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133B1 -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 Google Patents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133B1
KR100433133B1 KR10-2000-0021499A KR20000021499A KR100433133B1 KR 100433133 B1 KR100433133 B1 KR 100433133B1 KR 20000021499 A KR20000021499 A KR 20000021499A KR 100433133 B1 KR100433133 B1 KR 10043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rains
beans
basic
sorgh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429A (ko
Inventor
이의성
Original Assignee
이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성 filed Critical 이의성
Priority to KR10-2000-002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1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기본곡물이 팥, 거두, 수수, 해바라기씨, 기장, 찹쌀, 현미, 율무, 서목태 (약콩), 흑태 (검정콩), 녹두, 옥수수 및 조 등을 포함하며, 오행별 추가곡물은 상기 기본 곡물로부터 선택되고, (팥 또는 거두), (수수 또는 해바라기씨), (기장 또는 찹쌀), (현미 또는 율무), (서목태 또는 검정콩), 또는 (녹두, 옥수수 또는 조)로 구성된 조합에서 선택되며, 상술한 가미제는 상술한 오행별 추가 곡물의 종류와 서로 대응하여 선택되는데, 추가 곡물이 팥 또는 거두일 때에는 구연산 및/또는 비타민 C에서, 기장 또는 찹쌀일 때에는 흑설탕, 포도당에서, 현미 또는 율무일 때에는 후추 또는 생강에서, 콩 또는 서목태일 때에는 소금 또는 다시마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곡물의 분말, 오행별 추가곡물의 분말, 및 가미제로 구성된 생식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먹기가 곤란하고 힘든 생식 제품을 생식의 기본 원리를 해치지 않고 특정한 가미제를 첨가함으로써 먹기가 용이하고 간편하고 경제적인 생식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Raw foodstuffs containing seasoning materials}
본 발명은 오행생식법에 기초한 생곡식을 이용한 생식 제품에서, 기본곡물의 분말, 오행별 추가곡물의 분말, 및 가미제로 구성된 생식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본곡물의 분말, 오행별 추가곡물의 분말, 및 가미제로 구성된 생식 제품에 있어서, 기본곡물이 팥, 거두, 수수, 해바라기씨, 기장, 찹쌀, 현미, 율무, 서목태 (약콩), 흑태 (검정콩), 녹두, 옥수수 및 조 등을 포함하며, 오행별 추가곡물은 상기 기본 곡물로부터 선택되고, (팥 또는 거두), (수수 또는 해바라기씨), (기장 또는 찹쌀), (현미 또는 율무), (서목태 또는 검정콩), 또는 (녹두, 옥수수 또는 조)로 구성된 조합에서 선택되며, 상술한 가미제는 상술한 오행별 추가 곡물의 종류와 서로 대응하여 선택되는데, 추가 곡물이 팥 또는 거두일 때에는 구연산 및/또는 비타민 C에서, 기장 또는 찹쌀일 때에는 흑설탕, 포도당에서, 현미 또는 율무일 때에는 후추 또는 생강에서, 콩 또는 서목태일 때에는 소금 또는 다시마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식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생식(生食)이란 불과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화식(火食)과 대응되는 용어로서, 각종 음식물을 익히지 않고 날 것으로 먹는 음식물의 섭취방법을 말한다.
음식물의 섭취는 인간의 활동과 생존에 필수적인 각종 영양소 및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영양소 및 영양분의 불균형은 인체의 건강에 치명적인 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증명되어 있으며, 또한 음식과 생활 습관이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도 주장되고 있다.
인류가 최초로 불을 발견한 이래 가열 조리법이 등장하였고 맛과 위생적인 측면에서 가열 조리법이 보편적으로 되었다. 그러나 열과 불은, 식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 효소, 엽록소 등의 각종 영양소들이 파괴되며, 지방, 단백질, 전분 등의 영양분을 변형시킨다. 각종 영양소의 파괴는 영양에 불균형을 주기 때문에 또다른 영양소 공급원을 필요로 하며 열과 불에 의해 변형된 물질들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불에 의한 탄화물들은 암유발 물질인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게다가, 빠르고 편하고 아름다운 것만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기호와 더불어 가공식품 섭취 증가에 따라 화학 첨가물의 폐해가 늘어나고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질의 섭취가 늘어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음주와 흡연, 잦은 외식, 불규칙한 식생활은 영양의 불균형을 더욱 가속화시킴으로써 사람의 신체를 병들게 하고 있다.
