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364B1 -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 Google Patents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364B1
KR100428364B1 KR10-2001-0033820A KR20010033820A KR100428364B1 KR 100428364 B1 KR100428364 B1 KR 100428364B1 KR 20010033820 A KR20010033820 A KR 20010033820A KR 100428364 B1 KR100428364 B1 KR 10042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plate
mold
eject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654A (ko
Inventor
윤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36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ejection or removal of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relative position of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9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of undercut articles during e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2Hydraulic or pneumatic circuits
    • B29C2045/826Plurality of hydraulic actuators driven by one hydraulic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4Bumpers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금형을 이용하여 범퍼가 성형된 상태에서 범퍼의 이젝팅을 강제적으로 수행하여 보다 확실한 범퍼의 이젝팅을 할 수 있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를 사출 성형하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에 있어서, 고정형판과 한 조를 이루어 상기 범퍼 금형을 이루는 가동형판과; 상기 고정형판과 상기 가동형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도록 직상코어와 한 조를 이루는 경사코어와; 일단이 사출 성형된 범퍼의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타단이 가동 형판에 접하도록 상기 범퍼 금형의 경사코어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방향 움직임이 가변되어 상기 범퍼의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는 이젝팅부와;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밀판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EJECTING DEVICE OF BUMPER MOLD}
본 발명은 범퍼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범퍼 어셈블리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며, 사출 성형된 범퍼에는 대략 10여 개의 부품이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 금형에서 성형 완료된 범퍼(20)의 이젝팅 공정을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범퍼 금형은 휠 아치(W/Arch)부의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하여 경사코어(16)와 그 슬라이딩 각도를 이용한다.
범퍼(20)의 이젝팅 공정은 범퍼 금형을 합형하여 사출하는 단계(①단계), 가동형판(12)이 후퇴하는 단계(②단계), 성형기에서 넉 아웃 핀(Knock Out Pin)(18)이 전진하는 단계(③단계), 로봇 구동에 따른 범퍼 취출단계(④, ⑤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범퍼(20)의 이젝팅 공정에서 각 단계별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①단계에서 고정형판(10), 가동형판(12), 직상코어(14), 경사코어(16)가 각각 합형되고 사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범퍼 금형이 이젝팅 하게된다.
범퍼 금형이 이젝팅하게 되면, ②단계에서 가동형판(12)이 후퇴한다. ③단계에서는 성형기에서 넉 아웃 핀(18)이 전진하여 밀판 어셈블리(22)를 밀어낸다.
이때 밀핀(24)은 범퍼(20)를 수직방향으로 밀며, 경사코어(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③단계에서 범퍼(20)의 이젝팅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범퍼(20)는 경사코어(16)에 계속 붙어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금형이 이젝팅 완료된 상태에서 범퍼(20)가 경사코어(16)로부터 이탈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범퍼(20)는 ④, ⑤단계에서 이젝팅이 불충분한 상태로 로봇의 구동에 따라 로봇 척(30)에 의해 파지되어 취출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종래에는 범퍼 성형후 범퍼의 취출단계에서 범퍼의 슬라이드부가 넓고, 수지와 금형의 접착력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부가 경사코어(16)에 달라붙어 취출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범퍼 성형후 이젝팅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로봇이 범퍼를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게 되어 범퍼의 파손이 발생하게되며, 결국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 금형을 이용하여 범퍼가 성형된 상태에서 범퍼의 이젝팅을 강제적으로 수행하여 보다 확실한 범퍼의 이젝팅을 할 수 있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를 사출 성형하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에 있어서, 고정형판과 한 조를 이루어 상기 범퍼 금형을 이루는 가동형판과; 상기 고정형판과 상기 가동형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도록 직상코어와 한 조를 이루는 경사코어와; 일단이 사출 성형된 범퍼의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타단이 가동 형판에 접하도록 상기 범퍼 금형의 경사코어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방향 움직임이 가변되어 상기 범퍼의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는 이젝팅부와;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밀판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 금형에서 성형 완료된 범퍼의 이젝팅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범퍼 취출단계에서 범퍼가 경사코어에 달라붙어 취출불량을 일으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금형에서 성형 완료된 범퍼의 이젝팅 공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범퍼(20)를 사출 성형하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에 있어서, 고정형판과 한 조를 이루어 범퍼 금형을 이루는 가동형판(100)과; 고정형판과 가동형판(100)의 사이에 장착되어 범퍼(20)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도록 직상코어와 한 조를 이루는 경사코어(110)와; 이젝팅부(200), 밀판 위치 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젝팅부(200)는 일단이 사출 성형된 범퍼(20)의 일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타단이 가동 형판에 접하도록 범퍼 금형의 경사코어(110)에 장착되며, 가동형판(100)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방향 움직임이 가변되어 범퍼(20)의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이젝팅부(200)는 경사코어(110)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로드와; 가이드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어 사출 성형된 범퍼(20)의 일측면에 접하는 이젝팅 플레이트와; 경사코어(110)와 접하는 가동형판(100)의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장착되어 가이드 로드의 타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가동형판(100)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 로드의 축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도록 표면에 굴곡부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굴곡부는 하부에 언더컷 해소를 위한 범퍼 변형 시작점과, 그 상부에 언더컷 해소를 위해 변형된 범퍼(20)의 원형을 복귀시키는 원형 복귀점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로드는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굴곡부에 접한 상태에서 굴곡부의 하부와 상부간의 거리를 왕복하게 되며, 굴곡부의 굴곡된 표면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범퍼(20)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밀판 위치 조절부(300)는 가동형판(100)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밀판(220)의 위치를 조절한다.
