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050B1 - 전자장치 및 그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050B1
KR100433050B1 KR10-2001-7003917A KR20017003917A KR100433050B1 KR 100433050 B1 KR100433050 B1 KR 100433050B1 KR 20017003917 A KR20017003917 A KR 20017003917A KR 100433050 B1 KR100433050 B1 KR 10043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iece
shaped
bent
coil bobbi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194A (ko
Inventor
군추 이와사키
겐타 나미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 에이. 씨. 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에이. 씨. 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에이. 씨. 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Electromagnet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여자코일(5)을 지지하는 코일보빈(1)과, 일측변(2a)이 코일보빈(1)의 공동부(1a)에서 한쌍의 철심(3, 4)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 고정된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을 구비하고 있다.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은 코일보빈(1)의 투공부(1c)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일측변(2a)으로부터 이격되는 탄발특성이 부여되어 있으며, 철심(3, 4)의 기립부(3a, 4a)의 정상면은, 이 기립부(3a, 4a)의 단부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형성하고, 상기 타측변의 선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구동회로{ELECTROMAGNETIC DEVICE AND DRIVER CIRCUIT}
최근, 휴대전화의 보급은 매우 놀랄만한 일이지만, 이용자층의 확대와 편의를 위해서 호출을 진동에 의해 알릴 수 있도록 한 것이 주력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전화기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주축에 편심 분동(分銅)을 장착하여, 호출신호의 착신과 동시에 기동하는 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편심 분동을 회전시켜서 축심과 편심의 차이를 진동으로 변환하고, 이 진동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런 종류의 목적에는 통상 코어리스 모터(coreless motor)가 사용되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4-275046호 공보참조),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일 뿐만 아니라, 모터축에 편심 분동이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회전에 무리가 있으며, 그 때문에, 베어링의 편마모나 회전축의 변형이 발생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또, 분동의 공전 스페이스도 필요하기 때문에 진동 발생장치를 위해서 비교적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여 소형화에 난점이 있다. 또, 전력의 효과적인 이용이라는 점에서도 불리하다.
또, 펄스모터를 조합한 진동패턴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때에의도한 상대편을 확실하게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방식의 것도 제공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5-191334호 공보참조), 이 방식의 것도 상기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면서도 저가로 제작할 수 있고, 게다가 높은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진동장치 등에 적합한 전자장치와 그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극소형의 진동장치나 스위치장치 등에 적합한 전자장치(電磁裝置)와 그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장치의 제 1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장치에서 사용되는 구동회로의 일례를 보인 회로 구성도이다.
도 8은 여자코일로 공급되는 전류펄스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제 1실시예의 제 1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 1실시예의 제 2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제 1실시예의 제 3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장치의 제 2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3은 제 2실시예의 제 1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제 2실시예의 제 2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제 2실시예의 제 3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장치의 제 3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제 3실시예의 제 1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8은 제 3실시예의 제 2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9는 제 3실시예의 제 3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0은 제 3실시예의 제 4변경예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장치의 제 4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4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제 4실시예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좌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는,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일측변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변이 상기 일측변에 대해 이격되는 탄발특성을 갖도록 구성된 연질자석 재료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가동철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가동철편의 상기 일측변의 단부와 상기 타측변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코일보빈에 