화식, 육식, 가공식품, 정제식품 등에 의한 영양소 및/또는 영양분의 파괴및 변형, 그리고 이로 인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식이섬유의 섭취량의 감소는 인체의 장내에 노폐물을 축적시키고 불완전 소화를 증대시킴으로써 변비 및 숙변을 야기하고 각종 장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내의 효소 및 엽록소의 열에 의한 파괴는 소화력을 감소시켜 위장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비타민 및 미네랄의 파괴 및 감소는 효소 생성 부족 및 영양 결핍을 초래하여 빈혈 및 피로를 야기한다. 또한 열변성 지방은 과산화지질 또는 콜레스테롤 지방의 축적을 야기함으로써 각종 암 및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단백질은 열에 의해 변성되어 독성 단백 분해물을 형성하며, 면역력 약화, 간해독 능력 및 신장기능에 과도한 능력을 요구함으로써, 알레르기, 암, 간질환, 신장질환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각종 음식물을 열이나 불에 의해 조리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섭취하는 생식에 대한 요구 및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식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식법에 의한 음식물의 섭취 방법은, 영양의 보고인 씨눈, 파괴되지 않은 엽록소, 생명을 지탱해주는 버팀목과 같은 효소, 장 기능에 필수적이며 몸안의 청소부인 식이섬유, 각종 필수 비타민과 단백질, 지방 등이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섭취되기 때문에, 영양학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질병의 예방과 개선에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생식법은, 음식물을 익혀서 먹는 화식법에서 오는 부작용을 보강하기 위해 익히지 않고 그냥 먹는 생식법으로서, 곡식과 야채, 과일 등을 이용한 보조식품을 섭취하는 것이다.
더욱 최근 들어, 사람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생식하는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조절하는 오행생식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오행생식방법에서는, 인체의 체질 및 건강 상태를 목, 화 토, 금, 수, 상화, 표준형으로 분류하고, 음식물도 각각 목, 화, 토, 금, 수의 다섯 종류로 분류하고, 상술한 체질 및 건강 상태에 맞는 음식물 또는 그 배합물을 섭취하게 한다. 인체의 체질 및 건강 상태 및 음식물의 분류는 다음 표와 같다.
오행생식 방법에 따르면, 간이 나쁜 사람은 신맛을 보충하고, 간을 약화시키는 폐의 기운을 억제해야 하므로, 간을 보호하는 식품으로서, 신맛으로 분류되는 팥, 거두, 보리, 밀, 호밀, 깨, 들깨, 돈부콩, 강낭콩, 잣, 호도, 땅콩 등이나 위의 표에는 기재하지 않았지만 역시 신맛으로 분류되는 사과, 모과, 포도, 부추, 오미자 등을 많이 섭취한다. 또한 간은 목에 속하고, 목을 약화시키는 금을 억제하려면 화를 강화시켜야 금이 약화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화는 쓴맛에 속하므로 쓴맛으로 분류되는 음식물을 다량 섭취하게 한다. 즉, 간은 목에 속하고 간을 보하려면 신맛과 쓴맛으로 분류된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간의 기능이 강화되는 것으로설명된다. 또, 위장이 나쁜 사람은 단맛과 매운맛으로 분류된 음식을 많이 섭취하고, 심장이 나쁜 사람은 쓴맛과 단맛으로 분류된 음식을 많이 섭취한다.
상술한 바처럼, 오행 생식법에 따라 인체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분류하고 이에 맞추어 음식물을 생식으로 섭취하는 경우에, 상기 표에 분류된 각 부류의 음식물들 중에서 두세 가지 부류의 음식물을 함께 섭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체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분류하여 거기에 합당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오행생식법이다.
이러한 분류는 영양소 및 영양분을 고려하는 영양학적인 관점으로도 타당하며, 생식법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생식하는 음식물의 종류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러한 생식법에 기초하여 생식을 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생식용 식품의 섭취에 가장 큰 문제점은 맛이 없고 먹기가 거북하다는 것이었다. 체질을 구별하지 않는 일반적인 생식법에서는, 생식 제품에 단순히 맛을 조미하는 설탕이나 맛있는 사과, 감, 밤, 김으로 가미하거나 천연 식물 허브로 맛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 및 종류를 조절하는 오행생식법에서는 이러한 가미방법은 오히려 오행생식법의 기본적인 개념과 상치되며 오히려 역효과를 줄 수도 있다.
