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879B1 -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879B1
KR100431879B1 KR10-2001-0040624A KR20010040624A KR100431879B1 KR 100431879 B1 KR100431879 B1 KR 100431879B1 KR 20010040624 A KR20010040624 A KR 20010040624A KR 100431879 B1 KR100431879 B1 KR 10043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ar
adhesive liquid
adhesive
unit
posi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884A (ko
Inventor
강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강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강테크
Priority to KR10-2001-004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8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05B5/082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orting, holding or conveying the objects
    • B05B5/084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orting, holding or conveying the objects the objects lying on, or being supported above conveying means,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73Controlling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of the ambient medium, of the roller or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4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 C03C27/048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consisting of an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 예를 들면 조작 전원 인가 신호, 온도 조절 신호, 운전 선택 신호, 부틸 방향 신호 및 모드 선택 신호 데이터를 입력받아 초기상태를 설정한 후 각 부의 동작상태의 이상유무를 모니터링하고, 광의 단속에 의거하여 위치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파악하고,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위치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해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정방향, 역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신호를 접착액 분사부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를 이동시키는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베이어벨트가 실장된 작업대의 양단에 각각 위치 신호 감지기를 장착하고 대향하는 유리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진공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바를 작업대의 양방향에서 구동시킴으로써, 대향하는 유리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효율적으로 인가하여 작업 시간 및 작업 효율을 한층 더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jetting adhesive material used in bonding pair glass and space bar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합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베이어벨트가 실장된 작업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신호 감지기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양방향에서 토출할 수 있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리는 유리 제품에 맞는 원료조합비에 따라 모래와 소다회, 석회석, 파유리 등을 배합하고 배합된 원료를 섭씨 1450도가 넘는 용해로에서 용해시킨 후에 청정과정을 거쳐 성형에 적당한 온도로 내린 후, 유리성형작업을 통하여 소정의 형태로 성형 후에 대략 1시간 정도 서냉로에 투입후 적정온도로 서서히 냉각시켜 줌으로서 내구성을 지니는 유리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유리를 사용하여 소정의 목적, 예를 들면 소음 등이 심한 장소에 사용되는 방음유리, 외부 찬 공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온유리,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범유리,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습기발생을 방지하는 방습유리 및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특수유리 등의 소정의 목적에 사용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한쌍의 유리로 구성되는 복층유리를 제조하였다.
종래, 상술한 바와 같은 복층유리의 제조방법은 유리기판 사이에 방온, 방음, 방습, 방범 및 기타 목적에 사용되는 진공상태의 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리 간극 유지구(이하, 스페이스바로 칭함)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접착액을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인가하고 상기 접착부의 접착제를 저온으로 가열한 후에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프레스 함으로써 복층유리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접착액을 도포하는 시스템에는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부분이 이송장치의 선단에만 장착되어 있어서 일단의 작업이 완료시 후속 되는 다음의 작업은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감지하는 부분이 설치된 최초의 위치에서 다시 시작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접착액을 도포하는 시스템에서는 일련의 작업공정을 수행한 후에 다음 일련의 후속 공정이 최초의 작업공정의 위치에서 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연속성의 결여에 의거하여 작업시간, 작업 효율 및 작업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페이스바 운송부의 작업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신호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해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컨베이어벨트를 이동시키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콘베이어벨트 상에 실장된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양방향에서 접착제를 분사시킬 수 있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설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의 표시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신호 감지부의 발광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토출하는 접착액 토출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토출하는 접착액 토출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어신호 입력부 101 : 표시반
102 : 조작전원 선택키 103 : 운전 선택키
104 : 히타 선택키 105 : 자동운전 선택키
106 : 시간조정키 107 : 부틸 방향 선택키
108 : 유압실린더 선택키 109 : 예열 타이머
110 : 히터 온도 조절기 111 : 동작 표시기
112 : 비상정지 표시기 200 : 위치신호 감지기
201 : 발광 다이오드 202 : 저항
300 : 스페이스바 이송부 301 : 작업대
303 : 이송 콘베이어벨트 304 : 제 1롤러
305 : 제 2롤러 400 : 접착액 토출부
401 : 분사노즐 402 : 분사노즐 개폐레버
403 : 노즐히터 404 : 접착액 수용 용기
500 : 중앙 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 시스템은,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리기판 사이에 진공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상기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본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상기 스페이스바의 이송시 광의 단속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위치 신호 감지부와;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상기 위치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해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정방향, 역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스페이스바 이송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개재하여 위치하고 상기 유리기판 사이에 진공의 갭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출하는 접착액 분사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된 스페이스 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상기 스페이스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신호를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로 전송하고,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개재하여 