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590B1 -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590B1
KR0182590B1 KR1019960039760A KR19960039760A KR0182590B1 KR 0182590 B1 KR0182590 B1 KR 0182590B1 KR 1019960039760 A KR1019960039760 A KR 1019960039760A KR 19960039760 A KR19960039760 A KR 19960039760A KR 0182590 B1 KR0182590 B1 KR 018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vaporator
condensate
air condition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032A (ko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5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는, 본체의 양내측벽과 증발기의 양단과의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커버수단이 갖추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수단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이슬맺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제1커버수단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응축수가 전선의 컨넥터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설치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온도센서를 수납하여 외부충돌방지 및 정확한 센싱을 유도하는 덮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이슬맺힘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생성된 응축수가 절연체를 타고 흐르지 않게 유도하면서 그 응축수가 응축수받이로 전량 집수되게 흐름을 안내하고, 또 컨넥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부재에 의해 수납되게 함과 동시에 그 컨넥터부분으로 응축수가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며, 또 와이어클립이 커버수단을 관통하여 증발기의 브라켓에 고정되게 하여서 커버수단이 파손 및 탈착되는 현상을 없애고, 또 온도센서가 피물체에 접촉되어 온도값이 변화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물체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커버수단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수단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한쪽 커버수단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40 : 증발기
41 : 브라켓 42 : 체결홀
43 : 클립고정홀 160 : 전선
161 : 컨넥터 180 : 와이어클립
190 : 클립 191 : 온도센서
300,400 : 제1 및 제2커버수단 310,410 : 커버몸체
311,411 : 곡면부 312 : 수납부
312a : 인입구 312b : 걸림홈
313 : 클립통과홀 314,327,412 : 체결홀
315 : 리브 316,414 : 안내턱
320 : 덮개판 321 : 컨넥터보호부
322 : 센서보호부 323 : 센서통과홀
324 : 유턴부 324a : 인출구
325 : 걸림돌기 326 : 고정홀
328 : 통풍구 500 : 체결나사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질의 커버수단에 의해 실내기측 본체내의 하단에 경사지게 설치된 증발기의 양측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로서, 전방과 상하부측이 개구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측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흡입구(21)가 형성된 흡입그립부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추측에는 상기 흡입구(21)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중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에어필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내부에 대하여 상기 에어필터(30)의 후측에는 에어필터(30)를 통과한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40)의 하측에는 증발기(40)에서 실내공기가 열교환되면서 서로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여 도시하지 않은 배수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응축수받이(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토출구(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대하여 증발기(40)와 토출구(60)의 사이공간에는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흡입구(21)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본체(10)내부로 강제흡입되게 함과 동시에 그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40)를 거쳐 토출구(60)로 토출되도록 송풍수단(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흡입그릴부재(20)와 토출구(60)의 사이에는 소정높이에 조작수단(80)이 설치된 전면판넬(9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60)에는 토출구(60)를 통하여 실내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스윙되는 상하 및 좌우풍향조절수단(100)(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70)은,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10)내의 소정높이에 고정된 덕트부재(71)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덕트부재(71)내에 일부 수용 가능케 상기 본체(10)내의 배면에 고정된 모터(72)와, 상기 모터(7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모터축(73)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도록 상기 덕트부재(71)내에 설치된 팬(7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내의 바닥면에는 공기조화기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120) 및 트랜스(130) 등이 내장된 콘트롤박스체(140)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종래에 의한 커버수단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체(10)내의 하부측에는 본체(10)의 양내측벽에 고정되는 지지대(170)에 의해 증발기(40)가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그 양단이 본체(10)의 양내측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40)의 양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금속재질의 브라켓(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41)의 전방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양내측벽과 증발기(40)의 양단과의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체결방식에 의해 커버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50)에는 그 하단 일측에 컨넥터(161)를 가진 전선(160)이 전방으로 도출되도록 절결홈(1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상기 흡입그릴(20)과 연결된 와이어클립(180)이 클립핑되도록 클립고정홀(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70)에는 그 일측에 클립(190)이 훅킹되어 온도센서(191)를 증발기(40)의 상부측에 고정하도록 