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465B1 -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465B1
KR100431465B1 KR10-2001-0082749A KR20010082749A KR100431465B1 KR 100431465 B1 KR100431465 B1 KR 100431465B1 KR 20010082749 A KR20010082749 A KR 20010082749A KR 100431465 B1 KR100431465 B1 KR 10043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oc
data transmission
check
seri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721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4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4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별도의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을 설치하여야 되므로 케이블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되어 하드웨어의 설치 비용이 증가됨과 아울러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탈장이 감지된 후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 상의 데이터 유효 여부를 판단하므로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탈장시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불요 데이터(Garbage Data)가 보드내로 전송되어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호 접속 디바이스를 직렬 데이터 전송로로 연결하여 시스템 운용하는 경우에 SOC를 검출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탈장 유무를 감지하므로 전송로 장애 감지를 위한 별도의 감지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할 수 있어서 하드웨어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게 되며,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검출시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효성도 함께 검출함으로써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에 따른 불요 데이터의 유입을 차단케 할 수 있어서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하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Method for Detecting Obstacle of Data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접속 디바이스(Interconnect Device)를 직렬 데이터 전송로로 연결하여 시스템 운용하는 경우에 SOC(Start of Cell)를 검출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전송로 장애 감지를 위한 별도의 감지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호 접속 디바이스를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연결하여 시스템 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직렬 데이터 전송로가 상호 접속 디바이스 사이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만이 상호 접속 디바이스가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해당 직렬 데이터 전송로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보드(10)에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11)가 실장되어 있고, 보드(20)에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21)가 실장되어 있는데, 해당 상호 접속 디바이스(11),(21)의 사이에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1)가 접속되고, 해당 직렬 데이터 전송로(L1)가 보드(10), (2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 (L3)을 접속하고,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 (L3)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에 의해 감지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L1)의 실/탈장 여부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호 접속 디바이스(11),(21) 사이에 접속되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1)가 보드(10),(20)의 사이에 실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하여, 각 보드(10),(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의 사이에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L3)를 연결하고, 해당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와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L3)의 사이에는 기판(10),(20)의 프린트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L3)의 한쪽 끝은 접지(Ground)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풀업저항(R1),(R2)에 접속되어 있는데,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가 위치한 쪽에는 풀업 저항(R1),(R2)이 접속되어 있고, 그 반대편 쪽에는 접지(Ground)에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 (L3)이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감지선(L2),(L3)이 접지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에서 로우레벨(low level)의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 (L3)이 탈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감지선(L2),(L3)이 접지와의 접속이 해제되므로 풀업저항(R1),(R2)에 걸려있는 풀업 전압으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에서 하이레벨(high level)의 신호를 검출한다.
상술한 종래의 직렬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에서는 별도의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L3)을 설치하고, 해당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L3)의 상태를 데이터 전송로 실/탈장 검출부(12),(22)에 의해 검출하고, 해당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L1) 상의 데이터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11),(21)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1)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별도의 전송로 실/탈장 감지선(L2),(L3)을 설치하여야 되므로 케이블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되어 하드웨어의 설치 비용이 증가됨과 아울러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1)의 탈장이 감지된 후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L1) 상의 데이터 유효 여부를 판단하므로, 직렬 데이터 전송로(L1)의 탈장시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L1)를 통해 불요 데이터(Garbage Data)가 보드(10),(20) 내로 전송되어 시스템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호 접속 디바이스(Interconnect Device)를 직렬 데이터 전송로로 연결하여 시스템 운용하는 경우에 SOC(Start of Cell)를 검출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전송로 장애 감지를 위한 별도의 감지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검출시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효성도 함께 검출함으로써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에 따른 불요 데이터의 유입을 차단 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식을 도시한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
도3은 본 발명에서 SOC 생성에 사용되는 신호들을 도시한 도.
