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072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072B1
KR100428072B1 KR1019960007056A KR19960007056A KR100428072B1 KR 100428072 B1 KR100428072 B1 KR 100428072B1 KR 1019960007056 A KR1019960007056 A KR 1019960007056A KR 19960007056 A KR19960007056 A KR 19960007056A KR 100428072 B1 KR100428072 B1 KR 10042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onnecting member
base holder
opening
oper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77A (ko
Inventor
사또이 미야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제네랄
Publication of KR96003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6Leaf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92Lever and slide
    • Y10T74/18936Slidabl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는 하우징본체(101)의 내부에 실내열교환기실(106)과 실외열교환기실(107)을 구획하는 격벽판넬(108)을 구비하고 있다. 격벽판넬(108)에 마련된 개구부(116)는, 댐퍼장치(11)에 의해 개폐되며, 하우징본체(101)에 조립되어 있는 베이스홀더(20), 베이스홀더(20)에 지지되어 개구부를 덮고, 개구부(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댐퍼(30), 베이스홀더(20)에 마련되어 베이스홀더(20)에 대해 기계적으로 변위하는 조작부(40) 및 댐퍼(30)와 조작부(20)를 연결하여 조작부(40)의 변위에 따라 댐퍼(30)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50)를 가진다. 연결부재(50)는 베이스홀더(20)와 일체로 형성된 유지수단(60)에 의해 안내되고, 돌출부(71, 81) 내로 삽입하는 연결수단(70, 80)에 의해 댐퍼(30)와 조작부(40)를 연결한다. 연결수단(70, 80)은 돌출부(71, 81)가 댐퍼(30)의 이동방향 및 조작부(40)의 변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실내기 및 실외기가 일체로 수용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제13도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0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본체(101)의 정면에 전면커버(102)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본체(101)의 측면에 그릴(1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의 공기가 전면커버(102)에 마련된 흡입구(104)를 통해 하우징본체(101)의 내부로 흡인되고,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조절된 온풍 또는 냉풍 등의 조온(潮溫) 공기가 전면커버(102)에 마련된 송풍구(105)를 통해 실내로 통풍된다. 전술한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건물벽에 실내, 실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두고, 전면커버(102)가 실내측을 향하면서, 그릴(103)이 실외로 노출되도록 하우징본체(101)를 관통공에 삽입한다.
제1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01) 내에는 실내의 공기를 열 교환하기 위한 실내열교환기실(106) 및 실외열교환기실(107)이 격벽판넬(108)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다.
실내열교환기실(106)에는 전면커버(102)에 인접배치된 실내열교환기(109)와, 실내열교환기(109)보다 하우징본체(101)의 내부 측에 배치된 실내송풍기(110)가 수용되어 있다. 이 실내열교환기실(106)은, 실내송풍기(110)가 기동하면, 실내공기를 하우징본체(101)의 내부로 흡인하여 실내열교환기(109)를 통과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킨 다음, 격벽판넬(108)에 의해 형성된 송풍로(111)를 따라 송풍구(105)를 통해 조온 공기로서 실내로 공기를 송풍한다.
한편, 실외열교환기실(107)에는 실내열교환기(109)의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실외열교환기(112)와, 외기를 실외열교환기(112)로 송풍하기 위한 실외송풍기(113)가 수용되어 있고, 실외송풍기(113)는 판상의 지지부재(114)를 개재하여 실외열교환기(1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실외열교환기실(107)은 실외송풍기(113)가 기동하면, 외기를 그릴(103)로부터 하우징본체(101)의 내부로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릴(103)로부터 흡인된 외기는 격벽판넬(108) 및 지지부재(114)에 의해 형성된 도입로(115) 및 실외송풍기(113)를 경유하여 실외열교환기(112)를 통과함으로써 열교환이 수행되고, 이어서 하우징본체(101)의 배면으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격벽판넬(108)에는 송풍로(111)와 도입로(115)를 연통하는 개구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116)는 조온 공기의 풍량, 온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송풍로(111)를 따라 송풍된 조온 공기의 일부를 도입로(115)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고, 댐퍼장치(200)에 의해 개폐가능하다.
제15도에서는 댐퍼장치(200)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댐퍼장치(200)는 하우징본체(101)에 조립되어 있는 베이스홀더(201)(제13도 및 제 14도 참조)와, 베이스홀더(201)에 지지되어 개구부(116)를 덮고, 개구부(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댐퍼(202)와, 베이스홀더(201)에 마련되어 베이스홀더(201)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변위가능한 조작부(203)와, 댐퍼(202) 및 조작부(203)에 연결되고, 조작부(203)의 변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댐퍼(202)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204)를 가지고 있다.
댐퍼(202)는 베이스홀더(201)에 삽입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부(202A, 202A)에힌지부(202B, 202B)를 개재하여 판부(202C)가 접속되어 있다. 이 댐퍼(202)는, 개구부(1116)의 개구형상보다 큰 평면형상을 갖는 판부(202C)가 힌지부(202B, 202B)를 중심으로 하여 지지부(202A, 202A)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개구부(116)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부(203)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레버(203A)가 굴곡부(203B)를 관통하는 고정스크루(205)에 의해 베이스홀더(20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레버(203A)는 굴곡부(203B)로부터 연장된 파지부(203C)가 베이스홀더(201)에 형성된 레버공(201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굴곡부(203B)로부터 연장된 변위부(203D)가 베이스홀더(20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재(204)는 외부튜브(204A)를 갖는 와이어(204B)로 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04)는 와이어(204B)의 일단부가 댐퍼(202)의 판부(202C)에 마련된 돌출편(202D)에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204B)의 타단부는 레버(203A)의 변위부(203D)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204B)의 양단부는 각각 돌출편(202D)에 형성된 고정공(202E) 및 변위부(203D)에 형성된 고정공(203E)에 삽입관통하고, 슬리브(204C)에 의해 이탈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04)는외부튜브(204A)상의 복수의 소정 위치를 포착유지하는 장착구(204D)와, 이 장착구(204D)를 관통하여 베이스홀더(201) 내로 나사결합되는 스크루(204E)에 의해 베이스홀더(201)에 고정된다.