고정홀(17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0은 데코다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전면판넬(90)에 설치된 조작수단(80)의 조작에 따라 소비자의 취향에 알맞는 온도, 풍향각 및 시간 등으로 선택하여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송풍수단(70)의 모터(72)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서 그 모터축(73)을 매개로 고정된 팬(7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팬(74)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송풍력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표시한 화살표방향과 같이 흡입그릴부재(20)에 형성된 다수개의 흡입구(21)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강제출입됨과 동시에 흡입그릴부재(20)의 후측에 설치된 에어필터(30)의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그리고, 에어필터(30)를 통과한 공기는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온도에 따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된 후, 덕트부재(71)의 전후면에 뚫려진 유입구(71a)를 통하여 덕트부재(71)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덕트부재(71)의 상부에 개구된 유출구(71b)를 통하여 본체(10)내의 상부로 상승되고, 이어서 토출구(60)를 통하여 실내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토출구(6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전원을 인가받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스윙하는 상하 및 좌우풍향조절수단(100)(110)에 따라 흐름이 바뀌게 되면서 원하는 실내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낮은 온도로 냉방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는, 증발기(40)와 본체(10)의 양측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커버부재(150)가 증발기(40)의 양단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커버부재(15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열전달계수가 높음에 따라 많은 량의 응축수가 전표면에 걸쳐 쉽게 맺히게 됨은 물론 그 응축수가 커버부재(150)의 안내가 없이 절연체를 타고 흘러내려 응축수받이(50)의 외부로 누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커버부재(150)는 그 하단에 형성된 절결홈(151)에 의해 전선(160)이 통과되게 하는 기능만을 부여하고 있을 뿐, 전선(160)의 컨넥터(161)부분을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커버부재(150)를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상기 컨넥터(161)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커버부재(150)는 그 상단에 형성된 클립고정홀(152)에 의해 와이어클립(180)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연결상태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흡입그릴(20)을 탈착시킬때 와이어클립(180)에 전달되는 힘(견인력)이 커버부재(150)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 커버부재(150)가 무리한 힘을 받아 쉽게 파손 및 탈착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온도센서(191)는 증발기(40)를 고정시키는 지지대(170)에 클립(190)을 매개로 고정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191)가 피물체(예컨대, 사람의 손이나 또는 온도변화가 심한 물체)에 접촉되어 온도값이 변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191) 및 클립(190)이 조그만 외력에 의해서도 보호되지 못하고 쉽게 위치이동 및 파손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수단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이슬맺힘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생성된 응축수가 절연체를 타고 흐르지 않게 유도하면서 그 응축수가 응축수받이로 전량 집수되게 흐름을 안내하고, 또 컨넥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별도부재에 의해 수납되게 함과 동시에 그 컨넥터부분으로 응축수가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며, 또 와이어클립이 커버수단을 관통하여 증발기의 브라켓에 고정되게 하여서 커버수단이 파손 및 탈착되는 현상을 없애고, 또 온도센서가 피물체에 접촉되어 온도값이 변화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물체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는, 본체의 양내측벽과 증발기의 양단과의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커버수단이 갖추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수단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이슬맺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제1커버수단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응축수가 전선의 컨넥터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설치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온도센서를 수납하여 외부충돌방지 및 정확한 센싱을 유도하는 덮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수단의 조립상태 및 분해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로서, 참조부호 300 및 400은 상기 본체(10)의 양내측벽과 증발기(40)의 양단과의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각각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 및 제2커버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제1커버수단(300)은, 합성수지로 재질변경함에 따라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적은 이슬맺힘을 유도하면서 그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체결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몸체(310)와, 상기 전선(160)을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컨넥터(161)에 침투되지 않게 하면서 상기 온도센서(191)가 정확히 센싱되게 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상기 커버몸체(310)의 하단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덮개판(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커버몸체(310)에는 그 중앙측에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표면을 타고 일 방향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 상기 응축수받이(50)로 안내되도록 전방으로 완만한 곡면부(311)가 볼록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에는 상기 덮개판(320)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선(160)의 인입 및 인출상태가 서로 엇갈리게 하면서 상기 컨넥터(161)가 수납되도록 후방으로 수납부(31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측 일측(우측단)에는 상기 와이어클립(180)이 통과되어 