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360A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360A
KR20240010360A KR1020220087847A KR20220087847A KR20240010360A KR 20240010360 A KR20240010360 A KR 20240010360A KR 1020220087847 A KR1020220087847 A KR 1020220087847A KR 20220087847 A KR20220087847 A KR 20220087847A KR 20240010360 A KR20240010360 A KR 20240010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ase
heater
outdoor uni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웅
고정욱
박재찬
신광남
윤승진
임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360A/ko
Priority to PCT/KR2023/005720 priority patent/WO2024014671A1/ko
Priority to US18/143,263 priority patent/US20240019169A1/en
Publication of KR2024001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베이스를 관통하여 베이스에 장착되고 하우징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을 형성하는 배수 플러그 및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배수 플러그의 내측으로 전달하도록 히터와 연결되고 배수 플러그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개시는 배수 홀의 결빙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장치로,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한 분리형 공기 조화기가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공기와 열 교환하는 실외 열 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 밸브 유닛 및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 열 교환기, 팽창 밸브 유닛, 압축기 및 송풍팬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하우징은 각종 장치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내부에서 발생한 제상수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 홀을 포함한다.
그러나,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가 한랭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또는 겨울철의 경우 이러한 배수 홀에 결빙이 발생하여 내부의 수분 배출이 어렵게 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개선된 배수 구조를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을 형성하는 배수 플러그 및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히터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히터와 상기 배수 플러그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서포트 플랜지 및 상기 서포트 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팅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랜지는 상기 히터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받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열 전달부로부터 상기 배수 플러그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히팅 바디와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바디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측에 배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 플러그의 상기 배수홀의 내측에 수용되는 보조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는 상기 보조 배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수부는 상기 배수홀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보조 배수부의 직경은 12m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홀을 포함하는 배수 바디 및 상기 배수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장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리브는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연장 리브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기 배수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가 삽입되는 베이스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 리브 및 상기 고정 리브의 반대 측에서 상기 배수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고정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바디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연결부 및 상기 베이스 연결부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배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 바디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배수 플러그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 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배수 바디의 상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히터 사이의 영역에 상기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배수 플러그와 이격 되도록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와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의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배수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을 향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수 플러그 및 상기 히터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트 플랜지 및 상기 상기 서포트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 가이드부와 이격 되도록 상기 배수 플러그에 수용되는 히팅 바디를 포함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랜지는 상기 히터와 연결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열 전달부와 상기 히팅 바디를 연결하도록 상기 열 전달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의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되고,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수 바디를 포함하는 배수 플러그 및 양 단이 상기 히터에 지지되며 일부가 상기 배수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배수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보조 배수부를 포함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수부의 직경은 12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와 연결된 열전도 플레이트가 배수 플러그의 내측으로 삽입 됨으로써 배수 홀 및 그 주변부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 홀 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 배수부를 배수 홀의 내측에 형성하여 설치류 또는 벌레 등이 실외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부품을 제거하여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E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E부분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E부분을 일 측에서 베이스를 생략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E부분을 타 측에서 베이스를 생략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와 실외기(1)는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내기 및 실외기(1)는 전원 및 전기 신호의 전달을 위한 전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실외기(1)는 냉매관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다.
실내기(미도시)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하는 실내 열 교환기(20)와, 실내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내 공기가 실내 열 교환기(20)를 통과하도록 하는 실내 송풍 팬(30)과, 냉매를 감압 팽창 시키는 팽창 밸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 교환기(20)와, 실외 공기를 흡입 및 송풍하여 실외 공기가 열 교환기(20)를 통과하도록 하는 송풍 팬(30)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열 교환기(20), 송풍 팬(30) 및 압축기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외 열 교환기(20)는 열 교환기(20)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탑 하우징(11), 베이스(12), 사이드 하우징(13) 및 리어 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하우징(11)은 실외기(1)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2)는 실외기(1)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2)에는 열 교환기(20) 및 압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탑 하우징(11)과 베이스(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실외기(1)의 일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탑 하우징(11) 및 베이스(12)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후술할 기계실(60)을 외부와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기계실(6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계실(60)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다.
