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985B1 -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4985B1 KR100424985B1 KR1020030005869A KR20030005869A KR100424985B1 KR 100424985 B1 KR100424985 B1 KR 100424985B1 KR 1020030005869 A KR1020030005869 A KR 1020030005869A KR 20030005869 A KR20030005869 A KR 20030005869A KR 100424985 B1 KR100424985 B1 KR 100424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thread
- yarn
- guide
- switch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2—Drive contact pressure control, e.g. press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보빈으로부터 공보빈으로의 실넘김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환 시에 실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을 제공한다.
2개의 보빈홀더를 권취위치와 대기위치로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갖고, 상기 전환동작에 따라 만보빈에 도달한 주행사를 공보빈으로 넘기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전환 동작 시에 상기 주행사가 상기 공보빈에 접하는 접촉각도를 제어하는 사도규제가이드를 설치하고, 상기 사도규제가이드에 의해 상기 전환 동작 시에 상기 주행사가 상기 공보빈에 접하는 접촉각도를 주행사가 상기 공보빈에 접하고 나서 실을 넘길 때까지의 동안은 실 넘김 시보다 작게 하고, 실 넘김 시에는 보빈홀더의 이동에 의해 접촉각도를 크게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돌출설치된 상태의 2개의 보빈홀더를 권취위치와 대기위치로 전환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만보빈(full bobbin)으로부터 공보빈(empty bobbin)으로 실넘김하여 연속적으로 실을 감는 회전형 방사권취기 및 방사권취기의 실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터릿판(102)에 2개의 보빈홀더(115),(116)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돌출설치되고, 각 보빈홀더(115),(116)에는 보빈이 여러 개씩 각각 끼워져 있고, 상기 2개의 보빈홀더(115),(116)는 한쪽이 권취위치(a)에, 다른쪽이 대기위치(b)에 배치되어 권취위치(a)에 위치하고 있는 보빈에 실을 감고, 그 보빈이 만권상태가 될 때마다 터릿판(102)을 180도 회전하여 교환하고, 새롭게 권취위치(a)에 온 공보빈(EB)에 실감기를 시작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2개의 보빈홀더(115),(116)로 번갈아가며 권취하는 회전형 방사권취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 (103)은 터치롤러, (104)는 트래버스장치이다.
상기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만보빈(FB)에서 공보빈(EB)으로 실을 넘길 때의 실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권취위치(a)의 보빈이 만권 상태가 된 시점에서 터릿판(102)은 180도 회전하고, 2개의 보빈홀더(115),(116)의 위치가 전환되어 만보빈(FB)은 대기위치(b)에, 공보빈(EB)은 권취위치(a)에 새롭게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각 보빈이 새로운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시점에서도 공급되는 실(Y)은 여전히 대기위치(b)에 있는 만보빈(FB)에 연결되어 있고, 공보빈(EB)의 슬릿(실포착홈)에 실을 포착시켜 권취를 시작하여야 비로소 만보빈(FB)으로부터 공보빈(EB)으로의 실넘김이 종료한다. 즉, 공보빈(EB)의 트래버스범위 밖에 있는 슬릿에 실을 포착시키는 시점에서 만보빈(FB)에 연결되어 있는 실은 공보빈(EB)의 회전에 의한 실의 장력으로 인하여 끊어지고, 새롭게 공보빈(EB)에 감겨진다.
이와 같은 방사권취기는 터릿판 및 보빈홀더의 전환동작에 따라 실넘김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류측의 제1실가이드장치(150)와, 하류측의 제2실가이드장치(120)를 구비한다. 제1실가이드장치(150)는 트래버스장치(104)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실당김가이드(151)와 실벗김가이드(152)로 이루어진다. 제2실가이드장치(120)는, 공보빈(EB)과 만보빈(FB) 사이에 진출하는 요동아암(123)의 선단에 슬라이드실가이드(121)와 고정가이드(122)를 설치한다.
터릿판(102)이 회전하여 공보빈(EB)이 권취위치로 되면, 제2실가이드장치(120)가 공보빈(EB)과 만보빈(FB) 사이의 실선위치까지 진출한다. 다음에, 실벗김가이드(152)가 진출하여 트래버스장치(104)로부터 실을 벗김과 동시에, 도 15의 실당김가이드(151)의 실가이드(159)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행사를 공보빈(EB)의 슬릿(117)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당긴다. 이 상태에서 제2실가이드장치(120)의 고정가이드(122)는 주행사를 만보빈(FB) 상에 지지한다. 다음에, 제2실가이드장치(120)의 슬라이드실가이드(121)가 도 15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행사를 공보빈(EB)의 슬릿(117)까지 운반하여 실넘김한다.
상술한 도 14의 종래의 실 교환방법에 의하면, 터릿판(102) 및 보빈홀더(115),(116)의 위치의 전환에 따라서 공보빈(EB)은 ⑧의 위치에서 주행사에 접하기 시작하고, ⑧의 위치부터 주행사와의 접촉각도를 증대시키면서 ⑨의 권취위치에 이르고, 주행사의 접촉각도(α)는 60°를 넘는 정도에서 최대로 된다. 이때 공보빈(EB)의 회전방향은 실(Y)의 주행방향과 반대이기 때문에, 주행사(Y)는 공보빈(EB)의 표면에서 바싹 당겨지게 된다. 공보빈(EB)이 권취위치(a)의 정위치로 되어 비로소 제2실가이드장치(120)가 진출하면, 공보빈(EB)에 대한 주행사의 접촉각도(β)(실넘김에 필요한 각도(β))는 작아지게 된다. 제2실가이드장치(120)가 작동위치로 될 때까지 주행위치는 공보빈(EB)상에서 큰 접촉각도로 바싹 당겨지게 되어 실이 손상을 받아 보풀 등이 발생하고, 손상을 받은 실이 만보빈에 권취되는 문제가 생기며, 또한, 신축성이 적은 가는 실에서는 실끊김이 생겨 실교환 실패의 원인이 된다.
