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468B1 - 포트 상토 충전기 - Google Patents

포트 상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468B1
KR100426468B1 KR10-2001-0038296A KR20010038296A KR100426468B1 KR 100426468 B1 KR100426468 B1 KR 100426468B1 KR 20010038296 A KR20010038296 A KR 20010038296A KR 100426468 B1 KR100426468 B1 KR 10042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oil
hopper
gate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2619A (ko
Inventor
이공인
김승희
장유섭
김동억
김성기
권해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1-003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4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개별포트의 크기에 따라 상토량을 자동으로 조절후 포트에 공급하는 작업과 포트내 혈공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상토가 공급호퍼와 상토회수통내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토를 저장하는 호퍼와, 호퍼로부터의 상토를 무한궤도운동하여 상토 토출구측으로 이동시켜 토출하는 상토이송용 리프트컨베이어와, 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상토 토출구 하방에 위치이동하여 상토 토출구로 부터 공급되는 상토가 충전되는 개별포트를 지지하는 포트홀더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포트이송용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에 있어서, 호퍼 내부에 모터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토가 응집력으로 인해 호퍼 내부에서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토 적체방지수단과, 상토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의 사양에 따라 상토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상토공급량 조절수단과, 상토가 충전된 개별포트가 턴테이블의 회전으로 인출구측으로 이동시 하강하여 개별포트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는 인출아암이 고정된 인출용 실린더 및 인출아암을 수평이동시켜 포트홀더로 부터 개별포트를 상토에 혈공을 형성하는 혈공기측으로 인출시키는 로딩실린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트 상토 충전기{bed soil filling machine for pot}
본 발명은 원예 또는 육묘재배용 개별포트(pot)에 상토(床土)를 담는 작업과 포트에 대한 이식 및 파종을 위한 혈공작업을 기계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포트의 크기에 따라 상토량을 자동으로 조절후 공급하는 작업과 포트내 혈공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하며, 상토가 공급호퍼와 상토회수통내에 정체되는 것을 해소하여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 또는 화훼 재배농가에서는 개별포트에 대해 상토를 충전 및 혈공 작업시 대부분이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포트 체적의 4/5정도로 상토를 담아 이식 및 파종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포트에 대해 상토의 과충전으로 인한 경제적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동시에 포트에 대해 물을 주는 경우 포트에 어느 정도의 물이 고이게하여 물관리를 수월하게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인력에 의한 수작업으로서 포트에 대해 상토를 충전 및 혈공 작업하는 경우 작업시간 및 인원이 과다하게 투입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과, 포트에 대해 충전되는 상토의 양이 불균일하게 된다. 즉 상토량이 필요이상으로 포트에 충전되는 경우 비경제적이며 물관리가 힘들고, 이와 반대로 상토량이 적게 포트에 충전되는 경우 포트에 대해 이식 또는 파종되는 작물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해당 장비를 사용하여 턱이 있는 경질의 화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토를 포트에 충전하는 방식과, 단일체로 연결된 포트에 대해 상토를 동시에 충전시킨후 쓸어내리는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재배농가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 해당 장비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포트에 대해 상토를 공급하는 상토 공급기의 호퍼와 회수부내 수분을 포함하는 상토가 응집력으로 인한 정체에 따라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되며, 포트의 크기별로 상토량을 조절후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라인중 부분적으로 수작업이 요구되어 경제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포트에 대해 상토를 담는 작업과 포트내 혈공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하여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포트 상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포트의 크기에 따라 상토량을 자동으로 조절후 공급하며, 상토가 공급호퍼와 상토회수통내에 정체되는 것을 해소하여 해당 장비의 실용화로 인해 재배농가에서 장비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포트 상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서 포트를 낱개로 공급하는 이송유니트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서 포트에 상토를 공급하는 공급유니트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서 혈공된 포트를 배출하는 인출유니트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8(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 의해 포트에 상토가 충전된 상태와, 상토에 혈공이 형성된 상태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에서 상토 이송요동판의 개략도,
도 10은 도 7의 개략적인 측면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 턴테이블
4; 회전축
5; 모터
8; 포트홀더
10; 핑거
14; 호퍼
15; 리프트컨베이어
17; 상토 이송요동판
18; 상토 회수요동판
29; 상토 낙하관
32; 로딩실린더
