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85Y1 -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 Google Patents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85Y1
KR950002185Y1 KR2019930005252U KR930005252U KR950002185Y1 KR 950002185 Y1 KR950002185 Y1 KR 950002185Y1 KR 2019930005252 U KR2019930005252 U KR 2019930005252U KR 930005252 U KR930005252 U KR 930005252U KR 950002185 Y1 KR950002185 Y1 KR 950002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lens
mirror
vie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617U (ko
Inventor
황경수
Original Assignee
황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수 filed Critical 황경수
Priority to KR2019930005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185Y1/ko
Publication of KR940024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시경
제1도는 본 고안을 실내용 후사경(REAR VIEW MIRROR)에 적용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동 A-A선 단면도.
제4도는 동 배면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의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을 대형차량의 실외용 후사경(SIDE MIRROR)에 적용한 제3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동 정면도.
제8도는 동 B-B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을 소형차량의 실외용 후사경(SIDE MIRROR)에 적용한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10도는 동 정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고안의 굴절렌즈로 사용되는 오목렌즈 및 삼각렌즈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미러
3 : 지지간 또는 지지부재 4 : 원통형굴절렌즈
5 : 투시창 6 : 오목절개부
7 : 조절용 손잡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용 또는 실외용 후사경에 있어서, 후사경의 일측에 굴절렌즈를 부착함으로써 후사경자체에 의한 전방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한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후사경은 실내용이나 실외용이거나를 불문하고 차체에 부착된 후사경 자체가 운전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사각지대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후사경 자체에 의한 시야차단은 운전자에게 폭넓은 시야를 방해하여 운전중인 운전자를 답답하게 하거나 불안감을 주기도하고 나아가 후사경에 의한 사각지대는 안전운전에 위험한 요소로 적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후사경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실내용 또는 실외용 후사경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그 하부에 굴절렌즈를 부착하여 후사경 자체에 의한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투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사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되는 굴절렌즈는 양가장자리에서 일정하게 굴절하는 중공원통형 굴절렌즈나, 오목렌즈 또는 삼각렌즈가 사용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을 실내용 후사경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간(3)에 의해 차체에 부착된 하우징(1)내에 미러(2)가 장착되며, 하우징(1) 하부가장자리를 따라서 원통형 굴절렌즈(4)가 부착되어있다. 제4도의 배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원통형 굴절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부분에는 투시창(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시창(5)은 그대로 개구부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도는 상기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미러(2)에 오목절개부(6)를 형성하고 원통형 굴절렌즈(4)를 이 오목절개부(6)내에 삽입 설치한 것으로서 굴절렌즈(4)가 후사경에서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술한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후사경의 외관형태를 콤팩트하게 정리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은 후사경의 반사각도 조절용 손잡이디ㅏ.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을 대형차량의 실외용의 후사경(SIDE MIRROR)에 적용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데 그 구성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나 제2실시예에서는 굴절렌즈가 후사경으로 하측 가장자리의 전장에 걸려서 하우징내에 일체로 수용되어 있다.
제9도 내지 제10도는 본 고안을 소형차량의 실외용의 후사경에 적용한 제3실시예로서 지지부재(3)의 구조이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고안의 후사경에서 채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종류의 렌즈인 오목렌즈와 삼각렌즈의 단면을 보여주는데 이들 렌즈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후사경 또는 하우징(1)에 의하여 차단된 사각지대에서 오는 광선이 굴절하여 운전자의 시야로 들어오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후사경의 일측에 굴절렌즈를 부착함으로써 후사경 자체에의한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폭넓은 시야를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전감을 주고 안전운행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았으나 렌즈의 굴절율이나 크기등의 규격 또는 좀 더 밟은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렌즈에 표면 처리하거나 색채를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굴절렌즈에는 투명도가 높은 색을 넣어서 확대된 전방시계를 명료하게 투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실내용 또는 실외용 후사경에 있어서, 후사경의 일측에, 바람직하게는 그 하부에 굴절렌즈를 부착하여 후사경 자체에 의한 사각지대를 운전가가 투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후사경.
  2. 제1항에 있어서의, 상기 굴절렌즈는 원통형렌즈, 오목렌즈 또는 삼각렌즈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사경.
KR2019930005252U 1993-04-02 1993-04-02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KR950002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252U KR950002185Y1 (ko) 1993-04-02 1993-04-02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252U KR950002185Y1 (ko) 1993-04-02 1993-04-02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17U KR940024617U (ko) 1994-11-17
KR950002185Y1 true KR950002185Y1 (ko) 1995-03-29

Family

ID=1935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252U KR950002185Y1 (ko) 1993-04-02 1993-04-02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1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17U (ko) 199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9462A (en) View expanding and directing optical system
US6104552A (en) Vehic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forward vision optical system
US3199114A (en) Device for eliminating the glare of automobile headlights
EP0240226A3 (en) Single-compartment, self-erasing, solution-phase electrochromic devices, solutions for use therein, and uses thereof
GB2263453A (en) Rear view systems
US5428409A (en) Night driving glasses
JPS581068Y2 (ja) 自動車用ミラ−装置
KR950002185Y1 (ko) 사각지대를 투시할 수 있는 후사경
US6108141A (en) Signal viewing device
KR900007246Y1 (ko) 차량용 백미러
KR940007458Y1 (ko) 자동차용 백미러
GB2142298A (en) Side or rear view mirror device for a vehicle
KR200232156Y1 (ko) 후방 모니터용 차양장치
KR940004479Y1 (ko) 야간 운전용 차광렌즈
RU20454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ослепления водите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2324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KR890006993Y1 (ko) 자동차용 창유리
BG60455B1 (bg) автомобилно огледало
KR920007909Y1 (ko) 채색필름이 갖추어진 자동차 실내후사경
KR940008669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218570Y1 (ko) 자동차의 투명 햇빛 가리게
JPS61135827A (ja) 自動車の対光防眩装置
KR940005098Y1 (ko) 자동차용 차광판
KR200169906Y1 (ko)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KR930006247Y1 (ko) 자동차 백미러의 빗물받이 챙 연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