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98Y1 - 용지후단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용지후단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98Y1
KR200362498Y1 KR20-2004-0018598U KR20040018598U KR200362498Y1 KR 200362498 Y1 KR200362498 Y1 KR 200362498Y1 KR 20040018598 U KR20040018598 U KR 20040018598U KR 200362498 Y1 KR200362498 Y1 KR 200362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pport plate
rear end
cam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창
이우호
이창환
허성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8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6Platens with balan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12Mechanism driven by cams engaging rotating roller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와; 외측 끝단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측 끝단이 이송된 용지의 양측 끝단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외주면이 지지판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자전운동을 통하여 지지판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캠과,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용지가 지지판에 걸쳐지거나 또는 걸쳐지지 아니할 수 있도록 지지판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용지의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용지의 후단을 동일하게 정렬할 수 있고, 용지가 적재될 때 전후 및 좌우 위치가 변경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지에 정전기가 발생되거나 용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용지후단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지후단 정렬장치 { Apparatus for arranging rear part of paper }
본 고안은 프린터 또는 복사기와 같이 용지 이송기능을 갖는 기기에 적용되는 용지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용지의 후단 위치를 감지하여 동일한 지점에 각 용지의 후단이 위치하도록 용지를 이송한 후 하향으로 낙하시켜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용지정렬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종래 프린터는, 용지함(10)으로부터 용지(P)를 인출하여 인쇄헤드(20)로 인쇄를 하고 커터(30)로 적정 길이로 절단한 후, 용지정렬장치를 이용하여 용지(P)를 정렬한다.
이때, 종래의 용지정렬장치는, 커터(30)에 의해 절단된 용지(P)의 이송경로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40)와, 배출롤러(60)의 상부로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롤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프린터에는, 용지(P)가 이송되는 경로에는 용지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용지가이드(40)가 설치되어있으며, 배출롤러(60) 상면에 적재된 용지를 배출롤러(60)에 밀착시키는 가압부(70)가 추가로 구비되어있다. 이때, 이송롤러(50)를 통하여 배출롤러(60) 상측으로 이송되는 용지(P)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배출롤러(60) 상면에 적재된다.
따라서 배출롤러(60)의 상면에 적재되는 용지(P)는 프린터 내부 부품과의 마찰력이나 공기의 유동, 각종 먼지 및 정전기의 영향을 받아 가지런히 정렬되지 아니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정렬된다.
특히, 인쇄 분량에 따라 용지(P)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절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규칙한 정렬이 현저히 발생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적재된 용지가 배출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롤러(60)의 상부에는 배출롤러(60) 상면에 적재된 용지(P)를 배출롤러(60)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압부(70)가 구비되어 있어, 적재가 완료된 용지(P)는 하향으로 이동되는 가압부(70)에 의하여 배출롤러(60)에 밀착된 후 배출롤러(60)에 의하여 후단 일부가 프린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출된다.