의해 상기 타측변이 그 탄발력에 저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억지(抑止)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는,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일측변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변이 상기 일측변에 대해 이격되는 탄발특성을 갖도록 구성된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기초부(基部)가 상기 타측변에 고정되어 있고 선단부가 상기 타측변의 선단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는 판스프링과, 이 판스프링의 상기 선단부에 고정된 분동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일측변의 단부와 상기 타측변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코일보빈에 의해 상기 타측변이 그탄발력에 저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억지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는,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일측변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변이 상기 일측변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된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상기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일측변이 삽입 고정되고 타측변이 상기 일측변에 대해 이격되는 탄발특성을 갖도록 상기 가동철편을 따라 형성된 U자 형상의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판스프링의 상기 타측변은 그 탄발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동철편과 함께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보빈에 의해 억지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는,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일측변이 삽입 고정되어 타측변이 상기 일측변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코일보빈에 변위 가능하게 걸어맞춤된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이 가동철편의 상기 대향하는 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대향하는 변이 이격되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대향하는 변의 적어도 한쪽의 선단부가 다른쪽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하도록 절곡되어 있든지, 상기 대향하는 변의 적어도 한쪽에, 다른쪽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철편이 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있어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일측변의 선단부에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타측변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절곡된 기립부를 갖는 철심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일측변을 협지하도록 삽입 고정되어 있으며, 한쪽은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일측변의 선단에 걸어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타측변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절곡된 제 1기립부를 갖고, 다른쪽은 상기 제 1기립부에 인접해서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타측변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절곡된 제 2기립부를 갖는 한쌍의 철심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립부의 정상면(頂上面)은 기립부를 절곡하여 형성하였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상기 철심에 의해 결정된 자로(磁路)길이는 24∼36㎜, 이 가동철편의 횡단면적은 1.2∼3.2㎟, 상기 철심의 횡단면적은 2.4∼3.6㎟으로 각각 선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동회로는, 상기 여자코일에, 호출신호에 의해 소정 시간 닫혀있는 노말오픈형 스위치와, 전원과 전류펄스회로를 포함하는 직렬회로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류펄스회로에 연산장치가 접속되어 있어, 이 연산장치에 의해, 상기 전류펄스회로로부터 상기 여자코일로 공급된 전류펄스의 통전시간, 통전주기 및 통전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장치의 제 1실시예를 보인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1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공동부(1a)와 여자코일 장착부(1b)와 투공부(透孔部)(1c)를 갖는 코일보빈, 2는 일측변(2a)이 코일보빈(1)의 공동부(1a)에 삽입 관통되고 타측변(2b)이 코일보빈(1)의 투공부(1c)에 삽입 관통되어 양변이 이격되는 탄발특성을 갖도록 구성된 자기(磁氣) 담금질되어 있지 않은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 띠형상편을 U자형상으로 절곡한 가동철편(3, 4)은 가동철편(2)을 협지한 상태로 코일보빈(1)의 공동부(1a)에 삽입 고정된 일단부가 각각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을 향해서 기립하도록 절곡되어 있고, 정상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립부(3a, 4a)의 정상부(頂上部)를 절곡함으로써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철심, 5는 코일보빈(1)의 여자코일 장착부(1b)에 감겨있는 전선으로 이루어진 여자코일, 6은 여자코일(5)을 전원에 접속하기 위해 코일보빈(1)에 나사결합된 접속단자이다. 이경우,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의 선단부와 철심(3)의 기립부(3a)의 기초부는 도 5에 명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되어 있어 가동철편(2)과 철심(3)이 기립부(3a) 부근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은 정상상태에서는 그 탄발력에 저항하여 코일보빈(1)의 투공부(1c)의 상부벽에 억지되어 철심(3, 4)의 기립부(3a, 4a)의 공통 정상면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전자장치가 휴대전화 등의 호출신호의 착신을 알리는 진동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부에는 돌기(2b')가 형성된다.
