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055A -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 Google Patents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055A
KR980008055A KR1019960030519A KR19960030519A KR980008055A KR 980008055 A KR980008055 A KR 980008055A KR 1019960030519 A KR1019960030519 A KR 1019960030519A KR 19960030519 A KR19960030519 A KR 19960030519A KR 980008055 A KR980008055 A KR 98000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uman body
belonging
beverage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김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식 filed Critical 김춘식
Priority to KR101996003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055A/ko
Publication of KR98000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055A/ko

Links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체질을 인체 중 영양이 필요한 부위를 기준으로 목형, 화형, 토형, 금형, 수형 및 상화형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인간이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인체의 특정 부위에 영양을 부여하는 성질을 기준으로 목에 속하는 음식, 화에 속하는 음식, 토에 속하는 음식, 금에 속하는 음식, 수에 속하는 음식 및 상화에 속하는 음식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하고, 인체 체질의 속성과 같은 속성의 음식을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속성에 따라 적정한 음식물을 여러 가공 방법에 의해서 생기, 화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 등으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하므로 인체를 건강하게 할 수 있는 식이요법이다.

Description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즉 건강을 이한 식사법의 원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체질을 장부의 대소에 따라 목형, 화형, 토형, 금형, 수형 및 상화형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하고, 또한 인간의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인체의 특정 부위에 영양을 부여하는 성질을 기준으로 목에 속하는 음식, 화에 속하는 음식, 토에 속하는 음식, 금에 속하는 음식, 수에 속하는 음식 및 상화에 속하는 음식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하여 인체 체질의 속성 즉 장부의 대소에 따라 해당 음식을 적정량 섭취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인체 개개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곡식 육류 등을 익혀서 제조한 음식물을 무작위로 섭취하고 있다. 그 결과, 음식물을 편식하게 되어 인체의 모든 부위에 골고루 영양을 주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불 등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함에 따라서 음식물내 영양가의 파괴가 심하고, 요리에 따른 미각 향상으로 식욕이 증진되어 음식물을 과식하게 되는 위험도 있다. 음식물을 과식하게 되는 경우 음식물의 소화 및 배설 과다에 인체 에너지가 소모되어 건강에 좋지 않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각종 부위에 영양이 부족하면 각종 질병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간장과 담낭에 영양이 부족하면 근육통, 편두통 및 간경화 등의 질병이 발생된다. 심장과 소장에 영양이 부족하면 하혈, 생일통 및 눈충혈 등의 질병이 발생된다. 비장과 위장에 영양이 보족하면 비만증, 위궤양 및 당뇨병 등이 발생된다. 폐장과 대장에 영양이 부족하면 피부병 축농증, 천식 및 치질 등의 질병이 발생된다. 신장 및 방광에 영양이 부족하면 요통, 신장성 고혈압 및 골수염 등의 질병이 발생된다. 또한 심포장 및 삼초부에 영양이 부족하면 신진대사 불량, 임파선병 및 선경예민 등의 질병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사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체의 체질에 따라 인체내 특정 부위에 영야을 집중적으로 부여하는 건강을 위한 새로운 식이요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체의 체질을 인체 중 영양이 필요한 부위를 기준으로 목형, 화형, 토형, 금형, 수형 및 상화형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인간이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인체의 특정 부위에 영양을 부여하는 성질을 기준으로 목에 속하는 음식, 화에 속하는 음식, 토에 속하는 음식, 금에 속하는 음식, 수에 속하는 음식 및 상화에 속하는 음식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하고, 인체 체질의 속성과 같은 속성의 음식을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인체 체질상의 속성 분류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인체 체질이 토형인 경우에는 간장, 담낭, 근육, 목, 고관절, 눈, 손톱, 발톱, 발, 간경, 탐경 또는 대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팥, 동부, 밀 , 보리, 모밀, 딸기, 자두, 포도, 사과, 귤, 잣, 호두, 땅콩, 참깨, 들깨, 파인애플, 매실, 앵두 부추, 신김치, 개고기, 닭, 계란, 간, 쓸개 및 식초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한다.
