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34B1 - 챔퍼링기 및 커터 - Google Patents

챔퍼링기 및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834B1
KR100429834B1 KR10-2001-0014328A KR20010014328A KR100429834B1 KR 100429834 B1 KR100429834 B1 KR 100429834B1 KR 20010014328 A KR20010014328 A KR 20010014328A KR 100429834 B1 KR100429834 B1 KR 10042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fering
chamfering machine
cutter
switch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394A (ko
Inventor
시부야구니아키
Original Assignee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20Portable devices or machines; Hand-driven devic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40Using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부재를 안정되게 홀딩하면서 챔퍼링을 실시하고, 챔퍼링기가 가공종단까지 챔퍼링가공을 실시하면 자동적으로 챔퍼링기의 이동이 정지되어 챔퍼링기가 피가공부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챔퍼링기에 관한 것으로서,
챔퍼링기에 설치한 눌러내림수단(29)에 의하여 피가공부재의 표면을 눌러내리고, 챔퍼링기에 설치한 받침롤러(16)에 의하여 상기 피가공부재의 이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부재의 단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모터(4)에 의하여 구동되는 커터에 의해 챔퍼링을 실시할 수 있는 챔퍼링기이며, 상기 받침롤러(16)에 인접하여 피가공부재이면을 홀딩하는 보조롤러(25)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커터를 상기 받침롤러(16)와 보조롤러(25)의 사이에 배치하며, 양 롤러의 사이에서 커터(10)가 피가공부재(W)에 맞닿아서 피가공부재의 단면에 대하여 가공종단까지 챔퍼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챔퍼링기 및 커터{CHAMFERING MACHINE AND CUTTER}
본 발명은 강판 등의 피가공부재의 단면의 챔퍼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부재를 안정되게 홀딩하면서 챔퍼링을 실시하고, 챔퍼링기가 가공종단까지 챔퍼링가공을 실시하면 자동적으로 챔퍼링기(또는 피가공부재)의 이동이 정지되어 챔퍼링기가 피가공부재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챔퍼링기에 관한 것이다. 또 피가공부재단면의 챔퍼링량의 조절을 피가공부재의 판두께에 맞추어서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챔퍼링기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피가공부재의 챔퍼링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경량소형이고 휴대에 적합한 챔퍼링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 챔퍼링기에 사용하는 데 가장 적합한 커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다리부재 등을 구성하는 강판의 단부에 장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강판단면의 챔퍼링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챔퍼링기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95-195219호에 기재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이동식 챔퍼링기는 주로 교량의 다리부재를 구성하는 두께강판의 챔퍼링을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이며, 이 챔퍼링기는 챔퍼링기본체를 구성하는 표판과 이판에 각각 사행롤러를 서로 상하시키고, 또한 그 일부가 각 판의 사이의 강판삽입공간에 들어가도록 하여 부착하며, 한쪽의 사행롤러를 구동롤러로 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사행롤러를 쌍으로 되어 있는 사행롤러의 측으로 탄성지지한 가동롤러로서 구성하고, 챔퍼링기본체의 강판삽입공간에 강판의 단부를 삽입하여 사행롤러를 구동회전시키고, 챔퍼링기본체를 이동시키며, 본체에 부착한 커터의 칼끝에 의해 강판단면에 대하여 챔퍼링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식 챔퍼링기는 상하의 사행롤러에 의하여 강판에 장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챔퍼링기를 강판의 단부에 빠듯이 장착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챔퍼링을 하는 단부에 필연적으로 상당한 길이의 미가공부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결과 가공시단 및 가공종단의 챔퍼링은 별도행정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부재(W)를 받침롤러(101)로 지지하고, 커터(102)에 의하여 피가공부재(W)에 대해서 개선폭(챔퍼링량)이 L인 챔퍼링을 실시하는 형식의 것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형식의 것은 통상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102)와 받침롤러(101)의 위치관계가 커터(102)의 실제의 가공위치의 대략 중앙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가공부재(W)의 가공종단에 있어서는 피가공부재(W)를 받침롤러(101)로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챔퍼링가공을 최후까지 실시할 수 없다. 즉 도 11에 있어서 피가공부재(W)가 도면 중 오른쪽으로부터 이동하면서 커터(102)에 의한 챔퍼링작업 중에 피가공부재(W)의 종단이 받침롤러(101)를 통과하면 받침롤러(101)에 의한 지점이 롤러의 원호를 따라서 서서히 내려가기 때문에 피가공부재(W)도 서서히 내려가고, 커터(102)로부터 빠져나가 버려서 챔퍼링가공을 최종까지 실시할 수 없다. 