사이드 하우징(13)은 사이드 핸들부(13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핸들부(13a)는 사이드 하우징(13)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사이드 핸들부(13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이드 핸들부(13a)는 사이드 하우징(13)의 일 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사이드 핸들부(13a)를 파지하여 사이드 하우징(13)을 분리함으로써 기계실(60)에 접근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은 탑 하우징(11)과 베이스(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은 실외기(1)의 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은 탑 하우징(11) 및 베이스(12)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은 기계실(60)이 외부와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은 기계실(60)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기계실(6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은 사이드 하우징(13)과 연결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4)과 사이드 하우징(1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외기(1)는 열 교환기(20) 및 송풍 팬(30)을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베이스(12)에 설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실외공기와 열 교환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팬 수용실(32)에 수용되어 송풍 팬(30)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의 영향을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는 송풍 팬(30)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의 전방에는 송풍 팬(30)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 팬(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팬(30)은 베이스(12)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 팬(30)은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 팬(30)은 열 교환기(20) 후방의 공기가 열 교환기(20)를 향해 유동되도록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 팬(30)은 열 교환기(2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된 공기를 실외기(1)의 외부로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된 공기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일 수 있다.
실외기(1)는 팬 구동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구동부(31)는 송풍 팬(30)을 구동시키도록 송풍 팬(30)과 결합될 수 있다. 팬 구동부(31)는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30)은 기계실(60)을 냉각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외기(1)는 기계실(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60)은 송풍 팬(3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60)은 실외기(1) 내부에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60)의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의 내부에는 컨트롤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60)의 내부에는 압축기를 수용하는 수용 프레임(62) 및 컨트롤박스를 수용하는 컨트롤 프레임(61)이 마련될 수 있다.
실외기(1)는 제1 파티션(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기계실(60)이 구획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베이스(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은 송풍 팬(3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기계실(60)로 유입되게 마련되는 제1 유동홀(7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제2 파티션(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기계실(60)이 구획되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기계실(60)을 냉각한 공기가 송풍 팬(30)으로 다시 흡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동홀(8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열 교환기(20)와 송풍 팬(30)이 설치되는 공간과 압축기 및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티션(80)의 일 측에는 기계실(60)이 형성되고 제2 파티션(80)의 타 측에는 팬 수용실(32)이 형성될 수 있다. 기계실(60)과 팬 수용실(32)은 제2 파티션(80)을 기준으로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전방의 제1단부가 제1 파티션(70)과 연결되고, 후방의 제2단부가 열 교환기(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파티션(80)은 기계실(60)을 팬 수용실(32)과 구분지을 수 있다.
제2 파티션(80)은 대략 곡선의 단면을 갖도록 구부러진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2 파티션(8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파티션(80)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실외기(1)는 서포트 프레임(90)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팬 가드(40)의 후방에서 제1 파티션(70)의 측방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팬 가드(4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프레임 바디(9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에는 개구(91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의 개구(911)를 통해, 송풍 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서포트 프레임(90)과 팬 가드(40)를 통과하여 실외기(1)의 전방으로 배출되거나 기계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91)는 팬 가드(4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드 고정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고정부(912)는 팬 가드(40)의 위치가 프레임 바디(91)의 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가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 고정부(912)는 팬 가드(40)가 프레임 바디(91)에 스크류 결합되기 전 팬 가드(40)의 위치를 가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드 고정부(912)는 프레임 바디(9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하우징 체결부(92) 및 파티션 체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제1 파티션(70)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제1 파티션(70)과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프레임 바디(9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파티션 체결부(93)를 통해 제1 파티션(70)과 결합될 수 있다. 파티션 체결부(93)는 서포트 프레임(90)으로부터 제1 파티션(7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부(92)는 서포트 프레임(90)의 프레임 바디(9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하우징 체결부(92)를 통해 탑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프레임(90)의 프레임 바디(91) 하부는 베이스(12)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 체결부(92)가 프레임 바디(9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2)와 서포트 프레임(90)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서포트 프레임(90)은 열교환기 체결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90)은 열교환기 체결부(94)를 통해 열 교환기(20)의 일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열 교환기(20)의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는 제2 파티션(8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팬 수용실(32)은 열 교환기(20)와 서포트 프레임(90) 및 제2 파티션(8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실외기(1)는 팬 가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가드(40)는 송풍 팬(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팬 가드(40)는 외부의 이물질이 실외기(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일부 차단하도록 송풍 팬(3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가드(40)는 서포트 프레임(90)의 개구(911)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가드(40)는 송풍 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실외기(1)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 가드(4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리브사이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팬 가드(40)는 송풍 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기계실(60)을 향해 유동되도록 제1 파티션(70)을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되는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팬(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유동부를 통해 제1 파티션(70)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 가드(40)의 유동부를 통과한 공기는 프론트 커버(50)와 제1 파티션(70)의 사이로 유동되어 제1 파티션(70)의 제1 유동홀(711)을 통해 기계실(60)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기(1)는 프론트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기계실(60)의 전방에서 팬 가드(40)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팬 가드(40)와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제1 파티션(7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커버(50)는 팬 가드(40)의 유동부를 통과한 공기를 제1 파티션(70)의 제1 유동홀(711)로 가이드하도록 제1 파티션(7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커버(50)는 팬 가드(40)의 측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기계실(60)로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0)는 팬 가드(40)와 함께 실외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부품을 제거하여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에서 팬 가드(40), 서포트 프레임(90), 송풍 팬(30) 및 팬 구동부(31) 등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1)의 베이스(12)에는 히터(140)가 장착될 수 있다. 