위치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기 위한 접착액 분사신호를 상기 접착액 분사부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방법은, 중앙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부의 동작상태의 이상유무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광의 단속에 의거하여 제 1위치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위치 신호 데이터에 의해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제 1위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의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 정방향 구동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실장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액 분사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광의 단속에 의해 제 2 위치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위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의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 역방향 구동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실장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액 분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어 신호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스템의 초기상태를 설정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중앙 제어부(50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각 부의 이상유무를 경고하는 동작표시수단 및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 예를 들면 조작 전원 인가용 선택키(102), 운전 선택키(103), 히타 온/오프 선택키(104), 자동운전 온/오프 선택키(105), 시간 조정 키(106), 부틸 방향 선택키(107) 및 유압 실린더 방향 선택키(108) 등의 기능키와 예열 타이머(109), 히터의 온도 조절기(110) 및 동작 표시기(11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표시반(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신호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본딩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반(101)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능키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제어용 신호, 예를 들면 작동 전원 인가 신호, 온도 조정 신호, 운전 선택 모드 신호, 롤러 하강 및 상승 신호 및 부틸 방향 신호등을 입력받아 이를 중앙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위치 신호 감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되어 일정한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201)와 전원과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202)으로 구성된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생되는 광을 감지하는 광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204)와 제 2 위치 신호 감지기(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위치 신호 감지부(200)는 발광수단으로서 상기 기술한 발광 다이오드 (201)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되지 않은 다른 광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위치 신호 감지부(200)는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가 발광수단과 광검출 센서로 구성된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204) 및 제 2 위치 신호 감지기(205)를 통과시에 광의 단속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중앙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위치 신호 감지부(200)는 이송 콘베이어벨트(303)가 설치된 작업대(30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이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10)의 작업 시작 위치 신호와 작업 완료 위치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중앙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는 작업대(301),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한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302),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303),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상기 스페이스바 (10)를 밀착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제 1 로울러(304) 및 제 2 로울러(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착액 분사부(400)는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진공의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01),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작동하여 상기 분사노즐의 개폐를 실행하는 분사노즐 계폐레버(402), 상기 분사노즐에 잔류하여 경화된 접착 용액을 연화시키기 위한 노즐 히터(403) 및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도포되는 접착액을 수용하는 접착액 수용 용기(4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 계폐레버(402)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효과적으로 피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페이스바(10)를 압입하여 이송하는 제 1롤러 (304)와 제 2롤러(305)를 분사노즐(401)에 근접배치 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303)가 실장된 상기 작업대(301)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여 설치된다.
중앙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제어신호 입력부의 표시반(101)에 설치된 소정의 기능키, 예를 들면 조작 전원 인가용 선택키(102), 운전 선택키(103), 히타 온/오프 선택키(104), 자동운전 온/오프 선택키(105), 시간 조정 키(106), 부틸 방향 선택키(107) 및 유압 실린더 방향 키(108) 등을 사용하여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부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500)는 각 부의 이상여부를 표시반(101)에 설치된 소정의 표시수단, 예를 들면, 예열 타이머(109), 각 히터의 온도 조절기(110) 및 동작 표시기(111) 및 비상정지 램프(112)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500)는 작업대(30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 1 신호 감지기 (204) 및 제 2 신호 감지기(205)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스페이스바(10)를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밀착 또는 이격 시키기 위하여 제 1로울러(304) 및 제 2 로울러(305)의 상승 및 하강신호를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500)는 작업대(30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위치 신호 감지기 (204),(205)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스페이스바(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신호를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500)는 상기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개재하여 위치한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401)을 개폐시키는 분사노즐 레버 (40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접착액 분사신호를 접착액 분사부(400)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방향으로 이송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액 분사 방법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 제어부(500)는 전원전압 인가후에 사용자가 제어신호 입력부(100)의 표시반(101)에 설치된 각각의 키능키를 사용하여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 예를 들면, 히터 온도의 설정 데이터, 운전선택의 설정 데이터, 롤러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의 설정 데이터, 부틸 시작 및 정지시간 설정 데이터, 부틸 방향의 설정 데이터 및 유압 실린더 방향의 설정 데이터 등을 입력받고 이에 의거하여 시스템의 구동을 초기화한다(S100).
중앙 제어부(500)는 대향 유리기판을 상호 접착 시키고 상기 유리기판 사이에 진공의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상기 유리기판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액이 분사노즐(401)을 통하여 분출가능한 유동성을 갖도록 메인 히터(제 1 히터)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한다(S101).