밀판 위치 조절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츄에이터(310)와 제2 액츄에이터(320)로 구성한다.
제1 액츄에이터(310)는 가동형판(100)의 후퇴시 초기 고정형 언더컷 구간을 해소하기 위한 밀판(220)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이다.
제2 액츄에이터(320)는 제1 액츄에이터(310)와 인접되도록 설치되며, 제1 액츄에이터(310)가 동작 완료된 상태에서 초기 고정형 언더컷 구간 해소상태로 밀판(220)이 가동형판(100)과 함께 후퇴하면, 가동형판(100)의 전체 움직임 거리만큼 밀판(220)의 위치를 상승시키도록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이다.
제1, 제2 액츄에이터(310, 320)의 설치방향은 각각의 로드 구동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액츄에이터(310)의 로드는 밀판(220)의 하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되며, 제2 액츄에이터(320)의 로드는 밀판(220)의 상향으로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초기 언더컷 해소시 고정형판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완되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1, 제2 액츄에이터(310, 320)(공압 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언더컷 해소시점에서 범퍼(20)를 고정형판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금형에서 성형 완료된 범퍼(20)의 이젝팅 공정을 설명한다.
범퍼(20)의 이젝팅 공정은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범퍼 금형을 합형하여 사출하는 단계, 가동형판(100)이 후퇴하고 성형기에서 넉 아웃 핀이 전진하는 단계, 로봇 구동에 따른 범퍼 취출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20)의 이젝팅 단계를 4단계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먼저 ①단계는 범퍼(20)의 사출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범퍼(20)가 이젝팅 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가동형판(10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은 단계이다. 이때 이젝팅부(200)의 움직임도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범퍼 금형이 이젝팅하게 되면, ②단계에서 가동형판(100)이 서서히 하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이젝팅부(200)의 가이드 로드는 가동형판(100)의 가이드 플레이트(210)와 접한 상태에서 가동형판(10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형판(100)이 하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제1 액츄에이터(310)가 동작된다. 제1 액츄에이터(310)의 구동에 따라 로드가 돌출되어 밀판(220)의 위치(초기 고정형판의 언더컷 해소구간)를 유지하게 된다.
③단계는 제1 액츄에이터(310)의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초기 고정형판의 언더컷이 해소된 상태로 밀판(220)이 가동형판(100)과 함께 후퇴하는 단계이다.