도 7의 블록도는 본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구동회로의 기본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7은 호출신호(S)의 착신시 소정시간 닫혀있는 노말오픈형 스위치, 8은 전원 전지, 9는 연산장치(10)에 의해 진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즉 전자장치의 여자코일(5)로 공급되는 전류펄스의 통전시간(t1), 통전주기(t2) 및 지속시간(T)(도 8참조)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류펄스회로이다. 또, 전자장치가 휴대전화의 호출을 알리는 진동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연산장치(10)로는 그 휴대전화기에 조합되어 있는 CPU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의 호출을 알리는 진동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그 작용을 설명하면, 호출신호(S)의 착신에 의해 스위치(7)가 닫혀지면, 전류펄스회로(9)에서는 연산장치(10)에 의해 설정된 통전시간(t1)과 통전주기(t2), 통전 지속시간(T)을 갖는 펄스전류가 여자코일(5)로 공급된다. 이때, 여자코일(5)에 통전되면, 가동철편(2)과 철심(3, 4)에 의해 구성된 자기회로에 자속이 발생하고, 가동철편(2)의 타측변(2b)과 철심(3, 4)의 기립부(3a, 4a)의 정상면 사이의 자기 공극을 줄이는 방향, 즉 타측변(2b)의 탄발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흡인력이 발생하여,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은 도 4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된다. 또, 여자코일(5)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상기 자기회로의 자속이 소멸되어, 자기회로가 감자(減磁)된다. 그에 따라,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탄발력이 자기회로의 흡인력을 극복하고, 이 타측변(2b)은 코일보빈(1)의 상벽에 맞닿을 때까지( 도 4의 실선 위치까지)변위되며, 이 때, 돌기(2b')는 휴대전화의 도시하지 않은 기기의 벽 등을 두드린다. 그리고, 여자코일(5)로의 통전·차단 즉,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상기 변위를 반복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호출신호의 착신을 알린다.
이 경우, 진동수는, 여자코일(5)로의 펄스전류의 통전시간·주기·지속시간, 여자코일(5)의 인덕턴스, 구동회로의 시정수(時定數), 상기 자속 공극의 퍼미언스(permeance),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탄발력 즉, 스프링상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 진동은, 실용적으로는 연산장치(10)를 개재하여 펄스전류의 통전시간·주기·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으로 함으로써 적당히 변조시킬 수 있다. 이 변조 작용을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상대방에 대해서도 통상호출과, 긴급호출을 구별해서 알려 준다고 하는 바와 같은 응용이 가능하며, 호출기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철심을 사용하고 각 철심의 흡착부를 철심자체의 단부로 절곡 가공함으로써 적당하게 확대하여 쇄교자속수를 증대시켜 흡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비교적 길게 연장되는 타측변(2b)에 적당한 스프링상수(탄발력)를 부여함과 동시에 코일보빈(1)의 일부(투공부(1c)의 상벽)로 타측변(2b)의 이동을 억지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에 비해서 강력하고 작동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진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간단한 구동회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제 1실시예의 서로 다른 변형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변형예는, 철심(4)이 생략되어 있으며, 기립부(3a)의 정상부 즉, 흡착부가 철심(3)의 단부를 이중으로 절곡하여 흡착부 면적을 확대시켜 쇄교자속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도 10의 변형예는, 괘심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으로 겸용될뿐 아니라 흡착부가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을 일측변(2a)을 향해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 구성이 보다 간소화되어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으며, 도 11의 변형예는, 철심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으로 겸용될 뿐 아니라 흡착부가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부에 코오킹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형성된 철편(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이들의 변형예는, 어느 것이나 상기 외의 구성과 기본적인 작용·효과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특히 도 10 및 11의 변형예는 보다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 10의 변형예에 있어서 U자형상의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을 절곡하는 대신에 일측변(2a)의 선단을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해도 좋다. 또,도 11의 변형예에 있어서 철편(11)은 U자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에 고정되어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제 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주어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이 자기 담금질되어 있어 일측변(2a)에 대한 타측변(2b)의 이격력은, 일측변(12a)이 코일보빈(1)의 공동부(1a)에 U자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 및 철심(3, 4)과 함께 삽입 고정되고 타측변(12b)이 이 일측변(12a)에 대해 이격되는 탄발특성을 갖도록 가동철편(2)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선단부(12b')가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에 적당한 공지방법으로 걸어맞춤된 U자형상의 판스프링(12)에 의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는 다르다. 