히터(140)는 베이스(12)의 좌우 방향을 따라 베이스(12)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40)는 실외기(1)에서 발생되는 제상수 또는 눈과 비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물이 베이스(12) 상에서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터(140)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열 전도 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는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히터(140)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히터(140) 사이의 영역에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도 11 참조).
여기서, 히터(140)가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는 것은 열 전도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히터(14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는 별도의 열 공급원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히터(140)는 장착 브라켓(143)에 의해 베이스(12)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43)은 히터(14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베이스(12)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43)은 베이스(12)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12)에 대한 히터(14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히터(140)는 베이스(12)의 후방 내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히터(14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40)는 베이스(12)의 측방 내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터(140)는 장착 브라켓(143)에 의해 베이스(12)의 내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0)는 베이스(12)의 내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되도록 베이스(1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히터(140)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일 단은 제1 히터(141)와 접촉하여 제1 히터(1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일 단과 반대되는 타 단은 제2 히터(142)와 접촉하여 제2 히터(1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베이스(12)를 관통하여 베이스(12)에 장착되는 배수 플러그(200)에 안착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히터(14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으로 전달하도록 배수 플러그(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일부분은 히터(140)와 연결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나머지 부분은 배수 플러그(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도 3의 E부분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배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의 베이스(12)에는 제1 히터(141) 및 제2 히터(142)가 설치될 수 있다. 개방부(121)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21)는 베이스(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1)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에 의해 지지되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양 단이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에 접촉되며 베이스(12)의 개방부(121)를 통과할 수 있다.
실외기(1)는 배수 플러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베이스(12)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의 일부분은 베이스(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의 나머지 일부는 베이스(12)의 개방부(121)를 통해 베이스(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실외기(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베이스(12)에 장착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서포트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플랜지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플랜지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 및 제2 서포트 플랜지(120)와 연결되는 히팅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 바디(130)는 서포트 플랜지(110, 120)로부터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 바디(130)의 양 단에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가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히팅 바디(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는 제1 히터(141)와 배수 플러그(20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의 단부는 제1 히터(141)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히터(14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는 제1 열 전달부(111) 및 제1 절곡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전달부(111)는 제1 히터(141)와 접촉되어 제1 히터(14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부(111)의 단부는 제1 히터(141)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열 전달부(111)는 배수 플러그(200)와 제1 히터(141)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열 전달부(11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열 전달부(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부(111)는 제1 히터(141)로부터 제1 절곡부(112)를 향해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열 전달부(111)는 판형이 아닌 선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 열 전달부(111)는 히팅 바디(130)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제1 절곡부(112)는 제1 열 전달부(111)로부터 배수 플러그(200)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1 절곡부(112)는 히팅 바디(130)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절곡부(112)는 배수 플러그(200)의 안착홈(221)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는 제1 히터(141)와 배수 플러그(20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의 단부는 제1 히터(141)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히터(14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포트 플랜지(120)는 제2 열 전달부(121) 및 제2 절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 전달부(121)는 제2 히터(142)와 접촉되어 제2 히터(14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달부(121)의 단부는 제2 히터(142)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열 전달부(121)는 배수 플러그(200)와 제2 히터(142)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2 열 전달부(12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열 전달부(1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달부(121)는 제2 히터(142)로부터 제2 절곡부(122)를 향해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 열 전달부(121)는 판형이 아닌 선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열 전달부(121)는 히팅 바디(130)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제2 절곡부(122)는 제2 열 전달부(121)로부터 배수 플러그(200)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 절곡부(122)는 히팅 바디(130)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 절곡부(122)는 배수 플러그(200)의 안착홈(221)에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히팅 바디(1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구리(Cu),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US)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열성 및 내식성을 갖는 재질이면 족하다.
