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268Y1 -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268Y1
KR200306268Y1 KR20-2002-0036277U KR20020036277U KR200306268Y1 KR 200306268 Y1 KR200306268 Y1 KR 200306268Y1 KR 20020036277 U KR20020036277 U KR 20020036277U KR 200306268 Y1 KR200306268 Y1 KR 200306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car
present
emblem
driver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진
Original Assignee
권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진 filed Critical 권기진
Priority to KR20-2002-0036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2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의 본닛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엠블렘에 있어서, 몸체(10)를 평면상 대략 삼각형태로 형성하고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몸체(10)의 대향된 좌우측면에 관측경(20)을 결합하여 운전석에서 상기 관측경(20)을 통해 승용 자동차 전방 좌우측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으로서의 장식적인 가치는 물론 운전석에서 차량의 전방 좌우측의 도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Emblem combined use side mirror for car}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승용 자동차의 장식용으로서의 가치는 물론 승용 자동차의 전방 좌우측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승용 자동차접촉에 따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자동차를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하게 될 때 좁은도로에서 다른 넓은 도로로 진입하는 경우 운전자 승용 자동차 전방 이외에 그 좌우측의 시야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주변의 상황을 일일이 육안으로 파악한 뒤 조심스럽게 진입하고 있으나 이역시 접촉사고에 의한 심적인 불안감은 여전하며 특히, 도로 가장자리에 승용 자동차나 승합차 등이 주정차해 있을 경우에는 전방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승용 자동차의 상태를 더더욱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이는 현재 운행되고 있는 승용 자동차의 운전석이 자동차의 최전방에서 약 2m - 3m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방도로의 좌우측에서 운행하는 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차량을 운전석으로부터 약 2m - 3m 전방으로 진출하여야만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좌우측에서 운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는 승용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관측경 대부분이 승용 자동차의 후방감시를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과 좌우측면의 상황은 전적으로 운전자의몫이 되고 있는데에서 비롯된 문제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의 장식용으로서의 가치는 물론 승용 자동차의 전방 좌우측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여 승용 자동차접촉에 따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의 본닛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엠블렘에 있어서, 몸체를 평면상 대략 삼각형태로 형성하고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몸체의 대향된 좌우측면에 관측경을 결합하여 운전석에서 상기 관측경을 통해 승용 자동차 전방 좌우측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의 좌우측면에 결합홈을 갖는 작동공간부를 요설하여 이에 볼타입 각도조절구가 배면에 결합된 관측경을 상기 작동공간부 안쪽으로 끼워 각도조절구의 선단을 결합홈에 끼움으로서 관측경이 상기 결합에 의해 작동공간부의 내측에서 마치 승용 자동차의 백밀러의 각도 조절기능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운전자에 따른 관측경의 선택적인 각도조절도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작동공간부
12 : 결합홈 20 : 관측경
21 : 각도조절구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의 본닛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엠블렘에 있어서, 몸체(10)를 평면상 대략 삼각형태로 형성하고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몸체(10)의 대향된 좌우측면에 관측경(20)을 결합하여 운전석에서 상기 관측경(20)을 통해 승용 자동차 전방 좌우측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10)의 좌우측면에 결합홈(12)을 갖는 작동공간부(11)를 요설하여 이에 볼타입 각도조절구(21)가 배면에 결합된 관측경(20)을 상기 작동공간부(11) 안쪽으로 끼워 각도조절구(21)의 선단을 결합홈(12)에 끼움으로서 관측경(20)이 상기 결합에 의해 작동공간부(11)의 내측에서 마치 승용 자동차의 백밀러의 각도 조절기능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운전자에 따른 관측경(20)의 선택적인 각도조절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의 장식물로서의 미려함은 물론 이에 차량의 전방 좌우측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감시기능도 함께 보유하고 있다.
본 고안 몸체(10)는 평면상 대략 삼각형태의 구조로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운전석에서 관측가능한 몸체(10)의 대향된 좌우측면 부위에 관측경(20)을 결합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는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상기 관측경(20)을 통해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의 전방 좌우측 도로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취해진 구성이다.