이 실시예의 작용·효과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제 2실시예의 서로 다른 변형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변형예는, 철심(4)이 생략되어 있으며, 기립부(3a)의 정상부 즉, 흡착부가 철심(3)의 단부를 이중으로 절곡하여 흡착부 면적을 확대하고 쇄교자속수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도 14의 변형예는, 철심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으로 겸용될 뿐 아니라 흡착부가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을 일측변(2a)을 향해 2단으로 절곡하여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형성하여, 구성이 보다 간소화되어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고, 도 15의 변형예는, 철심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으로 겸용될 뿐 아니라 흡착부가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부와 U자 형상의 판스프링(12)의 타측변(12b)의 선단부와 공통으로 코오킹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철편(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이들의 변형예는, 어느 것이나 상기 이외의 구성과 기본적인 작용·효과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4의 변형예에 있어서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타측변(12b)의 선단부를 2단으로 절곡하는 대신에 일측변(2a)의 선단부를 상방을 향해서 동일하게 2단으로 절곡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5의 변형예에 있어서 철편(11)은 U자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과 공통으로 고정해도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주어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이 자기 담금질되어 있고, 일측변(2a)에 대한 타측변(2b)의 이격력이 그 사이에 끼워진 탄성 가압부재, 예를 들면 철심(3 및 4)의 기립부(3a 및 4a)에 완만하게 감겨진 코일스프링(13)에 의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어느것과도 다르다. 이 실시예는, 장치의 조립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특징을 제외하고, 그 작용·효과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제 3실시예의 서로 다른 변형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7에 보인 변형예는, 철심(4)이 생략되어 있고, 기립부(3a)의 정상부 즉, 흡착부가 철심(3)의 단부를 이중으로 절곡하여 흡착부 면적을 확대시켜 쇄교자속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도 18의 변형예는, 철심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으로 겸용될뿐만 아니라 흡측부가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을 쇄교자속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일측변(2a)을 향해 2단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에 코일스프링(13)을 장착하여 구성을 보다 간소화한 점에서 특징을 갖고, 도 19의 변형예는, 철심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으로 겸용될뿐만 아니라 흡착부가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부에 코오킹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철편(11)에 의해 구성되어, 이 철편(11)에 코일스프링(13)이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도 20의 변형예는,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의 선단부에도 코오킹 등의 방법으로 상기 철편(11)과 대향하도록 철편(11)이 고정되어 있어, 양 철편(11, 11)에 공통으로 코일스프링(13)이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도 19의 변형예와 다르다. 이들의 변형예는, 어느 것이나 상기 이외의 구성과 기본적인 작용·효과는 제 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코일스프링(13)은 탄성 가압부재의 일례이고,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 도 18의 변형예에 있어서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선단부를 2단으로 절곡하는 대신에 일측변(2a)의 선단부를 상방을 향해 동일하게 2단으로 절곡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9의 변형예에 있어서 철편(11)은 U자형상의 가동철편(2)의 일측변(2a)에 고정되도록 해도 좋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면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 및 부분에는 동일부호가 주어지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돌기(2b')를 제외하고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을 따라, 일측변(14a) 및 타측변(14b)을 갖고, 특히타측변(14b)의 기초부가 U자형상의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에 코오킹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선단부는 이 타측변(2b)의 선단을 넘어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 분동(15)을 부착한 가요성이 풍부한 얇은 U자 형상의 판스프링(14)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술한 어느 것의 실시예와도 다르다. 이 실시예는, U자 형상의 가동철편(2)의 타측변(2b)의 흡착 및 탄발에 의한 이동시에 분동(15)에 의한 관성이 부가되어, U자 형상의 판스프링(14)의 타측변(14b) 전단부의 특히 탄발시의 변위량이 증대되어, 휴대전화의 호출을 알리는 진동장치 등에 이용되는 경우, 매우 유효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2)과 철심(3, 4)의 재료로는, 전자 담금질 동판 또는 퍼멀로이(permalloy)판이 사용되고, 본 전자장치를 휴대전화의 호출용 진동장치로 적용한 경우의 본원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소비전력, 진동여자력, 포화 자속밀도 및 탄발력 등을 고려하여, U자 형상의 가동철편(2)과 철심(3, 4)에 의해 형성된 자로 길이는 24∼36㎜, 가동철편(2)의 횡단면적은 1.2∼3.2㎟, 철심(3, 4)의 횡단면적은 2.4∼3.6㎟의 범위에 있는 것이 최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전자장치를 휴대전화의 호출용 진동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본 전자장치는, 전자 개폐장치나 그 밖의 통신기기에 있어서의 착신 알림장치나 전자구동 응용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형으로도 강력한 진동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게다가 진동부의 진동을 장치본체에 전파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장치 본체를 귀 가운데 또는 귀의 주변에유지시켜서 이어폰이나 헤드폰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의 각종 사용방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자장치는,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기기로의 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실용상 유용하다.