이러한 댐퍼장치(200)는 공기조화기(100)의 사용자가 조작부(203)의 파지부(203C)를 레버공(201A)을 따라 이동시키면 격벽판넬(108)에 마련된 개구부(116)를 개폐한다.
그러나, 전술한 댐퍼장치(200)는 연결부재(204)가 외부튜브(204A) 및 와이어(204B)를 가지고, 연결부재(204)를 베이스홀더(201)에 고정하는 데에는 다수의 장착구(204D) 및 스크루(204E)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다수화되고, 조립공정이 복잡해져, 공기조화기(100)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연결부재(204)를 댐퍼(202) 및 조작부(203)에 연결하는 데 있어서, 협소부위에 있어서 와이어(204B)가 텐션을 손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와이어(204B)의 양 단부를 처리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댐퍼장치(200)의 조립 공정이 한층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댐퍼장치의 구성부품을 소수화하고, 조립공정을 간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본체는 그 내부가 환기용 개구부를 갖는 격벽판넬에 의해 실내열교환기실과 실외열교환기실로 구획되며, 상기 하우징본체 내에 마련된 베이스홀더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댐퍼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홀더의 상기 격벽판넬 측의 후단부에 지지된 댐퍼와, 상기 베이스홀더의 실내측의 전단부에 배치된 슬라이드레버를 갖는 조작부와, 상기 댐퍼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기계적 변위에 따라 상기 댐퍼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제의 굴곡가능한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홀더에는 상기 베이스홀더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상기 연결부재가 통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착부를 가지는 유지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상기 댐퍼 사이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과 상기 조작부 사이 각각에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이 원주(圓柱) 또는 각주(角柱) 형상의 돌출부이고 타측이 함몰부인 결합구조로 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댐퍼 및 상기 조작부의 변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베이스홀더로서는, 전술한 댐퍼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홀더와 마찬가지로 형성하여 두면 되고, 댐퍼를 지지할 수 있고 조작부를 마련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에 조립가능하다면, 형상, 칫수 등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댐퍼로서는, 전술한 댐퍼장치와 같이, 힌지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한 댐퍼를 채용할 수 있고, 또는 격벽판넬에 대하여 동일한 면상을 이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와 같은 댐퍼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로서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레버, 푸쉬/풀 작동하는 노브(knob), 푸쉬/푸쉬해제 작동하는 버튼, 소정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고리 형상 또는 크랭크 형상의 핸들 등의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고, 소정 부위가 이동, 회전 등을 함으로써 베이스홀더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기계적으로 변위가능하면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로서는, 와이어, 로드, 판재 등이 채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 금속, 목재에 의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연성의 유무도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로서 예를 들어, 유연성을 가지는 와이어를 채용하는 경우, 와이어의 일단측을 댐퍼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두고, 와이어의 타단측을 조작부의 변위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유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연결부재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유지부가 베이스홀더의 표면을 따라 연속형성되어 있는 구조 등이 채용될 수 있고, 또는 베이스홀더를 따라 역J자형 후크를 소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한 구조나, 베이스홀더의 두께부분에 연결부재를 삽입관통시킬 수 있는 중공부를 형성하는 구조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지수단으로서 유지부를 베이스홀더의 표면을 따라 형성하는 경우, 연결부재가 베이스홀더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베이스홀더를 새김형성함으로써 유지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이 유지부를 베이스홀더로부써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유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착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포착부로서, 대략 단면이 C자 형상 등으로 형성된 유지부의 안내통로에 있어서 서로 대항하는 한 쌍의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고, 돌기 간의 간격칫수가 연결부재의 단면 폭 칫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하여도 좋다. 연결부재가 포착부에 의해 유지부 내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가 유지부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훨씬 적어진다.
