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24Y1 - 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24Y1
KR200210024Y1 KR2020000024091U KR20000024091U KR200210024Y1 KR 200210024 Y1 KR200210024 Y1 KR 200210024Y1 KR 2020000024091 U KR2020000024091 U KR 2020000024091U KR 20000024091 U KR20000024091 U KR 20000024091U KR 200210024 Y1 KR200210024 Y1 KR 200210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iew
vehicle
side mirr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인석
Original Assignee
류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인석 filed Critical 류인석
Priority to KR2020000024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24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의 불필요한 조작없이 폭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기후 조건에 상관없이 선명한 시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사이드 미러 장치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미러가 미러 하우징에 수납되어 차량의 좌우 도어에 각각 설치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에 평면으로 형성된 메인 미러부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 1 미러부; 상기 메인 미러부의 하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 2 보조 미러부를 통하여 측방과 하측의 시야가 넓어진다.
그리고,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발생된 고온 고압의 공기를 미러쪽으로 유도하는 덕트; 상기 유도된 고온 고압의 공기를 미러의 표면에 분사하기 위하여 미러 하우징의 내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공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미러 표면에 묻은 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미러 장치{SIDE MIRROR UNIT}
본 고안은 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우천시에도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1)는 차량의 좌·우측 도어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시계를 확보하는 것으로서, 구동방식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상태로 시트에 앉아 있는 경우에도 모터에 의해 사이드 미러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조정하여 후방시계를 조정할 수 있는 전동식 사이드 미러와 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내측에 돌출된 레버를 손으로 직접 조작시켜 후방시계를 확보하는 수동식 사이드 미러가 있으며, 한편으로, 사이드 미러는 대개 차체측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파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미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 확보할 수 있는 시계가 매우 협소하면서 제한적이기 때문에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으나, 운전자는 매번마다 사이드 미러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그 불편함이 매우 극심하다.
그리고 주행시 특히 차선을 바꾸기 위하여 핸들을 조작하는 순간 운전자는 미러의 사각지대 때문에 순간적으로 측방면에서 같이 주행하는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을 보지 못하여 종종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 예를 들어, 차량 측방의 근접한 곳에 차량이 주행하여 오거나 또는 후진시 후방의 시야가 제한되어 있어 후방에 장애물이나 유아들이 있는 경우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를 통하여 이들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무시한 채 차량을 주행 또는 후진시키게 되어 차량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그리고, 우천시에는 통상 사이드 미러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거나 습기가 끼게 되며, 따라서 후방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시계를 극대화하여 불필요한 조작없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미러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천시에도 사이드 미러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이나 습기에 의해 시계를 방해받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사이드 미러 장치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미러가 미러 하우징에 수납되어 차량의 좌우 도어에 각각 설치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에 평면으로 형성된 메인 미러부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 1 미러부;
상기 메인 미러부의 하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 2 보조 미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사이드 미러 장치에 따르면, 제 1,2 보조미러부를 통하여 종래에는 확인할 수 없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즉 사각이 없는 미러이므로 안전사고와 운전자의 불안심리를 해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보이기 위한 차량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미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미러를 보이기 위한 도어의 요부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러 하우징 20 : 미러
21 : 메인 미러부 22 : 제 1보조미러부
23 : 제 2보조미러부 30 : 덕트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미러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 미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사이드 미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사이드 미러 장치는, 크게 일측이 개구되는 하우징(10)과, 미러 하우징(10)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미러(20)로 구성되며, 특히,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러(20)는 평면경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미러부(21)와, 메인 미러부(21)의 면에서 외측면(좌우 사이드 미러의 외측 단부)이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 1 보조 미러부(22)와, 제 1보조 미러부(22)의 하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제 2 보조 미러부(23)로 구성된다. 