Claims (14)

  1.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일측변전체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삽입 고정시키고, 이 일측변에 대항하며 이 한변으로부터 이격되는 탄발력을 가지는 절곡된 타측변을 구비하는 연질자석 재료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이 U자형상가동철편의 기자력에 자신의 기자력이 더해지도록 U자형상철편의 상기 일측변에 겹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보빈에 삽통고정한 한쌍의 철심을 구비하되, 이 철심의 일방은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타측변으로 향하여 쇄교자속을 증대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제1기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철심의 타방은 상기 제1기립부에 인접하고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타측변으로 쇄교자속이 증대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제2기립부를 구비하고, 동시에, 상기 U자형상철편은, 상기 타측변이 상기 기립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항하고, 상기 여자코일의 기자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 및 절곡부가 상기 타측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타측변의 선단을 넘어 연장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고착된 분동(分銅)을 추가로 구비하는 전자장치
  3.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일측변전체를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삽통 고정하고, 상기 일측변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절곡된 타측변을 구비하는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이 U자형상의 철편을 따라서 부설되어 있고 상기 타측편을 상기 일측변에 대해 이격되게 탄압하는 U자형 스프링과, 상기 U자형상 철편의 자기력에 자신의 자기력이 더해지도록 상기 U자형의 철편의 상기 일측변과 상기 U자형 판스프링에 겹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보빈에 삽통고정되는 철심을 구비하고, 이 철심은 쇄교자속이 증대되도록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타측변에 향하여 절곡되게 형성한 기립부를 구비하고, 동시에, 상기 U자형상철편은 상기 타측변이 상기 기립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상기 여자코일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변 및 절곡부가 상기 U자형 판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자장치.
  4.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일측변 전체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코일의 축선 방향으로 삽통고정시키고, 이 일측변에 대향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어 대향하도록 절곡된 타측변을 구비하는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이 U자 형상의 가동철편의 기자력에 자신의 기자력이 더해지도록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일측변에 겹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일보빈에 삽통고정되는 철심과, 상기 U자 형상 철편의 상기 대향하는 변 사이에 끼워져 있어 상기 대향하는 변이 이격되도록 탄성가압하는탄성 가압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철심은 상기 U자 형상철편의 상기 타측변에 대향하여 쇄교자속이 증대하도록 절곡된 기립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U자형상철편은 상기 타측변이 상기 기립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상기 자석코일의 기자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변 및 절곡부가 상기 탄기부재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자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대향하는 변의 적어도 한쪽의 선단부가 다른쪽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전자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철편의 상기 대향하는 변의 적어도 한쪽에, 다른쪽을 향해서 쇄교자속수가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된 철편이 고정되어 있는 전자장치.
  7.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일측변전체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 코일의 축선방향으로 삽통고정하고, 이 일측변에 대향하고 이 일측변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탄발력을 구비하도록 절곡된 타측변을 구비하는 연질자석재료로 이루어진 U자형상 철편과, 이 U자형상철편의 기자력에 자신의 기자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일측변에 겹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일보빈에 삽통고정된 철심을 구비하되, 이 철심은 상기 U자형상철편의 상기 타측에 향하여 쇄교자속이 증대하도록 절곡된 기립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U자형상철편은, 상기 기립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대향하는 상기 타측변 및 절곡부가 상기 여자 코일의 기자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변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변위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부의 정상면은 이 기립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전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자 형상의 가동철편과 상기 철심에 의해 결정되는 자로 길이는 24∼36㎜, 상기 가동철편의 횡단면적은 1.2∼3.2㎟, 상기 철심의 횡단면적은 2.4∼3.6㎟로 각각 선정되어 있는 전자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코일에, 호출신호의 착신에 의해 소정시간 닫혀있는 노말오픈형 스위치와 전원 및 전류펄스회로를 포함하는 직렬회로를, 직렬로 접속하여 이루어진 전자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펄스회로에 연산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이 연장장치에 의해, 상기 전류펄스회로로부터 상기 여자코일로 공급된 전류펄스의 통전시간, 통전주기 및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회로.