둘째, 인체 체질이 금형인 경우에는 심장, 소장, 피, 혈관, 팔꿈치, 상완, 얼굴, 심경, 소장경 또는 독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수수, 살구, 은행, 자몽, 상추, 쑥갓, 씀바귀, 도라지 더덕, 근대, 샐러리, 영지, 염소, 사슴, 곱창, 피, 참새, 술, 짜장, 홍차, 설록차, 커피 및 초코렛으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한다.
셋째, 인체 체질이 목형인 경우에는 비장, 위장, 배통, 비계, 입, 입술, 유방, 대퇴부, 슬관절, 비경, 위경 또는 충맥의 인체 부위릉 영양하기 위해서 기장, 고구마, 참외, 호박, 감, 대추, 칡, 미나리, 인삼, 감초, 시금치, 고구마줄기, 소고기, 위장, 지라, 토끼, 흑설탕, 꿀, 엿, 식혜 및 엿기름으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한다.
넷째, 인체 체질이 수형인 경우에는 폐장, 대장, 피부, 체모, 코, 가슴통,하완, 손목, 항문, 폐경, 대장경, 임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현미, 율무, 복숭아, 배, 계피, 파, 마늘, 옥파, 고추, 달래, 무, 배추, 말고기, 생선, 조개류, 폐, 대장, 후추, 겨자, 박하, 우유 및 와사비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한다.
다섯째, 인체 체질이 화형인 경우에는 신장, 방광, 뼈, 골수, 생식기, 귀, 힘줄, 허리, 털, 신경, 방광경, 음교맥 또는 양교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콩, 서목태, 밤, 수박, 미역, 다시마, 콩떡잎, 김, 돼지, 해삼, 뼈곰국, 녹용, 콩팥, 멸치, 소금, 죽염, 젓갈류, 간장, 치즈 및 된장으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한다.
여섯째, 인체 체질중 상화가 약한 경우에는 심포, 삼초, 임파액, 손, 견관절, 포경맥, 삼초경맥, 음유맥, 또는 양유맥 등의 인체 부위를 영야하기 위해서 옥수수, 녹두, 조, 도토리, 토마토, 아몬드, 감자 토란, 바나나, 콩나물, 버섯, 오이 당근, 양배추, 고사리, 드룹, 송이, 가지, 우엉, 양고기, 뻔데기,오징어, 명태, 오리, 요쿠르트, 콜라 및 로얄제리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은 여러 가공 방법에 의해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생식 및 라면류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생식 식품 및 라면류가 아래 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식 식품 및 라면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음식물을 생식 식품으로 가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째, 각각의 원료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둘째, 제도된 원료들을 정수로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셋째,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시킨다.
넷째, 분쇄된 원료들을 성분 배합비를 기준으로 계량하여 혼합기내에서 균질하게 배합시킨다.
다섯째, 선택된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한다.
여섯째, 분말상 또는 과립상의 배합물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 수분이 8% 이하가 될 때까지 20∼80℃ 온도로 건조시킨다.
일곱째, 건조된 제품을 정량씩 포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생식용 식품은 그대로 또는 물이나 우유에 부어서 식음한다.
다음은 인체 체질이 금형인 경우 이에 적합한 본 발명의 음식물을 라면류로 가공하는 대표적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현미 및 또는 율무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라면의 면을 제조한다.
둘째, 매운 맛 및 또는 박하 맛을 갖는 야채 및 또는 육류로 스프를 제조한다. 이에 사용되는 야채는 파, 마늘, 달래, 양파 또는 배추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이상의 야채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육류로서는 말고기, 고양이 고기, 생선, 조개류 또는 동물의 허파나 대장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이상의 육류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셋째, 매운 맛 및 또는 박하 맛을 갖는 조미료를 첨가한다. 이에 사용되는 조미료로서는 박하, 고추, 후추, 생강, 고추장, 겨자 또는 와사비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이상의 조미료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각 분야에서 공지된 가공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음식물은 기타 과자류, 빵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 등으로 가공된다.