상기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형성된 클립고정홀(43)에 고정되도록 클립통과홀(31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몸체(310)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우측단)에 다수개의 체결나사(500)가 관통되어 상기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형성된 체결홀(42)에 체결됨에 따라 제1커버수단(300)이 증발기(40)에 고정되도록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체결홀(314)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면부(311)와 수납부(312)의 사이 경계부분에는 곡면부(311)를 타고 흘러내리는 응축수가 수납부(312)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일정높이의 리브(315)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방향으로 따라 양측면에는 상기 곡면부(311)를 타고 흐르는 응축수가 양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턱(316)이 전후방을 향해 일정폭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312)에는 그 하단 일측(좌측단)에 상기 커버몸체(310)의 후측에서 상기 전선(160)이 수납부(312)로 인입되도록 인입구(312a)가 일부 절결형성되어 있고, 그 상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덮개판(320)이 걸림작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걸림홈(312b)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덮개판(320)은 그 일측(좌측단)에 상기 커버몸체(310)의 수납부(312)를 커버하는 컨넥터보호부(321)와, 그 타측(우측한)에 상기 온도센서(191)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센서보호부(3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컨넥터보호부(321)와 센서보호부(322)의 사이에는 상기 온도센서(191)가 수납부(312)에서 덮개판(320)의 전방으로 도출되도록 센서통과홀(3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넥터보호부(321)에는 그 일측(좌측단)에 상기 수납부(312)에 형성된 인입구(312a)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어 응축수가 전선(160)을 타고 흐르지 못하도록 하부를 향해 인출구(324a)를 가진 유턴부(32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 상하단에는 상기 수납부(312)에 형성된 걸림홈(312b)속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각도변화에 따라 걸림 작용이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걸림돌기(325)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보호부(322)에는 그 일측(좌측단) 중앙에 상기 센서통과홀(323)로 인출된 온도센서(191)가 클립(190)을 매개로 고정되도록 고정홀(326)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좌측단) 상하측에는 상기 커버몸체(310)에 형성된 체결홀(314)과 일치되도록 체결홀(327)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그 정면과 타측면(우측)에는 냉기가 순환되도록 다수개의 통풍구(328)가 일부 절결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커버수단(400)에는 그 커버몸체(410)의 중앙측에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표면을 타고 일방향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 상기 응축수받이(50)로 안내되도록 전방으로 완만한 곡면부(411)가 볼록하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커버몸체(4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좌측단)에 다수개의 체결나사(500)가 관통되어 상기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형성된 체결홀(42)에 체결됨에 따라 제2커버수단(400)이 증발기(40)에 고정되도록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체결홀(412)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그 커버몸체(410)의 하부측에는 상기 증발기(40)의 냉매관(44)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방으로 냉매수납부(413)가 볼록하게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몸체(41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따라 양측면에 상기 곡면부(411)를 타고 흐르는 응축수가 양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안내턱(414)이 전후방을 향해 일정폭으로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증발기(40)에 제1 및 제2커버수단(300)(400)을 취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몸체(310)(410)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홀(314)(412)과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홀(42)을 상호 일치시킴과 동시에 커버몸체(310)(410)측에서 다수개의 체결나사(500)를 이용하여 체결조립함으로써 제1 및 제2커버수단(300)(400)과 증발기(40)와의 조립이 완료됨은 물론, 이들 제1 및 제2커버수단(300)(400)에 의해 본체(10)의 양내측벽과 증발기(40)의 양단과의 사이에 발생된 일정간격이 커버된다.
이때, 사용되는 커버몸체(310)(41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있고, 그 중앙높이에 곡면부(311)(411)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절곡형성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소재특성상 열전달계수가 낮음에 따라 이슬맺힘현상이 적음은 물론 그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가 곡면부(311)(411)를 타고 흐를 때 곧바로 응축수받이(50)로 전량 집수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절연체를 타고 흐르는 누수현상이나 또는 응축수받이(50)의 밖으로 벗어나는 누수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와이어클립(180)을 취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몸체(3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클립통과홀(313)에 와이어클립(180)을 통과시킨 다음, 와이어클립(180)과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형성된 클립홀(43)을 걸림작용에 의해 상호 고정하여 준다.
이때, 와이어클립(180)은 커버몸체(310)에 고정되지 않고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고정됨으로, 고정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뿐만 아니라 흡입그릴(20)을 탈착시킬 때 와이어클립(180)에 전달되는 힘이 커버몸체(310)에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커버몸체(310)가 파손 및 탈착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제1커버수단(300)에 전선(160)의 인입 및 인출상태와 컨넥터(161)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몸체(310)와 덮개판(320)을 분리시킨 다음, 커버몸체(310)의 후방측에 위치한 전선(160)과 연결된 컨넥터(161)를 커버몸체(310)의 수납부(312)의 하단에 형성된 인입구(312a)를 통하여 커버몸체(310)의 전방측으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그 수납부(312)에 상기 컨넥터(161)를 수납시킨다.