  13. 여자코일을 지지하는 코일보빈과, 일측변전체를 이 코일보빈에 상기 여자 코일의 축선방향으로 삽통고정하고, 이 일측변에 대향하고 이 일측변으로부터 이격하는 탄발력을 구비하도록 절곡된 타측변을 구비하는 연질 자석재료로 이루어진 U자형상 철편을 구비하되, 이 U 자형상 철편은, 상기 타측변의 선단부가 상기 일측변에 대향하여 쇄교자속을 증대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일측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상기 자석코일의 기자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변 및 절곡부가 상기 타측변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자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상 철편의 상기 일측변의 선단을 넘어서 연장하는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고착된 분동을 추가로 구비하는 전자장치.
KR10-2001-7003917A 1999-07-27 2000-04-11 전자장치 및 그 구동회로 KR100433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12533 1999-07-27
JP21253399A JP3545650B2 (ja) 1999-07-27 1999-07-27 電磁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194A KR20010073194A (ko) 2001-07-31
KR100433050B1 true KR100433050B1 (ko) 2004-05-24

Family

ID=1662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917A KR100433050B1 (ko) 1999-07-27 2000-04-11 전자장치 및 그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597268B2 (ko)
EP (1) EP1116524A4 (ko)
JP (1) JP3545650B2 (ko)
KR (1) KR100433050B1 (ko)
CN (1) CN1161190C (ko)
AU (1) AU759287B2 (ko)
BR (1) BR0006953A (ko)
CA (1) CA2345547C (ko)
ID (1) ID27835A (ko)
IL (1) IL142143A (ko)
MX (1) MXPA01003154A (ko)
MY (1) MY125308A (ko)
NZ (1) NZ511205A (ko)
RU (1) RU2212954C2 (ko)
TW (1) TW443057B (ko)
WO (1) WO2001007176A1 (ko)
ZA (1) ZA2001029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5259A1 (en) * 2000-06-07 2002-05-15 Iwaki Electronic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cellular phones using the same
JP2003039019A (ja) * 2001-07-27 2003-02-12 Nippon Acr Kk 電磁振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09897A (ja) * 2002-04-17 2003-10-31 Sanyo Electric Co Ltd バイブレータ制御用回路
DE102004009251B4 (de) 2004-02-26 2006-05-24 Hess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ibrator zum Beaufschlagen eines Gegenstandes in einer vorbestimmten Richtung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tonsteinen
WO2009095852A2 (en) * 2008-02-01 2009-08-06 Nxp B.V. An actua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679841B (zh) * 2011-03-16 2014-10-2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厚度检测装置
GB201120955D0 (en) * 2011-12-06 2012-01-18 Isotera Ltd A coupler for use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2184958B1 (ko) * 2016-08-09 2020-12-01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리니어 액추에이터
WO2019026905A1 (ja) * 2017-08-03 2019-02-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CN113070198A (zh) * 2021-03-08 2021-07-06 立讯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振动激励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122A (ja) * 1997-05-14 1998-12-02 Shiseido Co Ltd 生体表面部の力学特性測定のためのセンサ内蔵形加振器
JPH1176939A (ja) * 1997-09-04 1999-03-23 Shinjigiyou Kaihatsu Kenkyusho:Kk 振動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1033A (en) * 1934-01-24 1935-06-28 Siemens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driving devices