사용자는 프린터 외부로 돌출된 용지(P)의 일부를 잡아당겨 뽑음으로써 용지(P)를 취득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용지(P)의 정렬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후단이 프린터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는 용지(P)가 발생되므로, 모든 용지(P)를 취득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지의 후단이 가지런히 맞추어지도록 용지를 정렬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지정렬장치가 구비된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적재된 용지가 배출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가 장착된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회전하여 용지가 적재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적재된 용지가 인출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송롤러 200 : 지지판
210 : 회전축 220 : 스프링
300 : 회전수단 310 : 캠
320 : 모터 330 : 감속기어
400 : 브러시 410 : 정전기 방지솔기
500 : 감지센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와; 외측 끝단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측 끝단이 이송된 용지의 양측 끝단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용지가 지지판에 걸쳐지거나 또는 걸쳐지지 아니할 수 있도록 지지판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수단은, 외주면이 지지판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자전운동을 통하여 지지판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캠과;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지지판이 캠에 밀착되도록 지지판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과, 지지판 상면에 안착되는 용지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용지를 지지판에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밀착수단은 용지를 지지판에 밀착시키는 솔기를 구비하는 브러시로 적용되며, 솔기는 용지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정전기 방지솔기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지지판이 결합되는 이송롤러의반대측에 결합되며, 용지의 후단이 통과함을 감지하여 용지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와; 용지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용지의 후단이 이송롤러를 지나게 되면 지지판이 용지를 지지하지 아니하도록 회전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가 장착된 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용지함(10), 인쇄헤드(20), 커터(30), 용지가이드(40), 배출롤러(60), 가압부(70)는 종래의 프린터에 적용되는 부품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용지가이드(40)를 통하여 인입되는 용지(P)를 배출롤러(60)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100)와; 외측 끝단에 구비된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측 끝단이 이송된 용지(P)의 양측 끝단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배출롤러(60)의 좌우측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판(200)과; 용지(P)가 지지판(200)에 걸쳐지거나 또는 걸쳐지지 아니할 수 있도록 지지판(20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200)은 계단 형상으로 절곡된 평판으로 제작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지지판(200)은 용지(P)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절곡이 없는 평판이나 곡면을 갖는 평판 등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회전수단(300)은, 외주면이 지지판(200)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자전운동을 통하여 지지판(20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캠(310)과, 캠(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20)와, 모터(32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캠(310)에 전달하는 감속기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감속기어(330)는, 모터(320)의 회전속도가 과도하게 높아 감속비를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 둘 이상의 여러 개로 적용될 수 있고, 모터(320)의 회전속도가 낮아 감속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지지판(200)이 캠(310)에 밀착되도록 지지판(2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20)과, 지지판(200) 상면에 안착되는 용지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용지(P)를 지지판(200)에 밀착시키는 정전기 방지솔기(410)가 결합된 브러시(4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정전기 방지솔기(410)는 용지(P)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있어, 용지(P)가 정전기에 의하여 지지판(200)이나 기타 프린터의 내부 부품에 붙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지지판(200)이 결합되는 이송롤러(100)의 반대측에 결합되며, 용지(P)의 후단이 통과함을 감지하여 용지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500)와; 용지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용지(P)의 후단이 이송롤러(100)를 지나게 되면 지지판(200)이 용지(P)를 지지하지 아니하도록 회전수단(300)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용지(P)의 후단이 감지센서(500)의 감지지점에 위치되었음이 입력되면, 용지(P)의 후단이 이송롤러(100)를 통과할 때 까지 이송롤러(100)를 구동시키고, 용지(P)의 후단이 이송롤러(100)를 통과한 이후에는 모터(320)를 회전시켜 지지판(200)을 들어올림으로써 용지(P)가 배출롤러(60)의 상면에 적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를 사용하면, 각 용지(P)의 길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후단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회전하여 용지가 적재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00)이 배출롤러(6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뉘어진 상태는 캠(310)의 단축 방향 외주면이 지지판(20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서, 이와 같은 상태의 용지후단 정렬장치로 이송되는 용지(P)는 지지판(200)의 내측 끝단 상면에 안착되고 브러시(400)에 의하여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모터(320)가 회전하여 캠(310)의 장축 방향 외주면이 지지판(200)의 저면에 접촉되면 지지판(200)은 캠(310)에 밀려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회전되는데, 내측 끝단 간의 수평거리가 용지(P)의 폭보다 넓게 벌어지도록 한 쌍의 지지판(200)이 회전을 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는 배출롤러(6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배출롤러(60)의 