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991B1 -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991B1
KR100430991B1 KR10-2001-7001687A KR20017001687A KR100430991B1 KR 100430991 B1 KR100430991 B1 KR 100430991B1 KR 20017001687 A KR20017001687 A KR 20017001687A KR 100430991 B1 KR100430991 B1 KR 10043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hread
guide
apostle
turret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348A (ko
Inventor
유다테도시히로
요시오카세이지
Original Assignee
티에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에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실의 질이 악화된다거나 실파지의 실패라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조의 절환성공율을 향상할 수 있는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절환 시에, 보빈홀더(3)에 장착된 보빈(5)에 감겨진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Y)가 보빈홀더(4)에 장착된 공보빈(5)과 접촉하기 전에, 터릿테이블(2)의 회동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하고, 이어서 사도규제가이드(15) 및 실안내가이드(13)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고, 실안내가이드(13)에 의해 주행사조(Y)를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안내해 두고, 터릿테이블(2)의 회동속도를 다시 증속하여 고속으로 하여 권취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주행사조(Y)가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파지된다.

Description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hread}
2개의 보빈홀더를 타렛트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돌설하여, 각 보빈홀더의 한쪽을 권취위치(winding position)에 다른 쪽을 대기위치(stand-by position)에 위치시켜, 권취위치에 위치한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에 권취된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이하, "만권보빈(full bobbin)" 이라 함), 터릿테이블이 회동되면서 실가이드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고, 새로 권취위치에 온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이하, "공보빈(empty bobbin)"이라 함)에 사조를 권취하는 회전형자동권취기에 있어서, 보빈홀더의 회전방향과 터릿테이블의 회동방향이 서로 반대인 구성은 공지이다.
상술한바와 같은 자동권취기의 사조의 절환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일본특허 제2549004호 공보나 특개평8-175761호 공보에 기재된 사조의 절환방법이 있다.
일본특허 제2549004호 공보에 기재된 절환방법에서는, 사조를 만권보빈으로부터 공보빈으로 절환할 때에,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running yarn)와 공보빈이 접촉하기 전에, 사도규제가이드(yarn passage limiting guide)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이동시켜 공보빈이 사조절환조작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사조가 공보빈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공보빈이 절환조작위치로 이동하여 사조가 공보빈에 접촉하면, 사도규제가이드와 공보빈의 사이에 이동시킨 실안내가이드(yarn leading guide)에 의해 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yarn catching groove)에 계합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개평8-175761호 공보에 기재된 절환방법에서는, 복수의 보빈홀더를 적절히 이동시킴으로써 만권보빈과 공보빈을 교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보빈이 만권보빈에 이어져 있는 실에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시켜두고, 실을 공보빈에 접촉하면 거의 동시에 주고받을 수 있게 굴절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조의 절환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 제2549004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는, 사조전환 시에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주행사조의 주행방향과 공보빈의 회전방향은 역방향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조와 공보빈이 접촉하고 나서 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계합시키기 때문에, 그 사이에 사조의 장력이 저하되어 단사되거나, 실떨을 발생시켜 사질의 악화를 초래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조와 공보빈이 접촉한 상태로 실포착용홈에 사조를 삽입하기 때문에, 상술한 장력저하에 따라 사삽입력을 상승시킬 수 없고, 특히 저장력의 권취의 경우에는 실의 삽입이 충분하지 못하여, 실포착용홈에서의 실파지실패라는 문제가 있다.