또한, 보빈홀더(115),(116)의 180°회전에 의한 위치전환 동작이 종료되고, 공보빈(EB)이 권취위치(a)에 도달한 후에 제2실가이드장치(120)가 진출하기 때문에, 주행사(Y)가 공보빈(EB)상에서 바싹 당겨지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과, 전환동작에서부터 실넘김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공보빈(EB)이 권취위치(a)에 도달한 후에 제2실가이드장치(120)를 진출시켰던 것은 제2실가이드장치(120)를 대기위치(b)부터 권취위치(a)로 이동 중인 공보빈(EB)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진출시키는 일이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또한, 상술한 도 14의 종래의 실 교환방법에 의하면, 보빈홀더(115),(116)의 180°회전에 의한 위치 전환동작이 완료되고, 공보빈(EB)이 권취위치(a)에 도달한 후에 제2실가이드장치(120)가 진출한다. 제2실가이드장치(120)의 고정실가이드(122)가 소정 위치로 되어 만보빈(FB)에 도달한 실이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면 제1실가이드장치(150)의 실당김가이드(15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실을 공보빈(EB)의 슬릿(117)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당길 수 있다. 그 때문에 터릿판(102)의 회전에 의한 전환동작완료 →제2실가이드장치(120)의 진출 →제1실가이드장치(150)의 실당김가이드(151)의 작동 순서가 되어 실넘김이 끝날 때까지의 실 전환동작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만보빈의 실층으로부터 실이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실가이드를 진출시키기 전에 주행사를 보빈 단부 쪽으로 당기면 만보빈의 실층으로부터 실이 분리되는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실가이드를 진출시키기까지는 실당김을 할 수 없으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실넘김이 끝날 때까지의 실 전환동작에 시간이 걸리는 것은, 주행사(Y)가 공보빈(EB)에서 접촉각도(α)나 접촉각도(β)로 바싹 당겨지는 시간이 길어져 실이 손상을 받아 보풀이 생기고, 손상을 받은 실이 만보빈에 권취되는 문제가 생기고, 또한, 신축성이 적은 가는 실에서는 실끊김이 발생하여 실교환 실패의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결점은 주행사(Y)가 60°를 넘는 접촉각도(α)에서 공보빈(EB)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주행사(Y)를 당긴다는 데에 있다. 주행사(Y)는 보빈표면에의 마찰로 인해 손상을 받아 실끊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터릿식 방사권취기에 있어서, 2개의 보빈홀더의 권취위치가 대기위치를 전환하는 전환동작 시에, 실넘김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만보빈으로부터 공보빈으로의 실넘김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환동작시에 실에 손상을 주지 않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권취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제2실가이드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실가이드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제2실가이드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5는 제2실가이드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6은 제2실가이드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7은 제1실가이드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8은 제1실가이드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9는 제1실가이드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10은 제1실가이드장치의 제4작동도이다.
도 11은 제1실가이드장치의 제5작동도이다.
도 12는 제1실가이드장치의 제6작동도이다.
도 13은 제1실가이드장치와 제2실가이드장치에 의한 실넘김의 작동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방사권취기의 실 교환방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방사권취기의 실 교환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발명은, 2개의 보빈홀더(15, 16)와, 이들 2개의 보빈홀더를 돌출설치하여 지지하는 터릿판(2)을 갖추고, 상기 2개의 보빈홀더(15, 16)를 상기 터릿판(2)의 회전에 의해 권취위치(a)와 대기위치(b)로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갖고, 상기 전환동작에 따라 만보빈(FB)에 도달한 주행사(Y)를 공보빈(EB)으로 넘기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환 동작 시에 상기 주행사(Y)가 상기 공보빈(EB)에 접하는 접촉각도를 제어하는 사도규제가이드(21)를 상기 공보빈(EB)과 상기 만보빈(FB) 사이에 진퇴가능한 부재로 설치하고, 상기 사도규제가이드(21)의 진퇴에 의해 상기 전환 동작 시에 상기 주행사(Y)가 상기 공보빈(EB)에 접하는 접촉각도를 주행사(Y)가 상기 공보빈(EB)에 접하고 나서 실을 넘길 때까지는 실 넘김 시보다 작게 하고, 실 넘김 시에는 상기 터릿판(2)의 회전에 따른 보빈 홀더의 이동에 의해 접촉각도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2개의 보빈홀더(15, 16)를 권취위치와 대기위치로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갖고, 상기 전환동작에 따라 만보빈(FB)에 이른 주행사(Y)를 공보빈(EB)의 단부에 설치된 실포착수단(17)으로 포착함으로써 상기 주행사(Y)를 공보빈(EB)으로 넘기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보빈(FB)에 이른 주행사(Y)를 상기 공보빈(EB) 단부의 실포착수단(17)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제 1실전환가이드(59)와, 권취위치(a)의 공보빈(EB)과 대기위치(b)의 만보빈(FB) 사이에 진퇴가능하며 상기 제 1실전환가이드(59)에 의해 이동된 주행사(Y)를 만보빈(FB)의 사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위치로 제한하기 위한 제 2실전환가이드(42)를 설치하고, 상기 만보빈에 도달한 주행사를 