또한, 오행생식법에서는 각각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른 기본 음식 배합물을 별개로 포장하고 이들을 정해진 분량만큼 각각 섭취하거나 혼합하여 섭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섭취 방법은 사용자에게 지나친 부담을 주며, 귀찮은 방법이다.
본 발명자들은, 오행생식법에 따른 생식 대용식에 오행생식법의 기본적인 개념과 상치되지 않는 특정한 가미제들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생식 조성물을 가미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오행생식법에서는 이들 각 부류의 음식물을 별개로 포장하고, 이들을 정해진 분량만큼 각각 섭취하거나 혼합하여 섭취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러한 섭취 방법은 사용자에게 귀찮은 방식이므로, 이들을 함께 혼합하여 포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경우에 따라 각 장부마다 별도로 구분된 생식제품들을 필요 시에 섞어서 섭취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줌과 동시에, 각 체질에 따라 약한 장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생식 및 그 제조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가미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생식용 대용 보조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각 부류에 따라 별개로 포장된 생식용 대용 보조식을 목적에 따라 세가지의 부류의 음식물을 함께 포장한 생식용 대용 보조식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오행생식법에 따른 생식은 기본적으로 팥, 거두, 수수, 해바라기씨, 기장, 찹쌀, 현미, 율무, 서목태 (약콩), 흑태 (검정콩), 녹두, 옥수수, 조를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기본 곡물은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생식을 위해 사용되는 곡물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음식물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기본 곡물 분말을 구성하는 기본 곡물들의 양은 대체적으로 서로 동일한 양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분말의 중량으로 서로 1∼2 배이내이다.
상술한 기본 곡물들을 분쇄하고 건조하는데, 건조에는 일반건조, 저온 건조, 동결건조법이 사용된다. 곡물 분말의 혼합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기계식 혼합기 또는 단순한 교반에 의해서 혼합될 수 있다. 기본 곡물의 분쇄 정도는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지만, 곡물을 섭취하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직경 0.5 mm 내지 1.0 mm의 분말 형태, 인삼차의 과립과 같은 과립 형태, 또는 대략 녹두알 크기의 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본 곡물로부터 제조된 분말에, 상술한 오행 분류에 따른 곡물 한두가지의 분말을 특정한 비율로 추가로 첨가하여 해당 오행 부류에 맞는 생식 제품을 제조한다. 즉, 추가되는 곡물은 상기 기본 곡물과 사실상 동일한 곡물이며, 상술한 오행 분류에 따라 신맛 (팥,거두), 쓴맛 (수수, 해바라기씨), 단맛 (기장, 찹쌀), 매운맛 (현미, 율무), 짠맛 (서목태, 검정콩), 떫은맛 (녹두, 옥수수, 조)으로 분류된다. 이때, 상술한 바처럼, 깨 또는 밀 (신맛), 은행 (쓴맛), 호박 가루 (단맛), 미역, 다시마 (짠맛) 등을 기본 곡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오행 분류에 따라 추가되는 곡물의 양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아니하나, 일반적으로는 기본 곡물 분말의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이며, 서너배의 양일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필요되는 곡물 및/또는 분말을 정해진 양에 따라 미리 혼합하고 함께 분쇄 및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조된 기본 곡물 분말 및 오행 분류에 따른 곡물 분말의 혼합 분말에 상술한 곡물과는 다르지만 오행에 의해 독특한 맛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가미제들을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가미제 및 이에 대응하는 오행 분류는 다음과 같다:
간, 담 - 신맛 - 구연산, 비타민 C,
심장, 소장 - 쓴맛 - 쑥가루, 도라지 가루, 볶은 보리가루
비장, 위장 - 단맛 - 흑설탕, 포도당
폐장, 대장 - 매운맛 - 후추, 고춧가루, 생강, 박하
신장, 방광 - 짠맛 - 소금, 다시마, 파래, 멸치가루
상화 - 떫은 맛 - 도토리, 화분(꽃가루)
첨가되는 가미제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하게 한정되지 아니하나, 일반적으로는 혼합 분말의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이다. 첨가되는 가미제의 양은, 오행 생식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가되는 가미제가 첨가되는 곡물의 오행분류에 맞게 특정되어 있어, 오행생식의 기본 원리를 저해하지 않으며, 또한 오행분류에 맞게 포장된 혼합 곡물 분말 제품에 함께 첨가되기 때문에, 복용하기 쉽고 간편하다는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는, 오행생식법에 따른 곡물 분말을 각 오행 분류에 따라 각각의 포장으로 제조하여 시판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제조된 오행 분류별 생식 제품을 자신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따라 서너가지를 별도로 구입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별도로 포장된 오행 분류된 생식 제품을 각각 별도로 복용하거나 복용시에 혼합하여야 한다.
