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45Y1 -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45Y1
KR920003945Y1 KR9205293U KR920005293U KR920003945Y1 KR 920003945 Y1 KR920003945 Y1 KR 920003945Y1 KR 9205293 U KR9205293 U KR 9205293U KR 920005293 U KR920005293 U KR 920005293U KR 920003945 Y1 KR920003945 Y1 KR 920003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ation
polarized light
emitted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5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배
Original Assignee
권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90015398A external-priority patent/KR910008333A/ko
Application filed by 권혁배 filed Critical 권혁배
Priority to KR9205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45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제1a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전조등에 부착 사용되는 편광전환부재의 평면도, 제1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종단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전조등과 자동차와의 관계도,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편광판을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불빛의 파형도.
제4a도는 반사편광자를 투과한 수직편광의 파형도, 제4b도는 반사편광자에서 반사되는 수평편광의 파형도.
제5도는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동일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되어 발산되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반사면
12 : 전구고정부 20 : 반사편광자
30 : 투명케이스판 31 : 편광 전환부재
40 : 전면유리 41 : 편광판
L : 전구 C : 자동차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 부터 발생되는 전원에 의한 불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그 불빛의 밝기가 편광발생장치로 인하여 거의 감소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대편 자동차의 안전면 유리에는 편광자를 형성하여, 자동차의 전조등으로 부터 발산되는 일정한 방향의 편광이 전면 유리에 부착된 편광자에 의하여 흡수 또는 차단되어, 상대편 자동차의 운전주행시에 반대편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운전자의 눈부심이 충분히 제거해소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조등의 구조는, 반구형상의 몸체내에 전구가 내장 형성되어 있고, 앞면에는 유리제등의 투명판이 몸체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써, 전조등에 전원을 인가시켜 줌에 따라서 몸체내의 전구가 빛을 발산하여 주변을 밝혀 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발산 유지되는 불빛은 야간운전 주행시에 상대편 차량과 서로 마주보기 식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이는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에 상호 상대편 차량 전조등의 불빛에 의해 자동차 운전자에게 눈부심의 영향을 주게 되었던 것이고, 이로 인하여는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에 불빛에 의한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주행방향의 차량 라이트 불빛도 백미러에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었다.
이와같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전조등의 렌즈에 직접 흡수편광자(polaroid : 평행선으로 표시된 어느 특성적인 편광(偏光)방향이 있는 투광성 물질임)를 부착하거나 또는 렌즈의 내측의 흡수편광자를 설치하고 자동차의 전면유리에는 전조등에 설치된 흡수편광자의 편광방향과 반대방향의 편광방향을 갖도록 흡수편광자를 부착하여, 전조등에 발산되는 불빛의 전기백터 성분중 전조등의 흡수편광장에 형성된 편광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전조등을 투과하도록 하고(이때 전조등의 흡수편광자에 형성된 편광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전조등에 설치된 흡수편광자에 흡수되는 것임)전조등을 투과한 편광은 상대편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부착된 흡수편광자에 흡수되도록 하므로서 전조등의 불빛에 의한 운전자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불빛의 백터 성분중 전조등의 흡수편광자에 형성된 편광과 직각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이 전조등에 설치된 흡수편광자에서 흡수되므로서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불빛광도가 저하되는(약 50% : 흡수편광자의 특성임)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며 또한 전조등의 흡수편광자에서 흡수된 편광은 열로 변환되므로서 전조등의 내부는 고열상태가 되어 흡수편광자의 편광조작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백터성분중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백터성분중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반사편광자를 투과하도록 하고 다른 일반향으로 진동하는 투과하지 않는 편광은 반사편광자에서 반사되도록하며 이 반사된 편광은 편광전환부재에서 반사편광자를 투과한 편광과 같은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변환하여 전구로부터 발산되는 불빛을 모두 동일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발산되게하고 이 편광은 상대편자동차의 편광판에 흡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전조등으로 부터 발산되는 불빛의 밝기에는 변화됨이 없이 상대편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므로서 자동차의 야간주행시에 안정사고를 방지하고 주행방향의 백미러의 라이트 불빛도 같은 방법으로 제고하고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a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전조등에 관한 평면도 및 단면도인 것으로써 안쪽이 반사면(11)으로 된 몸체(10)의 뒷쪽 중앙에는 표출면의 전구고정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전구고정부(12)의 안쪽에는 전구(L)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10) 안쪽의 전구(L)앞쪽에는 반사편광자(20)를 전구(L)를 지점으로 방사 방향으로 다수개 붙임고정한다.