배수 플러그(200)는 베이스(12)를 관통하여 베이스(12)에 장착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배수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바디(210)는 베이스(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 바디(210)는 베이스(12)의 개방부(121)를 통해 베이스(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수 바디(210)는 베이스 연결부(211), 배수 가이드부(212), 측벽부(213) 및 배수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연결부(211)는 베이스(12)와 접촉되는 배수 바디(2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연결부(211)의 상면은 베이스(12)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연결부(211)는 베이스(12)의 외측 하면과 접촉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수 바디(210)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 수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바디(210)의 베이스 연결부(211)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 수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수용홈(215)에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실링 부재(101)가 수용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는 베이스(12)와 배수 플러그(200) 사이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는 베이스(12)의 개방부(1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는 베이스(12)의 개방부(121)와 동일한 비율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12)의 개방부(121)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실링 부재(101)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형태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면 족하다.
따라서 배수 플러그(200)에 실링 부재(101)를 배치함으로써, 배수 플러그(200)가 베이스(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12)와 배수 플러그(200)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측벽부(213)는 베이스 연결부(2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212)는 베이스 연결부(211)로부터 배수홀(214)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가이드부(212)는 베이스 연결부(211)와 연결된 측벽부(213)로부터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내부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212)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베이스(12)에 수집된 물이 중력에 의해 배수홀(214)로 보다 원활이 배출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하우징(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214)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홀(214)은 배수 가이드부(212)의 중심에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214)은 원형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만, 배수홀(21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 플러그(200)의 측벽부(213)는 배수홀(214)의 형상에 대응되게 곡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배수홀(214)과 연통되는 배수관(216)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216)은 배수홀(214)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1)의 사용자는 배수관(216)을 이용하여 별도의 연결관을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관(216)에 연결함으로써 실외기(1) 내부의 물을 원하는 곳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배수 바디(2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2)를 관통하고 베이스(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장 리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리브(220)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제1 서포트 플랜지(110)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열 전도 플레이트(10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의 상면에는 안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의 안착홈(221)에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는 배수 플러그(200)의 양 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연장 리브(220)는 총 4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연장 리브(2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장 리브(220)는 배수 플러그(20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연장 리브(220)는 배수 플러그(20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고정 리브(230) 및 고정 후크(2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리브(230)는 배수 바디(2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리브(230)는 서로 마주보는 연장 리브(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리브(230)는 연장 리브(220)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리브(230)와 베이스 연결부(211)의 사이에 베이스(12)가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고정 후크(240)는 배수 바디(2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후크(240)는 고정 리브(230)의 반대 측에서 배수 바디(210)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12)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5는 도 3의 E부분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제1 서포트 플랜지(110)는 제1 히터(141)에 의해 지지되고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제2 서포트 플랜지(120)는 제2 히터(1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히팅 바디(130)는 배수 플러그(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중심에는 보조 배수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는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홀(21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는 배수홀(214)과 연통되는 연통홀(133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6은 도 3의 E부분을 일 측에서 베이스(12)를 생략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E부분을 타 측에서 베이스(12)를 생략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제1 절곡부(112)와 제2 절곡부(122)는 연장 리브(220)의 안착홈(221)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히팅 바디(130)는 제1 절곡부(112)와 제2 절곡부(122)와 연결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배수 플러그(200) 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200)의 고정 리브(230)는 베이스 수용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플러그(200)의 고정 리브(230)는 배수 바디(210)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12)가 삽입되는 베이스(12)수?O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수용홈(231)은 고정 리브(230)와 베이스 연결부(211) 사이에 베이스(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 리브(230)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200)의 고정 후크(240)는 베이스 연결부(2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후크(240)는 상부의 두께와 하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후크(240)의 상부가 베이스(12)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히팅 바디(130)는 삽입부(131), 히팅부(132) 및 보조 배수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삽입부(131)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제1 절곡부(112)와 제2 절곡부(1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일 측의 삽입부(131)는 제1 절곡부(11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타 측의 삽입부(131)는 제2 절곡부(1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히팅부(132)는 삽입부(131)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히팅부(132)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히팅 바디(130)의 보조 배수부(133)는 히팅부(1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홀(214)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히팅부(132)는 보조 배수부(13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부(132)는 경사면(1321)을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132)는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 가이드부(2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는 연장부(1332) 및 연통홀(133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의 연장부(1332)는 히팅부(1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홀(214)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의 연장부(1332)의 내측에는 배수홀(214)과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연통홀(133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는 베이스(12)의 바닥을 관통하도록 베이스(12)에 장착되어 배수홀(214)을 형성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212)는 배수홀(214)을 향해 하우징(10) 내부의 물을 가이드하도록 배수홀(214)과 연결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 가이드부(212)는 배수홀(214)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배수 플러그(200)와 이격 되도록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히팅 바디(130)는 서포트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수 가이드부(212)와 이격되도록 배수 플러그(200)에 수용될 수 있다.
