 형상을 변경하므로서, 사각지대나 차량의 저부에 있는 물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미러에 주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므로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차량후미의 차량을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고, 백미러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더라도 차량후미의 모든 사물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백미러의 위치를 조절하기위한 수동레버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백미러의 상부의 일정부위를 전측으로 라운딩시킨 사각지대 식별부와 하부의 일정부위를 후측으로 라운딩시켜 저부식별부로하고 사각지대 식별부와 저부 식별부외의 부분은 평면부로한 가동부재에 형성된 요홈부에 고정하여 본체상에 구비된 수납부에 장착한 것으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KR1019970002073A 1997-01-24 1997-01-24 자동차용 백미러 KR19980066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073A KR19980066491A (ko) 1997-01-24 1997-01-24 자동차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073A KR19980066491A (ko) 1997-01-24 1997-01-24 자동차용 백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91A true KR19980066491A (ko) 1998-10-15

Family

ID=6595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073A KR19980066491A (ko) 1997-01-24 1997-01-24 자동차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4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9018A (en) Car dome light with accessory
GB2177361A (en) Sideways-viewing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19980066491A (ko) 자동차용 백미러
US6039448A (en) Side rearview mirror device
US4206497A (en) Folding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JP3033516U (ja) 方向指示機付きバックミラー
KR200203299Y1 (ko) 자동차 본네트 미러장치
JPH0320202Y2 (ko)
JPH0123869Y2 (ko)
KR200359725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193205Y1 (ko) 자동 차의 전방 좌, 우측방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차량부착용거울
KR200266202Y1 (ko) 차폭등이 장착된 차량의 백밀러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KR0181467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백 미러
JPH0536755Y2 (ko)
JPS63291747A (ja) 自動車
KR19980051922U (ko) 뒷좌석 승객용 백 미러
KR950008102Y1 (ko) 전방주시 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용 후사경
KR0131787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JPH053038U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装置
KR19980059305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투영장치
KR200306268Y1 (ko)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KR19980043659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