단계(S101)의 판단 결과 메인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초기 단계에서 설정한 히터온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메인 히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조정한다(S102).
단계(S101)의 판단 결과 메인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제어 신호 입력부(100)의 표시반(101)에 형성된 동작 표시창(111)을 통하여 준비완료 신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S103).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정회전, 역회전 및 정역회전 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에 의한 광의 단속에 의해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204)로부터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를 위치 신호 감지부(200)로부터 입력시(S104), 중앙 제어부(500)는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의 정방향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한다(S105).
이후, 스페이스바 이송부 구동 후에 상기 스페이스바(10)를 이송 콘베이어벨트 (303)에 밀착시키기 위한 신호를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제 1롤러(304)는 입력부의 표시창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하강하여 상기 스페이스바(10)를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밀착 고정한다.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가 입력부의 표시창에 설정한 시간 경과 후에 접착액 분사부(400)에 도달시, 중앙 제어부(500)는 상기 접착액 분사부(400)의 분사노즐(401)에 잔류하는 응고된 접착액의 제거를 위하여 분사노즐(401)에 설치된 제 2히터의 적정온도 여부를 판단한다 (S106).
단계(S106)의 판단 결과 제 2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초기 단계에서 설정한 히터온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2히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조정한다(S107).
단계(S106)의 판단 결과 제 2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 (500)는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인가하기 위하여 접착액 분사부(4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108).
접착액 분사부(400)는 중앙 제어부(500)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이송 콘베이어벨트(303)를 통하여 이송된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분사노즐(401)을 통하여 접착액을 분사한다(S109)
이때, 접착액 분사부(400)가 중앙 제어부(500)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해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제 1롤러(304)에 의해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밀착 고정되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시, 중앙 제어부(500)는 입력부의 표시창에 설정한 시간 경과후에 상기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제 1롤러(304)를 상승시키고 제 2롤러(305)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한다.
이후,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접착액이 도포된 스페이스바 (10)에 의한 광의 단속에 의거하여 제 2 위치 신호 감지기(205)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를 위치 신호 감지부(200)로부터 입력시(S110), 중앙 제어부 (500)는 상기 위치 신호 감지부(200)의 상기 제 2 신호 감지기(205)로부터 입력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 접착액의 토출이 완료되는 주기에 따라 작업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S111).
단계(S111)의 판단 결과 일단의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중앙 제어부 (500)는 순방향의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인가하기 위하여 접착액 분사부(400)에 제어신호를 재전송한다.
단계(S111)의 판단결과 일단의 작업이 완료된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위치 신호 감지부(200)의 제 2 위치 신호 감지기(205)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접착액 분사부(400)로 상기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대한 접착액의 분사종료 신호를 전송한다(S112).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액 분사 방법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 제어부(500)는 전원전압 인가후에 사용자가 제어 신호 입력부(100)의 표시반(101)에 설치된 소정의 기능키(15???)를 사용하여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 예를 들면, 히터 온도의 설정 데이터, 운전선택의 설정 데이터, 롤러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의 설정 데이터, 부틸 시작 및 정지시간 설정 데이터, 부틸 방향의 설정 데이터 및 유압 실린더 방향의 설정 데이터 등을 입력받고 이에 의거하여 시스템의 구동을 초기화한다(S200).
중앙 제어부(500)는 대향 유리기판을 상호 접착 시키고 상기 유리기판 사이에 진공의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상기 유리기판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액이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출가능한 유동성을 갖도록 메인 히터(제 1 히터)가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지를 판단한다(S201).
단계(S201)의 판단 결과 메인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초기 단계에서 설정한 히터온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메인 히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조정한다(S202).
단계(S201)의 판단 결과 메인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제어 신호 입력부(100)의 표시반(101)에 형성된 동작 표시창을 통하여 준비완료 신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S203).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정회전, 역회전 및 정역회전 하는이송 콘베이어벨트에(303)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에 의한 광의 단속에 의해 제 2 위치 신호 감지기(205)로부터 감지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를 위치 신호 감지부(200)로부터 입력시(S204), 중앙 제어부(500)는 소정의 주기(16???)동안 이송 컨베이어벨트(303)의 역방향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한다 (S205).