상기 제 1실전환가이드(59)에 의해 상기 공보빈 단부의 실포착수단(17)을 향해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실전환가이드(42)를 진출시키기 전에 상기 주행사를 만보빈의 실층 단부이며 상기 제 2실전환가이드(42)보다 보빈 중앙에 가까운 쪽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만보빈(FB)에 이른 주행사(Y)를 만보빈(FB)의 실층 단부이며 상기 제 2실전환가이드(42)보다 보빈 중앙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공보빈(EB)과 상기 주행사(Y)가 접촉하지 않을 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권취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제2실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제1실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먼저, 도 1에 의하여 방사권취기의 기본구조를 설명한다. 본체프레임(7)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박스(1)와, 회전가능한 터릿판(2)이 설치되고, 선단에는 조작박스(10)가 있는 고정프레임(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박스(1)에는 터치롤러(3), 트래버스장치(4), 제1실가이드장치(50)가 각각 지지되어 있고, 상기 터치롤러(3)는 후술하는 권취위치에 있는 보빈(B)의 실층에 눌려서 접하고 있으며, 상기 보빈(B)을 도 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게 한다. 또한, 트래버스장치(4)에는 트래버스가이드(6)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트래버스가이드(6)가 주행사(Y)와 결합된 상태에서 트래버스범위를 주행하여, 주행사(Y)를 트래버스시킨다. 또한, 트래버스장치(4)의 상류측에는 만보빈(FB)과 공보빈(EB)의 위치를 전환하여 실을 넘길 때에, 주행사(Y)와 트래버스가이드(6)의 결합을 풀고, 주행사(Y)를 트래버스 범위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실가이드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제1실가이드장치(50)는 실당김가이드(51)와 실벗김가이드(52) 및 고정실가이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릿판(2)은 회전축(14)을 중심으로 도시되지 않은 회전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고, 2개의 보빈홀더(15),(16)가 각각 터릿판(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돌출설치되어 지지되어 있다. 각 보빈홀더(15),(16)에는 한쪽 끝에 실포착수단인 슬릿(실포착홈)(17)을 형성하고 있는 보빈(B)이 여러 개 끼워져 있으며, 실 권취 중에는 한쪽 보빈홀더(15)는 권취위치(a)에, 다른 쪽 보빈홀더(16)는 대기위치(6)에 위치한다. 터릿판(2)은 권취위치(a)의 보빈(B)에 실(Y)이 만권상태가 된 시점에서 180도 회전하고, 보빈홀더(15),(16)의 위치를 전환하여 만보빈(FB)으로부터 권취위치(a)에 새롭게 위치하고 있는 공보빈(EB)에 실(Y)을 넘기고 권취를 속행한다. 도 1에는 실(Y)을 넘길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으므로, 대기위치(b)에는 만권상태의 보빈(FB)이 보빈홀더(16)에 지지되어 있다.
고정프레임(18)은 승강박스(1)의 승강이 방해되지 않는 위치, 즉 터릿판(2)의 경사진 상측방향으로 승강박스(1)와 평행한 위치에, 본체프레임(7)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프레임(18)의 선단에는 조작박스(10)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프레임(18)의 내부는 배선의 통과부분을 제외하고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이 고정프레임(18)의 아래쪽에는 하기 제2실가이드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7)의 하측은 보빈홀더(15),(16)와 평행하게 놓여 있는 베이스프레임(19)으로 되어 있다. 제2실가이드장치(20)는 요동아암(23)에 슬라이드판(24)을 진출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슬라이드판(24)의 선단에 슬라이드실가이드(21)와 고정실가이드(22)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슬라이드판(24)은, 공보빈(EB)의 권취위치(a)로의 전환동작 시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진출하고, 슬라이드실가이드(21)는 권취위치(a)에 도달한 공보빈(EB)에 접하는 주행사(Y)의 접촉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사도규제가이드로서의 기능도 한다. 또한,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실가이드장치(50)와 제2실가이드장치(20)는 함께 공보빈(EB)으로의 실넘김을 행한다.
다음에, 권취위치의 공보빈과 대기위치의 만보빈 사이에 진퇴가 자유로운 제2실가이드장치(20)의 상세한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체프레임(7)과 고정프레임(18)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있는 지지판(18a) 사이에, 축(26)이 축받이(27)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축(26)의 양단에 1쌍의 요동아암(23, 23)이 고정설치되고, 본체프레임(7)측의 요동아암(23)과 본체프레임 사이에 공압실린더(28)가 연결되어 있다. 공압실린더(28)의 로드가 늘어나면, 요동아암(23, 23)은 축(26)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요동하여 대기위치(도4의 실선위치 참조)로 되고, 공압실린더(28)의 로드가 짧아지면, 요동아암(23, 23)은 축(26)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요동한다. 요동아암(23, 23)은, 만보빈(FB)과 공보빈(EB)의 회전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프레임(7)측의 요동아암(23)의 측면에는 슈우(29),(30)가 부착되어, 요동아암이 상향으로 요동할 때에 터릿판(2)에 돌출설치된 보빈홀더(16)를 지탱하는 고정축(11)에 접하여, 아암(23)의 상향동작을 보빈홀더(16)로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터릿판(2)은 전환동작 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보빈홀더(15)의 이동과 연동하여 요동아암(23, 23)의 상향자세를 결정한다(도 4의 실선위치 참조).