특개평8-17576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는, 실가이드로 사조와 공보빈을 접촉시키는 동시에, 별도의 실가이드로 실을 굴절시켜, 실을 파지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가이드의 작동타이밍의 조정이 곤란하거나, 실포착용홈내에서 실파지에 필요한 실의 삽입량을 충분하게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실포착용홈에서의실파지가 실패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부수하는 사질의 악화라든가 실파지의 실패라는 문제를 해결하여, 사조의 절환성공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사조를 복수개의 보빈홀더를 순차절환하여 권취하는 회전형자동권취기(revolving type automatic yarn wind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자동권취기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또, 도 1은 도 2보다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자동권취기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자동권취기의 실시예의 사조전환시의 작동순서를 시경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포착홈으로 실을 계합하기 전의 실의 굴곡상태로, (a)는 권취기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우측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5는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의 압입량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보빈홀더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터릿테이블, 그 보빈홀더에 대하여 사도상류측에 설치한 접촉롤러와 트래버스(traverse)장치, 및 사조절환시에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되는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홀더의 회전방향과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방향을 서로 반대로 구성하여, 한 개의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에 권취된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다른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순차절환하여 사조가 권취되도록 한 회전형자동권취기에 있어서, 절환 시에, 만권보빈에 권취되고 있는 주행사조가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사도규제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가 권취보빈으로부터 실이 떨어지지 않도록 규제하고 상기 실안내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대응하는 위치로 안내해 두고,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에 의해 공보빈이 권취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주행사조가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의 사조절환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절환시에 만권보빈에 권취되고 있는 주행사조가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하고, 이어서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고, 실안내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대응하는 위치로 안내해 두어,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다시 증속하여 고속으로 권취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주행사조가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파지시켜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 청구항 3의 절환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절환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청구항 4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절환장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보빈홀더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터릿테이블, 그 보빈홀더에 대하여 사도상류측에 설치한 접촉롤러와 트래버스장치, 및 절환시에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되는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홀더의 회전방향과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방향이 서로 반대로 구성되어, 한 개의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에 권취된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다른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으로 순차절환하여 사조가 권취되도록 한 회전형자동권취기에 있어서, 상기 터릿테이블이 가변속회동수단에 연결되어 있어, 절환 시에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하고, 이어서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고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의 사조전환장치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유니트케이스를 나타내고, 유니트케이스(1)의 본체는 직방체형상을 하고 있고, 유니트케이스(1)의 저부에는 전방(도 2의 좌측)의 작업공간근방까지 연재하는 채널베이스(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니트케이스(1)의 어구에는 채널베이스(12)를 포함하고 있다. 유니트케이스(1)의 전면에는 원판형상의 터릿테이블(2)이 그 중심의 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 등의 회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된다. 이 터릿테이블(2)의 회동수단은 가변속타입이고, 회동속도를 고속 및 저속으로 절환 할 수 있다.
터릿테이블(2)에는, 도 1의 지면에 수직된 방향(도 2의 지면방향)으로 2개의 보빈홀더(3, 4)가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보빈홀더(3, 4)는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보빈홀더(3, 4)의 회전방향은 터릿테이블(2)의 회동방향과 거꾸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빈홀더(3, 4)에는 각각 8개의 보빈(5)이 장착가능하다.
유니트케이스(1)의 도 1의 좌상부에는 고정프레임(6)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채널베이스(12)에 대응하여 작업공간근방까지 연재되어 있다.
고정프레임(6)에 승강프레임(7)이 취착되어 있다. 승강프레임(7)은 유체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활주레일(8)에 따라서 승강가능하다. 승강프레임(7)에는 보빈홀더(3, 4)에 장착된 보빈(5) 또는 그 위에 형성된 실층에 접촉하는 접촉롤러(9), 사조(Y)를 보빈(5)의 축방향으로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10) 및 트래버싱지점가이드(11)가 담지되어 있다.
트래버스장치(10)에는 트래버스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트래버스가이드는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선회하여 사조(Y)와 계합하여 트래버싱범위내에서 사조(Y)를 보빈(5)의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또한, 접촉롤러(9)는 보빈홀더(3,4)에 장착된 보빈(5)에 사조(Y)를 권취할 때에, 패키지형상을 좋게함과 동시에 패키지경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패키지표면에 접촉시켜져 있다.
또한, 터릿테이블(2)의 최상부의 바로 위의 추착부(14a)에서, 플레이트(14)가 고정프레임(6)에 요동가능하게 추착되어 있고, 플레이트(14)의 추착부(14a)와 반대측의 선단에 실안내가이드(13)가 일체적으로 취착되어 있다.
플레이트(1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へ」의 형상단면을 가짐과 동시에 유니트케이스(1)의 전면으로부터 작업공간근방까지 도 2의 지면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상술한 추착부(14a)가 고정프레임(6)의 길이방향(도 2의 지면방향, 즉, 도 1의 지면에 수직되는 방향)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프레임(6)과 플레이트(14)와의 사이는 유체압실린더(21)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4)는 유체압실린더(21)에 의해 추착부(14a)의 주위로 요동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14) 및 요동용류체압실린더(21)는 전체로서 1개의 마운팅(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6)에 따라 보빈홀더(3, 4)의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니트케이스(1)의 저부의 채널베이스(12)에는, 유니트케이스(1)의 전면 및 작업공간근방에 있어서, 각각 핀(17a)의 주위(보빈홀더축에 평행되는 축선주위)로 요동가능하게 암(17)이 추착되어 있다. 암(17)선단부의 추착부(16a)에 플레이트(16)가 추착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16)는 보빈홀더(3, 4)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축방향의 양단부에 암(17)이 설치되어 있고, 암(17)은 플레이트(16)의 양단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6)는 추착부(16a)주위(보빈홀더축으로 평행되는 축선주위)로 요동가능하게 추착되어 있다.