배수 가이드부(212)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배수 공간(S)을 형성한다. 따라서, 베이스(12)의 내부에 수집된 물은 배수 플러그(200)와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형성된 배수 공간(S)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배수 가이드부(212)가 배수홀(214)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물의 배출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 전도 플레이트(100) 상에 수집된 물 또한 보조 배수부(133)의 연통홀(1331)을 통해 배수홀(214)로 배출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는 배수홀(214)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조 배수부(133)의 연통홀(1331)의 직경(d1)은 배수홀(214)의 직경(d2)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배수부(133)의 직경(d1)과 연통홀(1331)의 직경(d1)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보조 배수부(133)의 직경(d1)은 12m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배수부(133)의 직경을 배수홀(21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에 따라, 실외기(1) 외부에 존재하는 설치류 등의 생물 또는 벌레가 실외기(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배수 플러그(200)의 일 측은 고정 리브(230)에 형성된 베이스 수용홈(231)에 의해 베이스(12)에 고정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의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은 고정 후크(240)에 의해 베이스(1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플러그(200)의 고정 후크(240)의 상부가 베이스(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의 고정 후크(240)는 일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플러그(200)의 베이스 수용홈(231)을 베이스(12)에 끼운 후 배수 플러그(200)의 타 측을 베이스(12) 내부로 압입하여 배수 플러그(200)를 베이스(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배수 플러그(200)와 이격되도록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히팅부(132)는 배수 플러그(200)의 배수 가이드부(212)와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제1 서포트 플랜지(110)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가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에 의해 지지되므로,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히팅 바디(130)는 배수 플러그(200)와 이격 배치되되,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으로 열을 공급하기 용이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와 배수 플러그(200)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배수 플러그(200)는 사출이 용이한 수지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도 플레이트(100)와 배수 플러그(200)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배수 플러그(200)의 변형이 유발될 수 있다.
하여, 개시된 발명의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경우 배수 플러그(200)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마련되어 배수 플러그(200)의 변형 및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개시된 발명의 경우, 제1 서포트 플랜지(110)의 제1 열 전달부(111)는 제1 히터(141)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서포트 플랜지(110)의 제1 절곡부(112)는 배수 플러그(200)의 안착홈(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포트 플랜지(120)의 제2 열 전달부(121)는 제2 히터(142)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서포트 플랜지(120)의 제2 절곡부(122)는 배수 플러그(200)의 안착홈(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서포트 플랜지(110)의 제1 절곡부(112)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의 제2 절곡부(122)는 배수 플러그(200)의 안착홈(221)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양 단은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가 배수 플러그(200)에 끼치는 열적 영향이 보다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에 의해 양 단이 지지되는 것으로 상술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제1 히터(141) 또는 제2 히터(142) 중 하나의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열 전도 플레이트(100)의 일 측 단부는 히터(140)에 의해 지지되고, 타 측 단부는 베이스(12)에 스크류 결합되는 방식으로 열 전도 플레이트(100)가 베이스(12) 상에 고정배치 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실외기(1)는 배수 플러그(200)의 구성 없이 열 전도 플레이트(100)만을 베이스(12)의 개방부(121)로 관통하게 배치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구조의 실외기(1)로 설계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실외기(1)는 베이스(12)에 설치되는 부품의 배치에 따라 배수홀(214)이 제1 히터(141)와 제2 히터(142)의 사이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수홀(214)은 제1 히터(141) 또는 제2 히터(142) 중 하나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제1 히터(141)의 외측 또는 제2 히터(142)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 전도 플레이트(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측 단부만이 히터(140)에 의해 지지되는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개시된 발명의 배수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실외기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외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열 전도 플레이트(100)를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한랭지역 또는 겨울철의 실외기(1)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외기(1) 외부의 온도에 무관하게 실외기(1) 내부의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열 전도 플레이트(100)가 배수 플러그(200)와 히터(140) 사이의 영역을 넓게 커버함으로써 배수 플러그(200)의 내측 뿐만아니라 배수 플러그(200) 주변의 베이스(12) 상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특히, 팬 가드(40)를 통해 실외기(1) 내부로 눈이 유입되는 경우 열 전도 플레이트(100)에 쌓이는 눈을 즉각적으로 녹여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홀(214)의 내측에 보조 배수부(133)를 형성하여 외부 생물이 실외기(1)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기(1)의 고장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도 1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와 주요 부품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외기의 베이스에는 제1 히터(141a) 및 제2 히터(142a)가 설치될 수 있다. 