본 고안 관측경(20)은 볼록렌즈 타입으로 적용하여 시야확보각도를 되도록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록렌즈의 각도에 있어서도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30°~ 6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또한 본 고안은 관측경(20)의 각도를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좌우측면에 결합홈(12)을 갖는 작동공간부(11)를 요설하여 이에 볼타입 각도조절구(21)가 배면에 결합된 관측경(20)을 상기 작동공간부(11) 안쪽으로 끼워 각도조절구(21)의 선단을 결합홈(12)에 끼움으로서 관측경(20)이 상기 결합에 의해 작동공간부(11)의 내측에서 마치 승용 자동차의 백밀러의 각도 조절기능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운전자에 따른 관측경(20)의 선택적인 각도조절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먼저 차량의 엠블렘이 부착된 위치에 운전석에서 관측경(20)을 통해 차량의 전방 좌우측의 상황이 최대한 잘 파악될 수 있는 방향으로 종래와 같은 부착형태로 본 고안을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본 고안은 도로를 주행할 때 골목이나 기존 도로에서 다른 도로로 진입하는 경우 먼저 승용 자동차의 전방이 진입도로 입구에 들어가게 되면 운전석에서 차량의 전방 좌우측의 주행하는 승용 자동차의 진행사항을 일일이 육안으로 파악하지 않고서도 본닛 전방 중앙에 위치한 본고안 관측경(20)을 통해 차량의 전방 좌우측의 상황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한 뒤 진입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도로 가장자리에 차량이 주정차 되어 있는 상태에서 넓은 도로로 진입을 시도하게 될 때에도 본 고안에 의해 승용 자동차의 전방 좌우측의 도로상황이 명확히 인식됨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차량의 접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으로서의 장식적인 가치는 물론 운전석에서 차량의 전방 좌우측의 도로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의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승용 자동차의 본닛 전방 중앙에 설치되는 엠블렘에 있어서, 몸체(10)를 평면상 대략 삼각형태로 형성하고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몸체(10)의 대향된 좌우측면에 관측경(20)을 결합하여 운전석에서 상기 관측경(20)을 통해 승용 자동차 전방 좌우측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10)의 좌우측면에 결합홈(12)을 갖는 작동공간부(11)를 요설하여 이에 볼타입 각도조절구(21)가 배면에 결합된 관측경(20)을 상기 작동공간부(11) 안쪽으로 끼워 각도조절구(21)의 선단을 결합홈(12)에 끼워 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KR20-2002-0036277U 2002-12-04 2002-12-04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KR200306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77U KR200306268Y1 (ko) 2002-12-04 2002-12-04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77U KR200306268Y1 (ko) 2002-12-04 2002-12-04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268Y1 true KR200306268Y1 (ko) 2003-03-03

Family

ID=4940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277U KR200306268Y1 (ko) 2002-12-04 2002-12-04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2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6268Y1 (ko)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20060037209A (ko) 차량 차체 비필라 외측의 리어도어의 도어필라부 외측면에장착되는 시선유도램프가 내장된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
JP3074031U (ja) 補助ミラー付きドアミラー
KR200148832Y1 (ko) 승용차량의 후사장치
KR200359725Y1 (ko) 자동차용 백미러
JP3104880U (ja) 自動車の斜め後方確認の為の、曲面鏡及び曲面鏡の取付位置
KR200193205Y1 (ko) 자동 차의 전방 좌, 우측방향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차량부착용거울
KR200288548Y1 (ko) 사각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KR200348555Y1 (ko) 차량의 백미러
KR200256586Y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후사경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KR200203299Y1 (ko) 자동차 본네트 미러장치
KR200193216Y1 (ko) 전방 좌, 우측방향 사이드미러를 부착한 자동차의 엠블렘
KR200377079Y1 (ko) 시선유도 램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JP3001743U (ja) 方向指示器付きドアミラー
KR0119554Y1 (ko) 룸미러의 볼록거울장치
KR200295840Y1 (ko) 자동차의 전,후방 동시관측용 보조미러
JPS6335875Y2 (ko)
KR200164360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402831Y1 (ko)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용 후사경
KR100619423B1 (ko) 전방 주차 미러 및 주차 미러 카메라
KR200210024Y1 (ko) 사이드 미러 장치
KR200203412Y1 (ko) 자동차의 전방 사각지대 관측용 보조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