또한, 생식용 곡물 분말이 해충의 침해 및/또는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복용 후에는 엄중한 밀봉을 요구한다.
이러한 제조 및 판매 방식은 비용과 여러 가지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생식 제품의 구매 및 지속적인 복용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오행분류된 생식 제품은 일반적으로 기본 곡물 분말 및 하나의 오행별 곡물 분말의 혼합물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오행 분류된 생식 제품은 기본 곡물 분말에 여러 가지, 특히 3가지의 오행별 곡물 분말(이후, 혼합된 오행분류별 생식 제품이라고 함)을 포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동양의학과 오행론적 생식의 이론에 의해 인간이 목화토금수의 5장부를 가지고 태어나면서, 그것에 따른 5가지 속성의 체질을 가지는데, 통상 그 5장부 중 2장부는 강하고, 3장부는 약하게 태어나게 된다. 따라서 약한 3장부를 보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오행분류별 생식 제품은 다음과 같다:
목화토 오행 분류 - (간, 담) + (심장, 소장) + (비장, 위장)
화토금 오행 분류 - (심장, 소장) + (비장, 위장) + (폐장, 대장)
토금수 오행 분류 - (비장, 위장) + (폐장, 대장) + (신장, 방광)
금수목 오행 분류 - (폐장, 대장) + (신장, 방광) + (간, 담)
수목화 오행 분류 - (신장, 방광) + (간, 담) + (심장, 소장)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병 회복용으로 생식 제품으로서 상기 약한 3장부 중 가장 약한 2장부를 보하기 위한 하기와 같은 생식 제품이 제공된다 :목화 오행 분류 - (간, 담) + (심장, 소장)화토 오행 분류 - (심장, 소장) + (비장, 위장)토금 오행 분류 - (비장, 위장) + (폐장, 대장)금수 오행 분류 - (폐장, 대장) + (신장, 방광)수목 오행 분류 - (신장, 방광) + (간, 담)
본 발명의 혼합된 오행분류별 생식 제품은 동일한 기본 곡물 분말에 요구되는 오행별 곡물 분말을 함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복용하기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보관 및 이송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혼합된 오행분류별 생식 제품은 각 분류별 곡물 또는 곡물 분말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포함하지만, 필요에 따라 서로에 대해 1 내지 3배 중량의 양으로 가감될 수 있으며, 이의 가감되는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생식 제품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제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건조된 분말을 바로 봉지에 담은 봉지 포장 제품, 인삼차와 같이 포장된 1회용 봉지 포장, 연질 또는 경질 캡슐에 분말을 담은 캡슐 포장, 환 또는 정제 형태, 또는 비스켓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식 제품을 1회용 봉지 형태로 포장하는 경우, 휴대하며 복용할 수 있다는 이점 및 보관의 편리성 및 안정성이 있으며, 작은 캡슐에 넣는 경우에는 복용하기가 편리하다는 이점과 함께 상기와 동일한 보관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식 제품은 일반적인 분말상 생식 제품의 복용 방식과 동일하며, 예를 들면 물, 우유 또는 쥬스류와 함께 복용하거나, 입에 넣고 씹어서 먹거나 쥬스 등과 섞어서 죽처럼 만들어 복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묘사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 쓴맛(심장, 소장)
팥, 거두, 수수, 해바라기씨, 기장, 찹쌀, 현미, 율무, 서목태 (약콩), 흑태 (검정콩), 녹두, 옥수수, 조를 분쇄하고 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각 곡물 분말을 각각 50 g 씩 혼합하여 기본 곡물 분말을 제조한다.