이 것에서 피가공부재(W)의 전송은 받침롤러(101)에 의한 지지가 있는 상태에서 정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공을 정지하면 피가공부재(W)종단에는 미가공부분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챔퍼링기에서는 통상 비교적 저회전의 인덕션모터와, 수단의 감속기어(하이포이드기어·헬리컬기어)의 조합에 의해 커터에 저회전대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인덕션모터나 감속기어는 중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형의 챔퍼링기로 하는 데는 합계중량이 지나치게 커져서 휴대 가능한 중량범위를 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챔퍼링기본체에 받침롤러 및 보조롤러를 배치하고, 피가공부재가 받침롤러를 통과해도 보조롤러에 의하여 피가공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피가공부재의 종단부에 있어서도 챔퍼링가공이 가능한 휴대 가능한 챔퍼링기를 제공한다.
또 챔퍼링기가 피가공부재의 최종단부를 모두 가공하기 전에 챔퍼링작업이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하여 피가공부재로부터 챔퍼링기가 탈락하지 않도록 한 챔퍼링기를 제공한다.
또 챔퍼링량을 판두께에 맞추어서 눈금에 의하여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챔퍼링기를 제공한다.
또 챔퍼링작업상황에 따라서 챔퍼링기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챔퍼링기를 제공한다.
또 직교정류자모터, 평톱니바퀴 및 시판하는 하모닉드라이브기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소형경량이며, 또한 구성이 간단한, 휴대에 적합한 챔퍼링기를 제공한다.
또한 커터의 칼끝가공을 커터의 축에 평행하게 실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한번에 복수개의 커터의 가공이 가능한 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챔퍼링기 및 커터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종래장치가 갖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이 채용한 기술해결수단은,
챔퍼링기에 설치한 눌러내림수단에 의하여 피가공부재의 표면을 눌러내리고, 챔퍼링기에 설치한 받침롤러에 의하여 상기 피가공부재의 이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부재의 단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커터에 의해 챔퍼링을 실시할 수 있는 챔퍼링기이며, 상기 받침롤러에 인접하여 피가공부재이면을 홀딩하는 보조롤러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커터를 상기 받침롤러와 보조롤러의 사이에 배치하며, 양 롤러의 사이에서 커터가 피가공부재에 맞닿아서 피가공부재의 단면에 대하여 가공종단까지 챔퍼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고,
상기 모터는 정류자모터이며, 또한 동 모터출력축과 커터의 사이에는 평톱니바퀴와 하모닉드라이브기구로 이루어지는 감속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 챔퍼링기에는 피가공부재의 판두께에 대하여 챔퍼링량을 설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며,
상기 챔퍼링량을 설정하기 위한 눈금을 가이드부와 조정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고,
상기 챔퍼링기는 챔퍼링기를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상태, 챔퍼링기의 전원을 OFF로 하는 상태, 챔퍼링기를 고정식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3가지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와, 피가공부재가 챔퍼링기의 리미트스위치로부터 떨어지면 OFF가 되는 이동용 리미트스위치와, 챔퍼링기를 고정으로 한 상태인 때에 ON으로 되는 고정용 리미트스위치와, 작업자가 밀어넣음상태로 조작하고 있을 때에만 ON으로 되고 개방하면 OFF로 되는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와,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들 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를 이동용으로 전환하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릴레이스위치가 ON으로 되고, 챔퍼링기가 이동하여 피가공부재의 종단부에 오면 이동용 리미트스위치가 OFF로 되며, 또 고정상태로 하여 피가공부재의 챔퍼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챔퍼링기에 피가공부재를 세트하고, 전환스위치를 고정식으로 전환하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릴레이스위치가 ON으로 되고, 가공 중 챔퍼링기를 들어올리면 고정용 스위치가 OFF로 되기 위해 회로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고,
상기 이동용 리미트스위치는 챔퍼링기의 커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피가공부재가 받침롤러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여 전원을 OFF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며,
상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는 핸들그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이고,
챔퍼링기에 사용하는 커터이며, 상기 커터는 표면이 원추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에 커터의 축심과 평행한 홈을 형성함으로써 칼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커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퍼링기(정면에서 보아 재료를 왼쪽으로 보내는 형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일부단면으로 한 챔퍼링기측면도.