US2152955A (en) * 1937-01-08 1939-04-04 Coyne Albert Edward Electrically maintained vibrating body and system emboyding same
DE2701546A1 (de) * 1977-01-15 1978-07-20 Licentia Gmbh Elektromagnetischer stossvibrator
JPS57110377A (en) * 1980-12-27 1982-07-09 Aisin Seiki Vibrator device
CH674431A5 (ko) * 1987-11-30 1990-05-31 Standard Telephon & Radio Ag
JPH01176939A (ja) * 1988-01-05 1989-07-13 Sumitomo Electric Ind Ltd 超電導薄膜評価方法
DE4036532C1 (en) * 1990-07-28 1992-02-20 Mag Dr. Frenkel Gmbh Med. Apparate Und Geraete, 7483 Inzigkofen, De Vibrating armature drive - has frame carrying coil and fixed on top branch of U-shaped spring
JPH04275046A (ja) 1991-02-28 1992-09-3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ペイジャー用振動モータ
JPH05176498A (ja) * 1991-12-20 1993-07-13 Secoh Giken Inc 振動発生装置
JPH05191334A (ja) 1992-01-14 1993-07-30 Oi Denki Kk 振動選択呼出携帯用受信機
JPH11164540A (ja) * 1997-11-28 1999-06-18 Iwasaki Seiki:Kk 電磁振動装置
US6229417B1 (en) * 1999-02-23 2001-05-08 Rockwell Technologies, Llc Operator for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122A (ja) * 1997-05-14 1998-12-02 Shiseido Co Ltd 生体表面部の力学特性測定のためのセンサ内蔵形加振器
JPH1176939A (ja) * 1997-09-04 1999-03-23 Shinjigiyou Kaihatsu Kenkyusho:Kk 振動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7835A (id) 2001-04-26
RU2212954C2 (ru) 2003-09-27
IL142143A0 (en) 2002-03-10
BR0006953A (pt) 2001-07-31
ZA200102940B (en) 2001-10-08
MXPA01003154A (es) 2003-10-14
CN1319034A (zh) 2001-10-24
NZ511205A (en) 2002-09-27
WO2001007176A1 (fr) 2001-02-01
MY125308A (en) 2006-07-31
EP1116524A1 (en) 2001-07-18
TW443057B (en) 2001-06-23
US6597268B2 (en) 2003-07-22
JP2001029888A (ja) 2001-02-06
AU759287B2 (en) 2003-04-10
JP3545650B2 (ja) 2004-07-21
IL142143A (en) 2004-02-08
KR20010073194A (ko) 2001-07-31
US20010028290A1 (en) 2001-10-11
CN1161190C (zh) 2004-08-11
AU3676600A (en) 2001-02-13
CA2345547C (en) 2009-05-19
CA2345547A1 (en) 2001-02-01
EP1116524A4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0917B (zh) 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CN109040916B (zh) 用于激励器的振子组件、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CN108966093B (zh) 用于激励器的弹片、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KR100433050B1 (ko) 전자장치 및 그 구동회로
JPH11168869A (ja) 振動発生器
KR100481564B1 (ko) 진동발생기
JPH08180785A (ja) 電磁継電器
JP2004202424A (ja) バイブレータとこのバイブレ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器
CN213185848U (zh) 新型线性振动马达
CN111010013B (zh) 振动器及屏幕发声设备
JPH0547930B2 (ko)
KR930024041A (ko) 2조의 전자계전기부를 갖는 소형, 경제적이고 안정한 유극전자계산기
JP2842148B2 (ja) リレー
JP2001179178A (ja) 振動発生器
CN117439361B (zh) 振动马达及触控设备
KR20130122238A (ko) 선형진동모터
JPH05174691A (ja) シーソーバランス型有極継電器
JPH0636636A (ja) 接点開閉装置
JPH0446357Y2 (ko)
CN110600331A (zh) 推动式双控继电器
JPH0440251Y2 (ko)
JP2503326B2 (ja) 電磁継電器の製造方法
JPS6178106A (ja) 電磁石装置
JPH03196505A (ja) 単安定電磁石
JPS5816604B2 (ja) 有極電磁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