34; 인출실린더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토를 저장하는 호퍼와, 호퍼로부터의 상토를 무한궤도운동하여 상토 토출구측으로 이동시켜 토출하는 상토이송용 리프트컨베이어와, 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상토 토출구 하방에 위치이동하여 상토 토출구로 부터 공급되는 상토가 충전되는 개별포트를 지지하는 포트홀더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포트이송용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에 있어서, 호퍼 내부에 모터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토가 응집력으로 인해 호퍼 내부에서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토 적체방지수단과, 상토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의 사양에 따라 상토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상토공급량 조절수단과, 상토가 충전된 개별포트가 턴테이블의 회전으로 인출구측으로 이동시 하강하여 개별포트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는 인출아암이 고정된 인출용 실린더 및 인출아암을 수평이동시켜 포트홀더로 부터 개별포트를 상토에 혈공을 형성하는 혈공기측으로 인출시키는 로딩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상토 적체방지수단은, 호퍼 외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 구동시 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캠과, 캠 구동시 호퍼에 대해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와, 하측이 호퍼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상측이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캠 구동시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왕복운동하여 호퍼내의 상토를 밀착가압하여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토 이송용요동판과, 리프트컨베이어 구동시 연동되도록 리프트컨베이어 구동축에 체인으로 연결되며 회전시 외주연에 형성된 날개에 의해 호퍼 하측의 상토를 리프트컨베이어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이송용 롤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호퍼에 저장되는 상토가 리프트컨베이어측으로 하강되어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토이송용 요동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전원을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상토 공급량 조절수단은, 상토 토출구에 단면이 깔때기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토 낙하관과, 제1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여 상토 낙하관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제1게이트와, 제2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제1게이트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토 낙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에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제1게이트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2게이트와, 제3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제2게이트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토 낙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제2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게이트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3게이트와, 제4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제3게이트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토 낙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제2,3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게이트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4게이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상토 토출구의 하방으로 호퍼 내부에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상측이 모터 구동시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며, 리프트컨베이어 구동시 연동으로 왕복운동시 상토 토출구에 공급되는 상토중 개별포트에 공급되도록 설정된 상토량을 제외한 여분의 상토를 리프트컨베이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 회수용요동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개별포트가 턴테이블의 회전으로 상토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이동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토 낙하관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제1게이트 구동을 제어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토를 저장하는 호퍼(14)와, 속도조절이 가능한 모터(5)(예를들어, step motor 등을 말함)에 체인(7a) 및 기어(6a)를 통하여 연결된 회전축(4)이 분할된 각도로서 간헐적으로 회전시 개별포트(P)를 호퍼(14)의 상토 토출구(27)의 하방에 위치이동시키도록 개별포트(P)를 지지하는 포트홀더(8)(pot holder)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포트 이송용 턴테이블(3)과, 상토 토출구(27)의 하방에 이동된 개별포트(P)에 상토를 공급할 수 있도록 모터(5)에 감속기(21), 기어(6b) 및 체인(7b)을 통해 연결된 구동축(23)과 회전자재토록 고정된 피동축(24)사이를 무한궤도운동하여 호퍼(14)의 상토를 상토 토출구(27)측으로 퍼올리는 이송러그(25)가 등간격으로 장착된 리프트컨베이어(15)를 구비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에 적용되며, 이들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술내용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미 설명부호 10은 포트홀더(8)위에 안착되는 개별포트(P)를 감싸지지하는 핑거(finger), 12는 턴테이블(3)과 동심원으로 포트홀더(8)상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포트홀더(8)위에 안착된 개별포트(P)가 턴테이블(3)회전시 바깥쪽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더, 20은 모터(5)로 부터 감속기(21)에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클러치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호퍼(14) 내부에 모터(19b)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토가 응집력으로 인해 호퍼(14) 내부에서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토를 가압하여 무너뜨리는 상토 적체방지수단과, 상토 토출구(27)를 개폐할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P)의 사양에 따라 상토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상토 공급량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도 3,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토가 충전된 개별포트(P)가 턴테이블(3)의 회전으로 인출구측으로 이동시 하강하여 개별포트(P)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는 인출아암(40)이 로드(34a) 단부에 고정된 인출용 실린더(34)와, 인출아암(40)을 이식 또는 파종을 위한 혈공(70)을 상토에 형성하도록 혈공기(41)가 진압실린더(35)의 로드(35a)에 고정된 혈공기(41)가 승하강가능하게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배출컨베이어(33)측으로 수평이동시켜 포트홀더(8)로 부터 개별포트(P)를 인출시키는 로딩실린더(32)를 구비한다.
