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55B1 - 생체자극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자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55B1
KR100431955B1 KR10-2001-0007791A KR20010007791A KR100431955B1 KR 100431955 B1 KR100431955 B1 KR 100431955B1 KR 20010007791 A KR20010007791 A KR 20010007791A KR 100431955 B1 KR100431955 B1 KR 10043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wave
signal
output
stimulus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893A (ko
Inventor
타쯔유끼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링크
Publication of KR2001009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폭 넓은 치료, 시술효과를 얻음과 함께, 소프트한 자극감을 얻기 위한 생체자극장치로서, 소정의 반복주파수로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한다. 이에 따라서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하는 구형파펄스 군(S)의 반복이 출력단자(24)로부터 인체에 부여된다. 인체는 콘덴서특성을 갖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일수록 그 임피던스가 낮아지고, 구형파펄스 군(S) 전체의 파형이 변형하여 동일 전류 및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보다도 소프트한 자극감이 된다. 게다가,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하고 있고, 이 신호성분에 의한 폭 넓은 치료, 시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자극장치{LIVING BODY STIMU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극을 내장한 도자(導子 : 출력단자)를 생체에 대고 이 도자로부터 생체에 전류를 흘려서 자극을 주는 저주파치료기 등의 생체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생체자극장치는 발신기로부터 도자로 출력되는 저주파의 펄스전류를 환부에 흘려서 신경기능 등의 치료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특개평 1-146562호 공보에는, 사용자가 절환조작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출력회로로부터 생체인 인체에 출력하는 자극신호를, 정의 펄스를 주기마다 출력하는 직류간헐펄스와, 정의 펄스와 부의 펄스로 이루어지는 구형파펄스를 주기마다 출력하는 교류간헐펄스와, 정의 펄스와 부의 펄스를 주기마다 출력하는 교류간헐펄스중의 어느 것으로 절환하거나 각각의 간헐펄스의 주기와 진폭을 변화시켜 자극의 빠르기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생체자극장치가 개시되어있다.
그런데, 인체는 직류를 통하기 어렵고, 그 저항치는 전압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대체로 100kΩ인 반면, 주파수가 높은 교류는 통하기 쉽고, 예를 들어 주파수가 1kHz의 교류전압에서는 1kΩ정도로서, 주파수가 배가 되면 저항치는 절반이 된다. 즉 인체는 흡사 콘덴서처럼 용량성이 있으며, 주파수의 증가와 함께 생체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인체에 대한 자극감은 직류에 가까운 저주파수와, 직류성분(직류의 부분)이 많은 구형파일수록 자극이 강하고, 동일한 주파수라면 구형파보다도 정현파 쪽이 자극이 부드럽게 된다.
이와 같은 정현파상의 자극신호를 인체에 주는 생체자극장치의 일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동 도에 있어서, 101은 제어수단인 CPU(중앙연산처리장치)이며, 이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데이터신호를 D/A회로(102)에 의해 아날로그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아날로그데이터신호를 앰프회로(103)에 의해 증폭한 후, 트랜스(104)를 경유하여 정현파상의 자극신호를 도자인 출력단자(105)사이에 발생시킨다. 이 경우, 정현파의 진폭은 예를 들어 앰프회로(103)의 전단에 접속되는 출력가변볼륨(106)을 조작함으로써 임의로 증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현파는 자극감이 소프트하여 인체에 바람직한 반면, 단일 주파수성분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폭넓은 치료, 시술효과를 얻는데는 매우 불리하다. 또한, 장치의 출력회로에 있어서도, 정현파상의 파형을 얻기 위하여 D/A회로(102)와 앰프회로(103) 등의 소위 아날로그회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으며, 부품점수가 늘어나는 외에 회로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전력효율도 나쁘게 된다. 즉, 정현파를 출력하는 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와 저항, 콘덴서 등의 부품이 수십 개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며, 폭 넓은 치료, 시술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소프트한 자극감을 얻을 수 있는 생체자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생체자극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상기 각 부의 파형도.
도 3은 상기 출력단자 간에 더미저항을 접속한 경우의 자극신호의 파형도.
도 4는 상기 출력단자 간에 인체의 허리를 댄 경우의 자극신호의 파형도.