도 3(a)는 도 1 중의 A-A단면도.
도 3(b)는 위치조정수단으로서의 나사부재의 정면도.
도 4는 커터와 받침롤러 및 보조롤러의 위치관계설명도.
도 5는 피가공부재의 재료두께와 개선(開先)폭(챔퍼링량)의 눈금도.
도 6은 커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챔퍼링기의 전기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챔퍼링기(정면에서 보아 재료를 오른쪽으로 보내는 형태)의 정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일부단면으로 한 챔퍼링기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챔퍼링기의 주요부측면도.
도 11은 종래의 챔퍼링기의 주요부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 챔퍼링기본체
3: 고정수단 4: 정류자모터
5: 출력축 6: 전동축
7: 평톱니바퀴 8: 제 1 구동축
8a: 니들베어링 9: 제 2 구동축
10: 커터 11: 웨이브제네레이터
11a: 플렉스스플라인 11b: 서큘러스플라인
12: 하모닉플랜지 13a, 13b: 나사
14: 베어링 15: 가이드부
15a: 앞다리(前脚) 16: 받침롤러
17: 조정부재 18: 위치조정나사
19: 걸어맞춤부 20: 지지부재
21: 받침롤러고정볼트 23: 보조롤러지지부재
24: 너트 25: 보조롤러
26: 눈금 27: 재료두께눈금
28: 개선폭의 눈금 29: 눌러내림수단
29a: 핸들 30: 롤러
31: 전환스위치 32: 이동용 리미트스위치
33: 고정용 리미트스위치 34: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
35: 릴레이스위치 36: 제어회로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형태를 설명하면, 도 1은 본 챔퍼링기의 정면도, 도 2는 일부단면으로 한 챔퍼링기측면도, 도 3(a)는 도 1 중의 A-A단면도, (b)는 위치조정수단으로서의 조정나사의 정면도, 도 4는 커터와 받침롤러 및 보조롤러의 위치관계설명도, 도 5는 피가공부재의 재료두께와 개선폭(챔퍼링량)의 눈금도, 도 6은 커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챔퍼링기의 회로도이다.
도 1, 2에 있어서, “1”은 챔퍼링기의 프레임이며, 이 프레임(1)은 둥근 파이프를 접어 구부려서 양단에 작업자가 챔퍼링기를 지지하기 위한 핸들그립(1a)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에는 챔퍼링기본체(2)가 적절히 고정수단(3)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챔퍼링기본체(2)에는 정류자모터(4)가 부착되어 있다. 정류자모터(4)는 소형경량이면서 종래의 챔퍼링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덕션모터와 비교하여 회전수가 높기 때문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베벨기어로 직교하여 출력시킨 정류자모터는 정격출력시 7000∼8000RPM의 회전수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챔퍼링기의 커터의 회전수는 수회전/min인 것에서 상기와 같은 정류자모터(4)를 사용한 경우 1/1000∼2000 정도의 감속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챔퍼링기에서는 이하와 같은 감속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즉 정류자모터(4)의 출력축(5)에는 톱니바퀴를 통하여 전동축(6)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축(6)은 제 1 구동축(8)에 설치한 평톱니바퀴(7)에 맞물려 있다. 제 1 구동축(8)은 타원형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웨이브제네레이터(11)와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한 플렉스스플라인(11a)을 통하여 내톱니를 갖는 서큘러스플라인(11b)에 결합되어 있다. 서큘러스플라인(11b)은 하모닉플랜지(12)를 통하여 나사(13a, 13b)에 의해서 제 2 구동축(9)에 결합하고 있으며, 웨이브제네레이터(11), 플렉스스플라인(11a), 서큘러스플라인(11b)에 의하여 하모닉드라이브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하모닉드라이브기구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93-172195호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은 공지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기구 및 작동의 상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구동축(9)은 베어링(14)을 통하여 챔퍼링기본체(2)의 출력플랜지(2a)에 축지지되어 있고, 또 상기 제 1 구동축(8)은 제 2 구동축(9)내에 니들베어링(8a)을 통하여 동축상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 2 구동축(9)의 선단에는 커터(10)가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본 챔퍼링기에서는 평톱니바퀴(7)의 사용에 의해 우선 정류자모터(4)의 회전수를 약 1/10 정도로 감속하고, 또한 소형이고 대감속비·대토크를 발생할 수 있는 하모닉드라이브기구를 사용하여 최대감속비로 1/1000∼3000 정도로까지 감속한다. 