상면으로 떨어지는 용지(P)는, 브러시(400)의 정전기 방지솔기(410)의 탄력에 의하여 전후 및 좌우 위치가 고정되므로 자유낙하를 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310)이 지지판(20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지지판(200)이 세워지도록 회전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310)이 지지판(20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200)이 하향으로 내려가도록 회전되는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적재된 용지가 인출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후단이 정렬되도록 적재된 용지(P)가 가압부(70) 및 배출롤러(60)에 의하여 프린터 외부로 배출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외부로 돌출되는 각 용지(P)의 끝단이 고르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프린터 외부로 돌출되는 모든 용지(P)를 보다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린터 뿐만 아니라 복사기, 팩시밀리 등 용지의 정렬이 요구되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용지후단 정렬장치는, 용지의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용지의후단을 동일하게 정렬할 수 있고, 용지가 적재될 때 전후 및 좌우 위치가 변경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지에 정전기가 발생되거나 용지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용지(P)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100)와;
    외측 끝단에 구비된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내측 끝단이 이송된 상기 용지(P)의 양측 끝단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200)과;
    상기 용지(P)가 지지판(200)에 걸쳐지거나 또는 걸쳐지지 아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20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0)은,
    외주면이 상기 지지판(200)의 일부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자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지지판(20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캠(310)과;
    상기 캠(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310)은,
    외주면이 상기 지지판(20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판(200)은,
    상기 캠(310)의 단축방향 외주면이 저면에 접촉되면 상기 용지(P)가 안착 가능하도록 각 내측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310)의 장축방향 외주면이 저면에 접촉되면 각 내측 끝단 간의 거리가 상기 용지(P)의 폭보다 멀어지도록 회전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0)이 결합되는 이송롤러(100)의 반대측에 결합되며, 상기 용지(P)의 후단이 통과함을 감지하여 용지위치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500)와;
    상기 감지센서(500)로부터 발생되는 용지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용지(P)의 후단이 상기 이송롤러(100)를 지나게 되면 상기 지지판(200)이 상기 용지(P)를 지지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회전수단(300)을 동작시키는 제어부;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0) 상면에 안착되는 용지(P)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용지(P)를 지지판(200)에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용지(P)를 상기 지지판(200)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용지(P)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솔기(410)가 구비되는 브러시(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0)이 상기 캠(310)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판(20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후단 정렬장치.
KR20-2004-0018598U 2004-06-30 2004-06-30 용지후단 정렬장치 KR200362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98U KR200362498Y1 (ko) 2004-06-30 2004-06-30 용지후단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598U KR200362498Y1 (ko) 2004-06-30 2004-06-30 용지후단 정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844A Division KR100580916B1 (ko) 2004-06-30 2004-06-30 용지후단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98Y1 true KR200362498Y1 (ko) 2004-09-18

Family

ID=4935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598U KR200362498Y1 (ko) 2004-06-30 2004-06-30 용지후단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14B1 (ko) 2007-06-07 2008-10-30 주식회사 푸른기술 용지 처리장치용 용지 정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014B1 (ko) 2007-06-07 2008-10-30 주식회사 푸른기술 용지 처리장치용 용지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1353A (en) Paper-discharging tray
US4928951A (en) Automatic paper feed device
US5104113A (en) Sheet material separating device having a pivotable separating member
JPH0632439U (ja) 給紙装置
US5934667A (en) Paper feeding mechanism to feed individual sheets from a tray or cassette
US6145831A (en) Sheet feeder capable of eliminating overlapping sheet feed
KR200362498Y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KR100467624B1 (ko) 양면 인쇄기의 용지 정렬 장치
KR100580916B1 (ko) 용지후단 정렬장치
JP200034435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62352B2 (ja) 記録媒体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3851U (ja) シート媒体捌き分離供給装置
JP4265763B2 (ja) シート整合装置
JP2002347986A (ja) シート供給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2243438A (ja) 紙搬送装置
US11383952B2 (en) Sheet stacker having movable arms maintaining stack quality
KR20070077414A (ko) 화상형성기기 및 용지정렬방법
JP2560589Y2 (ja) 紙葉搬送装置
JPH08230260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24216A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装置
JPH0618345U (ja) 自動給紙装置
KR100377368B1 (ko) 인쇄기의 이송용지 감지장치
JP3530723B2 (ja) 記録装置
JP3028968U (ja) 用紙格納装置
JPH0891598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