도 5는 종래 예를 나타내는 요부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정화전류
2 : CPU
6 : LED
7 : 세그멘트LED
8 : 자극발생수단
9, 10 : FET
11 : 출력가변회로
14 : 가변저항
21 : 트랜스
22 : 1차권선
23 : 2차권선
24 : 출력단자(도자)
본 발명의 생체자극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체자극장치는 생체에 도자를 대고, 이 도자로부터 생체에 전류를 흘려서 자극을 주는 생체자극장치에 있어서, 반복하여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하고, 이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성분을 복수 포함하는 구형파펄스 군의 반복을 자극신호로서 상기 도자에 출력하는 자극발생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복수의 온펄스로 이루어진 전체로 소정의 시간폭을 갖는 각 구형파펄스 군이 주기마다 정부 교대로 나타나며, 구형파펄스 군이 상승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폭의 절반이 경과할 때까지는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이 서서히 넓어지며, 그 후 이 구형파펄스 군의 후연에 접근함에 따라서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상기 자극신호를 상기 도자간에 발생시키도록 상기 자극발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생체가 콘덴서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자극발생수단이 소정의 반복주파수로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하면,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한 구형파펄스 군의 반복이 출력단자로부터 자극신호로서 생체에 부여된다. 이 때, 생체는 마치 콘덴서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일수록 그 임피던스가 낮아지며, 구형파펄스 군 전체의 파형이 왜곡되어 동일 전류 및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보다도 소프한 자극감이 된다. 게다가, 각 구형파펄스에는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신호성분에 따른 폭 넓은 치료, 시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체자극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장치의 전체구성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1은 교류입력을 안정화한 상태에서 직류출력으로 변환하는 안정화전원이며, 여기서는 AC100V의 교류전압을,DC+15V 및 DC+5V의 직류전압으로 각각 변환하고 있다. 2는 상기 안정화전원(1)으로부터의 DC+5V의 직류전압과, 수정발신기(3)로부터의 기준클록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CPU(중앙연산처리장치)이다. 이 CPU(2)는 주지와 같이, 입출력수단, 기억수단 및 연산처리수단 등을 내장하고,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어시퀀스에 따라서 소정의 패턴의 자극전류를 생체인 인체(도시하지 않음)에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CPU(2)의 입력측 포트에는 복수의 자극모드 중에서 특정의 자극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수단으로서의 스위치(4)가 복수 접속된다. 이에 대응하여, CPU(2)의 출력측 포트에는 어떤 자극모드가 선택, 실행되었지를 나타내는 모드표시수단으로서의 LED(6)가 복수 접속된다. 그 외, CPU(2)의 출력측 포트에는 자극시간을 카운트표시하는 시간표시수단으로서의 세그멘트LED(7)와, 자극발생수단(8)을 구성하는 2개의 FET(9, 10)와, 인체에 부여하는 자극신호의 진폭 및 인터발(휴지기간)을 가변하는 출력가변회로(11)가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세그멘트LED(7) 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세그멘트LED(7)가 병설된다. 또한, 예를 들어 공통의 LCD표시기 등에 의해 상기 LED(6)와 세그멘트LED(7)를 일체화시켜 표시시켜도 좋다.
상기 출력가변회로(11)는 안정화전원(1)으로부터의 DC+15V의 직류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CPU(2)로부터 출력되는 각 제어신호, 즉 강자극지령신호(HAMMER), 자극휴지기간설정신호(INTERNAL), 및 자극개시신호(START)와, 수동조작가능한 가변저항(14)으로부터의 출력레벨설정신호에 의해, DC0V에서 DC+15V의 범위에서 진폭변조된 소정의 반복주파수로 출력되는 구형파상(矩形波狀)의 가변출력신호를 자극발생수단(8)에 공급한다. 한편, 상기 자극발생수단(8)은, 출력가변회로(11)로부터의 가변출력신호를 펄스폭변조하는 것으로서, 스위치수단으로서의 상기 FET(9, 10)의 밖에 1차측과 2차측을 절연한 트랜스(2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스(21)의 1차권선(22)은 그 센터탭이 상기 출력가변회로(11)의 가변출력신호라인에 접속됨과 함께, 자극신호를 출력하는 2차권선(23)의 양단에는 도자에 상당하는 한 쌍의 출력단자(24)가 각각 접속된다. 또한, 소스접지된 한 쌍의 FET(9)의 드레인에는 트랜스(21)의 1차권선(22)의 일단이 접속되며, 마찬가지로 소스접지된 다른 FET(10)의 드레인에는 트랜스(21)의 1차권선(22)의 타단이 접속된다. 그리고, CPU(2)로부터의 +측 PWM신호가 FET(9)의 제어단자인 게이트에 공급되며, CPU(2)로부터의 일측 PWM신호가 FET(10)의 제어단자인 게이트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대하여 그 작용을 도 2의 파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구나 도 2에 있어서, 최상단에 있는 파형은 출력가변회로(11)로부터의 가변출력신호로서, 이하 +측PWM신호, 일측PWM신호 및 출력단자(24)사이의 자극신호의 각 파형이 표시되어 있다.