쓴맛(심장, 소장)에 해당하는 곡물인 수수 및 해바라기씨를 각각 10 g 씩 분말 상태로 제조하고 혼합하여 추가 곡물분말을 제조한다.
쓴맛(심장, 소장)에 해당하는 가미제인 쑥가루 및 도라지 가루를 각각 10 g씩 분말 상태로 제조하고 혼합하여 가미제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기본곡물 분말 100 g에, 추가곡물분말 10 g 및 가미제 분말 10 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여 쓴맛(심장, 소장)에 대한 오행별 생식 제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오행별 생식 제품은 복용하는데 훨씬 부드러웠고 먹기가 좋았다.
실시예 2∼5
추가곡물 분말 및 가미제 분말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처럼 변경됨을 제외하고는 각 곡물 및 가미제에 대해 동일한 양으로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오행별 생식 제품은 복용하는데 훨씬 부드러웠고 먹기가 좋았으며, 냄새에 의해 구별될 수 있었다.
실시예 6 : 혼합된 목화토 오행 생식 분말의 제조
신맛(간, 담장)-쓴맛(심장, 소장)-단맛(비장, 위장) 혼합 생식
팥, 거두, 수수, 해바라기씨, 기장, 찹쌀, 현미, 율무, 서목태 (약콩), 흑태 (검정콩), 녹두, 옥수수, 조를 분쇄하고 건조하여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각 곡물 분말을 각각 50 g 씩 혼합하여 기본 곡물 분말을 제조한다.
신맛(간, 담장)에 해당하는 곡물인 팥 및 거두 각각 10 g, 쓴맛(심장, 소장)에 해당하는 곡물인 수수 및 해바라기씨 각각 10 g, 및 단맛(비장, 위장)에 해당하는 곡물인 기장 및 찹쌀 각각 10 g을 모두 분말 상태로 제조하고 혼합하여 혼합된 추가곡물분말 (목화토 추가곡물 분말)을 제조한다.
동일하게, 신맛(간, 담장)에 해당하는 가미제인 구연산 및 비타민 C를 각각 10 g, 쓴맛(심장, 소장)에 해당하는 가미제인 쑥가루 및 도라지 가루를 각각 10 g, 및 단맛(비장, 위장)에 해당하는 흑설탕 20 g을 모두 분말 상태로 제조하고 혼합하여 혼합된 가미제 분말(목화토 가미제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기본곡물 분말 100 g에, 혼합된 추가곡물분말 10 g 및 혼합된 가미제 분말 10 g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여 목화토 오행 생식 분말 제품을 제조한다.
제조된 오행별 생식 제품은 복용하는데 훨씬 부드러웠고 먹기가 좋고 간편하였으며, 저장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먹기가 곤란하고 힘든 생식 제품을 생식의 기본 원리를 해치지 않고 특정한 가미제를 첨가함으로써 먹기가 용이하고 간편하고 경제적인 생식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기본곡물의 분말, 오행별 추가곡물의 분말, 및 가미제로 구성된 생식 제품에 있어서,
    - 기본곡물이 팥, 거두, 수수, 해바라기씨, 기장, 찹쌀, 현미, 율무, 서목태 (약콩), 흑태 (검정콩), 녹두, 옥수수 및 조에서 선택되는 곡물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기본 곡물들 간의 양은 분말의 중량 기준으로 서로 1 내지 2 배 이내이며,
    - 오행별 추가곡물은 오행별 분류의 목형, 화형, 토형, 금형 및 수형의 재료들 중 3가지 조합물의 혼합물로서, 목화토 [(팥 또는 거두) + (수수 또는 해바라기씨 + (기장 또는 찹쌀)], 화토금 [(수수 또는 해바라기씨) + (기장 또는 찹쌀) + (현미 또는 율무)], 토금수 [(기장 또는 찹쌀) + (현미 또는 율무) + (서목태 또는 검정콩)], 금수목 [(현미 또는 율무) + (서목태 또는 검정콩) + (팥 또는 거두)] 및 수목화 [(서목태 또는 검정콩) + (팥 또는 거두) + (수수 또는 해바라기씨)]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3개 조합의 혼합물에서 각각 조합 중량비가 1∼2 : 1∼2 : 1∼2 이고,
    - 상술한 가미제는 상술한 오행별 추가 곡물의 종류와 서로 대응하여 선택되는데, 추가 곡물이 팥 또는 거두일 때에는 구연산 또는 비타민 C 에서, 수수 또는 해바라기씨일 때에는 쑥가루, 도라지가루 또는 볶은 보리가루에서, 기장 또는 찹쌀일 때에는 흑설탕 또는 포도당에서, 현미 또는 율무일 때에는 후추 또는 생강에서, 또한 콩 또는 서목태일 때에는 소금 또는 다시마에서 선택되며,
    - 기본곡물 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추가곡물 분말을 5 내지 50 중량% 포함하고, 기본곡물 분말 및 추가곡물 분말로 구성되는 혼합 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가미제를 5 내지 50 중량% 포함함
    을 특징으로 하는 생식 제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분말 형태, 과립 형태, 환의 형태 또는 비스켓의 형태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식 제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생식 제품을 1회용 작은 봉지 또는 캡슐 형태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식 제품.