그리고, 상기 컨넥터(161)에 또 다른 전선(160)에 연결된 컨넥터(161)를 접속시킨 다음, 상기 또 다른 전선(160)을 덮개판(320)의 컨넥터보호부(321)에 형성된 인출구(324a)를 통하여 덮개판(320)의 전방측으로 인출시키고, 수납부(312)를 덮개판(320)에 의해 덮어준다.
즉, 수납부(312)의 상하단에 형성된 걸림홈(312b)과 덮개판(320)의 일측 상하단에 돌설된 걸림돌기(325)를 결합시키면, 수납부(312)와 덮개판(32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314)(327)이 자동적으로 일치됨과 동시에 증발기(40)의 브라켓(41)에 형성된 체결홀(42)과 자동적으로 일치되고, 이들 체결홀(314)(327)(42)은 하나의 체결 나사(500)에 의해 체결 조립됨으로써 수납부(312)와 덮개판(320)과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수납부(312)의 인입구(312a)와 덮개판(320)의 인출구(324a)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됨으로, 전선(160)의 인입 및 인출상태가 굴곡될 뿐만 아니라 인출구(324a)의 상부에 돌설된 유턴부(324)에 의해 수납부(312)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160)이 역 U자 형상으로 더욱 굴곡된다.
이로 인해서, 커버몸체(310)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응축수가 전선(160)을 따라 수납부(312)로 침투되지 못하게 되고, 수납부(312)에 수납된 컨넥터(161)는 물침투 및 이물질 등에 의해 보호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온도센서(191)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납부(312)에 덮개판(320)을 결합하기 전에, 수납부(312)에서 온도센서(191)를 덮개판(320)에 형성된 센서통과홀(323)을 통하여 덮개판(320)의 전방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온도센서(191)에 클립(190)을 끼움과 동시에 그 클립(190)의 끝부분을 덮개판(320)에 형성된 고정홀(326)속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클립(190)은 자체 반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고정홀(326)에 걸림작용이 이루어져 고정된다.
이때, 온도센서(191)는 덮개판(320)의 일측에 일체로 돌설된 센서보호부(322)내에 수납된 상태가 됨으로, 온도센서(191)가 피물체에 접촉되어 온도값이 변화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물체에 부딪쳐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에 의하면, 커버수단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그 일측에 곡면부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을 미려할 수 있음은 물론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이슬맺힘현상을 감소시키고, 생성된 응축수가 절연체를 타고 흐르지 않게 유도하면서 그 응축수가 응축수받이로 전량 집수되게 흐름을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커버수단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면서 전선의 인입 및 인출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컨넥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과 동시에 그 컨넥터부분으로 웅축수가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와이어클립이 커버수단을 관통하여 증발기의 브라켓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수단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생되었던 파손 및 탈착현상을 없앨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커버수단에 온도센서를 수납 및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센서가 피물체에 접촉되어 온도값이 변화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물체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본체의 양내측벽과 증발기의 양단과의 사이간격을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커버수단이 갖추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커버수단에는, 사출성형에 의해 열전달계수를 낮추어 이슬맺힘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그 표면에 형성된 응축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제1커버수단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응축수가 전선의 컨넥터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설치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온도센서를 수납하여 외부충돌방지 및 정확한 센싱을 유도하는 덮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1019960039760A 1996-09-13 1996-09-13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8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760A KR0182590B1 (ko) 1996-09-13 1996-09-13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760A KR0182590B1 (ko) 1996-09-13 1996-09-13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32A KR19980021032A (ko) 1998-06-25
KR0182590B1 true KR0182590B1 (ko) 1999-05-01

Family

ID=1947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760A KR0182590B1 (ko) 1996-09-13 1996-09-13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41B1 (ko) * 2004-03-05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042B1 (ko) * 1998-12-03 2001-11-22 유현식 신규메탈로센화합물및그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41B1 (ko) * 2004-03-05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032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590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JP3174002B2 (ja) 天井吊り形空気調和機
KR0139386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200152124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100491791B1 (ko) 공기조화기
KR200154576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39305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39385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39384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39383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20000006421U (ko) 공기조화기용실내기
KR0139389Y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센서 취부장치
KR19980016406U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20000057823A (ko) 공기조화기
KR200146184Y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조립장치
JP2732301B2 (ja) 温風乾燥装置における壁面取付構造
KR100656166B1 (ko)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
KR012964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400103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146109Y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열교환기 고정장치
JPS6219854Y2 (ko)
KR100371851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JPS62198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