스위치(4)에 의해 특정의 자극모드를 선택하고, 도시하지 않은 스타트스위치를 조작하면, CPU(2)에 의해 선택한 자극모드에 대응하는 LED(6)가 점등한다. 또한 CPU(2)는 이 선택한 자극모드에 알 맞는 자극신호가 출력단자(24)사이로부터 출력되도록 자극발생수단(8)과 출력가변회로(11)를 포함한 각 부를 제어한다. 이 일련의 제어에 있어서, CPU(2)로부터 출력가변회로(11)에 자극개시신호를 출력하면, 도 2의 그래프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시간폭(t1)을 갖는 진폭(A1)의 구형파펄스를 주기(T)마다 반복출력하는 가변출력신호가 출력가변회로(11)로부터 자극발생수단(8)에 공급된다. 또한 여기서의 진폭(A1)은 가변저항(14)에 따라서DC0V에서 DC+15V의 범위에서 적절히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극의 정도를 소망의 상태로 바꾸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형파펄스의 주기(T)와 시간폭(t1)도 CPU(2)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면, 사용자에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자극을 얻기 쉽게 된다. 게다가 이 것은 CPU(2)내의 제어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실현한다.
CPU(2)는 상기 출력가변회로(11)로부터 구형파펄스가 출력될 때마다, 이 구형파펄스의 출력기간 중에, 이보다도 높은 주파수성분을 갖는 복수의 온펄스를 FET(9) 또는 FET(10)로 교대로 출력한다. 이 때, 구형파펄스가 상승하고나서 이 구형파펄스의 시간폭(t1)의 절반이 경과할 때까지는, FET(9) 또는 FET(10)로의 각 온펄스의 시간폭(t2)이 서서히 넓어지고, 그 후 구형파펄스의 하연(trailing edge)에 접근함에 따라서 각 온펄스의 시간폭(t2)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출력된다.
그리고, 트랜스(21)의 1차권선(22)의 센터탭에 구형파펄스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CPU(2)로부터 FET(9)로 +측PWM신호가 공급되면, 온펄스가 출력되는 기간 중에 FET(9)가 턴온하여 1차권선(22)의 일단측(돗트측)이 접지되며, 2차권선(23)의 일단측(돗트측)에 전압이 유기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트랜스(21)의 1차권선(22)의 센터탭에 구형파펄스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CPU(2)로부터 FET(10)에 일측PWM신호가 공급되면, 온펄스가 출력되는 기간 중에 FET(10)가 턴온하여 1차권선(22)의 타단측(비 돗트측)이 접지되며, 2차권선(23)의 타단측(비 돗트측)에 전압이 유기된다. 따라서,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파펄스가 출력되는 기간 중에 FET(9)의 게이트에 온펄스를 공급하면, 정극성의 자극신호가 펄스상으로 출력되며, 구형파펄스가 출력되는 기간 중에 FET(10)의 게이트에 온펄스를 공급하면, 부극성의 자극신호가 펄스상으로 출력된다.