KR10-2000-0021499A 2000-04-22 2000-04-22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KR10043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499A KR100433133B1 (ko) 2000-04-22 2000-04-22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499A KR100433133B1 (ko) 2000-04-22 2000-04-22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429A KR20010097429A (ko) 2001-11-08
KR100433133B1 true KR100433133B1 (ko) 2004-05-27

Family

ID=1966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499A KR100433133B1 (ko) 2000-04-22 2000-04-22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752B1 (ko) * 2001-01-15 2003-12-18 김은성 캡슐 음료차 제조방법
KR20030070933A (ko) * 2002-02-27 2003-09-03 박동기 고형, 유동형 고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11A (ko) * 1994-07-20 1996-02-23 김귀갑 체질에 맞는 미숫가루 제조법
KR960020733A (ko) * 1994-12-29 1996-07-18 이영길 선식스넥 및 이의 제조방법
KR980000145A (ko) * 1996-06-05 1998-03-30 한상윤 생식용 식품
KR980000147A (ko) * 1996-06-05 1998-03-30 한상윤 건강식 식품
KR980000144A (ko) * 1996-06-05 1998-03-30 한상윤 생식용 식품의 제조방법
KR980008055A (ko) * 1996-07-26 1998-04-30 김춘식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611A (ko) * 1994-07-20 1996-02-23 김귀갑 체질에 맞는 미숫가루 제조법
KR960020733A (ko) * 1994-12-29 1996-07-18 이영길 선식스넥 및 이의 제조방법
KR980000145A (ko) * 1996-06-05 1998-03-30 한상윤 생식용 식품
KR980000147A (ko) * 1996-06-05 1998-03-30 한상윤 건강식 식품
KR980000144A (ko) * 1996-06-05 1998-03-30 한상윤 생식용 식품의 제조방법
KR980008055A (ko) * 1996-07-26 1998-04-30 김춘식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429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7144A (ko) 혼합곡물 및 한약재 혼합음료
CN104397188A (zh) 一种含益生元的低热量固体奶茶及其制备方法
US20180271133A1 (en) Nutritional supplements from green leafy vegetables
CN115334906A (zh) 掩蔽剂
KR20130069897A (ko) 밥물 첨가물을 이용한 맞춤식 영양 밥 제조방법
CN100521969C (zh) 用于妇女/孕妇的草药营养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8850C (zh) 莜麦糊
JP2024003190A (ja) 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用組成物
CN1260959A (zh) 一种玄米茶及其制造方法
KR101115450B1 (ko) 차와 죽의 기능이 함께하는 일회용 시리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319339A (zh) 制备维生素c强化面条的方法
KR100433133B1 (ko)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JPS60221067A (ja) 栄養嗜好飲料
KR20090019964A (ko) 치아 종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80128772A (ko) 핫도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0390095B1 (ko) 알로에 겔을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KR100370775B1 (ko) 생식이 가능한 곡물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4028703B2 (ja) 脳内血流増大剤
JP2972174B2 (ja) ダッタンそば茶
CN108782902A (zh) 一种荞麦黄秋葵茶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604235B1 (ko) 옥수수 피자 및 그 제조방법
CN107149106A (zh) 一种具有抗癌功效的南瓜饼
KR102398679B1 (ko) 가래떡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가래떡 핫도그
CN106387594A (zh) 一种谷物固体饮料及其制作方法
KR20060125038A (ko) 당가루를 포함하는 대용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