플레이트(16)의 선단부에는, 보빈홀더(3, 4)에 장착된 보빈(5)의 실포착홈(5a)에 대응하고, 사도규제가이드(15)가 취착되어 있다.
유니트케이스(1)상의 추착부(20b)와 암(17)상의 추착부(20a)와의 사이에 유체압실린더(20)가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암(17)은 도 1 및 도 3의 (a), (b)에 나타내는 하강위치와 도 3(c)에 나타내는 요동한 위치의 사이를 요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양암(17)과 플레이트(16)와의 사이에는, 핀(18a, 18b)에 의해 유체압실린더(18)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유체압실린더(18)는 양단의 2개의 암(17)의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유체압실린더(18)를 신축시킴으로써, 플레이트(16)는 추착부(16a)의 주위로 요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암(17)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역L자상형상을 하고 있고, 그 상부선단이 플레이트(16)의 추착부(16a)에 대해 터릿테이블(2)의 회전중심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부분에 추착부(16a)의 주위로 요동한 플레이트(16)를 추착부(16a)와 공동하여 양지지지하기 위한 스토퍼(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16)를 제 3도(c)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추착부(16a)의 주위로 요동시킨 경우에는, 플레이트(16)는 추착부(16a)와 스토퍼(19)에 의해 양지지지된 상태로 된다. 또 전술한 실린더(18)의 플레이트(16)와의 추착부(18b)의 위치는 스토퍼(19)보다도 추착부(16a)측이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토퍼(19)의 반추착부(16a)측이어도 좋다.
터릿테이블(2)의 회동수단, 보빈홀더(3, 4)의 구동장치, 승강프레임(7)을 승강하는 유체실린더, 트래버스가이드의 구동장치, 고정프레임(6)과 플레이트(14)를 연결하는 유체압실린더(21), 활주수단, 유니트케이스(1)와 암(17)에 연결된 유체압실린더(20), 및 암(17)과 플레이트(16)에 연결된 유체압실린더(18)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인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어, 제어기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된다.
이하, 이 실시예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빈홀더(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보빈홀더(3)에 장착된 보빈(5)에 권취한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터릿테이블(2)을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안내가이드(13)와 사도규제가이드(15)가 보빈홀더(3)와 보빈홀더(4)의 사이에 삽입되어 실을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5)의 실포착홈(5a)에 계합시켜, 실의 파지력에 의해 실을 절단하고, 이번에는 보빈홀더(4)에 장착한 보빈(5)에 사조를 권취한다.
이하, 그 작동, 특히, 실안내가이드(13)와 사도규제가이드(15)의 작동을,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a)는 보빈홀더(3)에 장착된 보빈(5)에 권취한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고, 여기서부터 실의 절환을 행하는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유니트케이스(1)와 암(17)을 연결하는 유체압실린더(20) 및 플레이트(16)와 암(17)을 연결하는 유체압실린더(18)는 함께 신장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암(17)은 하강위치에 있고, 플레이트(16)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다.
터릿테이블(2)이 회동수단에 의해 고속(정상회동속도)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도 5의 기동 후의 고속회동상태 참조), 도 3(b)의 상태로 된다. 여기서, 터릿테이블(2)의 회동수단의 속도를 고속(정상속도)으로부터 감속하여, 타렛트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정상회동속도보다도 저속으로 한다(도 5의 저속회동상태 참조). 이 도 3(b)의 상태로부터, 암(17)과 플레이트(16)를 연결하고 있는 유체압실린더(18)의 로드가 축소되고, 이에 의하여 플레이트(1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와 동시에 플레이트(16)의 선단에 취착된 사도규제가이드(15)가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에, 플레이트(16)는 추착부(16a)의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암(17)상에 설치된 스토퍼(19)에 그 중간위치가 눌려지고, 이에 의해 추착부(16a)와 스토퍼(19)에 의해 플레이트(16)는 말하자면 양지지지상태로 되어 위치가 규제된다.