또한, 연결수단으로서는, 돌출부를 원주 형상, 각주 형상, 후크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함몰부를 구멍형상, 개구형상, 계단형상, 그루브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 및 함몰부의 상호 고정의 유무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댐퍼, 조작부, 연결부재에 마련하는 데 있어서,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소정위치에 일체 성형하거나 별도 형성한 돌출부재 또는 함몰부재를 적정한 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부재가 유지수단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연결부재를 베이스홀더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댐퍼장치의 구성부품을 소수화할 수 있으며, 댐퍼장치의 조립 공정이 간략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유지수단이 베이스홀더를 따라 연속하는 유지부를 갖는 경우, 연결부재가 안내통로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종래의 연결부재와 같이 와이어와 외부튜브에 의한 이중구조일 필요가 없으므로, 댐퍼장치의 구성부품의 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제의 굴곡가능한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금속이나 목재로 형성된 연결부재에 비해 원하는 형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하면 탁월한유연성을 얻는 동시에 표면마찰계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는 예를 들어 댐퍼와 조작부의 상대위치에 기초하여 유지수단에 의해 만곡되어 있더라도 조작부의 변위에 따라 이동하여 확실히 댐퍼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가 덮게 및 조작부의 변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 및 조작부의 변위와 상관없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상호 고정되지 않는 경우라도 돌출부가 함몰부 내로 삽입된 상태는 항상 유지된다. 즉, 제1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돌출부를 함몰부 내로 삽입하는 극히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댐퍼 및 조작부에 대한 연결부재의 연결이 완료되기 때문에, 댐퍼장치의 조립공정을 종래기술에 비해 극히 간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제2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중 일방이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중 타방이 상기 댐퍼 및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돌출부와 함몰부는 별도의 부재로서 제조할 필요가 없고, 댐퍼장치의 구성부품의 수는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3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수단의 안내통로는 경사면과 평탄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의 교차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그루브는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을 협소화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고, 또는 연결부재의 소정치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제3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의 접촉부는 소정 각도로 쉽게 굴곡되기 때문에, 연결부재는 베이스홀더로부터 들떠오름이 없이 각 평면을 따라 확실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4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댐퍼가 상기 베이스홀더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막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에 굴곡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댐퍼로서, 플레이트부가 개구부를 피복가능하면 되고, 형상, 칫수 등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4항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와 플레이트부가 막힌지에 의해 접속되는 단순한 구조로 댐퍼가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비교적 낮아지고, 형태와 칫수가 다른 플레이트부를 적절히 선택하여 채용함으로써, 형상, 치수가 다른 개구부에 대하여 댐퍼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힌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별도로 제조된 힌지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댐퍼장치의 구성부품을 한층 소수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잇점은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를 읽어 보면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13도 및 제15도에 이미 설명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간략히 또는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공기조화기(10)는 실내열교환기실(106) 및 실외열교환기실(107)이 하우징본체(101)내에 격벽판넬(108)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에 실내와 실외를 연통하는 관통공을 미리 형성하여 두고, 전면커버(102)가 실내측을 향하고, 그릴(10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기조화기(10)에서, 격벽판넬(108)에 마련된 개구부(116)는 댐퍼장치(11)에 의해 개폐가능하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장치(11)는 하우징본체(101)에 조립되어 있는 베이스홀더(20)(제1도 참조)와, 개구부(11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베이스홀더(20)에 마련되어 베이스홀더(20)에 의해 지지되어 개구부(116)를 덮는 댐퍼(30)와, 베이스홀더(20)에 마련되어 베이스홀더(2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변위가능한 조작부(40)와, 댐퍼(30)와 조작부(40)에 연결되어 조작부(40)의 변위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댐퍼(30)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댐퍼장치(11)는, 연결부재(50)가 베이스홀더(20)와 일체로 형성된 유지수단(60)에 의해 안내되고, 댐퍼(30)에 대하여 연결수단(70)에 의해 연결되고, 조작부(40)에 대하여 연결수단(80)에 의해 연결된다.
베이스홀더(20)는 대략 평판 형상의 베이스홀더본체(21)와 베이스홀더본체(21)의 측면부에 베이스홀더본체(21)의 두께 방향으로 입설된 벽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댐퍼(30)는 베이스홀더본체(21)에 마련된 지지대(23)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조작부(40)는 벽부(22)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대(23)의 상면(23A)은 벽부(22)의 상단연부보다 표면(21A)에 대하여 멀리 위치한다. 따라서, 댐퍼(30)가 지지되는 위치와 조작부(40)가 마련된 위치 사이에는 베이스홀더본체(21)의 두께 방향으로 고저차가 생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30)는 한쌍의 지지부(31, 31)와 힌지부(32, 32)를 개재하여 지지부(31, 31)에 연결되는 플레이트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고정수단(90)에 의해 베이스홀더(20)의 지지대(23)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31, 31)는 동일면상에 각각 배치된 대략 판 형상이고, 플레이트부(33)는 개구부(116)를 덮을 수 있는 형상과 칫수를 가지고 있다. 이 댐퍼(30)에서, 지지부(31, 31)와 플레이트부(3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비닐, FRP, ABS 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힌지부(32, 32)는 지지부(31, 31) 및 플레이트부(33)와 일체로 막힌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댐퍼(30)에서, 플레이트부(33)는 힌지부(32, 3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댐퍼(30)는 개구부(116)로부터 벗어난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부(33)에 의해 개구부(1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제3도 및 제4도 중 이점쇄선 참조),
고정수단(90)은 지지부(31)에 마련된 맞물림부(91)와, 상기 지지대(23)에 마련되고 맞물림부(91)가 압입될 수 있는 장착공(9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맞물림부(91)는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을 개재하여 맞물림부(91)에 인접하는 한쌍의 안내편(93, 93)과 함께 지지부(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착공(92)은 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대략 평면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23)의 상면(23A)으로부터 대략 평면 L자 형상으로 입설된 입상부(94)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장착공(92)은 유지수단(60)을 직교방향으로 홀딩하는 대향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고정수단(90)은, 맞물림부(91)를 지지부(31)에 대하여 만곡시키면서, 안내편(93, 93)과 함께 장착공(92)에 압입하면, 맞물림부(91)의 선단부가 장착공(92)의 개구연부(92A)(제4도 참조)에 맞물려지고, 따라서, 지지부(31)는 장착공(9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댐퍼(30)는 지지부(31)에 마련된 스톱퍼(31A) (제4도 참조)가 개구연부(92B)에 접경함으로써, 베이스홀더(20)에 대한 상대위치가 고정된다.
