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632Y1 -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632Y1
KR890007632Y1 KR2019860014580U KR860014580U KR890007632Y1 KR 890007632 Y1 KR890007632 Y1 KR 890007632Y1 KR 2019860014580 U KR2019860014580 U KR 2019860014580U KR 860014580 U KR860014580 U KR 860014580U KR 890007632 Y1 KR890007632 Y1 KR 890007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polarizing plate
vehicle
headlamp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536U (ko
Inventor
유병혁
Original Assignee
유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혁 filed Critical 유병혁
Priority to KR2019860014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632Y1/ko
Publication of KR880006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F21S41/135Polari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 예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조등 2 : 단턱
3 : 굴곡렌즈 4 : 편광판
5 : 고무패킹 6 : 편광차양
7 : 전구 8 : 반사경
본 고안은 빛이 횡파로서 갖는 특수현상인 편과현상을 이용하여 야간운행시 헤드라이트 불빛의 강한 섬광을 차단하여 자동차의 안전운행을 도모토록한 편광판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레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운전중 상대차량에서 비춰지는 강한 헤드라이트의 섬광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각 장애를 일으켜 운전자의눈누에 피로를 가중시키고 이로인한 전방주시 곤란으로 사고를 유발하여 인명피해 및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헤드라이트의 전면 굴곡유리에 직접 편광판을 설치하여 헤드라이트의 강열한 섬광을 차단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편광막이 헤드라이트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설치 운행시 묻게되는 먼지, 수분등의 오물로 인한 빛의 산란으로 그 고유기능인 편광성이 저하되며, 편광막이 훼손되기 쉬워 소정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또한 전조등의 전면 굴곡렌즈 일부에만 편광막을 설치하므로 전조등내의 반사경으로 부터 반사되어 오는 모든 빛이 편광되지 않고 일부분만 편광되므로 실질적인 전조등 섬광차단효과가 적을뿐 아니라 내구성에 있어서도 문제점으로 노출되었다.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조등의 반사경 내주연에 환설된 단턱에 맞추어 편광판을 삽설한뒤 그위에 굴곡렌즈를 고무 패킹으로 고형화 시켜서된 편광판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전조등(1)의 내주연에 환설된 단턱(2)에 동형의 편광판(4)을 내삽하고 그위에 굴곡렌즈(3)를 끼운뒤 고무패킹으로 고형화 시키도록한 것이다.
통상 전조등의 반사경(8)은 포물면경을 사용한다.
포물면경은 그 고광학적 구조상 입사된 평행광을 포물면경의 촛점으로 모아 지도록하며 반대로 광원이 그 촛점에 위지하던 광원으로 부터 발산되는 빛은 포물면경의 각지점에서 반사되어 균일한 평행광선이 되어 뻗어 나간다.
따라서 전조등(1)의 전구(7)는 반사경(8)의 촛점상에 광원이 일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방출되는 모든빛을 편광시키기 위하여 반사경(8)의 단턱(2)과 같은 크기 및 형태의 편광판을 사용하였다.
제2도는 본 고안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반사경(8)의 주연에 환설된 단턱(2)에 편광편(4)및 굴곡렌즈(4)의 결합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에서와 같이 일측차량(A)의 전조등(1)내에 내삽된 편광판(4)에 의하여 진동 방향이 일정한 광선만을 투과시키게되며 타측차량(B)의 운전석 앞에 설치된 편광차양(6)은 상기 전조등(1)내에 내삽된 편광판(4)의 편과축과 상호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므로서 편광현상을 이용하여 전조등의 강렬한 섬광을 차단시키게 된다.
아울러 타측차량(B)의 전조등(1)내에도 A측 차량과 동일한 방향으로 편광축이 위치하도록 편광판(1)을 설치하고 운전석의 앞 부분에도 A측 차량과 동일한 편광차양(6)을 설치하면 야간주행중 상호 교행시 전조등의 섬광이 차단되므로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전조등(1)이외에 편광판(4)이 설치되지 않은 방향지시등, 신호등, 기타불빛 등 편광차양(6)을 통해 들어오는 빛은 한 방향으로만 편광되고 밝은 전조등 빛 만이 차단되므로 우리눈은 생리적으로 조리개가 넓어져 전방피조물이 더욱더 선명하게 식별이 용이하며 쾌적한 야간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전조등(1)내에 편광판(4)이 내삽되어 있어 플라로이드 겹판과 황산키니네요오드의 얇은 결정층으로 이루어진 편광판(4)에 먼지등이 묻거나 훼손되든 것을 방지할수 있고, 야간교통사고 예방에 유효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빛이 횡파로서 갖는 평광현상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조등에 편광막을 취부하고 이 편광막과 편광축이 직각인 편강판을 자동차의 앞 유리등에 설치하여서된 감광장치에 있어서, 전조등(1)의 반사경(8) 내주연에 환설된 단턱(2)에 편광판(4)을 내삽하고 굴곡렌즈(3)를 고무패킹(5)으로 고형화 시켜서된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KR2019860014580U 1986-09-23 1986-09-23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KR890007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580U KR890007632Y1 (ko) 1986-09-23 1986-09-23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4580U KR890007632Y1 (ko) 1986-09-23 1986-09-23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36U KR880006536U (ko) 1988-05-31
KR890007632Y1 true KR890007632Y1 (ko) 1989-10-31

Family

ID=1925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580U KR890007632Y1 (ko) 1986-09-23 1986-09-23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6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536U (ko) 198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66016A (en) Outside signal for automobiles
KR890007632Y1 (ko)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CN109715446B (zh) 形成道路车辆的挡风玻璃或后视镜的过滤视觉元件
JPS6323235Y2 (ko)
JP2002036876A (ja) 他車前照灯の防眩装置
US3387127A (en) Clearance safety reflector ring
WO1984001012A1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920003945Y1 (ko) 자동차에 있어서 전조등의 눈부심 방지장치
JP7292036B2 (ja) 低グレア自動車前照灯
KR100213863B1 (ko) 차량의 전조등
JPH0751680Y2 (ja) 信号灯
JPS638506Y2 (ko)
JPS5817288Y2 (ja) 車輌用灯具
JPS5827443Y2 (ja) 車輌用灯具
EP0930457A2 (en) Polarized headlamps and rear view mirrors
JPS61291215A (ja) 眩惑防止装置
JP2793468B2 (ja) 車輌用灯具
JPH0622883Y2 (ja) 散光式警光灯の防眩構造
KR860003395Y1 (ko) 자동차 전조등의 외각 광량 감소장치
CH674070A5 (en) Anti-dazzle headlamp beam polariser for motor vehicle - utilises linear polarisation films crossed at acute angle between headlamp and eyes of oncoming vehicle driver
KR200236603Y1 (ko) 차량용 선글라스
KR0119320Y1 (ko) 자동차의 리어 가니쉬(Rear Garnish) 구조
JPS6348885Y2 (ko)
KR19980030652A (ko) 편광필터를 이용한 상대챠랑의 전조등 불빛 차단장치
KR20100011525U (ko) 45도 기울어진 편광필름을 이용한 전 후방 차량의 전조등 차단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