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996B1 - 용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996B1
KR100430996B1 KR10-2002-0052620A KR20020052620A KR100430996B1 KR 100430996 B1 KR100430996 B1 KR 100430996B1 KR 20020052620 A KR20020052620 A KR 20020052620A KR 100430996 B1 KR100430996 B1 KR 10043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aper
guide plate
movement guid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157A (ko
Inventor
최성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9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6Means for preventing paper jams or for facilitating their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회피구멍에 용지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잼이 발생되지 않는 용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는 용지가 이송되는 이동안내판에 용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고, 하나의 꼭지점이 이송방향 쪽으로 위치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센서회피구멍과, 이동안내판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센서회피구멍을 통해 이동안내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일단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막대형상의 센서레버, 및 센서레버 타단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며, 용지가 센서회피구멍 위로 지나가면, 용지에 의해 센서레버의 일단이 이동안내판의 아래로 내려가며 센서레버의 타단은 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회피구멍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용지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a sheet}
본 발명은 용지와 같은 얇고 유연한 이동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감지할 수 있는용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기는 화상형성기를 구성하는 각 유닛으로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이송장치로 용지를 각 유닛으로 이송시키면서 소정의 화상을 용지로 전사 및 정착시켜 인쇄를 행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기는 각 유닛들 사이에서 용지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용지 감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화상형성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지 감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지 감지장치는 이동안내판(10), 센서레버(20), 및 센서(30)를 포함한다.
이동안내판(10)은 그 상면을 따라 용지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을 지나는 용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센서회피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회피구멍(15)은 센서레버(20)가 용지에 의해 동작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레버(20)는 막대 형상을 갖으며, 그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센서레버(20)의 무게중심부를 회전지지하는 힌지부(23)는 이동안내판(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센서레버(20)의 일단이 이동안내판(10) 위를 지나는 용지와 간섭될 수 있도록 이동안내판(10) 위로 돌출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센서레버의 일단(21)이 이송되는 용지와 접촉하면 센서레버의 일단(21)은 용지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선회하여 센서회피구멍(15)으로 내려 가고, 용지와의 접촉이끝나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힌지부(23)는 센서(30)가 설치되는 센서베이스(3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30)는 센서레버(20)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센서레버의 타단(25)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베이스(32) 상에 설치된다. 센서베이스(32)는 이동안내판(10)의 밑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센서(30)는 센서레버(20)의 동작을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2개의 센서가 센서레버 타단(25)의 선회방향 전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지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이동안내판(10)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이 센서회피구멍(15)을 통해 이동안내판(10) 위로 돌출되어 있는 센서레버의 일단(21)과 접촉한다. 용지의 이송력에 의해 센서레버의 일단(21)은 용지이송방향으로 아래로 선회한다. 센서레버(20)가 선회하면, 센서레버의 타단(25)이 센서(30)를 동작시키게 된다. 용지의 이송이 계속되어 센서레버의 일단(21)이 용지와의 접촉에서 벗어나게 되면, 센서레버의 일단(21)은 다시 이동안내판(10) 위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용지 감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기는 센서의 동작에 따라 용지가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지 감지장치는 센서레버의 일단(21)을 동작시킨 용지(1)의 선단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회피구멍의 후단(15a)에 간섭되어 잼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센서회피구멍의 폭이 크면 용지선단이 걸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센서회피구멍의 폭에 비례하여 잼이 발생될 확률이 커진다. 특히, 이송되는 용지가 저급지인 경우에는 용지의 변형이 크기 때문에 용지의 선단이 센서회피구멍에 걸려 잼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또한, 용지의 선단이 팽팽하지 않고 쭈글쭈글한 경우에도 잼의 발생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특히, 이러한 용지 감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잼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지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안내판 위를 지나가는 용지가 센서회피구멍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잼이 발생되지 않는 용지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의 센서회피구멍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센서회피구멍에 용지가 걸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의 센서회피구멍을 나타내는 부분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이동안내판 115; 센서회피구멍
120; 센서레버 123; 힌지부
130; 센서 132; 센서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는, 용지가 이송되는 이동안내판에 용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고, 하나의 꼭지점이 이송방향 쪽으로 위치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센서회피구멍과, 이동안내판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센서회피구멍을 통해 이동안내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일단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막대형상의 센서레버, 및 센서레버 타단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며, 용지가 센서회피구멍 위로 지나가면, 용지에 의해 센서레버의 일단이 이동안내판의 아래로 내려가며 센서레버의 타단은 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센서회피구멍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는 센서회피구멍(115), 센서레버(120), 및 센서(130)를 포함한다.