이어서, 유니트케이스(1)와 암(17)을 연결하고 있는 유체압실린더(20)의 로드가 단축되고, 이에 의하여 암(17)이 추착부(17a)의 주위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에, 암(17)과 동시에 플레이트(16)가 함께 회동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플레이트(16)의 선단에 취착된 사도규제가이드(15)가 보빈홀더(3)와 보빈홀더(4)의 사이에 삽입되어, 사조(Y)의 사도를 규제한다.
이렇게 해서 플레이트(16)의 선단에 취착된 사도규제가이드(16)는 암위의 추착부(16a)와 스토퍼(19)와의 사이에서 2점 지지된 상태로, 양보빈홀더(3, 4)의 간극으로 삽입된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16)의 위치는 적절히 위치규제되고, 플레이트(16)로 두께가 얇은 것을 사용했다고 해도 확실하게 양 보빈홀더(3, 4)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16)의 작동공간을 과도히 크게 잡을 필요가 없고, 플레이트(16) 및 사도규제가이드(15)의 작동범위를 충분히 한정하여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보빈홀더상의 보빈에 권취하는 패키지를 충분히 크게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6) 및 사도규제가이드(15)가 안정되기 때문에, 그 작동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고정프레임(6)과 플레이트(14)를 연결하고 있는 유체압실린더(21)의 로드가 신장함으로써, 플레이트(14)가 추착부(14a)의 주위에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플레이트(14)의 선단에 설치된 실안내가이드(13)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실안내가이드(13)가 보빈홀더(3)와 보빈홀더(4)의 사이로 진출한다{도 4(a)참조}.
이어서, 보빈홀더(3)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Y)가 보빈홀더(4)에 접촉하기 전에, 만권보빈의 패키지단면으로부터 실이 떨어지지 않도록 사도규제가이드(15)로 실을 규제하면서, 플레이트(14)와 함께 실안내가이드(13)를 활주수단에 의해 보빈홀더(3, 4)의 축방향으로 활주시키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사조(Y)를 보빈홀더(4)에 장착한 보빈(5)의 실포착홈(5a)과 대응하는 위치로 주행사조(Y)를 안내한다. 이 주행사조(Y)의 안내가 완료한 상태에서, 터릿테이블의 회동수단을 증속하여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고속(정상회동속도)으로 한다(도 5의 저속회동 후의 고속회동참조).
터릿테이블(2)이 저속회동으로부터 고속회동으로 증속되는 사이에{이 사이에, 터릿테이블(2)은 시계방향으로 더욱 회동한다}, 주행사조(Y)는 보빈홀더(4)에 장착한 보빈(5)의 실포착홈(5a)에 파지되어, 실포착홈(5a)의 파지력으로 주행사조(Y)가 절단된다. 주행사조(Y)가 절단된 후, 보빈홀더(4)가 권취위치에서 터릿테이블(2)의 회동이 정지한다(도 5의 우단의 정지상태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절환 시에, 주행사조(Y)가 공보빈에 접촉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주행사조(Y)를 직접적으로,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파지시키고 있다.
보빈홀더(3)에 장착한 보빈(5)에 권취한 사조는, 보빈홀더(3)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 돗퍼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권취기의 밖으로 배출된다.
실안내가이드(13)와 사도규제가이드(15)는, 보빈홀더(4)에 장착한 공보빈에의 실걸기 및 보빈홀더(3)에 장착한 보빈(5)에 권취한 실의 배출 및 보빈홀더로의 공보빈의 장착 등 소정의 작업이 완료된 시점에서, 상술한 작동과 거꾸로의 작동에 의해, 보빈홀더(3)와 보빈홀더(4)의 사이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공보빈에 대한 실의 압입량의 차를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또, 도 6에 있어서, 부호(2a)는 터릿테이블(2)상의 보빈홀더(3, 4)의 중심의 회동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본 발명과 같이 터릿테이블(2)의 회동으로 주행사조(Y)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5a)에 파지시키는 경우이고, 터릿테이블(2)의 회동에 의해 이점쇄선의 상태로부터 실선의 상태로 되어, 사조(Y)가 압부(押付)량은 (S1)이다. 한편, (b)는 종래기술의 실가이드로 사조를 공보빈(5)에 접근시키는 경우이며, 터릿테이블(2)은 정지하고 있고, 사조(Y)의 압부량은 (S2)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조(Y)의 압부량은 S1> S2로 되어, 본 발명에 의해 한층 확실하게 사조(Y)를 공보빈(5)의 실파지홈(5a)에 압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터릿테이블(2)의 회동속도와 실안내가이드(13)와 사도규제가이드(15)의 작동타이밍을 도 5에 의해 다시 설명한다.