도4는 본 발명에서의 SOC 및 전송로 이상 유무 검출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서의 SOC 에러 체크 처리를 위한 스테이트 머신을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40 : 보드 31, 41 : 상호 접속 디바이스
32, 42 : SOC 및 전송로 이상 유무 감지부 L4 : 직렬 데이터 전송로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호 접속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로의 실/탈장을 감지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아 SOC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SOC의 에러를 스테이트 머신에 의해 체크하여 SOC의 유효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 체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 체크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실/탈장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트 머신은, 상기 생성된 SOC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SOC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하는 체크 상태와; 상기 체크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상기 SOC가 1클럭 만큼 생성되었는가를 검사하는 시작 확인 상태와; 상기 시작 확인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인가된 SOC의 길이를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길이 확인 상태와; 상기 길이 확인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유효한 SOC가 연속적으로 인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계속 상태와; 상기 데이터 계속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SOC가 1클럭 만큼 생성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유효한 SOC이면 상기 길이 확인 상태로 상태 천이하고, 무효한 SOC이면 상기 체크 상태로 상태 천이하는 유효 데이터 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크 상태에서 SOC가 0이면 다시 체크 상태로 귀환하고, SOC가 1이면 상기 SOC의 길이를 판단하기 위한 카운터를 동작시켜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시작 확인 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시작 확인 상태에서 정상적인 SOC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길이 확인 상태로 천이하고, 비정상적인 SOC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체크 상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길이 확인 상태에서 카운터 값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소정값이 될때 까지 계속적으로 감시하되, 상기 카운터 값이 소정값이 되면 상기 데이터 계속 상태로 천이함과 아울러 다음 유효 SOC를 점검하기 위해 카운터를 클리어 하고, 상기 카운터 값을 감시하는 도중에 SOC가 1인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체크 상태로 천이하며, 상기 데이터 계속 상태에서 SOC를 검사하여 상기 SOC가 1이면 상기 유효 데이터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SOC가 0이면 상기 체크 상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호 접속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실/탈장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시 방식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보드(30)에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31)가 실장되어 있고, 보드(40)에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41)가 실장되어 있는데, 해당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의 사이에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4)가 접속되고, 해당 직렬 데이터 전송로(L4)가 보드(30), (40)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하여 보드(30),(40)에 SOC 및 전송로 이상 유무 검출부(32, 42; 이하 "이상 유무 검출부"라 칭함)를 구비하는데, 해당 이상 유무 검출부(32),(42)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가 직렬 데이터 전송로(L4)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수신하여 출력하는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신호에 의해SOC(Start of Cell)을 생성하고 해당 SOC의 정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실/탈장 여부를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상 유무 검출부(32),(42)가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로부터 출력되는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Idle)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신호에 의해 SOC을 생성하여 해당 SOC의 정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실/탈장 여부를 감지하는데,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로부터 이상 유무 검출부(32),(42)에 인가되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해당 신호들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로의 8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에러신호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 상에 에러가 발생할때 1로 활성화되고, 동기검출신호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한 통신시에 동기가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동기 되지 않을때 1로 활성화되고, 아이들 신호는 실제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가 직렬 데이터 전송로에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가 전송로에 전송되는 때에 1로 활성화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 신호의 상태에 따라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상태를 유효 데이터 전송 상태, 언더런/오버런 에러상태, 동기 검출 상태, 아이들(Idle) 검출 상태, 대역폭 초과 에러 상태, 패리티 비트 에러상태, 비동기 상태, 재동기 상태의 8가지로 나타낸다.
이상 유무 검출부(32),(42)는 이와 같이 직렬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 신호를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로부터 인가받아 해당 신호에 의해 SOC을 생성하여 해당 SOC의 정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실/탈장 여부를 감지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동작을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상 유무 검출부(32),(42)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로부터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 신호를 입력받으면(스텝 S41), 해당 신호에 의해 SOC을 생성하는데(스텝 S4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 신호가 모두 0인 유효 데이터 전송 상태에서는 SOC를 0상태로 하고 나머지 7가지 상태에서는 SOC를 1상태로 하여 생성한다. 이상 유무 검출부(32),(42)에서는 이와 같이 생성된 SOC의 에러를 체크하는데(스텝 S43),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테이트 머신에 의하여 정상적인 SOC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
도5에 도시한 스테이트 머신은 5개의 상태부로 이루어지는데, 체크상태(S51), 시작 확인 상태(S52), 길이 확인 상태(S53), 데이터 계속 상태(S54) 및, 유효 데이터 상태(S55)로 구성된다. 먼저, 체크 상태(S51)에서는 생성된 SOC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SOC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하는데, SOC가 0이면 데이터가 무효 상태이므로 다시 체크 상태(S51)로 귀환하고, SOC가 1이면 데이터가 유효 상태이므로 SOC의 길이를 판단하기 위한 카운터를 동작시켜 1 만큼 증가시키고 다음의 상태인 시작 확인 상태(S52)로 진행한다. 이때, 시작 확인 상태(S52)에서는 SOC가 1클럭 만큼 생성되었는가를 검사하기 위하여 다시 SOC를 검사하며, 정상적인 SOC가 입력된 경우에는 다음 상태인 길이 확인 상태(S5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비정상적인 SOC가 입력된 경우에는 다시 체크 상태(S51)로 진행하여 SOC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길이 확인 상태(S53)에서는 시작 확인 상태(S52)로부터 인가된 SOC의 길이를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유효한 SOC가 여기까지 인가될 때 계속적으로 카운터가 증가되어 있으므로 해당 길이 확인 상태(S53)에서는 카운터 값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N-1개가 될때 까지 계속적으로 감시하고, 카운터 값이 N-1개가 되면 다음 상태인 데이터 계속 상태(S54)로 진행함과 아울러 다음 유효 SOC를 점검하기 위해 카운터를 클리어 한다. 그리고, 해당 길이 확인 상태(S53)에서는 카운터 값이 N-1될때 까지 감시하는 도중이라도 계속적으로 SOC를 검사하는데, SOC가 1인 경우가 발생되면 처음의 체크 상태(S51)로 귀환하여 SOC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 한다.