이렇게 하여 소형경량의 챔퍼링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챔퍼링기에서는 전동축(6), 제 1 구동축(8) 및 제 2 구동축(9)은 도 2 중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피가공부재(W)의 전송방향은 도 1에 있어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챔퍼링기본체(2)의 출력플랜지(2a)에는 챔퍼링기의 고정상태에 있어서 아랫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5)의 하단에는 앞다리(1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챔퍼링기는 상기 프레임(1)의 하단과 상기 앞다리(15a)에 의하여 고정상태로 안정되게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5)에는 조정부재(17)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조정부재(17)에 형성된 돌출축(17a)에는 피가공부재(W)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롤러(16)가 축받침(22)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돌출축(17a)에는 받침롤러고정볼트(21)가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볼트(21)의 단부에는 피가공부재(W)의 하면을 지지하는 보조롤러지지부재(23)(도 1 참조)가 너트(2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보조롤러지지부재(23)에 의하여 상기 받침롤러(16)의 빠짐방지로 되어 있다. 또 고정볼트(21)의 머리부(21a)는 가이드부(15)에 형성된 긴 구멍(15b)에 끼워맞추어지고, 긴 구멍(15b)내를 슬라이딩한다. 상기 보조롤러지지부재(23)의 단부에는 보조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이 보조롤러(25)와 상기 받침롤러(16)외주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보조롤러지지부재(23)가 상기 돌출축(17a)의 선단에 형성된 사각부(17b)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커터(10)와 받침롤러(16) 및 보조롤러(25)의 정면으로부터의 위치관계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롤러(16)와 보조롤러(25)의 사이에 커터(10)가 배치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롤러(16) 및 보조롤러(25)에 의하여 하면이 지지되어 있는 피가공부재(W)는 양자의 사이에서 커터(10)에 의하여 개선폭(L)의 챔퍼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배치로 하는 것으로 도 4에 있어서, 도면 중 오른쪽으로부터 보내어져 온 피가공부재(W)는 피가공부재(W)의 가공종단이 받침롤러(16)를 이동하여 커터(10)로 챔퍼링이 이루어진 후에도 보조롤러(25)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피가공부재의 종단까지 확실하게 챔퍼링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정부재(17)의 하면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에 걸어맞춤부(19)를 갖는 위치조정나사(18)가 회전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위치조정나사(18)는 가이드부(15)로부터 돌출한 지지부재(20)에 관통나사맞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위치조정나사(18)를 회전하는 것으로 조정부재(17)는 도 3 중에 나타내는 가이드부(15)를 따라서 상하할 수 있으며, 피가공부재의 판두께 및 챔퍼링량에 맞추어서 지지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도 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퍼링기의 가이드부(15)와 조정부재(17)의 양측면에는 챔퍼링량을 간단히 설정할 수 있는 눈금(26)이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에 있어서, 가이드부에는 피가공부재(W)의 재료두께를 지정하는 눈금(27)이, 또 이에 대향하여 조정부재(17)측에는 챔퍼링량(개선폭)을 설정하는 눈금(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눈금(26)의 조정은 받침롤러(16), 고정볼트(21)를 약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피가공부재(W)를 받침롤러(16)의 위에 얹고, 피가공부재(W)측면을 조정부재(17)에 부딪치게 하여 피가공부재(W)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위치조정나사(18)를 돌려서 받침롤러를 서서히 윗쪽으로 슬라이드시킨다. 피가공부재(W)가 커터(10)에 맞닿은 위치에서 고정눈금(27)의 나사(27a)를 느슨하게 하고, 가동눈금(28)의 「0」점과 고정눈금(27)의 눈금을 실제의 피가공부재(W)두께의 눈금에 맞추는 것으로 피가공부재(W)의 재료두께를 설정한다. 그 후 가공하고 싶은 개선폭의 눈금보다 적게 고정눈금(27)을 가공하는 피가공부재(W)두께의 눈금에 맞추고, 상기 받침롤러(16), 볼트(21)를 조이며, 다음에 위치조정나사(18)를 돌려서 개선폭의 가공하고 싶은 가동눈금(28)과 고정눈금(27)의 가공할 피가공부재(W)의 판두께의 눈금에 맞추는 것으로 그것에 맞춘 챔퍼링량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개선폭은 루트면치수(개선가공의 남김면)로밖에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재료두께를 고려하여 개선가공폭을 계산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본 챔퍼링기에서는 가이드부에 설치한 고정눈금(27)을 재료두께로 하고(고정눈금: 1눈금=1mm) 가동눈금(28)을 개선폭으로 하여(가동눈금: 1눈금=cosθmm) 각각을 합치면 희망하는 개선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개선각도를 바꾸는 경우는 그 각도에 맞는 가동눈금(28)과 교환한다. 