이후, 소정 시간(17???)의 경과 후에 상기 스페이스바(10)를 이송 콘베이어벨트 (303)에 밀착시키기 위한 신호를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제 2롤러(305)는 입력부의 표시창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하강하여 상기 스페이스바(10)를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밀착 고정한다.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가 입력부의 표시창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접착액 분사부(400)에 도달시, 중앙 제어부(500)는 상기 접착액 분사부(400)의 분사노즐(401)에 잔류하는 응고된 접착액의 제거를 위하여 접착액 분사부(400)에 설치된 제 2히터의 적정온도 여부를 판단한다 (S206).
단계(S206)의 판단 결과 제 2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초기 단계에서 설정한 히터온도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 2히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조정한다(S207).
단계(S206)의 판단 결과 제 2 히터가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 (500)는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인가하기 위하여 접착액 분사부(4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208).
접착액 분사부(400)는 중앙 제어부(500)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이송 콘베이어벨트(303)를 통하여 이송된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분사노즐(401)을 통하여 접착액을 분사한다(S209)
이때, 접착액 분사부(400)가 중앙 제어부(500)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해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제 2롤러(305)에 의해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밀착 고정되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시, 중앙 제어부(500)는 입력부의 표시창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후에 상기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바 이송부(300)의 제 2롤러(305)를 상승시키고 제 1롤러(304)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300)로 전송한다.
이후, 이송 컨베이어(303)에 의해 이송되는 접착액이 도포된 스페이스바(10)에 의한 광의 단속에 의거하여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204)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를 위치 신호 감지부(200)로부터 입력시(S210), 중앙 제어부 (500)는 상기 위치 신호 감지부(200)의 상기 제 1 신호 감지기(204)로부터 입력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 접착액의 토출이 완료되는 주기에 따라 작업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S211).
단계(S211)의 판단 결과 일단의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중앙 제어부 (500)는 역방향의 이송 콘베이어벨트(303)에 의해 이송되는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인가하기 위하여 접착액 분사부(400)에 제어신호를 재전송한다.
단계(S2111)의 판단결과 일단의 작업이 완료된 경우, 중앙 제어부(500)는 위치 신호 감지부(200)의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10)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접착액 분사부(400)로 상기 스페이스바(10)의 접착부에 대한 접착액의 분사종료 신호를 전송한다(S212).
여기서, 상기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사방법은 단속적인 실행과정이 아니며,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204)로부터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를 받고 제 2 위치 신호 감지기(205)로 위치신호를 받아 작업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동안에는 정방향으로 실행되고, 또한 제 2 위치신호 감지기(205)로부터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를 받고 제 1 위치 신호 감지기(204)로 위치신호를 받아 작업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동안에는 역방향으로 실행되는 연속적인 실행과정임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정방향, 역방향 및 정역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이송 콘베이어벨트가 실장된 작업대의 양단에 각각 신호 감지기를 설치하고 상기 신호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에 개재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접착하는 스페이스바를 작업대의 양방향에서 구동시킴으로써, 대향하는 유리기판을 상호 접합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효율적으로 인가하여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한층더 증가시키고 이에 의한 생산량 증대의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리기판 사이에 진공 갭을 형성하는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상기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본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입력부와;
    상기 스페이스바의 이송시 광의 단속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는 위치 신호 감지부와;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따라서 상기 위치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해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정방향, 역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스페이스바 이송부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개재하여 위치하고 상기 유리기판 사이에 진공의 갭을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출하는 접착액 분사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된 스페이스 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상기 스페이스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신호를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로 전송하고, 한쌍의 대향 유리기판을 개재하여 위치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기 위한 접착액 분사신호를 상기 접착액 분사부로 전송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입력부는,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키와 각 부의 이상유무를 경고하는 동작 표시부로 구성된 표시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신호 감지부는,
    이송 콘베이어벨트가 설치된 작업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스페이스바의 작업 시작 위치 및 작업 완료 위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생하는 광을 감지하는 광검출 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 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는,
    작업대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역 스위치의 선택 모드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의해 상기 스페이스바를 정방향, 역방향 및 정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 및
    상기 스페이스바를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밀착 고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 분사부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잔류하여 경화된 접착액을 연화 시키기 위한 분사노즐 히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분사노즐의 개페를 실행하는 분사노즐 계폐레버; 및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도포되는 접착액을 함유하는 접착액 수용 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시스템.