4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버로 된 조작부(40)는 베이스홀더(20)의 벽부(22)에 있어서 외면을 따라 배치되는 슬라이드레버(41)와, 이 슬라이드레버(41)에 접속되어 베이스홀더(20)의 벽부(22)에서 내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편(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레버(41)는 공기조화기(10)의 조작자가 베이스홀더(20)의 슬라이딩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탁월한 형상으로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대략 화살촉 형상으로 만들어진 관통편(42)은 벽부(22)에 형성된 장방형 슬라이딩공(22A)내로 압입되면, 슬라이드공(22A)의 연속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고, 슬라이드공(22A)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맞물려진다. 따라서, 이 조작부(40)는 슬라이드레버(41)와 관통편(42)이 벽부(22)를 따르는 방향에서 긱계적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로 돌아가서, 댐퍼(30)와 조작부(4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50)는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과,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과 평행한 지지대(23)의 상면(23A)과,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 및 지지대(23)의상면(23A)을 연결하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24) 상에 배치된 길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50)는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에 대하여 대략 평면 S자 형상으로 만곡배치됨으로써, 일단측은 댐퍼(30)의 이동방향을 따르고, 타단측은 조작부(40)의 변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재(50)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비닐, FRP, ABS 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 연결부재(50)는 그 재질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발명자가 의도하는 유연성 및 표면 마찰계수를 가지는 동시에, 발명자가 의도하지 않는 비틀림이나 가소성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에는 전술한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 지지대(23)의 상면(23A) 및 경사면(24)이 연결부재(50)에 접촉되는 접촉부(25)를 횡단하는 위치에 그루브(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51)는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 지지대(23)의 상면(23A) 및 경사면(24)에 접촉되는 연결부재(50) 표면 상의 소정 위치에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즉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을 부분적으로 협소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그루브(51)는 길이방향 칫수가 조작부(40)의 변위에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재(50)의 이동량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베이스홀더(20)에 대한 연결부재(50)의 상대위치와 무관하게 항상 접촉부(25)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50)는 그루브(51)가 형성된 위치의 단면적이 다른 위치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해당위치의 기계적 강도가 타 위치보다도 작어진다. 즉, 그루브(51)가 형성된 위치가 용이하게 만곡되기 때문에 (도면 중 화살표 참조), 연결부재(50)는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 지지대(23)의 상면(23A) 및 경사면 (24)을 따라 배치하여도, 접촉부(25)로부터 들떠오를 염려가 적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수단(60)은 연결부재(50)를 홀딩하는 유지부(61)가 베이스홀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결부재(50)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유지부(61)는 유지부(61) 내에 연결부재(50)를 착탈가능한 안내통로를 가지는데, 그 안내통로(62)는 베이스홀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지부(61)는 연결부재(50)를 따르고 댐퍼(30)와 조작부(40) 사이에서 연속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고 있다(제6도 참조).
이 유지수단(60)은, 유지부(61)의 안내통로(62)에 포착부(63)가 마련되어 있다. 포착부(63)는 연결부재(50) 내에서 베이스홀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표면에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연결부재(50)를 홀딩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유지수단(60)은 유지부(61)의 연속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포착부(63)를 홀딩하는 위치에 한쌍의 슬릿(64, 6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포착부(63)는 슬릿(64, 64)에 의해 포착부(63)에 인접하는 유지부(61)의 내부로 연결부재(50)가 압입되어도, 베이스홀더(20)에 대한 만곡변형(도면 중 화살표 참조)이 인접한 다른 유지부(61)의 만곡변형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러한 포착부(63)는 유지부(61)의 연속방향에서 소정 간격으로 다수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25)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제6도 참조).
제3도 및 제4도로 돌아가서, 연결부재(50)를 댐퍼(3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70)은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71, 71)와 댐퍼(30)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함몰부(72, 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71, 71)는 대략 원주 형상을 하며,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마련된 대략 삼각형 형상의 지지편(52)으로부터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72, 72)는 돌출부(71)의 직경에 대응하는 U자 형상의 그루브로 되어 있고, 댐퍼(30)의 플레이트부(33)로부터 지지부(31, 31)에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아암부(34, 34)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72)는 아암부(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속되어 있고, 돌출부(71)를 직경방향으로 홀딩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슬라이딩 접촉면을 가진다.
이 연결수단(70)에 있어서, 연결부재(50)가 유지수단(60)에 의해 안내된 상태에서, 고정수단(90)에 의해 댐퍼(30)를 베이스홀더(20)의 지지대(23)에 지지시키면, 돌출부(71, 71)는 함몰부(72, 72)내로 삽입된다. 연결수단(70)은 조작부(40)의 기계적 변위에 따라 연결부재(50)가 이동하면(제3도 및 제4도의 화살표 참조), 돌출부(71)가 함몰부(7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댐퍼(30)의 힌지부(32, 32)를 중심으로 플레이트부(33)를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연결수단(70)의 돌출부(71)는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재(50)의 일단부측은 댐퍼(3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연결수단(70)의 돌출부(71)는 댐퍼(30)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수단(70)은, 연결부재(50)가 조작부(4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돌출부(71)와 함몰부(72)의 상대위치가 변하더라도,돌출부(71)가 함몰부(72) 내로 삽입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돌출부(71)와 함몰부(72)는 서로 고정되지 않더라도 서로 이탈할 염려가 없다.