이렇게 하여 개선폭을 직독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판두께가 6mm, 개선폭이 5mm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눈금에 의해 개선폭을 직독할 수 있기 때문에 환산의 수고의 생략 및 환산에 의한 작업실수를 해소할 수 있다.
또 챔퍼링기본체(2)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부재(W)를 아랫쪽으로 눌러내리는 눌러내림수단(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눌러내림수단(29)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피가공부재(W)의 표면에 맞닿는 롤러(30)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으며, 핸들(29a)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롤러(30)가 나사기구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이동하여 피가공부재(W)의 표면을 눌러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피가공부재(W)는 상기한 받침롤러(16), 보조롤러(25)에 의하여, 또 상기 롤러(30)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눌러내려진 상태로 지지되고, 커터(10)에 의해피가공부재(W)의 단면이 소정의 개선폭으로 챔퍼링된다.
상기 챔퍼링기에 있어서 정류자모터(4)의 회전은 출력축(5), 전동축(6), 평톱니바퀴(7), 제 1 구동축(8)에 전달되고, 또한 제 1 구동축(8)의 회전력은 상기 하모닉드라이브기구를 통하여 감속되어 제 2 구동축(9)에 전달되며, 제 2 구동축(9)의 회전에 의해 커터(10)가 회전하여 피가공부재(W)의 챔퍼링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커터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커터(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위가 원추상을 하고 있으며, 그 주위의 대직경측에는 칼끝(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칼끝(10a)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10)의 축과 평행한 홈(10b)을 커터(10)주위에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터(10)로 하는 것으로 커터(10)를 가공하는 경우 도 6 중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장의 커터(10)의 칼끝(10a)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챔퍼링기에는 전환스위치(31)(도 2 참조), 피가공부재(W)의 존재를 검지하는 이동용 리미트스위치(32)(도 1 참조), 챔퍼링기를 마루위에 놓은 상태(챔퍼링기를 고정한 상태)를 검지하는 고정용 리미트스위치(33)(도 1 참조), 챔퍼링기의 핸들그립(1a)상에 배치된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34)(도 2 참조), 또한 회로 속에 배치되어 릴레이(Ra)에 의하여 자기홀딩상태가 되는 릴레이스위치(35)(도 7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상기 전환스위치(31)는 챔퍼링기를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상태인 때 ON으로 되는 접점(31a), 챔퍼링기의 전원을 OFF로 하는 접점(31c), 챔퍼링기를 고정식으로 사용하는 상태인 때 ON으로 되는 접점(31b)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이동용 리미트스위치(3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공부재(W)가 챔퍼링기의 이동용 리미트스위치(32)와 맞닿아 있을 때에 ON으로 되는 기능을 갖는 스위치로서 구성되고, 고정용 리미트스위치(33)는 챔퍼링기를 마루위에 놓은 상태인 때에 ON으로 되는 기능을 갖는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34)는 작업자가 밀어넣음상태로 조작하고 있을 때에만 ON으로 되고, 개방하면 OFF로 되는 스위치로서 구성되며, 릴레이스위치(35)는 릴레이(Ra)에 의하여 자기홀딩상태로 되는 릴레이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36”은 제어회로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챔퍼링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동식으로 챔퍼링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챔퍼링기를 피가공부재(W)에 세트하고, 전환스위치(31)를 이동식 상태가 되기 위한 접점(31a)으로 전환하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릴레이스위치(35)가 ON으로 된다. 