이리하여 출력단자(24) 사이에는, 상기 진폭(A1)에 비례한 전압레벨에서, 게다가 가변출력신호의 구형파펄스를 FET(9, 10)에 의해 펄스폭변조(PWM)한 자극신호가 반복하여 발생한다. 이 자극신호는 주기(T)마다 발생하는 시간폭(t1)의 구형파펄스 군(S)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 구형파펄스 군(S)은 정부 교대로 나타나며, 게다가 구형파펄스 군(S)이 상승하고 나서 이 구형파펄스 군(S)의 시간폭(t1)의 절반이 경과할 때까지는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t2)이 서서히 넓어지며, 그 후 구형파펄스 군(S)의 후연에 접근함에 따라서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t2)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출력된다. 또한, 자극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은 CPU(2)에 내장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가 시간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세그멘트LED(7)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자극신호를 인체에 통전하였을 때의 파형을,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여기서의 샘플파형으로서의 자극신호는 구형파펄스의 반복주파수가 2.8kHz(T=357μsec)로서, 그 중에 10∼60μsec의 범위에서 시간폭(t2)이 가변하는 고주파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도 3은 참고로서 출력단자(24)사이에 500Ω의 더미저항을 부하로서 접속하였을 때의 파형이다. 이 경우는 도 2에 나타내는 자극신호와 대체로 동일한 파형이 더미저항의 양단간에 발생한다. 이에 반하여, 도 4는 출력단자(24)를 인체의 허리에 대어서 통전하였을 때의 파형으로서, 이 경우는 인체가 마치 콘덴서와 같은 용량성소자로서 작용하고, 각 구형파펄스 군(S)의 파형이 변형되어 자극신호가 저주파의 정현파에 근사한 파형이 된다. 따라서, 동일 전류 및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에 비하여 대단히 소프트한 자극감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자극신호에는 FET(9, 10)의 스위칭에 의해 얻어진 고주파성분도 남아 있기 때문에 그 성분의 치료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인체에 통전하였을 때의 파형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정현파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온펄스로 이루어진 전체에서 시간폭(t1)의 각 구형파펄스 군(S)이 주기(T)마다 정부 교대로 나타나며, 게다가 구형파펄스 군(S)이 상승하고 나서 이 구형파펄스 군(S)의 시간폭(t1)의 절반이 경과할 때까지는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t2)이 서서히 넓어지며, 그 후 구형파펄스 군(S)의 후연에 접근함에 따라서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t2)이 서서히 좁아지는 자극신호를 출력하도록 자극발생수단(8)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그 이외에 이 온펄스의 시간폭(t2)을 랜덤하게 가변할 수 있는 시간폭가변수단을 예를 들어 CPU(2)의 제어시퀀스에 부가하면, 정현파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삼각파와 각종 변형파 등도 인체에 줄 수 있어 정현파와는 다른 독특한 자극감이 얻어진다.
그런데, 상기 일정한 자극신호를 인체에 반복하여 주면, 인체가 그 자극신호에 익숙해져버려서 상처의 제거와, 완화효과가 점차 저하한다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CPU(2)의 제어시퀀스로서, 이 CPU(2)로부터출력가변회로(11)에 자극휴지기간설정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은 일시적으로 자극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 자극의 휴지기간을 마련하거나 혹은 CPU(2)로부터 출력가변회로(11)에 강자극지령신호가 출력되면, 도 2의 그래프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진폭(A1)보다도 큰 진폭(A2)의 구형파펄스가 출력가변회로(11)로부터 자극발생수단(8)에 일시적으로 출력되며, 그때까지보다도 진폭이 큰 구형파펄스 군(S')을 갖는 강한 자극신호를 인체에 줌으로써,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체에 도자인 출력단자(24)를 대어서 이 출력단자(24)로부터 인체에 전류를 흘려서 자극을 주는 생체자극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반복주파수로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하고, 이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성분을 복수 포함하는 구형파펄스 군(S)의 반복을 자극신호로서 출력단자(24)에 출력하는 자극발생수단(8)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자극발생수단(8)이 소정의 반복주파수로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하면,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한 구형파펄스 군(S)의 반복이 출력단자(24)로부터 자극신호로서 인체에 부여된다. 이 때, 인체는 마치 콘덴서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일수록 그 임피던스가 낮아지며, 구형파펄스 군(S) 전체의 파형이 변형하여 동일 전류 및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보다도 소프트한 자극감이 된다. 게다가, 각 구형파펄스 군(S)에는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신호성분에 의한 폭 넓은 치료, 시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극발생수단(8)은 상기 구형파펄스를 온, 오프시켜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하는 구형파펄스 군(S)을 생성하는 스위치수단으로서의 FET(9, 10)를 구비하며, 이 FET(9, 10)를 스위칭하는 PWM디지털신호(+측PWM신호 및 일측PWM신호)를 FET(9, 10)에 공급하는 펄스폭제어수단으로서의 CPU(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자극신호의 각 구형파펄스 군을 변형시키는데는 스위치수단인 FET(9, 10)에 대하여 온 또는 오프의 PWM디지털신호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되며, 종래와 같은 정현파상의 파형을 얻기 위한 아날로그회로(종래예의 D/A회로(102)와 앰프회로(103))는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정현파를 출력하는 회로에서는 트란지스터와 저항, 콘덴서 등의 부품이 수십개 필요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신하여 한 쌍의 FET(9, 10)가 있으면 되고, 자극신호의 출력회로인 자극발생수단(8)의 구성을 대단히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수단에 의한 펄스폭변조는 예를 들어 모터의 인버터로 실증되도록 전력효율도 대단히 높다.