센서회피구멍(115)은 이동안내판(110)의 상면을 지나는 용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센서회피구멍(115)은 센서레버의 일단(121)이 용지에 의해 동작될 때 센서레버의 일단(121)과 간섭되지 않는 크기를 갖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삼각형의 형상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꼭지점이 용지이송방향을 향하도록 된 상태에서 용지이송방향에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안내판(110) 위를 지나가는 용지는 센서회피구멍(115)에 걸리지 않는다. 이때, 센서회피구멍(115)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레버(120)는 막대 형상을 갖으며, 그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센서레버(120)의 무게중심부를 회전지지하는 힌지부(123)는 이동안내판(110)의 하면에 고정되며, 센서레버의 일단(121)이 이동안내판(110) 위를 지나는 용지와 간섭될 수 있도록 이동안내판(110) 위로 돌출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센서레버의 일단(121)이 이송되는 용지와 접촉하면 센서레버의 일단(121)은 용지이송방향으로 소정 각도 선회하여 센서회피구멍(115)으로 내려 가고, 용지와의 접촉이 끝나면 원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힌지부(123)는 센서(130)가 설치되는 센서베이스(13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130)는 센서레버(120)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센서레버 타단(125)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베이스(132) 상에 설치된다. 센서베이스(132)는 이동안내판(110)의 밑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센서(130)는 센서레버(120)의 동작을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2개의 센서(130)가 센서레버 타단(125)의 선회방향 전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지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이동안내판(110)을 따라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이 센서회피구멍(115)을 통해 이동안내판(110) 위로 돌출되어 있는 센서레버의 일단(121)과 접촉한다. 용지의 이송력에 의해 센서레버의 일단(121)은 용지이송방향으로 선회하여 센서회피구멍(115) 아래로 내려간다. 센서레버(120)가 선회하면, 센서레버의 타단(125)이 센서(13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용지의 선단이 쳐져서 센서회피구멍(115)의 아래로 내려 간 경우에도 센서회피구멍(115)의 삼각형이 용지이송방향으로 모이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로 쳐진 용지는 용지가 이송됨에 따라 센서회피구멍(115)의 변을 따라 이동안내판(110)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처진 용지의 경우에도 종래의 사각형상의 센서회피구멍(15, 도 1)과는 달리 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용지의 이송이 계속되어 센서레버의 일단(121)이 용지와의 접촉에서 벗어나게 되면, 센서레버의 일단(121)은 힌지부(123)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다시 이동안내판(110)의 위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용지 감지장치를 구비한 용지이송장치는 이송되는 용지가 센서회피구멍에 걸려 잼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기는 용지 감지장치에 의한 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에 대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에 의하면, 이동안내판을 지나는 용지가 센서회피구멍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잼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감지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형성기는 잼발생 횟수가 감소되므로 소비자에 대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이동안내판 상으로 용지를 이송시키는 용지 이송장치에서 상기 용지의 이동을 감지하는 용지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판에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고, 하나의 꼭지점이 이송방향 쪽으로 위치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센서회피구멍;
    상기 이동안내판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센서회피구멍을 통해 상기 이동안내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막대 형상의 센서레버; 및
    상기 센서레버의 타단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가 상기 센서회피구멍 위로 지나가면, 상기 용지에 의해 상기 센서레버의 일단이 상기 이동안내판의 아래로 내려가며 상기 센서레버의 타단은 상기 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회피구멍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감지장치.
  3. 용지가 이송되는 이동안내판에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고, 하나의 꼭지점이 이송방향 쪽으로 위치한 삼각형 형상을 갖는 센서회피구멍;
    상기 이동안내판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센서회피구멍을 통해 상기 이동안내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일단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막대 형상의 센서레버; 및
    상기 센서레버 타단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가 상기 센서회피구멍 위로 지나가면, 상기 용지에 의해 상기 센서레버의 일단이 상기 이동안내판의 아래로 내려가며 상기 센서레버의 타단은 상기 센서를 동작시키는 용지 감지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회피구멍의 삼각형 형상은 이등변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KR10-2002-0052620A 2002-09-02 2002-09-02 용지 감지장치 KR10043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620A KR100430996B1 (ko) 2002-09-02 2002-09-02 용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620A KR100430996B1 (ko) 2002-09-02 2002-09-02 용지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157A KR20040021157A (ko) 2004-03-10
KR100430996B1 true KR100430996B1 (ko) 2004-05-20

Family

ID=3732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620A KR100430996B1 (ko) 2002-09-02 2002-09-02 용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9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746A (ja) * 1987-12-28 1989-07-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5105274A (ja) * 1991-10-21 1993-04-27 Sharp Corp 給紙補助用摩擦シート
JPH05238602A (ja) * 1992-02-27 1993-09-17 Sharp Corp 通紙検出装置
KR19990055944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급지 카세트의 용지 잔량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746A (ja) * 1987-12-28 1989-07-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5105274A (ja) * 1991-10-21 1993-04-27 Sharp Corp 給紙補助用摩擦シート
JPH05238602A (ja) * 1992-02-27 1993-09-17 Sharp Corp 通紙検出装置
KR19990055944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급지 카세트의 용지 잔량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157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106B1 (ko) 화상형성기의 용지검출장치
JP2007137655A (ja) シート給送装置
US5923140A (e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traveling state of a moving object
US6599041B1 (en) Sheet movement sensor
KR100430996B1 (ko) 용지 감지장치
KR20070000327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2308468A (ja) 印刷機への枚葉紙給紙を制御する方法
JP4317054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4074782B2 (ja) シート送り方向切換機構
JP4078586B2 (ja) 記録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327174A5 (ko)
JP2007022706A (ja)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H02233434A (ja) 給紙装置の用紙検出機構
JP2000309450A (ja) 給紙装置
KR100476974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배지커버 열림감지장치
JP2007084169A (ja) 検出レバ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用紙検知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KR100580916B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2008137778A (ja) 手差し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572718Y2 (ja) 用紙収納装置
KR200258630Y1 (ko) 사무용 기기의 급지 감지장치
KR100225078B1 (ko) 용지걸림 방지구조를 가지는 잉크젯 프린터
JP2742141B2 (ja) 用紙検出装置
KR100377368B1 (ko)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KR100544457B1 (ko) 양면인쇄기기의 페이퍼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