이 결과 제어회로(36)를 통하여 정류자모터(4)가 작동하고, 평톱니바퀴(7), 하모닉드라이브기구로 이루어지는 감속기구를 통하여 커터(10)가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여 챔퍼링작업을 개시한다. 이 때 상기 챔퍼링기에서는 도 1에 있어서 피가공부재(W)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보내어져서 커터(10)는 도 1 중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전동축(6), 제 1 구동축(8) 및 제 2 구동축(9)은 도 2 중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챔퍼링기는 피가공부재(W)상을 커터(10)의 작용으로 이동하면서 챔퍼링을 실시한다. 피가공부재(W)의 종단부에 오면 이동용 리미트스위치(32)가 OFF로 되고, 이에 따라서 릴레이스위치(35)가 OFF로 되어 자동적으로 챔퍼링기의 이동 및 가공이 정지된다. 그 후 작업자가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34)를 닐어서 종단부의 챔퍼링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고정식으로 챔퍼링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고정식으로 하여 피가공부재(W)의 챔퍼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챔퍼링기에 피가공부재(W)를 세트하고, 전환스위치(31)를 고정식(31b)으로 전환하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34)를 ON으로 하면 릴레이(Ra)가 작동하여 릴레이스위치(35)가 ON으로 된다. 그러면 상기와 똑같은 작용에 의해 커터(10)가 회전하고, 이번에는 피가공부재(W)가 챔퍼링기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챔퍼링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피가공부재(W)의 종단부가 되면 이동용 리미트스위치(32)가 OFF로 되어 고정용 리미트스위치(33)가 ON이기 때문에 챔퍼링기가 정지하는 일 없이 최후까지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가공 중 잘못하여 챔퍼링기를 들어올리면 고정용 스위치(33)가 OFF로 되어 챔퍼링가공이 정지된다. 또 전환스위치(31)를 조작하여 고정식(31b)으로 전환하고 이동식에 의한 챔퍼링작업을 실시하고자 한 경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34)를 ON으로 하고 있을 때는 챔퍼링기가 기동하는데, 밀어넣음버튼스위치(34)를 OFF로 하면 고정용 리미트스위치(33)가 OFF이기 때문에 릴레이(Ra)가 작동하지 않고 자기홀딩상태로 되지 않기 때문에 챔퍼링기는 정지한다. 즉 오조작에 의한 이동식 챔퍼링작업의 방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입력의 회전방향과 출력의 회전방향을 동일방향으로 출력하면서 대감속비를 얻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 하모닉드라이브의 웨이브제네레이터(11)로부터 입력하고, 고정한 플렉스스플라인(11a)을 통하여 서큘러스플라인(11b), 하모닉플랜지(12)로부터 출력하는 톱니바퀴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챔퍼링기의 정면에서 보아 피가공부재를 왼쪽방향으로부터 오른쪽방향으로 보내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용 리미트스위치(32), 받침롤러(16), 보조롤러(25)의 배치를 도 1에 나타내는 경우와 반대로 하고,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브제네레이터(11)로부터 입력하고 서큘러스플라인(11b)을 고정으로 하여 플렉스스플라인(11a)으로부터의 출력을 실시함으로써 입력의 회전방향과 출력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출력하면서 대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조합으로 감속기를 구성함으로써 가장 콤팩트하고, 또한 단순구조부품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상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롤러를 설치함으로써 특히 개선폭이 작은 경우에 있어서, 피가공부재를모두 자를 때에 받침롤러가 듣지 않아도 보조롤러가 피가공부재를 받아서 재료의 최종단까지 개선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 개선폭이 큰 케이스로부터 작은 케이스까지 폭넓게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커터전방부에 이동용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가공종단 직전에서 한 번 정지시키고, 그 후 작업자가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넣기까지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 또 피가공부재로부터 챔퍼링기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형의 피가공부재를 가공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고정용 스위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넣으면 동일스위치가 OFF하기까지 계속 작동하게 되어 작업성이 좋다. 또 작업 중에 잘못하여 챔퍼링기를 들어올리거나 하면 자동적으로 운전정지상태로 되어 안전성이 높다.