이때,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딩실린더(32)의 바디 후방에는 로딩실린더(32)의 로드(32a)가 신장하여 스트로크엔드되는 것을 검출하여 인출실린더(34)가 하강하도록 하는 감지센서(39a)가 설치되며, 인출실린더(34)에는 이의 로드(34a)가 구동하는 것을 검출하여 로딩실린더(32)가 구동하도록 하는 감지센서(39b,39c)가 설치된다.
전술한 상토 적체방지수단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호퍼(14)외측으로 설치되는 모터(19b)와, 모터(19b)구동시 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캠(22a)과, 캠(22a)구동시 호퍼(14)에 대해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22e)와, 하측이 호퍼(14)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상측이 동력전달부재(22b)에 연결되어 캠(22a)구동시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왕복운동하여 호퍼(14)내의 상토를 가압하여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토 이송용요동판(17)을 설치하되, 상토 이송용요동판(17)은 호퍼(14)에 저장되는 상토가 리프트컨베이어(15)측으로 하강되어지는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구동모터(19b)의 전원을 온(0N)시키는 경우 구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리프트컨베이어(15) 구동시 연동되도록 리프트컨베이어(15)의 구동축(23)에 체인(7b)으로 연결되며 회전시 외주연에 형성된 날개(16a)에 의해 호퍼(14) 하측의 상토를 리프트컨베이어(15)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이송용 롤러(16)를 구비한다.
전술한 상토 공급량 조절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토 토출구(27)에 단면이 깔때기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토 낙하관(29)과, 제1실린더(28d)구동시 왕복운동하여 상토 낙하관(29)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제1게이트(50)와, 제2실린더(28b)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제1게이트(50)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토 낙하관(29)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P)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제1게이트(50)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2게이트(51)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3실린더(28c)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제2게이트(51)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토 낙하관(29)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제2게이트(5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게이트(50)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3게이트(52)와, 제4실린더(28a)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제3게이트(52)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토 낙하관(29)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개별포트(P)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제2,3게이트(51,5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게이트(50)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4게이트(53)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토 토출구(27)의 하방으로 호퍼(14) 내부에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상측이 모터(5) 구동시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22f)에 연결되며, 리프트컨베이어(15)구동시 연동으로 왕복운동시 상토 토출구(27)에 공급되는 상토중 개별포트(P)에 공급되도록 설정된 상토량을 제외한 여분의 상토를 리프트컨베이어(15)의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회수용 요동판(18)을 구비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개별포트(P)가 턴테이블(3)의 회전으로 상토 토출구(27)의 하방에 위치이동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토 낙하관(29)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제1게이트(50) 구동을 제어하는 검출센서(60)를 구비한다.