한편, 제5도로 진행하여, 연결부재(50)를 조작부(4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80)은 연결부재(50)의 길이 방향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81)와, 조작부(40)의 관통편(42)과 일체로 형성된 함몰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출부(81)는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마련된 대략사다리꼴 형상의 지지편(53)으로부터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82)는 돌출부(81)의 폭에 대응하는 대략 U자형 노치로 되어 있고, 관통편(4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수단(80)에 있어서, 연결부재(50)가 유지수단(60)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에서 조작부(40)의 관통편(42)을 벽부(22)의 슬라이드공(22A) 내로 압입하면, 돌출부(81)는 함몰부(82)로 삽입된다. 조작부(40)가 베이스홀더(20)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변위하면, 연결부재(50)는 연결수단(80)에 의해 조작부(40)를 따라 이동한다.
연결수단(80)의 돌출부(81)는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재(50)의 타단측은 조작부(4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연결수단(80)의 돌출부(81)는 조작부(40)가 변위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수단(80)은, 조작부(40)가 베이스홀더(20)에 대하여 변위하는 경우라도, 돌출부(81)가 함몰부(82)로 삽입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라도, 돌출부(81)와 함몰부(82)는 서로 이탈할 염려가 없다.
본 도면에서, 유지부(61)에는, 관통편(42) 및 함몰부(8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만곡함몰부(64, 65)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함몰부(64, 65)는 지지편(53)에 마련된 만곡돌출부(54)와 맞물림으로써, 베이스홀더(20)에 대하여 조작부(40)의 상대위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댐퍼(30), 조작부(40) 및 연결부재(50)의 형상, 크기, 상대위치등을 고려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만곡함몰부(64)는 댐퍼(30)가 개구부(116)(미도시)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만곡함몰부(65)는 댐퍼(30)가 개구부(116)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에 있어서, 댐퍼장치(11)의 조립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50)를 유지부(61)의 내부에 수용시킨다. 이 작업은 연결부재(50)에 있어서 각 그루브(51)가 형성된 표면과 동일한 면을 상호 대향하는 각 포착부(63) 사이에 배치한 다음, 연결부재(50)를 유지부(61)의 내부로 압입함으로써 완료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0)를 유지수단(60)을 따라 이동시키고, 길이방향의 일단측이 고정수단(90)을 구성하는 입상부(94, 94) 사이에 배치한 것을 확인하고(제3도 및 제4도 참조), 길이방향의 타단측에 마련된 만곡돌출부(54)가 유지부(61)에 형성된 만곡함몰부(64)에 맞물린 것을 확인한다(제5도 참조).
이어서, 댐터(30)를 베이스홀더(20)에 지지시키는 작업 및 조작부(40)를 베이스홀더(20)에 조립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들 공정 중 하나를 먼저수행할 수도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홀더(20)에 댐퍼(30)를 지지하는 작업은, 연결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71, 71)가 댐퍼(30)와 일체로 형성된 함몰부(72, 72)로 삽입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댐퍼(30)와 일체로 형성된 맞물림부(91, 91)는 베이스홀더(20)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공(92, 92)에 압입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조작부(40)를 베이스홀더(20) 내로 끼우는 작업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81)가 함몰부(82) 내로 삽입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관통편(42)을 벽부(22)의 슬라이드공(22A) 내로 압입함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된 댐퍼장치(1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0)의 하우징본체(101) 내에 조립되어 있다. 공기조화기(10)의 사용자가 조작부(40)를 조작하여 격벽판넬(108)의 개구부(116)를 개폐시킴으로써, 송풍구(105)로부터 송풍된 조온 공기의 풍량, 온도 등이 적절히 조절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10)에 의하면, 연결부재(50)가 유지수단(60)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베이스홀더(20)에 연결부재(50)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댐퍼장치(11)의 구성부품이 소수화되고, 댐퍼장치(11)의 조립 공정이 간략화된다. 연결부재(50)를 홀딩하는 유지부(61)에 의해 보호되는 연결부재(50)는 종래와 같이, 와이어와 외부튜브로 구성된 이중 구조를 갖는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댐퍼장치(11)의 구성부품의 수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70, 80)은 돌출부(71, 81)가 각각 댐퍼(30)가 이동하는 방향및 조작부(40)의 변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30)의 이동 및 조작부(40)의 변위와 무관하게, 돌출부(71, 81)가 함몰부(72, 82)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라도, 돌출부(71, 81)가 함몰부(72, 82)에 삽입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50)를 댐퍼(30) 또는 조작부(40)에 연결하는 조작은, 돌출부(71, 81)를 함몰부(72, 82) 내로 단순히 삽입시키는 조작만으로 완료되므로, 댐퍼장치의 조립 공정은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히 간략화된다.
연결수단(70)은,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71)의 원주면이 함몰부(72)의 슬라이딩 접촉면을 직선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돌출부(71)와 함몰부(72)의 상대위치나 상대각도가 댐퍼(30) 이동에 따라 변하여도, 돌출부(71)가 함몰부(72)를 따라서 이동하므로, 돌출부(71)가 함몰부(72) 내로 삽입되는 상태 및 슬라이딩 접촉 저항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연결수단(70)은, 돌출부(71)가 연결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함몰부(72)가 댐퍼(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71)와 함몰부(72)를 별도의 부재로 제조할 필요가 없어, 댐퍼장치(11)의 구성부품의 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연결부재(50)는 예를 들어, 목재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연결부재에 비해, 용이하고 저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연결부재(50)는 합성수지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하면, 탁월한 유연성을 얻을 수 있고, 표면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만곡하게 배치하더라도 연결부재(50)의 마찰계수가 커질 염려가 적다. 또한, 연결부재(50)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굽힘응력이나 비틀림응력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강도를 얻는다.