예컨대, 도 3(a)의 상태에서 터릿회동이 시작되고, 고속회동 후, 감속완료시점에서 도 3(b)의 상태로 된다. 저속회동 후, 도 4(a)의 상태를 거쳐서, 사도규제가이드(15)로 사조(Y)를 규제하면서, 실안내가이드(13)에 의해서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사조(Y)를 안내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직후에 터릿회동을 가속하여 고속회동으로 하고, 고속회동하는 공보빈의 실포착용홈(5a)에 주행사조(Y)를 직접 삽입하는 것으로, 실삽입력을 증가시킨다. 공보빈의 실포착용홈(5a)에서 실을 파지한 후, 터릿회동은 권취위치의 바로 앞에서 감속하여 정지하고, 도 3(c)의 상태로, 공보빈에 실이 권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도규제가이드(15)로 사조(Y)를 규제하면서, 실안내가이드(13)에 의해서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사조(Y)를 안내할 때에 터릿테이블(2)의 회동속도를 저속으로 하고, 사조(Y)를 확실하게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사조(Y)를 공보빈(5)의 실포착용홈(5a)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터릿테이블(2)을 고속회동시켜서 공보빈의 실포착용홈(5a)에 주행사조(Y)를 직접삽입하여, 실삽입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같이, 절환 시에,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가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하고, 이어서 상기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13)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고, 터릿테이블(2)의 회동속도를 다시 증속하여 고속으로 권취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주행사조(Y)가 공보빈의 실포착용홈(5a)에 파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 1과 같이, 절환 시에,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가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고, 실안내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대응하는 위치로 안내해 두고, 터릿테이블의 회동에 의해 공보빈이 권취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주행사조가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파지되기 때문에, 주행사조는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으로 직접 도입되고 실파지홈에 파지되기 전의 주행사조와 공보빈의 접촉이 없기 때문에, 사조의 장력이 저하되어 실이 끊어지거나, 실떨을 발생시켜 사질의 악화를 초래하거나 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실포착홈내에서 실파지에 필요한 실의 압입량을 충분히 크게 할수 있어 절환성공율이 향상된다.
청구항 2와 같이, 절환 시에,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가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하고, 이어서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만권보빈과 공보빈의 사이에 삽입하고, 실안내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대응하는 위치로 안내해 두고, 터릿테이블의 회동속도를 다시 증속하여 고속으로 권취위치까지 이동하는 사이에 주행사조가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파지되기 때문에, 실포착용홈에의 실삽입력을 높이고, 특히 저장력의 권취의 경우에도 실삽입력이 충분하며, 실포착용홈에서의 실파지실패가 방지된다.

Claims (6)

  1. 복수의 보빈홀더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터릿테이블, 상기 보빈홀더에 대하여 사도상류측에 설치한 접촉롤러와 트래버스장치, 및 사조절환시 만권보빈과 공보빈 사이에 삽입되는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홀더의 회전방향과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동방향은 반대이며, 한 개의 보빈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권취된 사조가 소정량에 도달하면 다른 보빈홀더에 장착한 보빈으로 순차절환하여 권취되는 회전형자동권취기에 있어서,
    절환시,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는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하고, 이어서 만권보빈과 공보빈 사이에 상기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를 삽입하여, 상기 사도규제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가 권취보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규제하고 상기 실안내가이드에 의해 주행사조를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해 두고,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전속도를 다시 증속하여 고속으로 하여 권취위치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주행사조는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의 사조절환방법.