  6. 중앙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용 신호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부의 동작상태의 이상유무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광의 단속에 의거하여 제 1위치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
    력된 위치 신호 데이터에 의해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제 1위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
    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의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 정방향 구동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실장
    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액 분사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광의 단속에 의해 제 2 위치 신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된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 단계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위치 신호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스페이스바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스페이스바에 접착액이 토출되는 시간동안 상기 스페이스바 이송부의 이송 콘베이어벨트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이송 콘베이어벨트 역방향 구동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접착액 분사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에 실장
    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분사하는 접착액 분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
    액의 분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접착액 수용 용기에 함유되는 접착액이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출가능한
    유동성을 갖도록 메인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 정방향 구동 단계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스페이스바을 고정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롤러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콘베이어벨트 역방향 구동 단계는,
    상기 스페이스바의 접착부에 접착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스페이스바을 고정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롤러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사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 분사 단계는,
    상기 접착액 분사부의 상기 분사노즐에 잔류하여 경화된 접착액을 연화시키
    기 위여 상기 접착액 분사부에 형성된 노즐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이중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분사 방법.
KR10-2001-0040624A 2001-07-07 2001-07-07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24A KR100431879B1 (ko) 2001-07-07 2001-07-07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624A KR100431879B1 (ko) 2001-07-07 2001-07-07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549U Division KR200250836Y1 (ko) 2001-07-07 2001-07-07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884A KR20030004884A (ko) 2003-01-15
KR100431879B1 true KR100431879B1 (ko) 2004-05-24

Family

ID=2771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624A KR100431879B1 (ko) 2001-07-07 2001-07-07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79B1 (ko) * 2011-12-21 2014-02-06 농업법인 제이원(주) 냉동냉장고의 입체적인 냉기 공급 구조
CN107755193B (zh) * 2017-11-30 2023-02-14 苏州卓兆点胶股份有限公司 双液制冷控压点胶装置
KR102506216B1 (ko) * 2022-07-04 2023-03-06 참이엔지 주식회사 필터 트레이용 핫멜트분사장치의 분사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4521A (ko) * 1974-10-10 1976-06-04 Saint Gobain
US4234372A (en) * 1978-03-02 1980-11-18 Glasmatec A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ling insulation glass panels
JPS5849463A (ja) * 1981-09-16 1983-03-23 Mazda Motor Corp ウインドガラスの接着剤自動塗布装置
WO1993025322A1 (de) * 1992-06-05 1993-12-23 Lenhardt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rahmenförmigen abstandhaltern mit gebogenen ecken für isolierglasscheiben im bereich ihrer gebogenen ecken
KR19990068159A (ko) * 1998-01-27 1999-08-25 쇼다 오사무 미세분말체의 산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4521A (ko) * 1974-10-10 1976-06-04 Saint Gobain
US4234372A (en) * 1978-03-02 1980-11-18 Glasmatec A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aling insulation glass panels
JPS5849463A (ja) * 1981-09-16 1983-03-23 Mazda Motor Corp ウインドガラスの接着剤自動塗布装置
WO1993025322A1 (de) * 1992-06-05 1993-12-23 Lenhardt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chichten von rahmenförmigen abstandhaltern mit gebogenen ecken für isolierglasscheiben im bereich ihrer gebogenen ecken
KR19990068159A (ko) * 1998-01-27 1999-08-25 쇼다 오사무 미세분말체의 산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884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7183B2 (en) Conveyance apparatus
KR100431879B1 (ko)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74455B1 (ko) 기판단위 mems 진공실장방법 및 장치
US20160354853A1 (en) Device for the separate application of solder material deposits
CN100521137C (zh) 基板裂纹检测装置以及基板处理装置
WO2010095762A1 (ja) 複層製品の端縁部シール方法および複層製品の端縁部シール装置
EP0953524A3 (en) Accumulation conveyor control system
US108071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workpieces
KR20080013985A (ko) 적층체 필름의 부분 커팅 방법 및 장치
KR200250836Y1 (ko) 스페이스바를 개재한 복층유리 본딩용 접착액의 토출시스템
TW200915912A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organic EL devices
JPH1024474A (ja) プラスチック成形物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JP2987889B2 (ja) エッチング方法
JP4242273B2 (ja) 異なるフリット量によるガラス製品を同時に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0033604A (ja) 板状体の接合装置
JP2007281271A (ja) 半田加熱装置及び方法
JP3442696B2 (ja) 建築板搬送用カート
JP2001102742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及び方法
CN207346775U (zh) 基板玻璃传送控制装置及系统
JP6820011B2 (ja) 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100460034B1 (ko) 복층유리용 간봉 접착액 도포장치
KR102101973B1 (ko) 레이저 출사에 관한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3d 프린팅 장치
JPH07117012A (ja) スカーフカット面を有するベニヤ単板への接着剤塗布装置
CN107128692A (zh) 基板玻璃传送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215046403U (zh) 一种输送带从动轮测速反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