직교정류자모터, 평톱니바퀴 및 시판하는 하모닉드라이브기구를 사용하여 전동기구를 구성했기 때문에 종래의 약 1/3의 중량으로 되어 대폭적인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싼 값이고, 또한 구성이 간단한 소형의 챔퍼링기를 구성할 수 있다.
고정식·이동식의 작동상태를 구별하여 각각에 적합한 작동을 실시할 수 있다.
챔퍼링기의 핸들그립상에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설치했기 때문에 피가공부재에 챔퍼링기를 세트할 때, 또 작업자가 작동하고 싶은 때에 작업자가 챔퍼링기를 지지하면서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넣을 수 있어서 작업성이 좋다. 또 가공종단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챔퍼링기를 지지하면서 종단부가공을 실시할 수있어서 낙하방지가 된다.
커터의 칼끝가공을 커터의 축에 평행하게 실시하도록 칼끝형상을 바꾸었기 때문에 커터블랭크재를 겹쳐서 리드전송을 걸면서 몇 장인가의 커터를 종합하여 칼끝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한 번에 복수개의 커터를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효율상승에 의한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
챔퍼링기의 가이드부에는 피가공부재의 재료두께를 지정하는 눈금을, 또 조정부재측에는 챔퍼링량(개선폭)을 설정하는 눈금을 설치한 것에 의해 챔퍼링폭을 직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챔퍼링폭의 환산의 수고의 생략 및 환산에 의한 작업미스를 해소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Claims (8)

  1. 챔퍼링기에 설치한 눌러내림수단에 의하여 피가공부재의 표면을 눌러내리고, 챔퍼링기에 설치한 받침롤러에 의하여 상기 피가공부재의 이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피가공부재의 단면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커터에 의해 챔퍼링을 실시할 수 있는 챔퍼링기이며, 챔퍼링기본체의 출력플랜지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조정부재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조정부재는 받침롤러와 피가공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보조롤러지지부재를 삽입하는 돌출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축내를 관통시켜서 고정볼트를 설치하여 받침롤러와 보조롤러지지부재를 빠짐방지고정하고, 상기 보조롤러지지부재의 단부에는 보조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커터를 상기 받침롤러와 보조롤러의 사이에 배치하며, 양 롤러의 사이에서 커터가 피가공부재에 맞닿아서 피가공부재의 단면에 대하여 가공종단까지 챔퍼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류자모터이며, 또한 동 모터출력축과 커터의 사이에는 평톱니바퀴와 하모닉드라이브기구로 이루어지는 감속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링기에는 피가공부재의 판두께에 대하여 챔퍼링량을 설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링량을 설정하기 위한 눈금을 가이드부와 조정부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링기는 챔퍼링기를 이동식으로 사용하는 상태, 챔퍼링기의 전원을 OFF로 하는 상태, 챔퍼링기를 고정식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3가지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와, 피가공부재가 챔퍼링기의 리미트스위치로부터 떨어지면 OFF가 되는 이동용 리미트스위치와, 챔퍼링기를 고정한 상태인 때에 ON으로 되는 고정용 리미트스위치와, 작업자가 밀어넣음상태로 조작하고 있을 때에만 ON으로 되고 개방하면 OFF로 되는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와,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고, 이들 스위치는 상기 전환스위치를 이동식으로 전환하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릴레이스위치가 ON으로 되고, 챔퍼링기가 이동하여 피가공부재의 종단부에 오면 이동용 리미트스위치가 OFF가 되며, 또 고정식으로 하여 피가공부재의 챔퍼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챔퍼링기에 피가공부재를 세트하고, 전환스위치를 고정식으로 전환하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릴레이스위치가 ON으로 되고, 가공 중 챔퍼링기를 들어올리면 고정용 스위치가 OFF로 되기 위해 회로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리미트스위치는 챔퍼링기의 커터의 전방에 배치되고, 피가공부재가 받침롤러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여 전원을 OFF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용 밀어넣음버튼스위치는 핸들그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퍼링기.