또한, 데이터 계속 상태(S54)는 유효한 SOC가 연속적으로 인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상태인데, 한 셀(Cell) 단위의 SOC가 길이 확인 상태(S53)에서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으므로 해당 데이터 계속 상태(S54)에서는 다시 SOC가 1로 검출되어야 한다. 그래서 해당 데이터 계속 상태(S54)에서는 SOC를 검사하여, SOC가 1이면 유효 데이터 상태(S55)로 진행하고, SOC가 0이면 처음 상태인 체크 상태(S51)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계속 상태(S54)에서 유효한 SOC가 입력되면 유효 데이터 상태(S55)로 진행하게 되는데, 유효 데이터 상태(S55)에서는 시작 확인 상태(S52)에서 SOC가 1클럭 만큼 생성되었는가를 검사하듯이 마찬가지 방법으로 검사하여 유효한 SOC인 경우에만 길이 확인 상태(S53)로 진행하고, 무효한 SOC인 경우에는 처음 상태인 체크 상태(S51)로 귀환한다.
즉, 이상과 같은 도5의 스테이트 머신에서는 정상적인 유효한 SOC가 연속해서 입력되면 체크 상태(S51), 시작 확인 상태(S52), 길이 확인 상태(S53), 데이터 계속 상태(S54) 및, 유효 데이터 상태(S55)를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테이트 머신에서는 최종적으로 체크 상태(S51)와 유효 데이터 상태(S55)에서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상태를 감지케 하기 위한 유효 체크 신호를 생성하는데, 체크 상태(S51)에서는 0인 유효 체크 신호를 생성하고, 유효 데이터 상태(S55)에서는 1인 유효 체크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이상 유무 검출부(32),(4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4의 스텝 S43에서 도5와 같은 스테이트 머신에 의해 SOC 에러를 체크하여 생성되는 유효 체크 신호에 의거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실/탈장 여부를 감지하는데(스텝 S44), 유효 체크 신호가 1인 경우에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4)가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스텝 S45), 유효 체크 신호가 0인 경우에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4)가 탈장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한다(스텝 S46).
즉, 본 발명에서는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탈장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L4)를 통한 통신시 상호 접속 디바이스(31),(41)에 의해 수신되는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에러신호, 동기검출신호 및, 아이들 신호를 이상 유무 검출부(32),(42)에서 입력받아 해당 신호에 의해 SOC를 생성하고 해당 SOC의 정상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실/탈장을 감지한다.
또한, 직렬 데이터 전송로(L4)의 실/탈장 여부 감지시에 스테이트 머신에 의해 SOC의 유효 여부를 체크하여 감시함으로써 데이터의 유효성도 함께 검출하여 시스템 상에서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에 따른 불요 데이터의 유입을 차단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은 범주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접속 디바이스를 직렬 데이터 전송로로 연결하여 시스템 운용하는 경우에 SOC를 검출하여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탈장 유무를 감지하므로 전송로 장애 감지를 위한 별도의 감지선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유무를 감지할 수 있어서 하드웨어의 설치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 발생 검출시에 직렬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효성도 함께 검출함으로써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장애에 따른 불요 데이터의 유입을 차단케 할 수 있어서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하게 된다.