요동아암(23, 23)에는 가이드홈(31)(도4 참조)이 가공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31)을 따라 2개의 가이드롤러(32)로 자세가 결정되는 슬라이드판(24)이 요동아암(23, 23) 사이에 설치된다. 이 슬라이드판(24)에는 좌우 양측의 제1링크(33, 33), 좌우 양측의 제2링크(34, 34), 연결봉(35), 공압실린더(36), 스피드콘트롤밸브(37)로 이루어지는 진출기구가 설치되어있다. 제1링크(33)의 한쪽 끝은 핀(33a)으로 슬라이드판(24)에 축지지되고, 다른 쪽 끝은 핀(33b)으로 제2링크(34, 34)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다. 제2링크(34, 34)의 중간점은 브래킷(34b)을 통하여 핀(34a)으로 축(26)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은 핀(34c)으로 양쪽 사이드 링크의 동기(同期)를 취하기 위한 연결봉(3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7)측의 제2링크(34)의 중간점과 다른쪽 끝 사이에 공압실린더(36)가 연결되어 있다.
공압실린더(36)의 로드가 늘어나면 제2링크(34, 3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링크(33, 33)가 돌출하여, 슬라이드판(24)이 앞쪽으로 진출한다. 공압실린더(36)의 로드가 짧아지면, 제2링크(34, 3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링크(33, 33)가 인입되므로 슬라이드판(24)이 후방으로 퇴출한다. 공압실린더(36)에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의 양을 스피드콘트롤밸브(37)에서 조정하면, 슬라이드판(24)의 진출속도 및 후퇴속도가 각각 소정값으로 조정된다.
슬라이드판(24)의 선단에는, 상류측의 실에 걸리는 슬라이드실가이드(21)와 하측의 실에 걸리는 고정실가이드(22)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실가이드(21)는 슬라이드판(24)측의 긴 구멍(38, 38) 안으로 안내되는 핀(39, 39)과 슬라이드판(24)과의 사이에 연결된 공압실린더(40)에 의해 보빈홀더(15)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다. 슬라이드실가이드(21)는 평행사변형 모양의 잘려진 부분(43)의 변에 의한 걸림부(41)를 보빈(B)에 상당하는 수만큼 가지고 있다. 고정실가이드(22)는 슬라이드실가이드(21)의 잘려진 부분(43) 내에 돌출한 클로(claw)(42)를 보빈(B)에 상당하는 수만큼 가지고 있다. 고정실가이드(22)의 클로(42)는 실 전환 시에 후술하는 제 1실전환가이드인 실가이드봉(59)에 의하여 보빈(B)의 끝부분으로 당겨진 주행사를 만보빈(FB)의 실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는 위치로 제한하기 위한 것(제3실전환가이드)이다. 슬라이드실가이드(21)의 걸림부(41)(제2의 실전환가이드)는, 상기 클로(제3실전환가이드)(42)에서 제한된 주행사(Y)의 상류측을 슬릿(17)의 위치까지 운반하여 실넘김을 실행한다. 공압실린더(40)가 늘어나면, 걸림부(41)에 걸린 실이 슬릿(17)을 가로지르는 위치까지 운반되고, 공압실린더(40)가 짧아지면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도 3에 의하여 트래버스장치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실당김가이드(51)와 실벗김가이드(52) 및 고정실가이드(53)로 이루어진 제1실가이드장치(50)를 설명한다. 실벗김가이드(52)는 2점쇄선의 뒤로 물러난 위치로부터 실선의 작동위치까지 진출하고, 도시되지 않은 트래버스장치의 트래버스가이드로부터 실을 벗긴다. 실당김가이드(51)는 승강박스 기대(55)의 복수 개의 가이드홈(56)으로 안내되고, 제1공압실린더(58)로 진퇴작동하는 봉체(57)에 실당김을 위한 실전환가이드로서의 실가이드봉(제1의 실전환가이드)(59)을 보빈의 수만큼 돌출되게 설치한다. 가이드홈(56)에는 스트레이트부(56a)와 후퇴부(56b)가 있고, 롤러(57a)로 안내되는 봉체(57) 및 실가이드봉(59)은 먼저 실이 걸리는 위치까지 진출한 후 실을 도면 좌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행한다. 이 봉체(57)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스토퍼(60)가 부착되고, 스토퍼(60)가 기대(55)에 부착된 제2공압실린더(일시정지수단)(61)의 로드선단에 닿아서 일시정지한다. 이 일시정지위치에서, 실가이드봉(59)은 슬라이드실가이드(21)의 잘려진 부분(43) 내의 고정실가이드(22)의 클로(42) 바로 앞의 제1위치에 있게 된다. 제2공압실린더(61)의 로드가 짧아지면, 봉체(57)는 다시 도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실가이드(53)의 가이드면(53a)에 이르는 제2위치까지 실을 운반한다. 상기 제2위치는 보빈(B)의 슬릿(17)를 넘는 위치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실가이드장치(20)의 작동상태를 시간경과와 함께 나타낸다. 도시되지 아니한 터릿판이 180°회전하면 권취위치와 대기위치가 전환된다. 도 4는 θ1∼θ2까지의 전환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θ1의 전환위치에서, 공보빈(EB)은 도시된 실선위치에 있고, 공보빈(EB)의 보빈홀더(15)는 제2실가이드장치(20)의 슈우(29)에 거의 닿을 때까지 가까워진다. 이 θ1의 전환위치에서, 요동아암(23)을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시킨다. 그러면, 슈우(29)가 보빈홀더(15)의 고정축(11)에 닿아서, 요동아암(23)의 자세가 보빈홀더(15)에 의하여 규제된다. 그 후, 보빈홀더(15)가 터릿판과 함께 회전하면, 요동아암(23)의 자세도 일어나도록 변화하여 슬라이드판(24)이 공보빈(EB)과 만보빈(FB) 사이를 향하도록 자세를 서서히 변화한다. 그리고 θ2의 전환위치에서는 2점쇄선과 같이 된다. 이 때 만보빈(FB)에 도달한 실은 공보빈(EB)의 표면에 접하고 있지는 않다. 이 상태에 이르면, 승강박스(1)가 하강하여 터치롤러(3)가 권취위치(a)에 이르는 공보빈과 접할 수 있는 높이로 된다. θ3의 전환위치로 되면, 만보빈(FB)에 이르는 주행사(Y)가 공보빈(EB)에 접하게 된다. 그러면, 제2실가이드장치(20)의 슬라이드판(24)이 주행사(Y)를 향해서 진출을 시작한다.