미 설명부호 37은 전술한 인출실린더(34) 신축구동시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며 로딩실린더(32) 신축구동시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이동브라킷, 38b는 전술한 로딩실린더(32) 신축구동시 지지하는 가이드 봉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포트 상토 충전기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조절이 가능한 전술한 모터(5)구동으로 인한 회전력이 체인(7a) 및 기어(6a)를 통하여 회전축(4)에 전달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턴테이블(3)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포트홀더(8)상에 개별포트(P)를 자동 또는 수작업에 의해 올려주는 경우, 포트홀더(8) 상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핑거(10)에 의해 턴테이블(3) 회전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호퍼(14)의 상토 토출구(27)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모터(5)에 전자클러치(20), 감속기(21), 기어(6b) 및 체인(7b)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축(23)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트컨베이어(15)가 구동축(23)과 피동축(24)사이를 무한궤도운동을 하게 되므로, 리프트컨베이어(15)의 이송러그(25)에 의해 호퍼(14)에 저장된 상토를 상토 토출구(17)측으로 퍼올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구동축(23)에 체인(7b)으로 연결된 상토이송용 롤러(16)가 회전함에 따라 호퍼(14)내의 상토를 리프트컨베이어(15)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호퍼(14)외측으로 설치된 모터(19b)구동시 캠(22a)의 캠운동에 따라 연동되는 동력전달부재(22e)가 호퍼(14)에 대해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호퍼(14) 내부에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왕복운동하는 상토 이송용요동판(17)의 구동에 의해 호퍼(14)내의 상토를 가압하여 리프트컨베이어(15)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토가 수분 등에 의한 응집력으로 호퍼(14)내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토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상토 이송용요동판(17)은 호퍼(14)내의 상토가 리프트컨베이어(15)측으로 하강되어지는 상태를 확인해 가면서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모터(19b)의 전원을 온(ON)시키는 경우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리프트컨베이어(15)의 이송러그(25)를 따라 피동축(24)측으로 이동하는 상토는 이송러그(25)가피동축(24)을 경유하여 방향전환을 하게되는 경우, 즉 리프트컨베이어(15)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송러그(25)에 퍼올려진 상토가 전술한 상토 토출구(27)측에 설치된 단면이 "Y"자 형상인 상토 낙하관(29)에 토출된다. 이때 전술한 리프트컨베이어(15)는 이송러그(25)의 상토를 방향전환으로 상토 낙하관(29)에 토출시킨 후 구동축(23)측으로 이동하여 상토를 퍼올리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상토 낙하관(29)의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 게이트 구동에 의해 개별포트(P)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상토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토 낙하관(29)의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1게이트(50)와 이의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제2게이트(51)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제2실린더(28b)의 수축구동으로 인해 제2게이트(51)를 개방하고, 제1실린더(28d)의 신장구동시 제1게이트(50)에 의해 상토 낙하관(29)의 토출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리프트컨베이어(15)의 이송러그(25)에 의해 상토 낙하관(29)에 상토가 토출된 후 전술한 제2실린더(28b)구동으로 제2게이트(51)를 전진이동시킴에 따라, 제1게이트(50)와 제2게이트(51)사이의 공간에 상응하는 상토의 공급양이 설정되며, 전술한 제1실린더(28d)의 수축구동으로 인해 제1게이트(50)를 후퇴시킴에 따라 설정된 상토는 상토 낙하관(29)의 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토 낙하관(29)의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턴테이블(3)상에 이동된 개별포트(P)에 대해 상토를 설정된 양으로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토 낙하관(29)의 하방으로 호퍼(14) 내부에 모터(5)구동시 연동되는 캠(22b)의 캠운동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22f)에 연결된 상토 회수용요동판(18)이 리프트컨베이어(15)측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토 토출구(27)에 공급되는 상토중 개별포트(P)에 공급시 여분의 상토를 리프트컨베이어(15)의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호퍼(14)내에서 상토의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별포트(P)에 대해 상토를 충전하는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양의 상토가 충전된 개별포트(P)가 턴테이블(3)의 회전으로 인해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우선, 상기 로딩실린더(32)가 신장 구동하여 로드(32a) 선단부의 이동브라킷(37)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인출실린더(34)가 포트홀더(8)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그리고, 로딩실린더(32)의 바디에 설치된 감지센서(39a)에 의해 로딩실린더(32)의 스트로크 엔드가 감지됨에 따라 인출실린더(34)를 신장구동시키고 로드(34a)에 고정된 인출아암(40)이 하강하여 개별포트(P)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면 인출실린더(34)에 설치된 감지센서(39b,39c)에 의해 로딩실린더(32)의 로드(32a)가 수축구동하면서 개별포트(P)를 포트홀더(8)에서 배출컨베이어(33)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개별포트(P)가 배출컨베이어(33)에 이동됨에 따라, 