이 연결부재(50)는 접촉부(25)를 횡단하는 위치에 그루브(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에서 용이하게 만곡된다. 따라서, 연결부재(50)는,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홀더본체(21)의 표면(21A), 경사면(24) 및 지지대(23)의 상면(23A)을 따라 위치하는 경우라도 베이스홀더(20)로부터 들떠오르지 않는다.
그루브(51)는 연결부재(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적을 협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었으므로, 그루브(51)에 해당하는 위치는 한층 용이하게 만곡된다. 특히, 그루브(51)가 접촉부(25)와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결부재(50)와 접촉부(25)는 서로 접촉되지 않아 연결부재(50)가 베이스홀더(20)로부터 들떠오를 염려가 적다.
한편, 유지수단(60)은 베이스홀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홀더의 두께와 무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유지수단(60)은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유지부(61)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부재(50)는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고, 댐퍼장치(11)의 조립 공정은 한층 간략화될 수 있다. 특히, 유지부(61)는, 안내통로(62)가 베이스홀더(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장치(11)를 조립하는 작업자가 연결부재(50) 및 유지수단(60)의 상호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댐퍼장치(11)의 조립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없어진다.
또한, 유지부(61)는 소정 길이로 연결부재(50)를 따라 연속되기 때문에, 연결부재(50)를 확고하게 홀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댐퍼(30)의 이동저항이 큰 경우라도, 조작부(40)의 변위에 따라 연결부재(50)가 유지부(61)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적고, 개구부(116)가 개폐되지 않을 가능성이 적어진다.
유지수단(60)은, 포착부(63)가 유지부(61)의 안내통로(62)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50)가 유지부(61)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낮다. 포착부(63) 역시 접촉부(25)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50)가 접촉부로부터 들떠오르지 않는다.
유지부(61)에서, 슬릿(64)은 그 사이에 포착부(63)를 홀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착부(63)를 지지하는 유지부(61)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독립하여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수단(60)은 연결부재(50)의 착탈에 따른 유지부(61) 전체의 소성, 파손 등이 생길 염려가 적다.
한편, 댐퍼(30)는 베이스홀더(20)에 고정되는 지지부(31)에 플레이트부(33)가 막힌지(32)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댐퍼(30)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비교적 낮고, 플레이트부를 적절히 선택 채용함으로써 형태와 칫수가 다른 개구부에 대하여 범용성을 가진다. 특히, 댐퍼(30)는 막힌지(32)가 지지부(31) 및 플레이트부(3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부(33)는 별도의 힌지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댐퍼장치(11)의 구성 부품을 한층 소수화할 수 있다.
또한, 댐퍼(30)를 베이스홀더(20)에 지지시키는 고정수단(90)은, 화살촉 형상의 맞물림부(91)가 장착공(92)에 압입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볼트고정 등을 수행하는 작업에 비해, 댐퍼장치(11)의 조립 공정이 한층 간략화될 수 있다. 특히, 고정수단(90)은 맞물림부(91)가 댐퍼(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맞물림부(91)가 베이스홀더(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제조할 필요가 없고, 댐퍼장치(11)의 구성부품의 수가 한층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레버인 조작부(40)는 예를 들어 푸쉬/풀 작동하는 노브, 푸쉬/푸쉬해제 작동하는 버튼,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핸들 등에 비하여, 구조를 간략화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장치(11)의 구성 부품의 수는 한층 감소되고, 댐퍼장치(11)는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다.
조작부(40)의 조립은 대략 화살촉 형상인 관통편(42)을 벽부(22)의 슬라이드공(22A) 내로 압입하는 극히 간단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완료되므로, 댐퍼장치(11)의 구성부품은 소수화되고, 댐퍼장치(11)의 조립 공정은 한층 간략화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량, 변형 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와 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제8(A)도에 도시된 연결수단(70A)과 같이, 연결부재(50A)에 대략 U자 형상의 함몰부(72A)를 마련하고, 대략 원주 형상의 돌출부(71A)를 댐퍼(30A)의 아암부(34, 34)에 마련하여 두고, 돌출부(71A)를 함몰부(72A) 내로 삽입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댐퍼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제8(B)도에 도시된 연결수단(70B)과 같이, 함몰부(72B, 72B)를 만곡시킨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연결수단(70B)에의하면 연결부재(50)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동하면, 아암부(34, 34)는 상기 실시예에서 보다 더 크게 이동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지지부에 대한 판부의 회동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개구부를 통과하는 풍량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 내에서의 급격한 풍량조절 또는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그루브로서, 제9(A)도에 도시된 그루브(51A), 제9(B)도에 도시된 그루브(51B), 및 제9(C)도에 도시된 그루브(51C)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즉, 제9(A)도에 도시된 그루브(51A)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50A)에 있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50A)에 의하면, 그루브(51A)의 단면적이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이 위치는 S보다 용이하게 만곡된다. 제9(B)도에 도시된 그루브(51B)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50B)에 있어서 주변을 주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50B)는 그루브(51B)가 형성된 위치가 이차원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기 때문에, 삼차원 방향으로 접속된 복수의 평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제9(C)도에 도시된 그루브(51C)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50C)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연결부재(50C)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큰 만곡각도를 얻을 수 있다.