이때에는 전구(L)로부터 발산되는 불빛과 반사편광자(20)와의 반사각을 고려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반사편광과 반사면(11)을 충분히 고려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몸체(10)의 앞쪽에는 운모판 등으로 이루어진 편광전환부재(31, HALF WAVE GUIDE)를 붙임 고정한 투명케이스판(30)을 고정한다.
투명케이스판(30)에 편광전환부재(31)를 붙임 고정할때에는 반사편광자(20)에서 반사된 편광이 편광전환부재(31)에 의하여 반사편광자(20)를 투과한 편광과 동일한 백터 편광으로 전환되게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때, 편광전환부재(31)는 편광효과가 좋게 미분할수록 좋은 것은 말할 나위 없다.
그리고 반사편광자(20)를 투과한 편광이 투과되는 곳에는 편광전환부재(31)를 고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조등의 몸체(10)내에서 전구고정부(12)내에 형성된 전구(L)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직접 투과되는 영역내에는 편광전환부재(31)를 고정하지 않는 것이다. (도면의 A영역과 B영역)
그리고 자동차(C)의 전면유리(40)에는 편광판(41)를 부착 고정하되, 이 편광판(41)은 전조등으로 부터 발산되는 일방향 편광과 연직방향의 편광방향을 갖도록 부착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술하면 도면 제1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전조등몸체(10)내에는 도옴형상의 전구 고정부(12)에 전구(L)가 형성되어 있어, 이 전구(L)의 앞쪽에는 반사편광부재(20)가 붙임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전원의 인가로 전구(L)로부터 불빛이 발하여지게 되면, 전구(L)의 불빛은 반사편광부재(20)에 닿게되고, 이로인하여는 반사편광자(20)에 의해 종파와 횡파로 구성된 전자기파인 불빛(제3도의 X는 빛의 진행방향, Y는 빛의 진동방향임)이 제4도와 같이 수직편광(E)과 수평편광(B)으로 구획되어, (수직편광과 수평판광은 보는 위치에 따라서 서로 바뀔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양분한 것임)수직편광(E)은 반사편광자(20)를 투과하여 발산되고, 수평편광(B)은 반사편광자(20)에 의해 반사되어 몸체(10)의 반사면(11)으로 반사된다.
몸체(10)의 반사면(11)에서 반사된 수평편광(B)은 몸체(10)의 앞쪽에 고정된 편광전환부재(31)를 투과하게 되어 수평편광(B)은 수직편광(E)으로 변화되어 발산되는 것이다.
한편 편광전환부재(31)는 불빛 확산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사편광자(20)를 통과하여 간 수직편광(E)은 전조등의 몸체(10)밖으로 수직편광(E)상태로 발산되는 것이므로, 결국 전구(L)로부터 발산되는 불빛은 제5도와 같이 광의 강도에는 손실됨이 동일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발산되는 것이다.(동일편광으로 발산되는 수직편광(E)은 반사편광자(20)의 반사각의 차이에 의하여 엄밀하게는 타원형상의 타원편광이나 설명의 편의상 편광으로 정의한 것이고 이때에 타원편광은 편광전환부재(31)와 반사편광(20)를 미분할수록 타원형상이 감소되고 편광에 가까워지는 것임)
한편 자동차(C)의 전면유리에는 편광판(41)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편광(E)이 자동차(C)의 전면유리를 통과할 경우에는 빛의 세기(광도)Io=cos3θ("θ"는 전구(L)에서 발산되는 수직편광(E)과 편광판(41)의 편광방향과의 교차각임)에 의하여 반대편 라이트광과의 교착각 "θ"는 90°가 되므로 Io=0이 되어 반대편의 불빛은 차단된다.