배출컨베이어(33)상에 수직방향으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진압실린더(35)가 신장구동하여 로드(35a)에 고정된 혈공기(41)에의해 상토가 충전된 개별포트(P)의 중앙에 혈공(70)을 형성한 후 상승하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개별포트에 대해 상토를 담는 작업과 포트내 이식 및 파종을 위한 혈공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하여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별포트의 크기에 따라 상토량을 자동으로 조절후 공급하며, 상토가 공급호퍼와 상토회수통내에 정체되는 것을 해소하여 해당 장비의 실용화로 인해 재배농가에서 장비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상토를 저장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의 상토를 무한궤도운동하여 상토 토출구측으로 이동시켜 토출하는 상토이송용 리프트컨베이어와, 모터 구동으로 회전시 상기 상토 토출구 하방에 위치이동하여 상기 상토 토출구로 부터 공급되는 상토가 충전되는 개별포트를 지지하는 포트홀더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포트이송용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 내부에 모터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토가 응집력으로 인해 상기 호퍼 내부에서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토 적체방지수단;
    상기 상토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별포트의 사양에 따라 상기 상토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상토 공급량 조절수단;
    상토가 충전된 상기 개별포트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으로 인출구측으로 이동시 하강하여 상기 개별포트의 외측면을 감싸지지하는 인출아암이 고정된 인출용 실린더; 및
    상기 인출아암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포트홀더로 부터 상기 개별포트를 상토에 혈공을 형성하는 혈공기측으로 인출시키는 로딩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 적체방지수단은;
    상기 호퍼 외측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 구동시 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캠;
    상기 캠 구동시 상기 호퍼에 대해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
    하측이 상기 호퍼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상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캠 구동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왕복운동하여 상기 호퍼내의 상토를 가압하여 상기 리프트컨베이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이송용 요동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저장되는 상토가 상기 리프트컨베이어측으로 하강되어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상토이송용 요동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전원을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 공급량 조절수단은;
    상기 상토 토출구에 단면이 깔때기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토 낙하관;
    제1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여 상기 상토 낙하관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제1게이트;
    제2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제1게이트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토 낙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별포트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상기 제1게이트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2게이트;
    제3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제2게이트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토 낙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별포트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상기 제2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게이트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3게이트; 및
    제4실린더 구동시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제3게이트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토 낙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별포트에 공급되는 상토 공급량을 상기 제2,3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게이트와의 공간으로 조절하는 제4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 토출구의 하방으로 상기 호퍼 내부에 하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상측이 모터 구동시 직선왕복운동하는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컨베이어 구동시 연동으로 왕복운동시 상기 상토 토출구에 공급되는 상토중 상기 개별포트에 공급되도록 설정된 상토량을 제외한 여분의 상토를 상기 리프트컨베이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회수용 요동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포트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으로 상기 상토 토출구의 하방에 위치이동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상토 낙하관의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제1게이트 구동을 제어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 적체방지수단은;
    상기 리프트컨베이어 구동시 연동되도록 상기 리프트컨베이어 구동축에 체인으로 연결되며, 회전시 외주연에 형성된 날개에 의해 상기 호퍼 하측의 상토를 상기 리프트컨베이어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토이송용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상토 충전기.