유지수단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제10(A)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A), 제10(B)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B) 및 제10(C)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C)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즉, 제10(A)도에 도시된유지수단(60A)은, 베이스홀더(20)의 두께 방향으로 유지부(61A)가 약간 가라앉도록 마련되어 있게 때문에, 베이스홀더(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댐퍼장치(11) 내에서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0(B)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B)은, 베이스홀더(20)의 표면에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홀더(20)의 두께를 유지부로 하였기 때문에, 댐퍼동작부(11) 내의 공간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0(C)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C)은, 유지부(61)의 안내통로(62)가 베이스홀더(20)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수단(60C)에 의하면, 베이스홀더(20)의 두께 방향에 다른 부재 및 기구가 적층되더라도, 연결부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연결부재를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한 쌍의 포착부는 유지부의 안내통로에 서로 대향배치되어 있으나, 포착부(63)는 제11(A)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D)과 같이, 서로 평행한 유지부(61, 61)의 한 면에만 마련되거나, 제11(B)도에 도시된 유지수단(60E)과 같이, 서로 평행한 유지부(61, 61)에 포착부(63)가 교호적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공기조화기만 한정하지 않고,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200)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 공기조화기(200)에 있어서, 실내열교환기실(106A)은 대략 평판 형상의 본 프레임(201)에 적층되는 하부지지부재(202)와 상부지지부재(203)를 가진다. 이 실내열교환기실(106A)은 하부지지부재(202)의 내부에 실내송풍기(110)를 수용하는 동시에, 하부지지부재(202)의 소정위치에 스위치박스(204), 댐퍼장치(11) 및 송풍로형성부재(205)를 순차적으로 적층배치한 후, 실내송풍기(110) 및 송풍로형성부재(205)를 덮도록 상부지지부(203)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송풍로형성부재(205)는 상부지지부재(203)가 소정 위치에 배치될 경우, 송풍로(111A)를 형성하는 데 적절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송풍로형성부재(205)의 하방에 배치되는 댐퍼장치(11)의 댐퍼(30)가 관통가능하며, 관통한 댐퍼(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컷트부(208)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열교환기실(106A)은, 하부지지부재(202), 실내송풍기(110), 스위치박스(204), 댐퍼장치(11), 송풍로형성부재(205) 및 상부지지부재(203)를 소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송풍로(111A)가 자동으로 형성되고, 컷트부(208)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116A)는 댐퍼장치(11)에 의해 개폐가능하다.
이러한 실내열교환기실(106A)은, 하부지지부재(202), 상부지지부재(203), 및 송풍로형성부재(205)가 예를 들어 발포 스티렌 수지(styrene foam)로 만들어져 있고, 금속제의 벽부재(206)가 하부지지부재(202) 및 상부지지부재(203)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지지부재(203)의 상면에 금속제의 커버(207)가 배치되어 있다. 벽부재(206)는 개구부(116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블랭킹 가공함으로써, 송풍로(111A)를 따라 송풍되는 조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공기조화기(200)에 의하면, 실내열교환기실(106A)은 하부지지부재(202), 실내송풍기(110), 스위치박스(204), 댐퍼장치(11), 송풍로형성부재(205), 및 상부지지부재(203)를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하여 형성되기 때문에,조립공정이 용이하고, 제조비가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이 공기조화기(200)에 의하면, 발포 스티렌 수지로 만들어진 상부지지부재(203) 및 송풍로형성부재(205)에 의해 송풍로(111A)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온공기가 송풍될 때, 열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그 외에, 공기조화기의 본체,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판넬, 격벽판넬에 마련된 개구부, 베이스홀더, 댐퍼, 지지부, 플레이트부, 힌지부, 조작부, 레버, 관통편, 연결부재, 유지수단, 돌출부, 함물부, 접촉부, 그루브, 유지부, 안내통로, 포착부, 슬릿, 고정수단, 맞물림부, 장착공 등의 재질, 형상, 칫수, 형태, 수, 배치위치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선택되며, 한정되지 않는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2도는 댐퍼장치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댐퍼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5도는 조작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연결부재의 그루브와 유지수단의 포착부와의 상대위치를 나타낸 댐퍼장치의 대표적 단면도,
제7도는 유지수단과 포착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연결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는 그루브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10(A)도, 제10(B)도 및 제10(C)도는 유지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포착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대표적 평면도,
제12도는 공기조화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3도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14도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제15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댐퍼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4)

  1. 사각통 형상의 하우징본체는 그 내부가 환기용 개구부를 찾는 격벽판넬에 의해 실내열교환기실과 실외열교환기실로 구획되며, 상기 하우징본체 내에 마련된 베이스홀더에 상기 개구부를 개폐조작하기 위한 댐퍼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홀더의 상기 격벽판넬 측의 후단부에 지지된 댐퍼와, 상기 베이스홀더의 실내측의 전단부에 배치된 슬라이드레버를 갖는 조작부와, 상기 댐퍼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의 기계적 변위에 따라 상기 펌퍼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합성수지제의 굴곡가능한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홀더에는 상기 베이스홀더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상기 연결부재가 통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포착부를 가지는 유지수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상기 댐퍼 사이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과 상기 조작부 사이의 각각에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이 원주 또는 각주 형상의 돌출부이고 타측이 함몰부인 결합구조로 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댐퍼 및 상기 조작부의 변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댐퍼 및 상기 조작부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의 안내통로는 경사면과 평탄면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의 접속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베이스홀더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개구부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막힌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에 굴곡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60007056A 1995-04-20 1996-03-15 공기조화기 KR100428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95653A JPH08291922A (ja) 1995-04-20 1995-04-20 空気調和機