그 밖에, 본 실시예의 CPU(2)는 상기 구형파펄스를 미리 설정한 진폭(A1)보다도 큰 진폭(A2)의 상기 구형파펄스를 자극발생수단(8)에 일시적으로 출력시키는 강제자극지령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 강제자극지령수단에 의해 그때까지보다도 진폭이 큰 구형파펄스폭(S')을 갖는 강한 자극신호를 인체에 부여함으로써, 인체가 자극신호에 익숙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CPU(2)는 그 외에 구형파펄스 나아가서는 자극신호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자극휴지지령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점에서도 인체가 자극신호에 익숙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형파펄스의 진폭(A2)과 자극신호의 휴지기간을 서로 랜덤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자극신호에 대한 인체의 익숙해짐을 보다 효과적으고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강자극지령수단과 자극휴지지령수단, 또한 상기 펄스폭제어수단은 어느 것이라도 공통의 제어수단인 CPU(2)의 제어시퀀스에 의해 구성되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화하지 않는 이점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형파펄스 군(S)의 반복주파수와 개개의 구형파펄스 군(S)에 있어서의 시간폭(t1, t2) 및 높은 주파수성분(온펄스)의 펄스수 등은 필요에 따라서 비교적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자극장치는, 생체에 도자를 대어, 이 도자로부터 생체에 전류를 흘려서 자극을 주는 생체자극장치에 있어서, 반복하여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하고, 이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성분을 복수 포함하는 구형파펄스 군의 반복을 자극신호로서 상기 도자에 출력하는 자극발생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폭 넓은 치료, 시술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소프트한 자극감을 얻을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신호성분을 복수 포함한 구형파펄스 군의 반복이 도자로부터 자극신호로서 생체에 부여됨에도 불구하고, 각 구형파펄스 군의 파형이 변형되어 자극신호가 저주파의 정현파에 근사한 파형이 되어, 대단히 소프트한 자극감을 얻을 수 있다는 작용,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생체에 도자를 대고, 이 도자로부터 생체에 전류를 흘려서 자극을 주는 생체자극장치에 있어서, 반복하여 출력되는 구형파펄스를 펄스폭변조하고, 이 구형파펄스보다도 높은 주파수성분을 복수 포함하는 구형파펄스 군의 반복을 자극신호로서 상기 도자에 출력하는 자극발생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복수의 온펄스로 이루어진 전체로 소정의 시간폭을 갖는 각 구형파펄스 군이 주기마다 정부 교대로 나타나며, 구형파펄스 군이 상승하고 나서 상기 소정의 시간폭의 절반이 경과할 때까지는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이 서서히 넓어지며, 그 후 이 구형파펄스 군의 후연에 접근함에 따라서 개개의 온펄스의 시간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상기 자극신호를 상기 도자간에 발생시키도록 상기 자극발생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자극장치.