개방부는 제1 히터(141a)와 제2 히터(142a)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는 베이스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1)는 제1 히터(141a)와 제2 히터(142a)에 의해 지지되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a)는 서포트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플랜지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a)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플랜지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a) 및 제2 서포트 플랜지(120a)와 연결되는 히팅 바디(130a)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 바디(130a)는 서포트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 바디(130a)의 양 단에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a)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a)가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히팅 바디(130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a)는 제1 히터(141a)와 배수 플러그(200a)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a)의 단부는 제1 히터(141a)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히터(14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a)는 제1 열 전달부(111a) 및 제1 절곡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전달부(111a)는 제1 히터(141a)와 접촉되어 제1 히터(141a)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부(111a)의 단부는 제1 히터(141a)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열 전달부(111a)는 배수 플러그(200a)와 제1 히터(141a)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제1 열 전달부(111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열 전달부(111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부(111a)는 제1 히터(141)로부터 제1 절곡부(112a)를 향해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열 전달부(111a)는 판형이 아닌 선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 열 전달부(111a)는 히팅 바디(130a)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제1 절곡부(112a)는 제1 열 전달부(111a)로부터 배수 플러그(200a)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1 절곡부(112a)는 히팅 바디(130a)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절곡부(112a)는 배수 플러그(200a)의 안착홈(221a)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a)는 제1 히터(141a)와 배수 플러그(200a)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a)의 단부는 제1 히터(141a)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히터(14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포트 플랜지(120a)는 제2 열 전달부(121a) 및 제2 절곡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 전달부(121a)는 제2 히터(142a)와 접촉되어 제2 히터(142a)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달부(121a)의 단부는 제2 히터(142a)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열 전달부(121a)는 배수 플러그(200a)와 제2 히터(142a)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제2 열 전달부(121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열 전달부(121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달부(121a)는 제2 히터(142a)로부터 제2 절곡부(122a)를 향해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 열 전달부(121a)는 판형이 아닌 선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열 전달부(121a)는 히팅 바디(130a)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제2 절곡부(122a)는 제2 열 전달부(121a)로부터 배수 플러그(200a)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 절곡부(122a)는 히팅 바디(130a)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 절곡부(122a)는 배수 플러그(200a)의 안착홈(221a)에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a)는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a)는 구리(Cu),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US)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a)는 배수 바디(21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바디(210a)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 수용홈(215a)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바디(210a)의 베이스 연결부(211a)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 수용홈(215a)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수용홈(215a)에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실링 부재(101a)가 수용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a)는 베이스와 배수 플러그(200a) 사이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a)는 베이스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는 베이스의 개방부와 동일한 비율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의 개방부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a)는 배수 바디(210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를 관통하고 베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장 리브(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리브(220a)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a)의 제1 서포트 플랜지(110a)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a)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열 전도 플레이트(100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a)의 상면에는 안착홈(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a)의 안착홈(221a)에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a)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a)는 배수 플러그(200a)의 양 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a)는 고정 리브(230a) 및 고정 후크(240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리브(230a)는 배수 바디(210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리브(230a)는 서로 마주보는 연장 리브(220a)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리브(230a)는 연장 리브(220a)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리브(230a)와 베이스 연결부(211a)의 사이에 베이스가 끼워질 수 있다.