도 5는 θ4∼θ8까지의 전환동작을 소정 간격으로 나타내고 있다. θ4의 전환위치로 되면, 주행사(Y)의 일부분만이 공보빈(EB)에 접하고, 슬라이드판(24)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가이드(21)가 진출하고 있지만, 주행사(Y)의 실경로를 규제할 수 있을 정도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θ5의 전환위치로 되면, 공보빈(EB)으로의 주행사(Y)의 접촉각도가 늘어나기 시작하나, 동시에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가이드(21)가 주행사를 밀어내므로, 접촉각도는 10°이내로 유지된다. 전환위치가 θ6→θ7→θ8로 되어서, 공보빈(EB)이 다시 주행사(Y)로 진출하고 있지만, 요동아암(23)의 자세가 보빈홀더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화하여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 가이드(21)도 공보빈(EB)의 움직임에 따라서 진출하여 주행사(Y)를 다시 밀어낸다. 그 때문에, 공보빈(EB)이 전환되는 최후의 정위치 180°에 이르기 직전까지 주행사(Y)와 그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공보빈(EB)과의 접촉각도는 10°이내로 유지된다.
도 6은 180°전환위치에 있어서, 권취위치(a)가 정위치로 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전환동작 시에 실이 공보빈(EB)에 접촉하여도 실넘김위치에 이르기까지(실넘김시까지)의 접촉각도는 공보빈(EB)으로 실넘김을 하기 위해(슬릿에 실을 포착시키기 위해) 필요한 접촉각도보다 작은 접촉각도로 유지된다. 이 정위치로 되면, 실넘김을 위해 공보빈(EB)에 주행사(Y)가 접하는 접촉각도가 크게 된다. 그러나 접촉각도가 크게 되는 실넘김시간은 짧다. 그리고,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 가이드(21)에서 주행사(Y)가 규제되고 있는 동안은 슬라이드실가이드(21)가 슬라이드하지 않고, 주행사(Y)는 도 2의 잘려진 부분(43)의 저면에 닿는다. 이 실이 닿은 부분이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면, 주행사(Y)가 받는 손상이 매우 적어진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2실가이드장치(20)와 함께 실넘김을 행하는 제1실가이드장치(50)의 작동을 도 7 내지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전환 타이밍에 이르면, 공보빈을 끼워 부착한 대기위치에 있는 보빈홀더(16)가 가속을 시작하여 일정한 속도로 되면 터릿판이 회전을 시작하여 전환이 시작된다. 전환위치가 θ4를 넘을 때까지 주행사와 공보빈(EB)의 접촉이 없을 때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제1단계의 실당김이 실행된다. 실벗김가이드(52)가 ①방향으로 진출하여, 트래버스장치(4)로부터 실을 벗긴다. 그러면, 실장력으로 주행사(Y)는 센터에 위치하면서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감기가 시작된다. 봉체(57) 및 실가이드봉(59)은 공압실린더(58)가 늘어남에 따라서 ③화살표과 같이 일단 앞으로 진출한 후, 가로방향으로 이동한다. 봉체(57)의 스토퍼(60)는 제2공압실린더(61)의 로드 선단에 닿아서 일단정지한다. 이 상태가 도 8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만보빈(FB)의 표면에는 제1봉끝감기가 형성된다. 이 제1봉끝감기의 제1위치는 슬라이드실가이드(21)의 잘려진 부분(43) 내에서 고정가이드(22)의 클로(42) 바로 앞이다. 따라서,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가이드(21)는 잘려진 부분(43) 내에 실을 유지하여 실경로를 규제하면서, 전환위치 180°의 정위치에 이르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1위치는 주행사가 만보빈의 실층 끝부분에 위치하는 만보빈의 실층 끝부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는 위치이고, 제 3실전환가이드보다 보빈의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 3실전환가이드를 진출시키기 전에 주행사를 보빈의 끝부분에 미리 당겨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터릿판의 회전시간 내에 주행사를 보빈의 단부 근처인 제1위치까지 당겨둘 수 있어, 전환동작에서부터 실넘김까지의 시간이 단축되고, 주행사와 공보빈과의 접촉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실넘김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사와 공보빈과의 접촉이 없거나 적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실넘김에 도달하기 때문에 실의 손상이 적고, 또한 실넘김의 성공률이 높아진다.