KR10-2001-0007791A 2000-03-17 2001-02-16 생체자극장치 KR100431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76884 2000-03-17
JP2000076884A JP3503135B2 (ja) 2000-03-17 2000-03-17 生体刺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893A KR20010091893A (ko) 2001-10-23
KR100431955B1 true KR100431955B1 (ko) 2004-05-17

Family

ID=1859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791A KR100431955B1 (ko) 2000-03-17 2001-02-16 생체자극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6319B2 (ko)
EP (1) EP1136097B1 (ko)
JP (1) JP3503135B2 (ko)
KR (1) KR100431955B1 (ko)
AT (1) ATE254944T1 (ko)
DE (1) DE60101284T2 (ko)
ES (1) ES2211742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4732B2 (en) 2007-07-30 2012-06-05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conversion capability for portable media player
US8582643B2 (en) 2007-07-30 2013-11-12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conversion capability for portable medial p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3346B2 (en) * 2001-05-03 2006-02-21 Singer Michaeal G Method for illness and disease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US20060161073A1 (en) * 2001-05-03 2006-07-20 Singer Michael G In vitro and in vivo assessment of organs and tissue and use, transplant, freshness and tissue conditions
US20070104840A1 (en) * 2001-05-03 2007-05-10 Singer Michael G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palatability
WO2009021080A2 (en) * 2007-08-06 2009-02-12 Great Lakes Bioscienc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tissues using signals that minimize the effects of tissue impedance
WO2004000417A1 (ja) * 2002-06-19 2003-12-31 Toyotaka Mori 痩身および健康増進用高周波電流駆動システムおよび痩身および健康増進用高周波電流駆動装置
JP4174825B2 (ja) * 2003-05-23 2008-11-05 株式会社テクノリンク 生体刺激装置
DE102004039350B4 (de) * 2003-08-14 2014-07-17 Martin Tegenthoff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von Gehirnfunktionen eines Menschen
EP1694404B1 (en) * 2003-11-07 2011-02-09 CardioLa Ltd. Electrotherapy apparatus
US20050181341A1 (en) * 2004-02-12 2005-08-18 Ewing Donald P. Self-contained electronic musculoskeletal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8473058B2 (en) 2004-11-22 2013-06-25 Mitsuru Sasaki Apnea preventing stimulation apparatus
EP1815882B1 (en) * 2004-11-22 2014-04-30 Techno Link Co., Ltd. Simulator for preventing apnea
US8088057B2 (en) * 2005-02-01 2012-01-03 James David Honeycutt Apparatus and methods to improve sleep, reduce pain and promote natural healing
JP4807176B2 (ja) * 2006-08-01 2011-11-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80306402A1 (en) * 2006-09-25 2008-12-11 Singer Michaeal G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vitality, healing and condition of tissue or organ for surgery
DE102007012474B4 (de) * 2007-03-15 2010-05-06 Zimmer Medizinsysteme Gmbh Elektrotherapiegerät
US20100086655A1 (en) * 2007-05-23 2010-04-08 Michaeal G Singer Process of selecting a preparation method, a packaging and shipping method, or other dispostion of a foodstuff, and process of determining if a foodstuff is fresh or has previously been frozen
JP4912226B2 (ja) * 2007-06-13 2012-04-11 株式会社白寿生科学研究所 魚介類の飼育装置および飼育方法
JP5051625B2 (ja) * 2008-09-05 2012-10-17 株式会社テクノリンク 生体刺激装置
JP2012502699A (ja) * 2008-09-19 2012-02-02 ムーア、テリー・ウィリアム・バートン 電気操作を通して筋肉の緊張を低減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JP5553435B2 (ja) * 2009-01-19 2014-07-16 ミナト医科学株式会社 パルス電気刺激装置
US9020590B1 (en) * 2010-01-27 2015-04-28 James David Honeycutt Apparatus to transcutaneously stimulate resonant frequencies of mammals
WO2013008541A1 (ja) 2011-07-12 2013-01-17 エクスケア・ジャパン株式会社 生体刺激用信号波形発生装置
US10195426B2 (en) * 2014-01-07 2019-02-05 Invicta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eep apnea
US9364667B1 (en) 2014-03-31 2016-06-14 Elassia LLC Potentiating or eliciting an erotic sensation in a body using electrostimulation
JP2016163663A (ja) * 2015-03-06 2016-09-08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CN106580679A (zh) * 2016-12-03 2017-04-26 潍坊大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波形失真度小的电子经络治疗仪
CN106581857A (zh) * 2016-12-03 2017-04-26 潍坊大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损耗小的电子经络治疗仪
CN106581856A (zh) * 2016-12-03 2017-04-26 潍坊大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输出信号频率误差小的电子经络治疗仪
CN106693174A (zh) * 2016-12-03 2017-05-24 潍坊大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掉罐及时的电子经络治疗仪