고정 후크(240a)는 후크 지지부(241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 지지부(241a)는 고정 리브(230a)의 반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후크 지지부(241a)는 서로 마주보는 연장 리브(220a)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후크(240a)는 고정 리브(230a)의 반대 측에서 후크 지지부(241a)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와 주요 부품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외기의 베이스에는 제1 히터(141b) 및 제2 히터(142b)가 설치될 수 있다. 개방부는 제1 히터(141b)와 제2 히터(142b)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는 베이스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1)는 제1 히터(141b)와 제2 히터(142b)에 의해 지지되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b)는 서포트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플랜지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b)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플랜지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b) 및 제2 서포트 플랜지(120b)와 연결되는 히팅 바디(130b)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 바디(130b)는 서포트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배수 플러그(200b)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 바디(130b)의 양 단에는 제1 서포트 플랜지(110b)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b)가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히팅 바디(130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b)는 제1 히터(141b)와 배수 플러그(200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b)의 단부는 제1 히터(141b)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히터(14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b)는 제1 열 전달부(111b) 및 제1 절곡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 전달부(111b)는 제1 히터(141b)와 접촉되어 제1 히터(141b)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부(111b)의 단부는 제1 히터(141b)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열 전달부(111b)는 배수 플러그(200b)와 제1 히터(141b)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제1 열 전달부(111b)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열 전달부(11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열 전달부(111b)는 제1 히터(141b)로부터 제1 절곡부(112b)를 향해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열 전달부(111b)는 판형이 아닌 선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 열 전달부(111b)는 히팅 바디(130b)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제1 절곡부(112b)는 제1 열 전달부(111b)로부터 배수 플러그(200b)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1 절곡부(112b)는 히팅 바디(130b)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절곡부(112b)는 배수 플러그(200b)의 안착홈(221b)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b)는 제1 히터(141b)와 배수 플러그(200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서포트 플랜지(110b)의 단부는 제1 히터(141b)의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히터(14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포트 플랜지(120b)는 제2 열 전달부(121b) 및 제2 절곡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열 전달부(121b)는 제2 히터(142b)와 접촉되어 제2 히터(142b)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달부(121b)의 단부는 제2 히터(142b)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열 전달부(121b)는 배수 플러그(200b)와 제2 히터(142b)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서 제2 열 전달부(121b)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열 전달부(12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열 전달부(121b)는 제2 히터(142b)로부터 제2 절곡부(122b)를 향해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 열 전달부(121b)는 판형이 아닌 선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열 전달부(121b)는 히팅 바디(130b)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제2 절곡부(122b)는 제2 열 전달부(121b)로부터 배수 플러그(200b)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제2 절곡부(122b)는 히팅 바디(130b)와 연결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 절곡부(122b)는 배수 플러그(200b)의 안착홈(221b)에 지지될 수 있다.
열 전도 플레이트(100b)는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플레이트(100b)는 구리(Cu),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US)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b)는 배수 바디(210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바디(210b)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 수용홈(215b)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바디(210b)의 베이스 연결부(211b)의 상면에는 실링 부재 수용홈(215b)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수용홈(215b)에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실링 부재(101b)가 수용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b)는 베이스와 배수 플러그(200b) 사이를 밀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b)는 베이스의 개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1b)는 베이스의 개방부와 동일한 비율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의 개방부보다 약간 크게 마련되어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배수 플러그(200b)는 배수 바디(210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를 관통하고 베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장 리브(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리브(220b)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b)의 제1 서포트 플랜지(110b)와 제2 서포트 플랜지(120b)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열 전도 플레이트(100b)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b)의 상면에는 안착홈(221b)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b)의 안착홈(221b)에는 열 전도 플레이트(100b)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연장 리브(220b)는 배수 플러그(200b)의 양 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 플러그(200b)는 제1 고정 후크(230b) 및 제2 고정 후크(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 플러그(200b)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 플러그(200) 및 도 12에 도시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 플러그(200a)와 달리 고정 리브(230, 230a)의 구성이 생략되고 배수 플러그(200b)의 양 단이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후크(230b)는 베이스 연결부(211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 후크(240b)는 베이스 연결부(211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 후크(230b)와 제2 고정 후크(240b)는 배수 플러그(20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후크(230b)는 제2 고정 후크(240b)의 개수와 대응되게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 후크(230b)와 제2 고정 후크(240b)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1개로 마련되거나 그보다 많은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고정 후크(230b)는 상부의 두께와 하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 후크(230b)의 상부가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고정 후크(240b)는 상부의 두께와 하부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후크(240b)의 상부가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고정 후크(230b)와 제2 고정 후크(240b)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플러그(200b)를 베이스의 내부로 압입함으로써 배수 플러그(200b)를 베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후크(230b)와 제2 고정 후크(240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200b)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고정 후크(230b)와 제2 고정 후크(240b)는 배수 플러그(200b)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실외기