터릿판 및 보빈홀더가 정위치로 되면, 도 9의 제2공압실린더(61)의 로드가 짧아지고, 봉체(57) 및 실가이드봉(59)은 ③의 화살표와 같이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는 제2단계의 실당김이 실행된다. 이 제2단계의 실당김의 제2위치는 스토퍼(61a)로 결정되고, 이 상태는 센서(61b)에서 검출된다. 실당김의 제2위치는 공보빈(EB)의 슬릿(17)을 넘는 위치가 좋지만, 슬릿(17) 부근이라면 상관은 없다. 제2실가이드장치(20)의 고정가이드(22)의 클로(42)가 만보빈(FB)으로부터 실이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고, 제1봉끝감기에 의하여 끝부분에 다시 제2봉끝감기가 형성된다. 그러나, 도 10과 같이, 봉체(57)의 스토퍼(61a)에 접하는 것을 센서(61b)가 검출함과 동시에, 제2실가이드장치(20)의 슬라이드실가이드(21)가 ④화살표와 같이 가로로 이동하고, 주행사(Y)의 하류측을 공보빈(EB)의 슬릿(17)을 가로지르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슬라이드실가이드(21)의 이동과 동시에, 실벗김가이드(52)가 ⑤화살표와 같이 퇴출하여, 주행사는 고정실가이드(53)의 안내면(53a)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주행사(Y)는 공보빈(EB)의 슬릿(17)에 포착되어서 실넘김이 행하여진 직후인 도 11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실가이드봉(59)의 제2위치로 결정되는 펀치감기가 공보빈(EB)에 형성된다. 소정 시간이 흐른 후에, 도 12와 같이 봉체(57)와 실가이드봉(59)은 ⑥화살표와 같이 후퇴하면서 퇴출한다. 그러면, 고정실가이드(53)의 안내면(53a)으로부터의 실장력으로 인해 자연히 분리되는 주행사(Y)는 트래버스장치(4)의 트래버스가이드(6)에 걸려서, 트래버스를 시작하여 통상의 무늬감김이 시작된다.
도 13은 제1실가이드장치(50)와 제2실가이드장치(20)의 작동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릿판 및 보빈홀더가 전환위치(θ)를 지나고,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 사도규제가이드(21)가 주행사(Y)를 규제하기 시작할 때까지, 부호(71)과 같이 주행사(Y)가 트래버스장치로부터 벗겨지고, 이어서 부호(72)와 같이 제1실가이드장치에서 트래버스범위 끝의 제1위치까지 당겨지고, 부호(73)과 같이 제1봉끝감기가 시작된다. 이 제1위치에 주행사(Y)가 있으면,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 가이드(21)의 잘려진 부분(43) 내에 실이 들어가서,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실경로규제 가이드(21)가 공보빈(EB)의 보빈홀더로 안내되면서 진출하여, 공보빈(EB)에 대한 주행사의 접촉각도(γ)를 10°이내로 규제한다.
터릿판 및 보빈홀더가 전환위치 180°의 정위치로 되면, 부호 (74)와 같이 제1실가이드장치에서 트래버스범위의 다른 쪽 끝의 제2위치까지 당겨지고, 공보빈(EB)측의 실은 부호(75)의 펀치감기의 상당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만보빈(FB)측의 실은 고정실가이드(22)의 클로(42)에서 결정되는 부호(76)의 제2봉끝감기로 된다. 만보빈(FB)측의 실을 슬라이드실가이드(21)의 걸림부(41)에 걸은 채로 가로로 이동시켜서 슬릿을 가로지르면 실넘김이 실행된다.