이때에 주행하는 자동차는 자기 자동차의 전조등으로 부터 발산되는 불빛과 주위의 불빛에 의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반대편 라이트의 직접적인 직접광과 노면반사의 일부광만을 차단하고 그이외의 모든 불빛은 보상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 고안에 따르면 전구에서 발산되는 불빛을 모두 동일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변화시키고 이편광은 자동차 전면 유리에 설치된 편광판에서 차단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대편 자동차의 라이트에서 발산되는 빛이 타원 편광이므로 편광을 썼을때 자동차 주행시 노면상태에 의한 유동에서 오는 반대편 라이트광의 흔들림 현상도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완전차단이 아닌 운전자에게 부담이 없는 소량의 광은 투과시킴으로서 안전하게 운전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빛의 백터 성분중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반사편광자(20)를 투과하도록 하고 다른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투과하지 않는 편광은 반사편광자(20)에서 반사되도록하여 이 반사된 편광은 편광전환부재(31)에서 반사편광자(20)를 투과한 편광과 같은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변환하여 전구(L)로부터 발산되는 불빛을 모두 동일 백터성분의 편광으로 발산되게하고 이 편광은 상대편 자동차의 편광판에 흡수되도록 한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KR9205293U 1989-10-25 1992-04-01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KR920003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5293U KR920003945Y1 (ko) 1989-10-25 1992-04-01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5398A KR910008333A (ko) 1989-10-25 1989-10-25 자동차에 있어서 헤드라이트의 눈부심 방지장치 및 헤드라이트의 눈부심 방지방법
KR9205293U KR920003945Y1 (ko) 1989-10-25 1992-04-01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398A Division KR910008333A (ko) 1989-10-25 1989-10-25 자동차에 있어서 헤드라이트의 눈부심 방지장치 및 헤드라이트의 눈부심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945Y1 true KR920003945Y1 (ko) 1992-06-13

Family

ID=2662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5293U KR920003945Y1 (ko) 1989-10-25 1992-04-01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19A (ko) * 2002-08-29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랙 및 전자렌지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719A (ko) * 2002-08-29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용 랙 및 전자렌지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389A (en) Electrochromic lamp assemblies
US4219867A (en) Vehicle headlight with polarized and non-polarized light emission
KR920003945Y1 (ko)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US5572342A (en) LCD, light source, and hemispheric concave reflector mounted individually to a support and part of a heads up display
JPH11222073A (ja) 車両用灯具
JP2002036876A (ja) 他車前照灯の防眩装置
KR910008333A (ko) 자동차에 있어서 헤드라이트의 눈부심 방지장치 및 헤드라이트의 눈부심 방지방법
KR890007632Y1 (ko)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JPH10134604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RU2298484C2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слепления
WO1984001012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100210299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KR20010077691A (ko) 자동차의 눈부심 방지장치
RU2197681C2 (ru) Противоослепляющая фара
JPS61135827A (ja) 自動車の対光防眩装置
GB2323916A (en) Headlight glare reduction
JPH0843784A (ja) 液晶表示装置
KR900006995Y1 (ko) 자동차용 전조등
SU827882A1 (ru) Пол ризационное противослеп 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9980037470A (ko) 클리어 타입 헤드 램프 구조
KR0122054Y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KR0122064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반사경과 마운팅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9990046357A (ko) 헤드라이트눈부심제거기
KR970037430A (ko) 대향차량의 헤드 램프 불빛에 의한 눈부심 방지장치
KR19980019786A (ko) 편광 유리를 이용한 운전자의 시야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