Claims (6)

  1. 상호 접속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로의 실/탈장을 감지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로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아 SOC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SOC의 에러를 스테이트 머신에 의해 체크하여 SOC의 유효 여부를 나타내는 유효 체크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 체크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렬 데이터 전송로의 실/탈장을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트 머신은, 상기 생성된 SOC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 SOC가 0인지 또는 1인지를 판단하는 체크 상태와; 상기 체크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상기 SOC가 1클럭 만큼 생성되었는가를 검사하는 시작 확인 상태와; 상기 시작 확인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인가된 SOC의 길이를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길이 확인 상태와; 상기 길이 확인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유효한 SOC가 연속적으로 인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계속 상태와; 상기 데이터 계속 상태로부터 상태 천이되어 SOC가 1클럭 만큼 생성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유효한 SOC이면 상기 길이 확인 상태로 상태 천이하고, 무효한 SOC이면 상기 체크 상태로 상태 천이하는 유효 데이터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상태에서 SOC가 0이면 다시 체크 상태로 귀환하고, SOC가 1이면 상기 SOC의 길이를 판단하기 위한 카운터를 동작시켜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시작 확인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확인 상태에서 정상적인 SOC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길이 확인 상태로 천이하고, 비정상적인 SOC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체크 상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확인 상태에서 카운터 값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소정값이 될때 까지 계속적으로 감시하되, 상기 카운터 값이 소정값이 되면 상기 데이터 계속 상태로 천이함과 아울러 다음 유효 SOC를 점검하기 위해 카운터를 클리어 하고, 상기 카운터 값을 감시하는 도중에 SOC가 1인 경우가 발생되면 상기 체크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계속 상태에서 SOC를 검사하여 상기 SOC가 1이면 상기 유효 데이터 상태로 진행하고, 상기 SOC가 0이면 상기 체크 상태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KR10-2001-0082749A 2001-12-21 2001-12-21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KR100431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49A KR100431465B1 (ko) 2001-12-21 2001-12-21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49A KR100431465B1 (ko) 2001-12-21 2001-12-21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21A KR20030052721A (ko) 2003-06-27
KR100431465B1 true KR100431465B1 (ko) 2004-05-14

Family

ID=2957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749A KR100431465B1 (ko) 2001-12-21 2001-12-21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4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275A (ja) * 1998-04-10 1999-12-24 Toshiba Corp 回線障害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0151757A (ja) * 1998-11-04 2000-05-30 Nec Corp 網接続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障害検出方法ならびに障害検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00032513A (ko) * 1998-11-16 2000-06-15 김대순 전용선로 실시간 감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전용선로 실시간 감시장치
KR20000046394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망운용 정합장치에서 이더넷 케이블탈장 감지방법
JP2000261526A (ja) * 1999-03-04 2000-09-22 Hitachi Cable Ltd 障害検出器付き送受信器
JP2000312190A (ja) * 1999-04-27 2000-11-07 Hitachi Ltd データ伝送方式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5275A (ja) * 1998-04-10 1999-12-24 Toshiba Corp 回線障害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0151757A (ja) * 1998-11-04 2000-05-30 Nec Corp 網接続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障害検出方法ならびに障害検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00032513A (ko) * 1998-11-16 2000-06-15 김대순 전용선로 실시간 감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전용선로 실시간 감시장치
KR20000046394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망운용 정합장치에서 이더넷 케이블탈장 감지방법
JP2000261526A (ja) * 1999-03-04 2000-09-22 Hitachi Cable Ltd 障害検出器付き送受信器
JP2000312190A (ja) * 1999-04-27 2000-11-07 Hitachi Ltd データ伝送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21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465B1 (ko) 데이터 전송로 장애 감지 방법
JP2555472B2 (ja) 信号ケーブル接続状態監視機能付きの分散制御システム
KR200292479Y1 (ko) 이중화 안정화 장치
KR100438547B1 (ko) Sonet 프레임 헤더를 이용한 물리 링크 이중화 구현시스템 및 방법
JPH11168502A (ja) 通信障害処理装置及び方法
JPH0944280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モジュール交換方法および自己診断方法
JP3392938B2 (ja) 2重系装置
KR100285718B1 (ko) 억세스망서브시스템과스위치망서브시스템간에이중화링크구조를가지는전전자교환기
KR100405645B1 (ko) 이중화된데이터송수신시스템에서의데이터유실방지방법
KR0175468B1 (ko) 이중 시스템 버스 정합 장치
KR20010038483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아이피씨 경로의 에러 복구 장치
KR19980057466U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td버스 정합 오류 감지회로
US5736889A (en) Duplexing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time division switching device
KR940010206B1 (ko) 데이타 전송장치에서의 유니트(1:1) 절체회로
KR200317564Y1 (ko) 이중화 유니트 구조에서 작업 정보 전송시 에러 방지 장치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JP2565101B2 (ja) 主信号監視方式
KR100499501B1 (ko)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2001056702A (ja) 多重化計装システム
JP2619292B2 (ja) 情報送受装置内バス障害復旧方法
JP2606134B2 (ja) 故障検出方式
KR200180134Y1 (ko) 교환기에서의 광 정합 링크 장치
JP2655738B2 (ja) 二重化系―一重化系間系切り替え方式
JPH10327151A (ja) 情報処理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ネットワークエラー処理方法
JPH11355390A (ja) 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