실넘김까지의 주행사와 공보빈의 접촉구간은 정위치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사이이고, 그 사이의 접촉각도는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가이드(21)를 진출시켜 접촉각도가 γ 또는 β와 같이 작게 되도록 규제된다. 더욱이, 실넘김을 실행하는 정위치에 이르기까지 제2실가이드장치(20)(제3 실전환가이드(42))를 진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정위치에 이르면 즉석에서 실넘김을 실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실넘김까지의 공보빈과의 접촉에 기인하는 실넘김 실패의 확률이 작아질 수가 있다. 도 14의 종래의 실넘김의 경우에는, 터릿판 및 보빈홀더가 정위치에 이른 후에 제2실가이드장치를 진출시키기 때문에, 접촉구간에 있어서의 접촉각도는 60°이상으로 커지게 된다. 더욱이 정위치로 된 후에, 제2실가이드장치의 진출, 제1실가이드장치의 작동, 제2실가이드장치에 의한 실넘김이 실행되기 때문에, 실넘김까지의 시간이 길어져서, 실의 교환에 필요한 전체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오랫동안 공보빈에 주행사가 접촉하게 되어, 실넘김 실패의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구간에 이르기까지의 비접촉구간의 제1위치까지 미리 실을 당겨두기 때문에 실당김 시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고, 실넘김 성공률을 높일 수가 있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의 사도규제 가이드(21)에 의한 공보빈과의 접촉각도의 제한과, 제1실가이드장치의 실당김위치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나누어 양쪽을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각각을 따로 실시한 경우에도, 특히 슬라이드실가이드 겸용 사도규제가이드(21) 에 의한 공보빈과의 접촉각도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도 실넘김 성공률을 높이는데 유효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공보빈(EB)의 보빈홀더가 요동아암(23)에 접근한 때에, 상세하게는 서로의 접촉부위가 근접한 때에, 보빈홀더에 요동아암(23)(또는 요동아암의 슈우(29),(30))을 접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접할 때의 충격(충돌음)을 적게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동작시에 공보빈을 향하여 진출되는 부재가 제2실가이드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였으나, 상기 진출부재는 실가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실 전환동작 시 공보빈과 만보빈 사이에 진출하는 구획부재라도 좋다. 또한, 진출부재는 공보빈과 만보빈 사이에 진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공보빈의 위쪽으로 진출하여도 좋다. 즉, 전환동작시에 공보빈 가까이에 진출하는 것이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동작시에 공보빈을 향하여 진출하는 부재(제2실가이드 장치(20))를 공보빈의 보빈홀더로 안내하면서 진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보빈에 대한 진출부재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고, 복잡한 제어를 하지 않더라도, 공보빈과 진출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실전환가이드가 터치롤러의 상류측 주행사에 작용하였으나, 터치롤러와 공보빈 사이의 주행사에 제1 실전환가이드를 작용시켜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보빈홀더의 회전, 즉 전환동작 시의 공보빈과 주행사의 접촉각도를 사도규제가이드가 작게 제한하기 때문에 주행사가 공보빈과 마찰하는 정도가 적게 되어 실의 손상이 감소하고, 또한 실넘김 성공율이 향상된다. 특히 신장도가 적고, 가는 실과 같이 취급 시 끊어지기 쉬운 실의 경우에는 실넘김의 성공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실 넘김 전에 실을 공보빈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도규제가이드의 설치위치나 진출타이밍, 만보빈과 공보빈의 전환동작 타이밍 등에 있어서 여러가지 제약을 받게 된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따라서 장치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상기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 또는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실 전환 동작 중에 주행사를 만보빈의 실층 끝부분까지 당겨둘 수 있기 때문에, 보빈홀더의 위치전환으로부터 실넘김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행사가 공보빈에 마찰되는 시간이 적어져서 만보빈에 권취되는 실의 품질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넘김 성공율이 향상된다. 특히 신장도가 적고, 가는 실과 같이 마찰에 의해 끊어지기 쉬운 실의 경우에는 실넘김 성공율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공보빈 끝부분의 실포착수단까지 한꺼번에 주행사를 당기기 때문에 공보빈과 만보빈 사이에 만보빈의 실층으로부터 주행사가 분리되지 않게 하는 실가이드를 진출시켜 두지 않으면 실 당김을 할 수 없었고, 또한 전환 동작 중의 보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실가이드의 진출타이밍이 제약을 받았으며, 실넘김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실가이드의 진출과 관계없이 실당김을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 2개의 보빈홀더(15, 16)와, 이들 2개의 보빈홀더를 돌출설치하여 지지하는 터릿판(2)을 갖추고, 상기 2개의 보빈홀더(15, 16)를 상기 터릿판(2)의 회전에 의해 권취위치(a)와 대기위치(b)로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갖고, 상기 전환동작에 따라 만보빈(FB)에 도달한 주행사(Y)를 공보빈(EB)으로 넘기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환 동작 시에 상기 주행사(Y)가 상기 공보빈(EB)에 접하는 접촉각도를 제어하는 사도규제가이드(21)를 상기 공보빈(EB)과 상기 만보빈(FB) 사이에 진퇴가능한 부재로 설치하고, 상기 사도규제가이드(21)의 진퇴에 의해 상기 전환 동작 시에 상기 주행사(Y)가 상기 공보빈(EB)에 접하는 접촉각도를 주행사(Y)가 상기 공보빈(EB)에 접하고 나서 실을 넘길 때까지는 실 넘김 시보다 작게 하고, 실 넘김 시에는 상기 터릿판(2)의 회전에 따른 보빈 홀더의 이동에 의해 접촉각도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 2개의 보빈홀더(15, 16)를 권취위치와 대기위치로 전환하는 전환동작을 갖고, 상기 전환동작에 따라 만보빈(FB)에 이른 주행사(Y)를 공보빈(EB)의 단부에 설치된 실포착수단(17)으로 포착함으로써 상기 주행사(Y)를 공보빈(EB)으로 넘기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보빈(FB)에 이른 주행사(Y)를 상기 공보빈(EB) 단부의 실포착수단(17)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제 1실전환가이드(59)와, 권취위치(a)의 공보빈(EB)과 대기위치(b)의 만보빈(FB) 사이에 진퇴가능하며 상기 제 1실전환가이드(59)에 의해 이동된 주행사(Y)를 만보빈(FB)의 사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위치로 제한하기 위한 제 2실전환가이드(42)를 설치하고, 상기 만보빈에 도달한 주행사를 상기 제 1실전환가이드(59)에 의해 상기 공보빈 단부의 실포착수단(17)을 향해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실전환가이드(42)를 진출시키기 전에 상기 주행사를 만보빈의 실층 단부이며 상기 제 2실전환가이드(42)보다 보빈 중앙에 가까운 쪽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 상기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만보빈(FB)에 이른 주행사(Y)를 만보빈(FB)의 실층 단부이며 상기 제 2실전환가이드(42)보다 보빈 중앙에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공보빈(EB)과 상기 주행사(Y)가 접촉하지 않을 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1997-00112276 | 1997-04-30 | ||