본 발명과 같이 인체의 체질을 6개 속성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인간이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다시 6개 속성으로 분류하고 인체 체질의 속성과 같은 속성의 음식을 적정량 섭취하는 경우 인체의 각 부위를 균형있게 영양하므로서 건강하고, 병이 없어지고 장수하게 된다.
실시예 1∼3
표 1의 조성비로 면의 제조원료를 혼합한 후, 공지의 라면 제조공정에 따라 숙성-압연-절출하여 면대를 형성하고, 증숙-조미-납형-유탕-건조-포장의 공정으로 일반 라면류를 제조한다.
실시예 4∼5
표 2의 조성비로 면의 제조원료를 혼합한 후, 공지의 라면 제조공정에 따라 숙성-압연-절출하여 면대를 형성하고, 증숙-조미-납형-유탕-건조-포장의 공정으로 일반 라면류를 제조한다.
실시예 6∼8
표 3의 조성비로 면의 제조원료를 혼합한 후, 공지의 라면 제조공정에 따라 숙성-압연-절출하여 면대를 형성하고, 증숙-조미-납형-유탕-건조-포장의 공정으로 일반 라면류를 제조한다.
실시예 9
표 4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4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시킨 후, 제조된 과립상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5%가 될 때까지 6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0
표 4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4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시킨 후, 제조된 과립상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8%가 될 때까지 3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1
표 4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4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3%가 될 때까지 7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2
표 5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5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시킨 후, 제조된 과립상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5%가 될 때까지 6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3
표 5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5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시킨 후, 제조된 과립상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8%가 될 때까지 3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4
표 5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5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3%가 될 때까지 7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5
표 6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6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시킨 후, 제조된 과립상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5%가 될 때까지 6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6
표 6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6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과립성형기에 넣어 과립상으로 성형시킨 후, 제조된 과립상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8%가 될 때까지 3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7
표 6의 성분들을 엄선하여 껍질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들을 정수로 세척 및 건조시키고, 건조된 원료들을 각각 분쇄기로 분쇄한다.
계속해서 분쇄된 각각의 원료들을 표6의 성분 배합비율로 혼합기 내에서 균질하게 배합한다. 배합된 분말을 열풍건조기 내에서 최종수분이 3%가 될 때까지 70℃ 온도로 건조시킨다.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라면을 금형 체질로서 피부병, 축농증, 천식 및 치질 등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실시예 4∼5에서 제조된 라면을 수형 체질로서 요통, 신장성 고혈압 및 골수염 등의 질병이 있는 사람이게 실시예 6∼8에서 제조된 라면을 상화형 체질로서 신진대사 불량, 임파선병 및 신경예민 등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실시예 9∼11에서 제조된 생식 식품을 토형 체질로서 비만증, 위궤양 및 당뇨병 등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실시예 12∼14에서 제조된 생식 식품을 화형 체질로서 하혈, 생리통 및 눈충혈 등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실시예 15∼17에서 제조된 생식 식품을 목형 체질로서 근육통, 편두통 및 간경화 등의 질병이 있는 사람에게 각각 6개월동안 정기적으로 급식한 후에는 상기 질병들이 서서히 치유되기 시작하여 6개월에는 거의 완쾌되었다.
이울러, 건강한 성인 20명을 선정하여 그 중 10명에게는 본 발명의 식이요법에 따라서 실시예 1∼17에서 제조된 라면 및 생식 식품을 장기간 급식하고, 나머지 10명에게는 일반 식사 방법으로 음식물을 급식한 결과 본 발명의 식이요법에 따라 식품을 급식 받은 10명 중에서 질병이 발생된 경우가 없었으나 일반 식사 방법으로 음식물을 급식받은 10명중 4명에게는 질병이 발생하였다.