  8. 삭제
KR10-2001-0014328A 2000-03-21 2001-03-20 챔퍼링기 및 커터 KR100429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78172 2000-03-21
JP2000078172A JP2001259917A (ja) 2000-03-21 2000-03-21 面取り機およびカッ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394A KR20010092394A (ko) 2001-10-24
KR100429834B1 true KR100429834B1 (ko) 2004-05-03

Family

ID=1859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328A KR100429834B1 (ko) 2000-03-21 2001-03-20 챔퍼링기 및 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259917A (ko)
KR (1) KR100429834B1 (ko)
TW (1) TW5261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540B1 (ko) 2011-08-25 2013-04-30 이종일 가공용 면취기의 자동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71B1 (ko) * 2012-03-23 2013-12-12 이종일 용접 개선용 하부 면취 장치
KR101867892B1 (ko) * 2016-11-08 2018-06-18 (주)신일프리노스 자동 면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373Y2 (ko) * 1975-04-19 1979-06-27
JPH08118128A (ja) * 1994-10-25 1996-05-14 Miyagawa Kogyo Kk 端縁加工装置
JPH11207513A (ja) * 1998-01-30 1999-08-03 Nitto Kohki Co Ltd 自走式面取り機
JP3707519B2 (ja) * 1998-03-26 2005-10-19 日東工器株式会社 面取り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540B1 (ko) 2011-08-25 2013-04-30 이종일 가공용 면취기의 자동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6109B (en) 2003-04-01
KR20010092394A (ko) 2001-10-24
JP2001259917A (ja)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0987B (zh) 一种内置单电机伺服动力刀塔
KR100429834B1 (ko) 챔퍼링기 및 커터
US6067884A (en) Part cutting machine
CN209811242U (zh) 一种多功能棒材自动送料装置
CN210389348U (zh) 一种纸圈割圆装置
CN209868710U (zh) 一种全自动双工位切片机
CN102085675B (zh) 一种多功能木工机床
JP2993364B2 (ja) ボール盤の切削屑裁断機構
JP2003225801A (ja) 工具タレット及び2主軸対向旋盤
CN109968544A (zh) 一种箱式双轴输出圆锯机
CN2229866Y (zh) 微型薄板锯
KR950004377Y1 (ko) 밀링 머시인의 절삭 공구 교환 장치
CN213828000U (zh) 一种可对双孔进行开槽连接的开槽机
JPH0750103Y2 (ja) 孔加工装置
CN219212335U (zh) 一种穿孔机用可移动精准定位装置
CN217256925U (zh) 一种楠木床家具加工装置
CN211614450U (zh) 双头铣槽设备
CN103894671A (zh) 斜断锯
JPH0641054B2 (ja) 外面加工装置
JP2011140082A (ja) 棒材切断機
CN207127570U (zh) 一种便捷式镂铣机
CN218050645U (zh) 一种牙科工件凹部切削刀具
CN216097696U (zh) 一种用于锯片机的推料机构
CN220388625U (zh) 一种五轴加工机床立卧转换机构
KR20080110074A (ko) 복합가공기의 테이블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