KR10-2001-0038296A 2001-06-29 2001-06-29 포트 상토 충전기 KR10042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296A KR100426468B1 (ko) 2001-06-29 2001-06-29 포트 상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296A KR100426468B1 (ko) 2001-06-29 2001-06-29 포트 상토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619A KR20030002619A (ko) 2003-01-09
KR100426468B1 true KR100426468B1 (ko) 2004-04-17

Family

ID=2771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296A KR100426468B1 (ko) 2001-06-29 2001-06-29 포트 상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63B1 (ko) 2008-08-14 2010-11-16 이승수 모종을 화분에 이식하는 장치
KR20200001701U (ko) 2019-01-22 2020-07-30 이계희 상토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17A (ko) * 2002-09-05 2004-03-11 강재덕 포트 및 상토 자동 공급장치
KR101339416B1 (ko) * 2012-03-23 2013-12-10 오창준 산림 양묘용 상토 압축 충전기
CN104705111A (zh) * 2015-02-11 2015-06-17 洛阳易通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烟草育苗机的自动装基装置
KR101785443B1 (ko) 2015-07-29 2017-10-13 (주)헬퍼로보텍 상토 압축충전장치
KR102499256B1 (ko) 2020-09-18 2023-02-10 이영식 포트 충전용 상토 리프트 분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145A (ko) * 1993-08-17 1995-03-20 오태한 자동 파종 시스템
JPH09296170A (ja) * 1996-04-26 1997-11-18 Minoru Sangyo Kk ポット苗の根鉢凝固方法
KR0126655Y1 (ko) * 1995-09-18 1998-09-15 박중춘 간이형 상토 충전 혼합기
KR200209028Y1 (ko) * 1998-11-16 2001-01-15 권해옥 포트 상토공급기
KR200220743Y1 (ko) * 2000-11-13 2001-04-16 주식회사대동기전 자동 토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145A (ko) * 1993-08-17 1995-03-20 오태한 자동 파종 시스템
KR0126655Y1 (ko) * 1995-09-18 1998-09-15 박중춘 간이형 상토 충전 혼합기
JPH09296170A (ja) * 1996-04-26 1997-11-18 Minoru Sangyo Kk ポット苗の根鉢凝固方法
KR200209028Y1 (ko) * 1998-11-16 2001-01-15 권해옥 포트 상토공급기
KR200220743Y1 (ko) * 2000-11-13 2001-04-16 주식회사대동기전 자동 토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63B1 (ko) 2008-08-14 2010-11-16 이승수 모종을 화분에 이식하는 장치
KR20200001701U (ko) 2019-01-22 2020-07-30 이계희 상토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619A (ko)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948098U (zh) 一种高效自动化水稻工厂化精密播种育秧生产线
KR100426468B1 (ko) 포트 상토 충전기
US8590583B2 (en) Potting apparatus
CN217407037U (zh) 一种烟苗移栽用自动施肥放苗装置
CN101485248A (zh) 山地地膜花生播种机
CN109328580B (zh) 穴式施肥和盖碗安放一体机
CN114080971A (zh) 无纺布大小容器苗间栽植机
CN215223047U (zh) 一种电驱式花生小区播种机
CN212464210U (zh) 一种播种用穴盘自动填土装置
EP2223585B1 (en) Transplanting apparatus
CN201388378Y (zh) 山地地膜花生播种机
CN114793698A (zh) 一种全自动育秧生产线
KR20040021817A (ko) 포트 및 상토 자동 공급장치
CN216532995U (zh) 一种无纺布大小容器苗间栽植机
KR200220743Y1 (ko) 자동 토입기
CN111657057A (zh) 食用菌种植用栽培种转接生产种系统及方法
CN217850413U (zh) 一种烟草包衣种自动播种打孔覆盖一体机
CN107637239B (zh) 蔬菜机械栽培装置
CN207185208U (zh) 花生摘果机辊筒结构
WO1998037754A1 (fr) Mecanisme d'alimentation en recipients de spores de champignons pour dispositif d'inoculation de spores
CN212677708U (zh) 一种智能播种机用排种器
CN109315190A (zh) 一种稻芽盘制作系统
JP3271456B2 (ja) 仮植装置の苗搬送機構
JP3300568B2 (ja) 仮植装置
CN220032254U (zh) 肥料生产用的打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