Claims (7)

  1. 인체의 체질을 인체 중 영양이 필요한 부위를 기준으로 목형, 화형, 토형, 금형, 수형 및 상화형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인간이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인체의 특정 부위에 영양을 부여하는 성질을 기준으로 목에 속하는 음식, 화에 속하는 음식, 토에 속하는 음식, 금에 속하는 음식, 수에 속하는 음식 및 상화에 속하는 음식의 6개 속성으로 분류하고, 인체 체질의 속성과 같은 속성의 음식을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2. 제1항에 있어서, 간장, 담낭, 근육, 목, 고관절, 눈, 손톱, 발톱, 발, 간경, 탐경 또는 대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팥, 동부, 밀 , 보리, 모밀, 딸기, 자두, 포도, 사과, 귤, 잣, 호두, 땅콩, 참깨, 들깨, 파인애플, 매실, 앵두, 부추, 신김치, 개고기, 닭, 계란, 간, 쓸개 및 식초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3. 제1항에 있어서, 심장, 소장, 피, 혈관, 팔꿈치, 상완, 얼굴, 심경, 소장경 또는 독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수수, 살구, 은행, 자몽, 상추, 쑥갓, 씀바귀, 도라지, 더덕, 근대, 샐러리, 영지, 염소, 사슴, 곱창, 피, 참새, 술, 짜장, 홍차, 설록차, 커피 및 초코렛으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4. 제1항에 있어서, 비장, 위장, 배통, 비계, 입, 입술, 유방, 대퇴부, 슬관절, 비경, 위경 또는 충맥의 인체 부위릉 영양하기 위해서 기장, 고구마, 참외, 호박, 감, 대추, 칡, 미나리, 인삼, 감초, 시금치, 고구마줄기, 소고기, 위장, 지라, 토끼, 흑설탕, 꿀, 엿, 식혜 및 엿기름으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5. 제1항에 있어서, 폐장, 대장, 피부, 체모, 코, 가슴통,하완, 손목, 항문, 폐경, 대장경, 임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현미, 율무, 복숭아, 배, 계피, 파, 마늘, 옥파, 고추, 달래, 무, 배추, 말고기, 생선, 조개류, 폐, 대장, 후추, 겨자, 박하, 우유 및 와사비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6. 제1항에 있어서, 신장, 방광, 뼈, 골수, 생식기, 귀, 힘줄, 허리, 털, 신경, 방광경, 음교맥 또는 양교맥의 인체 부위를 영양하기 위해서 콩, 서목태, 밤, 수박, 미역, 다시마, 콩떡잎, 김, 돼지, 해삼, 뼈곰국, 녹용, 콩팥, 멸치, 소금, 죽염, 젓갈류, 간장, 치즈 및 된장으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7. 제1항에 있어서, 심포, 삼초, 임파액, 손, 견관절, 포경맥, 삼초경맥, 음유맥, 또는 양유맥 등의 인체 부위를 영야하기 위해서 옥수수, 녹두, 조, 도토리, 토마토, 아몬드, 감자 토란, 바나나, 콩나물, 버섯, 오이, 당근, 양배추, 고사리, 드룹, 송이, 가지, 우엉, 양고기, 뻔데기,오징어, 명태, 오리, 요쿠르트, 콜라 및 로얄제리로 구성된 식품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식을 화식, 생식, 과자류, 빵류, 면류, 빙과류, 음료 또는 죽류로 가공하여 적정량 섭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519A 1996-07-26 1996-07-26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KR980008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19A KR980008055A (ko) 1996-07-26 1996-07-26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19A KR980008055A (ko) 1996-07-26 1996-07-26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055A true KR980008055A (ko) 1998-04-30

Family

ID=6624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519A KR980008055A (ko) 1996-07-26 1996-07-26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055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855A (ko) * 1999-12-31 2001-07-07 정동명 씀바귀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및 그 식품
KR20020034655A (ko) * 2000-11-02 2002-05-09 이애란 토끼고기를 주재로 한 건강 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020059116A (ko) * 2000-12-30 2002-07-12 김탁 약모밀 건조분말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20030066020A (ko) * 2002-02-04 2003-08-09 이진학 영지버섯의 고미성분을 이용한 냉면(冷麵)의 제조방법
KR20030074979A (ko) * 2002-03-15 2003-09-22 김정상 더덕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030079190A (ko) * 2002-04-02 2003-10-10 고을빛 생식마을 (주) 생식을 이용한 가임여성 및 임산부의 영양보충식이용건강보조식품
KR100433133B1 (ko) * 2000-04-22 2004-05-27 이의성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KR100444396B1 (ko) * 2001-11-20 2004-08-1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생식용 건강식품