JP95-95653 1995-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77A KR960038277A (ko) 1996-11-21
KR100428072B1 true KR100428072B1 (ko) 2004-07-21

Family

ID=1414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7056A KR100428072B1 (ko) 1995-04-20 1996-03-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706672A (ko)
EP (1) EP0738857B1 (ko)
JP (1) JPH08291922A (ko)
KR (1) KR100428072B1 (ko)
CN (1) CN1127641C (ko)
AU (1) AU709690B2 (ko)
DE (1) DE69612638T2 (ko)
EG (1) EG20988A (ko)
ES (1) ES2156256T3 (ko)
GR (1) GR3036267T3 (ko)
IN (1) IN187067B (ko)
MY (1) MY117341A (ko)
PT (1) PT738857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91C (zh) * 1996-07-15 2004-03-24 Lg电子株式会社 窗式空调器的通风装置
KR100217118B1 (ko) * 1997-05-29 1999-09-01 전주범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측 차단벽체
KR19980085626A (ko) * 1997-05-29 1998-12-05 배순훈 에어콘의 응축기 냉각장치
KR100208144B1 (ko) 1997-06-05 1999-07-15 윤명혁 공기흐름전환식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
ES2160447B1 (es) * 1998-08-13 2002-05-16 Bsh Fabricacion Sa Acondicionador de aire movil.
JP3052942B2 (ja) * 1998-09-30 2000-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ユニット
TW542517U (en) * 2002-11-22 2003-07-11 Benq Corp Fastening device with restricted three-dimensional direction
US7111841B2 (en) * 2003-12-22 2006-09-26 Xerox Corporation Mechanism for adapting cassette guide movement for size detection
JP4782171B2 (ja) * 2008-06-25 2011-09-28 リンナイ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
TWI403248B (zh) * 2010-06-08 2013-07-21 Wistron Corp 卡合裝置及具有該卡合裝置的物品
CN102291958B (zh) * 2010-06-17 2014-06-2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卡合装置及具有该卡合装置的物体
US10188179B2 (en) * 2013-10-11 2019-01-29 Aplix Fastener
US9474338B2 (en) * 2013-10-11 2016-10-25 Aplix Fastener
US9676297B2 (en) * 2015-02-18 2017-06-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ntilever snap tab attach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1582A (en) * 1954-10-01 1957-08-06 Whirlpool Seeger Corp Intake and exhaust damper control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832943A (en) * 1954-12-09 1958-04-29 Cutler Morris Detachable coupling
US2950667A (en) * 1957-09-20 1960-08-30 Gen Electric Room air conditioner having vent control means
US3228254A (en) * 1963-05-28 1966-01-11 Illinois Tool Works Snap on control mechanism
US3617077A (en) * 1969-10-03 1971-11-02 Gen Electric Knob means for electronic device slideable control
US3792593A (en) * 1972-08-10 1974-02-19 Gen Motors Corp Fresh air damper arrangement for room air conditioner
US3841110A (en) * 1973-12-21 1974-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Room air conditioner damper door operat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8857A3 (en) 1998-01-07
JPH08291922A (ja) 1996-11-05
PT738857E (pt) 2001-08-30
KR960038277A (ko) 1996-11-21
DE69612638T2 (de) 2001-09-27
IN187067B (ko) 2002-01-19
MY117341A (en) 2004-06-30
US5706672A (en) 1998-01-13
CN1127641C (zh) 2003-11-12
CN1186930A (zh) 1998-07-08
ES2156256T3 (es) 2001-06-16
GR3036267T3 (en) 2001-10-31
DE69612638D1 (de) 2001-06-07
AU4446596A (en) 1996-10-31
EG20988A (en) 2000-08-30
AU709690B2 (en) 1999-09-02
EP0738857A2 (en) 1996-10-23
EP0738857B1 (en)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072B1 (ko) 공기조화기
CA2263242C (en) Airway vent
US9534802B2 (en) Ventilation device
JPS5816582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ツト
CN111919071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00270636B1 (ko) 환기팬
US5800259A (en) Grill assembly
JP2004092998A (ja) スライド式ロック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GB2170589A (en) Ventilation device for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143994C (zh) 空调器及其生产方法
JP4654661B2 (ja) 風向き調整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215675688U (zh) 香氛组件及空调室内机
JP2959547B2 (ja) 空気調和装置の床置き型室内機
CN111936796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CN111936798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00336588B1 (ko) 룸 에어컨용 공기 유도 조립체
EP4023950A1 (en) Mobile air conditioner
KR100345004B1 (ko) 창문형 에어컨의 그릴 개폐장치
KR200186563Y1 (ko) 공조기기
KR0182590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100825715B1 (ko) 공조유니트
JP3369364B2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節装置
JPS5834356Y2 (ja) 空気調和ユニツトの換気装置
JPS6227777Y2 (ko)
KR20010024625A (ko) 공기 조화기용 공기 배출 조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