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906Y1 -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906Y1
KR200169906Y1 KR2019990018963U KR19990018963U KR200169906Y1 KR 200169906 Y1 KR200169906 Y1 KR 200169906Y1 KR 2019990018963 U KR2019990018963 U KR 2019990018963U KR 19990018963 U KR19990018963 U KR 19990018963U KR 200169906 Y1 KR200169906 Y1 KR 200169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vehicle
view mirro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피이제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피이제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피이제이산업
Priority to KR2019990018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9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미러 하우징(1)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 글래스(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미러 글래스(2)의 사각지역을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광원(5)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후방차량에게 방향전환 신호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특정구면 후사경(3)과,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의 뒷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코드(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원(5, 8)과, 상기한 광원(5, 8)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운전자에게 향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광차단 프레임(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메인 사이드뷰미러의 하단에 소형의 보조 사이드뷰 미러를 일체화시켜 장착함과 동시에, 정지신호, 방향전환신호, 비상신호 등을 전방 및 후방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는 상기한 신호표시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다양하면서도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A SIDEVIEW MIRROR HAVING MULTIPLE FUNCTION FOR THE CAR}
이 고안은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메인 사이드뷰미러의 하단에 소형의 보조 사이드뷰 미러를 일체화시켜 장착함과 동시에, 정지신호, 방향전환신호, 비상신호 등을 전방 및 후방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는 상기한 신호표시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사이드뷰미러(M)는 운전자가 자동차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한 사이드뷰미러(M)는 운전석에서 볼 수 있는 시계범위가 한정되어 있어서 사각지역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소형 사이드뷰미러를 메인 사이드뷰미러의 위에 장착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한 보조 소형 사이드뷰미러는 메인 사이드뷰미러에 튼튼하게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메인 사이드뷰미러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장착구조가 서로 달라서 쉽게 사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뷰미러는 차량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어서 전방이나 후방의 차량이 식별하기 좋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표시장치를 부착하기에 좋은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사이드뷰미러는 단순히 운전자의 시계확보기능만 있어서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사이드뷰미러의 하단에 소형의 보조 사이드뷰 미러를 일체화시켜 장착함과 동시에, 정지신호, 방향전환신호, 비상신호 등을 전방 및 후방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는 상기한 신호표시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사이드뷰미러 장치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의 하단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의 광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러 하우징 2 : 미러 글래스
3 : 특정구면 후사경 4 : 전원코드
5, 8 : 광원 6 : 광차단 프레임
7 : 각도조절부 9 : 굴절 프레임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의 구성은, 미러 하우징(1)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 글래스(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미러 글래스(2)의 사각지역을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광원(5)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후방차량에게 방향전환 신호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특정구면 후사경(3)과,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의 뒷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코드(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원(5)과, 상기한 광원(5)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운전자에게 향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광차단 프레임(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전원코드(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원(8)이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의 반대쪽을 향하여 미러 하우징(1)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한 광원(8)의 앞쪽에는 굴절 프레임(9)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은 특정구면 후사경(3)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부(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운행을 하는 경우에 후방시계는 일반적으로 미러 글래스(2)를 통하여 확보하게 되며, 미러 글래스(2)가 보여주지 못하는 사각지역은 투정구면 후사경(3)을 통하여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진시에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은 주로 뒷바퀴의 주변부분을 보여주기 때문에 운전자가 후진주차를 매우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사각지대 및 뒷바퀴부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는 미러 글래스(2)의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각도 조절부(7)를 이용하여 특정구면 후사경(3)의 시계범위를 가변고정시킬 수가 있다.
운전자가 운행중에 방향전환을 하거나 비상상태임을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 차량의 컴비네이션 램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는 방향전환 신호등이나 비상등이 점멸됨과 동시에, 이와는 별도로 전원코드(4)를 통하여 광원(5, 8)에 전원이 단속적으로 인가됨으로써 광원(5, 8)이 점멸되면서 특정구면 후사경(3)을 통하여 뒷차량에게 신호가 전달됨과 동시에 굴절 프레임(9)을 통하여 앞차량에게 신호가 전달표시되도록 한다. 상기한 광원(5, 8)은 화살표와 같은 특정 형상으로 배열되거나, 광차단 프레임(6) 및 굴절 프레임(9)이 화살표와 같은 특정형상으로 빛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특정형상을 통해 시각효과를 높이면서 신호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경우에,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차단 프레임(6)은 광원(5)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광경로를 따라 거울 증착면으로 입사가 되는 과정에서 광경로가 운전자의 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시계에서는 볼 때 빛의 입사각도에 따른 투과도와 투과매질(유리)에 의한 광선의 법선방향에 의해 유리경계면에서 그 스펙트럼을 인지할 수 없도록 하여, 즉 빛이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시계산란 현상을 배제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메인 사이드뷰미러의 하단에 소형의 보조 사이드뷰 미러를 일체화시켜 장착함과 동시에, 정지신호, 방향전환신호, 비상신호 등을 전방 및 후방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게는 상기한 신호표시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다양하면서도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사이드뷰미러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3)

  1. 미러 하우징(1)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 글래스(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미러 글래스(2)의 사각지역을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광원(5)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후방차량에게 방향전환 신호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특정구면 후사경(3)과,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의 뒷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코드(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원(5)과, 상기한 광원(5)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운전자에게 향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광차단 프레임(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특정구면 후사경(3)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부(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구면 후사경(3)의 반대쪽을 향하여 설치되어 전원코드(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하는 광원(8)과, 상기한 광원(8)의 앞쪽에 설치되는 굴절 프레임(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KR2019990018963U 1999-09-07 1999-09-07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KR200169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63U KR200169906Y1 (ko) 1999-09-07 1999-09-07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63U KR200169906Y1 (ko) 1999-09-07 1999-09-07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906Y1 true KR200169906Y1 (ko) 2000-02-15

Family

ID=195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963U KR200169906Y1 (ko) 1999-09-07 1999-09-07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9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9257C (en) A mirror assembly having means for emitting or receiving a predetermined narrow spectral band of light
US5207492A (en) Mirror assembly
US5481409A (en) Mirror assembly
US5587699A (en) Exterior mirror with information display
ES2264695T3 (es) Retrovisor modular con señales multiples intercambiables para vehiculos de dos, tres, cuatro o mas ruedas.
JP2000238579A (ja) 自動車のための一体型表示装置を有するバックミラー
EP0682605A1 (en) Mirror assembly with illuminating means
US6918685B2 (en) Mirror with integrated signaling assembly
KR200169906Y1 (ko) 복합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뷰 미러 장치
JPH09175273A (ja) 車両用後写鏡装置
KR200284078Y1 (ko) 다기능 램프가 장착된 자동차용 리어백미러
JP2008519716A (ja) 車両後退用バックミラー
US20240142079A1 (en) Lighting Device for Rear-View Device of Vehicle
US20080024864A1 (en) Signaling assembly
KR200200813Y1 (ko) 자동차용 실내 후사경
KR200213506Y1 (ko) 안전등화장치
KR100666539B1 (ko) 자동차 베이스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WO2024094692A1 (en) Lighting device for rear-view device of vehicle
KR100324367B1 (ko) 자동차용 윙미러의 시그날램프 표시장치
JPH08119038A (ja) 車両用リヤアンダーミラー
KR2004007293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297568Y1 (ko) 프런트미러
JP2527525Y2 (ja) 自動二輪車用の警告灯装置
KR20000018610U (ko) 램프겸용 자동차 후사경
KR20050024019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및 적외선램프 일체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