JPJP-P-1997-00112277 | 1997-04-30 | ||
JP11227697A JP3147816B2 (ja) | 1997-04-30 | 1997-04-30 | 紡糸巻取機及び紡糸巻取機の糸切り替え方法 |
JP09112277A JP3132416B2 (ja) | 1997-04-30 | 1997-04-30 | 紡糸巻取機及び紡糸巻取機の糸切り替え方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5513A Division KR100396190B1 (ko) | 1997-04-30 | 1998-04-30 | 방사권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24985B1 true KR100424985B1 (ko) | 2004-03-27 |
Family
ID=264514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5513A KR100396190B1 (ko) | 1997-04-30 | 1998-04-30 | 방사권취기 |
KR1020030005869A KR100424985B1 (ko) | 1997-04-30 | 2003-01-29 |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5513A KR100396190B1 (ko) | 1997-04-30 | 1998-04-30 | 방사권취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0875480B1 (ko) |
KR (2) | KR100396190B1 (ko) |
CN (1) | CN1160240C (ko) |
DE (1) | DE69824787T2 (ko) |
TW (1) | TW42536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52930A (ja) | 2008-08-29 | 2010-03-11 | Tmt Machinery Inc | 糸巻取機 |
EP2731900B1 (en) * | 2011-07-15 | 2017-02-01 | Maschinenfabrik Rieter AG | Roving winder and method of winding rovings on to bobbi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14675A (en) * | 1978-02-28 | 1979-09-06 | Toray Ind Inc | Turret type thread stripe winder |
US4969607A (en) * | 1988-11-04 | 1990-11-13 | Rieter Machine Works Ltd. | Apparatus for introducing a yarn into the catch slot of an empty bobbin tube |
EP0521816B1 (de) * | 1991-07-04 | 1996-03-13 | Maschinenfabrik Rieter Ag | Verfahren zur Übergabe des Fadens von einer vollen Spule an eine leere Hülse und eine Spulmaschine |
-
1998
- 1998-02-10 TW TW087101786A patent/TW42536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4-27 CN CNB981017398A patent/CN116024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4-28 DE DE69824787T patent/DE69824787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4-28 EP EP98107729A patent/EP087548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4-30 KR KR10-1998-0015513A patent/KR1003961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
- 2003-01-29 KR KR1020030005869A patent/KR1004249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824787T2 (de) | 2005-08-25 |
EP0875480B1 (en) | 2004-06-30 |
CN1160240C (zh) | 2004-08-04 |
DE69824787D1 (de) | 2004-08-05 |
TW425369B (en) | 2001-03-11 |
EP0875480A1 (en) | 1998-11-04 |
KR100396190B1 (ko) | 2004-06-30 |
CN1197760A (zh) | 1998-11-04 |
KR19980081862A (ko) | 1998-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359169B2 (ko) | ||
US4451007A (en) | Yarn winding apparatus | |
EP0927694A2 (en) | Yarn winding method and take-up winder for yarn | |
EP0847952B1 (en) | Take-up winder for an elastic yarn | |
EP0927695B1 (en) | Elastic yarn take-up winder and package | |
JP2001072340A (ja) | あや巻きボビンを製作する紡織機械のための糸結装置 | |
KR100424985B1 (ko) | 방사권취기의 실전환방법 | |
EP1065163B1 (en) | Bunch winding method | |
US531823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thread from a full package to an empty tube | |
JP2000327228A (ja) | 巻取機の糸掛装置 | |
CN113939619B (zh) | 用于环锭纺纱机的服务机器人、环锭纺纱机和服务机器人的操作方法 | |
JP3147816B2 (ja) | 紡糸巻取機及び紡糸巻取機の糸切り替え方法 | |
CZ281430B6 (cs) | Způsob a zařízení k navíjení nitě na kuželovou cívku u dopřádacích strojů s otevřeným koncem | |
EP1561717B1 (en) | Spinning machine comprising a device for winding a thread reserve on an empty bobbin | |
JPH03199436A (ja) | 自動糸通し装置及び自動糸継装置 | |
US5363637A (en) | Method of threading in a false twisting machine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 |
JP2877078B2 (ja) | 巻取装置 | |
EP0943573B1 (en) | Filament yarn take-up winder | |
JP3132416B2 (ja) | 紡糸巻取機及び紡糸巻取機の糸切り替え方法 | |
JPH0881134A (ja) | 糸移行システム | |
JP3209165B2 (ja) | 紡糸巻取機における糸掛け装置 | |
JP3965832B2 (ja) | 紡糸巻取機、及びその糸切換え方法 | |
JP2893479B2 (ja) | バンチ巻き形成装置 | |
JPH11106135A (ja) | 紡糸巻取機 | |
JP2563121Y2 (ja) | 紡糸巻取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