10; 하우징
12; 베이스
121; 개방부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60; 기계실
40; 팬가드
50; 프론트커버
100; 열전도플레이트
110, 120; 제1, 제2 서포트 플랜지
130; 히팅바디
132; 히팅부
133; 보조배수부
200; 배수플러그
210; 배수바디
220; 연장리브
230; 고정리브
212; 배수가이드부
214; 배수홀
1331; 연통홀
221; 안착홈

Claims (20)

  1.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을 형성하는 배수 플러그; 및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히터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히터와 상기 배수 플러그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서포트 플랜지; 및
    상기 서포트 플랜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팅 바디;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랜지는
    상기 히터와 접촉되어 열을 전달받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열 전달부로부터 상기 배수 플러그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히팅 바디와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바디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측에 배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 플러그의 상기 배수홀의 내측에 수용되는 보조 배수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보조 배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수부는 상기 배수홀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보조 배수부의 직경은 12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홀을 포함하는 배수 바디; 및
    상기 배수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장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리브는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의 일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연장 리브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기 배수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가 삽입되는 베이스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 리브; 및
    상기 고정 리브의 반대 측에서 상기 배수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고정 후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바디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되는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연결부; 및
    상기 베이스 연결부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배수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바디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배수 플러그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 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배수 바디의 상면에 형성되는 실링부재 수용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히터 사이의 영역에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배수 플러그와 이격 되도록 상기 배수 플러그의 내측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와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6.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의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배수홀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을 향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는 배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수 플러그; 및
    상기 히터에 의해 지지되는 서포트 플랜지 및 상기 상기 서포트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 가이드부와 이격 되도록 상기 배수 플러그에 수용되는 히팅 바디를 포함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랜지는
    상기 히터와 연결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열 전달부와 상기 히팅 바디를 연결하도록 상기 열 전달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플러그는
    상기 열전도 플레이트의 상기 절곡부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9.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동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베이스에 장착 되는 히터;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 지지되고, 배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수 바디를 포함하는 배수 플러그; 및
    양 단이 상기 히터에 지지되며 일부가 상기 배수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배수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보조 배수부를 포함하는 열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수부의 직경은 12mm 이하로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0220087847A 2022-07-15 2022-07-15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240010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847A KR20240010360A (ko) 2022-07-15 2022-07-15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CT/KR2023/005720 WO2024014671A1 (ko) 2022-07-15 2023-04-27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18/143,263 US20240019169A1 (en) 2022-07-15 2023-05-04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847A KR20240010360A (ko) 2022-07-15 2022-07-15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360A true KR20240010360A (ko) 2024-01-23

Family

ID=8953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847A KR20240010360A (ko) 2022-07-15 2022-07-15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0360A (ko)
WO (1) WO20240146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907U (ko) * 1997-07-22 1999-02-18 구자홍 제상수 배수장치의 열전도구조
KR200302118Y1 (ko) * 1998-04-01 2003-03-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3882910B2 (ja) * 2002-08-08 2007-02-2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397457B2 (ja) * 2011-11-28 2014-0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の室外ユニット
WO2018025356A1 (ja) * 2016-08-03 2018-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ドレンパン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671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320B2 (en) In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KR100238513B1 (ko) 공기조화기
KR20240010360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US20240019169A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473821B1 (ko) 공기조화기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100487778B1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KR200152124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82590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200180231Y1 (ko) 공조기기의 실외기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27354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부 누수방지구조
KR0139386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200154576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JP2002071162A (ja) 空気調和機
KR1016769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39383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0139305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20220032262A (ko) 냉장고
KR100289121B1 (ko) 공기조화기
KR200300434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72497Y1 (ko) 룸 에어콘의 드레인 호스 고정장치
KR0139385Y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커버장치
KR1006414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