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2789U -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2789U
KR19980012789U KR2019960026369U KR19960026369U KR19980012789U KR 19980012789 U KR19980012789 U KR 19980012789U KR 2019960026369 U KR2019960026369 U KR 2019960026369U KR 19960026369 U KR19960026369 U KR 19960026369U KR 19980012789 U KR19980012789 U KR 19980012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quid crystal
transparent electrode
spac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6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2789U/ko
Publication of KR19980012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78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취부되어 주행중 운전자가 후방을 관측하도록 하는 거울(mirror)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을 관측하도록 취부되는 거울이 소정의 공간을 갖는 2개의 판유리(30)로 되어, 상기 공간 내부에 2색성 색소의 액정(40)이 내장되고, 공간 내부에서 판유리(30)쪽에 액정(40)에 통전되도록 하는 투명전극(31)이 장치되도록 구성하여, 제어장치에 의해 투명전극(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액정(40)이 투명전극(31)의 통전량에 따라 2색성 색소가 상이하게 유동되어 빛의 투과성을 가변시키므로, 빛을 흡수변화시켜 후방 시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거울의 구조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실내 전면부에 룸밀러(room mirror)가 설치되고, 앞쪽의 양측면도어의 전면부에 각기 사이드밀러(side mirror)가 취부되어, 운전자가 상기 룸밀러와 양측 사이드밀러에 의해 일정 가시범위 내에서 차량의 후방 및 양측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룸밀어 또는 사이드밀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되고 배면에 반사코팅이 된 거울(10)이 차체(20)에 취부되는 하우징(11)의 전면 수납부에 취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 룸밀러 또는 사이드밀러는, 후방 및 양측 후방이 거울(10)에 투영되도록 되어 운전석에서 거울(10)을 보는 운전자의 시각에 따라 소정범위 내에서 차량의 양측후방과 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룸밀러 또는 사이드밀러는, 거울이 빛을 그대로 반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 운행시 후방 주행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거울에 의해 운전자에게 그대로 반사되어 눈이 부시게 되고, 이로인해 후방관측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룸밀러 또는 사이드밀러에 취부되는 거울의 구조를 개선하여, 거울에 비춰진 빛을 흡수하도록 하므로, 야간 운행시 운전자의 후방관측이 용이하고 후방 시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밀러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용 밀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밀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판유리31 : 투명전극
40 : 액정
본 고안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판유리(30)가 소정의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상기 판유리(30) 사이의 공간 내부에 2색성 색소의 액정(40)이 내장되고, 공간 내부에서 판유리(30)쪽에 액정(40)에 통전되도록 하는 투명전극(31)이 장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어장치에 의해 투명전극(3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액정(40)이 투명전극(31)의 통전량에 따라 2색성 색소가 상이하게 유동되어 빛의 투과성을 가변시키게 된다.
즉, 낮에 운행시와 밤에 운행시의 제어신호를 상이하게 조절하므로, 낮에는 투과성이 낮도록 하고, 밤에는 투과성이 높아 빛이 흡수되도록 하므로 운전자에게 반사되는 빛이 적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거울이 액정에 의해 빛을 흡수하도록 하므로 야간 운행시 운전자에게 반사되는 빛이 적도록 하므로, 후방관측이 용이하도록 하고 후방시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에 취부되어 주행중 운전자가 후방을 관측하도록 하는 밀러(mirror)에 관한 것으로서, 밀러의 구조를 개선하여 빛이 흡수되도록 하므로 후방 시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후방을 관측하도록 취부되는 거울에 있어서, 상기 거울이 소정의 공간을 갖는 2개의 판유리(30)로 되어, 상기 공간 내부에 2색성 색소의 액정(40)이 내장되고, 공간 내부에서 판유리(30)쪽에 액정(40)에 통전되도록 하는 투명전극(31)이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KR2019960026369U 1996-08-29 1996-08-29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KR199800127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369U KR19980012789U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369U KR19980012789U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789U true KR19980012789U (ko) 1998-06-05

Family

ID=5397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369U KR19980012789U (ko) 1996-08-29 1996-08-29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27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2789U (ko) 자동차용 거울의 구조
US6039448A (en) Side rearview mirror device
JPS61220948A (ja) 車幅灯内臓式バツクミラ−
KR200146067Y1 (ko) 자동차용 보조미러
KR200146066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0131762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수동식 도어 백 미러
KR920003945Y1 (ko)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JPH0351233Y2 (ko)
KR890003539Y1 (ko) 차량의 보조백밀러
KR19980052204A (ko) 자동차용 프론트 필러 트림 구조
KR940007458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950002185Y1 (ko)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KR20110058212A (ko) 자동차 전후방 주시겸용 아웃사이더 백미러
KR19980023640A (ko) 햇빛 차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프론트 글라스
KR19990029111U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19980028480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970041916A (ko) 후방미러를 갖춘 스포일러(A Spolier with back mirror)
KR2004007293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19990027806A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0004847A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KR880000262A (ko) 자동차 야간 운전시 눈부심 방지용 편광전조 등 및 편광(偏光)유리창 장치
KR19980036161A (ko) 자동차용 백 미러
KR19990010462U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
KR20040088712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19980048514U (ko) 자동차의 전방 감시용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