  2. 삭제
  3. 삭제
  4. 권취기의 사조절환장치에 있어서,
    만권보빈 또는 공보빈이 장착된 복수의 보빈홀더들;
    상기 보빈홀더들이 탑재되며, 상기 보빈홀더들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터릿테이블;
    상기 보빈홀더들에 대하여 사도상류측에 설치된 것으로, 보빈상에 권취된 주행사조에 접촉하는 접촉롤러;
    상기 보빈홀더에 대하여 사도상류측에 설치된 것으로, 사조를 보빈의 축방향으로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장치;
    사조절환시 만권보빈과 공보빈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각각 사도규제가이드구동수단 및 실안내가이드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
    상기 실안내가이드를 보빈홀더의 축방향으로 활주시키는 활주수단; 및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전수단, 상기 사도규제가이드구동수단 및 상기 실안내가이드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터릿테이블의 회전수단은 가변속타입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만권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주행사조가 공보빈과 접촉하기 전에는 터릿테이블회전수단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저속으로 제어하고, 상기 사도규제가이드 및 실안내가이드가 만권보빈과 공보빈 사이에 삽입되어 주행사조가 공보빈의 실포착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된 후에는 터릿테이블회전수단의 회전속도를 증속하여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의 사조절환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1-7001687A 1998-09-25 1999-08-19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 KR100430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72161A JP2000095440A (ja) 1998-09-25 1998-09-25 糸条の切替方法および装置
JP10-272161 1998-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348A KR20010072348A (ko) 2001-07-31
KR100430991B1 true KR100430991B1 (ko) 2004-05-12

Family

ID=1750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687A KR100430991B1 (ko) 1998-09-25 1999-08-19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000095440A (ko)
KR (1) KR100430991B1 (ko)
CN (1) CN1111131C (ko)
AU (1) AU5300899A (ko)
DE (1) DE19983516T1 (ko)
TW (1) TW455562B (ko)
WO (1) WO2000018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7015A1 (de) * 2011-08-03 2013-02-07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Aufspulvorrichtung
DE102012215772B3 (de) * 2012-09-05 2013-12-24 Georg Sahm Gmbh & Co. Kg Spulgut-Spreizeinrichtung
CN104960981B (zh) * 2015-04-14 2017-11-03 郑州中远氨纶工程技术有限公司 弹性纱线卷绕装置及弹性纱线切换卷绕方法
JP7269783B2 (ja) * 2018-06-11 2023-05-09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紡糸巻取装置
CN113336008B (zh) * 2021-07-12 2023-01-03 湖州金裕丝绸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纺织生产用具有上筒防堵塞机构的绕线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761A (ja) * 1994-12-22 1996-07-09 Murata Mach Ltd 巻取機の糸切換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004B2 (ja) * 1990-07-13 1996-10-30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糸条切り替え方法
JPH07252026A (ja) * 1994-03-11 1995-10-03 Teijin Seiki Co Ltd 糸条巻取機の切替え装置
JP2843964B2 (ja) * 1994-06-27 1999-01-06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ターレット型巻取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761A (ja) * 1994-12-22 1996-07-09 Murata Mach Ltd 巻取機の糸切換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131C (zh) 2003-06-11
CN1319070A (zh) 2001-10-24
DE19983516T1 (de) 2002-07-11
KR20010072348A (ko) 2001-07-31
JP2000095440A (ja) 2000-04-04
WO2000018675A1 (fr) 2000-04-06
AU5300899A (en) 2000-04-17
TW455562B (en)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651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spinning-in yarn on an open-end spinning machine
US5716016A (en) Turret type yarn winder with reduced tension variation during switching
GB2100300A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a newly joined thread onto a tube newly inserted into a winding device
KR100430991B1 (ko)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
US4606508A (en) Bobbin inserting device
KR100400098B1 (ko) 탄성사용방사권취기와그실전환방법
EP0927695B1 (en) Elastic yarn take-up winder and package
EP2105400A2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EP1065163B1 (en) Bunch winding method
KR101213126B1 (ko) 실 권취 장치
US63152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cutting an advancing yarn during a package doff
JP2000327228A (ja) 巻取機の糸掛装置
EP0943573B1 (en) Filament yarn take-up winder
RU2078734C1 (ru) Способ намотки химической нити
KR100424985B1 (ko)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JP3176741B2 (ja) 糸条の切替巻取方法および装置
JPS62264172A (ja) スピンドルドライブ式自動巻取機における糸条切替方法
JPS6216991A (ja) スピンドルドライブ式巻取機の糸条切替方法
JPH10139283A (ja) 巻取機の糸条切断装置
JP2000177927A (ja) 弾性糸巻取装置および弾性糸巻取方法
JP2718236B2 (ja) 自動糸継ぎ機による巻取装置のクレードルアーム制御方法
JP2563121Y2 (ja) 紡糸巻取機
JP2002255452A (ja) ターレット型巻取機
JPH04217555A (ja) 糸条切り替え方法
JPH03124670A (ja) 糸条巻取機における糸掛け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