④단계는 제2 액츄에이터(320)가 구동되어 가동형판(100)의 전체 움직임 거리만큼 밀판(220)의 위치를 상승시키며, 로봇 척을 사용하여 범퍼(20)를 취출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제2 액츄에이터(320)를 구동하여 밀판(220)의 위치를 상승시키는 것은 밀판(220)의 위치가 유지되면서 초기 고정형판의 언더컷이 해소된 상태로 가동형판(100)이 고정형판과 분리되어야 하나, 밀판(220)의 위치 유지된 상태가 계속되면 가동형판(100)이 고정형판과 분리될 때 범퍼(20)가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굴곡부에 형성된 원형 복귀점으로 위치되어 초기 해소된 언더컷이 다시 언더컷이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한편, ④단계에서는 가이드 로드가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가이드 로드의 일단에 결합된 이젝팅 플레이트도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이젝팅 플레이트와 일면이 접한 상태에 있는 범퍼(20)는 이젝팅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따라 경사코어(110)로부터 강제로 이젝팅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④단계에서는 범퍼(20)의 이젝팅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범퍼(20)가 경사코어(110)에 계속 붙어 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사출 성형이 완료된 범퍼(20)는 이젝팅이 충분한 상태로 로봇의 구동에 따라 로봇 척에 의해 파지되어 취출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는 사출 성형된 범퍼(20)를 경사코어(110)에서 원활하게 분리하기 위해 가동형판(100)의 움직임 구간 중에 범퍼(20)를 이젝팅하여 경사코어(1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범퍼(20) 성형후 범퍼(20)의 취출단계에서 범퍼(20)가 경사코어(110)에 달라붙어 취출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범퍼(20) 성형후 이젝팅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로봇이 범퍼(20)를 제대로 파지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되는 범퍼(20)의 파손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는 범퍼 성형후 이젝팅 장치를 이용하여 확실한 이젝팅을 실시한 상태에서 범퍼를 취출하기 때문에 범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범퍼를 사출 성형하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에 있어서,
    고정형판과 한 조를 이루어 상기 범퍼 금형을 이루는 가동형판과;
    상기 고정형판과 상기 가동형판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의 언더컷부를 형성하도록 직상코어와 한 조를 이루는 경사코어와;
    상기 경사코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사출 성형된 범퍼의 일측면에 접하는 이젝팅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코어와 접하는 가동형판의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로드의 타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로드의 축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도록 표면에 굴곡부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방향 움직임이 가변되어 상기 범퍼의 일측면에 외력을 가하는 이젝팅부와;
    상기 가동형판의 후퇴시 초기 고정형 언더컷 구간을 해소하기 위한 밀판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인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가 동작 완료된 상태에서 초기 고정형 언더컷 구간 해소상태로 밀판이 가동형판과 함께 후퇴하면, 가동형판의 전체 움직임 거리만큼 밀판의 위치를 상승시키도록 구동하는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동형판의 움직임에 연동되는 밀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밀판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KR10-2001-0033820A 2001-06-15 2001-06-15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KR10042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820A KR100428364B1 (ko) 2001-06-15 2001-06-15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820A KR100428364B1 (ko) 2001-06-15 2001-06-15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654A KR20020095654A (ko) 2002-12-28
KR100428364B1 true KR100428364B1 (ko) 2004-04-28

Family

ID=2770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820A KR100428364B1 (ko) 2001-06-15 2001-06-15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7997A (zh) * 2014-08-31 2014-12-24 武汉燎原模塑有限公司 脱模装置及汽车保险杠模具
CN111204017A (zh) * 2020-02-13 2020-05-29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汽车前保险杠注塑模具的斜顶顶出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619A (ja) * 1986-11-08 1988-05-25 Mitsubishi Metal Corp 射出成形用金型
JPH05192976A (ja) * 1992-01-21 1993-08-03 Sanshu Mold:Kk 射出成形機の成形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0343570A (ja) * 1999-06-07 2000-12-12 Nissan Motor Co Ltd 樹脂製部品の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0619A (ja) * 1986-11-08 1988-05-25 Mitsubishi Metal Corp 射出成形用金型
JPH05192976A (ja) * 1992-01-21 1993-08-03 Sanshu Mold:Kk 射出成形機の成形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0343570A (ja) * 1999-06-07 2000-12-12 Nissan Motor Co Ltd 樹脂製部品の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654A (ko) 200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6271B1 (en) Locally pressurized type injection molding machine
US5855824A (en) Ejecting method of a molding in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5798074A (en) Process for forming a threaded molded plastic article
KR100428364B1 (ko)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JP2005313385A (ja) 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0428349B1 (ko) 범퍼 금형의 이젝팅 장치
CN1878650A (zh) 锁模装置和成形方法
JPH1071634A (ja) 成形型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2003170477A (ja) 射出成形金型
KR20050017224A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 장치의 제품 취출 구조
JPH04129717A (ja) 成形機におけるエジェクト方式
JP2686761B2 (ja) インサート物ベンド機構を有する金型装置
JP3304453B2 (ja) 樹脂封止装置の成形品の離型機構
KR100707672B1 (ko) 형체기구의 성형품 분리장치
JP3672050B2 (ja) プレス加工装置
JPH08238557A (ja) 成形装置の型締装置
KR101196521B1 (ko) 사출금형에서의 슬라이드 구동 장치
KR100545756B1 (ko) 사출 성형기의 성형품 취출장치
CN220348961U (zh) 一种模具联动机构
WO2024036944A1 (zh) 一种一体式数字液压缸精密控制注塑机脱模机构及方法
CN114939968B (zh) 一种注塑模具出模用顶出辅助机构
CN220499826U (zh) 一种适用于注塑模具的顶出机构
JP2562509B2 (ja) 射出成形装置
KR100355741B1 (ko) 디스크성형장치의 게이트컷장치 및 게이트컷방법
JP4213057B2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