즉, 미러(20)는 평면의 메인 미러부(21)와, 메인 미러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측방향의 시야를 넓게 하는 볼록 형태의 제 1 보조 미러부(22) 및 제 1 보조 미러부(22)의 하측면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하측의 시야를 제공하는 제 2 보조 미러부(23)로 이루어져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미러(20)의 표면에 고온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미러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 등을 제거함으로써 공기분사에 의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미러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덕트(30)가 구비되며, 미러 하우징(10)의 개구부측 단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공기 분사공(31)이 천공되어 덕트(3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분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시 차선 변경, 출발, 정지시 사이드 미러 장치를 통하여 후방의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게 되는데, 미러(20)의 메인 미러부(21)에 비치는 상을 통하여 후방, 측방의 전체적인 시야를 확보하며, 아울러, 곡면의 제 1 보조 미러부(22)를 통하여 후측방의 넓은 시야를 확보하면서 제 2 보조 미러부(23)를 통하여 아래쪽의 상황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천 시 미러(20)의 표면에 습기가 끼거나 물이 묻게 되면, 운전자는 공기분사 스위치를 선택하여 고온의 공기를 미러(20)에 공급하게 되는데, 공기 공급원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 압축 공기는 덕트(30)를 따라 미러 하우징(10)에 공급되어 그 내측면에 구비된 분사공(31)을 통하여 미러(20) 표면에 분사되어 표면에 묻어 있는 습기나 물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는 미러(20)를 통하여 후, 측방의 시계를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보조 미러부(22)가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종래 미러를 통해서는 확인할 수 없는 더 넓은 지역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 2 보조 미러부(23)에는 종래 미러에 나타날 수 없는 아래쪽의 상황이 보이게 되어 운전자의 전체적인 시야가 넓어진다.
그리고, 미러(20) 표면에 고온의 공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미러(20) 표면의 습기나 물을 제거함으로써 종래보다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사이드 미러 장치에 의하면, 보조미러부를 통하여 폭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작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그리고, 운전자의 시야가 넓어져 주행 중 차선 변경시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과의 접촉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후진시 후방의 장애물을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후방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별도의 미러 조작 없이도 아래쪽의 장애물이나 차선을 확인할 수 있어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미러 표면을 상시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여 선명한 시계를 확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미러가 미러 하우징에 수납되어 차량의 좌우 도어에 각각 설치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에 평면으로 형성된 메인 미러부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 1 미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미러부의 하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제 2 보조 미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발생된 고온 고압의 공기를 미러쪽으로 유도하는 덕트;
    상기 유도된 고온 고압의 공기를 미러의 표면에 분사하기 위하여 미러 하우징의 내측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공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장치.
KR2020000024091U 2000-08-25 2000-08-25 사이드 미러 장치 KR200210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91U KR200210024Y1 (ko) 2000-08-25 2000-08-25 사이드 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91U KR200210024Y1 (ko) 2000-08-25 2000-08-25 사이드 미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024Y1 true KR200210024Y1 (ko) 2001-01-15

Family

ID=7307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091U KR200210024Y1 (ko) 2000-08-25 2000-08-25 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2693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3204710U (ja) ウォッシャーノズルと自動車
JPH07291104A (ja) 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と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の雨滴付着防止具
KR200210024Y1 (ko) 사이드 미러 장치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EP1128985B1 (en) Vehicle provided with a rear-view mirror
KR200353138Y1 (ko) 차량의 윈도우용 와이퍼
JP3713803B2 (ja) 車両用メインミラーの水滴除去装置
JP3024056U (ja) 圧縮エヤ噴射式の水滴排除バックミラー
KR200337414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KR19990024944U (ko) 도어 글래스의 물방울 제거 장치
JPS641888Y2 (ko)
KR0135636B1 (ko) 자동차의 사이드글래스 우적제거장치
KR19980029310U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구조
KR200200730Y1 (ko) 자동차의 전방 측방향 관측용 사이드미러
KR200306268Y1 (ko) 승용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사이드미러
KR19990006259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0290210Y1 (ko) 자동차의 보닛용 풍향가이드
KR200190429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19980030436U (ko) 자동차의 이단식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49802U (ko) 리어 뷰 미러의 습기 제거장치
JPH05238321A (ja) 車両後部構造
KR19990010461U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KR20010089103A (ko) 차량의 전방 좌측,(혹은 우측)방향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차량 부착물
KR19980013003U (ko) 에어분사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