KR102495358B1 (ko) * 2017-09-25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경모방 자극 장치 및 그 방법
JP6488458B1 (ja) 2017-12-25 2019-03-27 株式会社テクノリンク 生体刺激装置
CO2018001283A1 (es) * 2018-02-07 2019-08-09 Panacea Quantum Leap Tech Llc Método de estimulación de tejidos con campos eléctricos y magnéticos por barrido en frecuencia
US11491324B2 (en) 2019-10-16 2022-11-08 Invicta Medical, Inc. Adjustable devices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2098786A1 (en) 2020-11-04 2022-05-12 Invicta Medical, Inc. Implantable electrodes with remote power delivery for treating sleep apnea,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4016228A1 (zh) * 2022-07-20 2024-01-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振动感控制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170A (ja) * 1984-09-25 1986-04-18 伊藤超短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US4686991A (en) * 1985-06-17 1987-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stimulator for biological tissue utilizing linear current output circuit
JPS6395073A (ja) * 1986-10-08 1988-04-26 株式会社 総合医学研究所 低周波電気刺激信号発生装置
JPH02265571A (ja) * 1989-04-07 1990-10-30 Omron Tateisi Electron Co 低周波治療器
JPH05277194A (ja) * 1992-03-31 1993-10-26 Sanyo Electric Co Ltd 温熱式電気治療器
KR950000173A (ko) * 1993-06-09 1995-01-03 리모쥐 아이메 저주파전류에 의해 변조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기자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4092A (en) * 1965-09-13 1966-12-27 Fred S Landauer Therapeutic apparatus
CA1278045C (en) * 1985-05-15 1990-12-18 Wu Dumi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tal information signals
JPH0657260B2 (ja) 1987-12-02 1994-08-03 東京電気株式会社 生体刺激装置
US4938223A (en) * 1988-03-28 1990-07-03 T. H. Charters, Inc. Transcutaneous nerve block device
US5097833A (en) * 1989-09-19 1992-03-24 Campos James M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and/or muscle stimulator
US5330515A (en) * 1992-06-17 1994-07-19 Cyberonics, Inc. Treatment of pain by vagal afferent stimulation
US5397338A (en) * 1993-03-29 1995-03-14 Maven Labs, Inc. Electrotherapy device
US5836081A (en) * 1996-05-29 1998-11-17 Charles F. Schroeder Light beam leveling mean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170A (ja) * 1984-09-25 1986-04-18 伊藤超短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US4686991A (en) * 1985-06-17 1987-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stimulator for biological tissue utilizing linear current output circuit
JPS6395073A (ja) * 1986-10-08 1988-04-26 株式会社 総合医学研究所 低周波電気刺激信号発生装置
JPH02265571A (ja) * 1989-04-07 1990-10-30 Omron Tateisi Electron Co 低周波治療器
JPH05277194A (ja) * 1992-03-31 1993-10-26 Sanyo Electric Co Ltd 温熱式電気治療器
KR950000173A (ko) * 1993-06-09 1995-01-03 리모쥐 아이메 저주파전류에 의해 변조된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전기자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4732B2 (en) 2007-07-30 2012-06-05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conversion capability for portable media player
US8582643B2 (en) 2007-07-30 2013-11-12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conversion capability for portable medial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1284D1 (de) 2004-01-08
EP1136097B1 (en) 2003-11-26
US20010023362A1 (en) 2001-09-20
ES2211742T3 (es) 2004-07-16
JP3503135B2 (ja) 2004-03-02
DE60101284T2 (de) 2004-09-16
KR20010091893A (ko) 2001-10-23
EP1136097A1 (en) 2001-09-26
JP2001259048A (ja) 2001-09-25
US6526319B2 (en) 2003-02-25
ATE254944T1 (de) 200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955B1 (ko) 생체자극장치
KR100556272B1 (ko) 생체 자극장치
JP5041345B2 (ja) 生体刺激装置
KR102030528B1 (ko)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5051625B2 (ja) 生体刺激装置
CN110650770A (zh) 一种皮肤护理装置
CN101516440A (zh) 电位治疗装置和组合电治疗装置
JP4174831B2 (ja) 生体刺激装置
JP2005052461A (ja) 生体への電流印加装置
JP6488458B1 (ja) 生体刺激装置
CN221014189U (zh) 一种美容仪电路及其美容仪
KR0181222B1 (ko) 랜덤 엑세스 주파수를 이용한 생체 자극 장치
JP7399459B2 (ja) イオン導入装置
KR100245133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279568Y1 (ko) 저주파 치료기기의 저주파 구동회로
KR20240049206A (ko) 생체 자극 장치
JPH0377560A (ja) 低周波治療器
JP2759715B2 (ja) 低周波治療器
JPH02283381A (ja) 低周波治療器
JPH1066734A (ja) 低周波治療器
JPH04341278A (ja) 低周波治療器
JPH1147283A (ja) 低周波治療器
RU2001116857A (ru) Электр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KR20000033194A (ko) 저주파 안마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