KR100553982B1 (ko) * 2002-08-27 2006-02-22 주식회사 바이오원 마과, 씀바귀 및 고들빼기의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생약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791144B1 (ko) * 2006-04-21 2008-01-02 채혜경 콩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845965B1 (ko) * 2007-06-05 2008-07-11 박영학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075B1 (ko) * 2015-12-11 2016-06-13 김영민 식용 곤충을 포함하는 과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과자
KR20220159879A (ko) * 2021-05-26 2022-12-05 오상현 콩나물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855A (ko) * 1999-12-31 2001-07-07 정동명 씀바귀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및 그 식품
KR100433133B1 (ko) * 2000-04-22 2004-05-27 이의성 가미제를 포함하는 생식 제품
KR20020034655A (ko) * 2000-11-02 2002-05-09 이애란 토끼고기를 주재로 한 건강 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020059116A (ko) * 2000-12-30 2002-07-12 김탁 약모밀 건조분말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100444396B1 (ko) * 2001-11-20 2004-08-1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생식용 건강식품
KR20030066020A (ko) * 2002-02-04 2003-08-09 이진학 영지버섯의 고미성분을 이용한 냉면(冷麵)의 제조방법
KR20030074979A (ko) * 2002-03-15 2003-09-22 김정상 더덕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030079190A (ko) * 2002-04-02 2003-10-10 고을빛 생식마을 (주) 생식을 이용한 가임여성 및 임산부의 영양보충식이용건강보조식품
KR100553982B1 (ko) * 2002-08-27 2006-02-22 주식회사 바이오원 마과, 씀바귀 및 고들빼기의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생약바이러스성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791144B1 (ko) * 2006-04-21 2008-01-02 채혜경 콩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845965B1 (ko) * 2007-06-05 2008-07-11 박영학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075B1 (ko) * 2015-12-11 2016-06-13 김영민 식용 곤충을 포함하는 과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과자
KR20220159879A (ko) * 2021-05-26 2022-12-05 오상현 콩나물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35628B (zh) 减肥代餐粉及其制备方法
CN109645320A (zh) 一种轻断食全营养配方可冲泡即食棒及其制备方法
CN107692240A (zh) 一种高蛋白膳食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45291B1 (ko) 반려동물용 영양보충제 조성물 및 그 조성물로 제조되는 영양보충제
CN110973613A (zh) 一种适用于减重人群食用的植物复合粉组合物、适用于减重人群食用的产品和应用
KR980008055A (ko)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
CN106386984A (zh) 一种保健月饼及其制备方法
CN103734743A (zh) 吸附植物甾醇的食品及其生产方法
CN109645079A (zh) 一种具有减肥作用的代餐压缩饼干及其制备和应用
CN111248446A (zh) 一种牛蒡双蛋白营养餐及其制备工艺
KR101231781B1 (ko) 오리 주물럭용 소스와 오리 주물럭
CN110393259A (zh) 一种山药薏米芡实粉及其生产方法
KR102640147B1 (ko) 배스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20010084126A (ko) 면의 제조방법
CN109077231A (zh) 一种新型五谷组合物和包含该五谷组合物的食品组合物
Mahata Importance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KR20090019964A (ko) 치아 종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329011B1 (ko) 옥타코사놀이 첨가된 생식 타입의 차(茶) 조성물
KR100390095B1 (ko) 알로에 겔을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KR20050014481A (ko) 선식 (팔보식) 영양김밥
KR101890139B1 (ko) 해삼을 포함하는 영양식품
JP3064974B2 (ja) クエン酸を含む発酵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89159A (ja) マイタケ粉末食品
UCHE PRODUCTION AND SENSORY EVALUATION BAMBARA NUT SNACK ENRICHED WITH FISH AND MORINGA
CN115606744A (zh) 一种观音面的配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