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218B1 -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 Google Patents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218B1
KR100424218B1 KR1020030052509A KR20030052509A KR100424218B1 KR 100424218 B1 KR100424218 B1 KR 100424218B1 KR 1020030052509 A KR1020030052509 A KR 1020030052509A KR 20030052509 A KR20030052509 A KR 20030052509A KR 100424218 B1 KR100424218 B1 KR 10042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gent
epoxy
epox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천
Original Assignee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3Epox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7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2Repairing or restoring existing buildings o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수성, 내약품성, 향균성, 결함, 손상,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등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벽면작업시 처짐성 및 흐름성을 방지하는 수지몰탈 및 마감재로 구성된 상·하수도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에폭시 주제A 및 경화제를 2 대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초벌칠하는 단계(S1); 상기 초벌칠 작업 후 20분 뒤 상기 에폭시 주제A, 상기 경화제 및 규사를 2 대 1 대 24의 비율로 혼합하여 초벌칠된 상기 벽체에 미장작업하는 단계(S2); 및 상기 미장작업 후 24시간 뒤 에폭시 주제B 및 상기 경화제를 2 대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장작업된 상기 벽체에 마감칠하는 단계(S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하수도 등의 시공시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이나 천정면에도 마감 미장처리가 가능해 졌다. 또한, 옥외용 벽면에 유색색상 마감처리시 기존 에폭시계 황변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에 무변색 세라믹성 안료를 착색시켜 무변색형 방수·방식효과를 추구하였다.

Description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rface of a wall utilizing finishing material included epoxy resin and the structure material thereof}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수지와 규사를 이용한 상·하수도 구조물용 수지몰탈 및 마감용 코팅제의 제조, 시공방법 및 그 벽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아파트 저수조, 하수종말처리장, 배수지, 정수장등의 상·하수도시설의 경우 설비의 대부분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수용성 페인트로 마감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항상 화학적 침식과 높은 수압 및 유속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수처리 과정에서 응집제, 염소 등 각종 약품의 투입으로 인한 화학적 침식 및 박리현상, 기계교반에 의한 강한 와류 및 물의 낙하 등에 의한 마모 및 침식, 역세척시 여과사 및 역세척수에 의한 마모 및 침식, 물이 장시간 체류할 경우에 세균번식에 의한 수질오염의 위험, 누수에 의한 수자원의 손실 및 지반 붕괴의 위험 등이 그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다 진보된 기술로서는 수지몰탈 및 마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공지된 바 있으나, 이는 작업이 바닥면에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뿐 구조물의 벽면이나 천정면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지몰탈을 이용하여 벽면에 미장처리할 경우 흐름성과 처짐으로 인하여 원하는 두께의 미장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용성 페인트를 수회 도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수분 및 기타 이물질의 영향으로 인하여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외폭로형 유색마감재(주로 연청색계의 옥외 저장수조, 풀장 등) 처리시에는 에폭시계 마감재의 경우 자외선에 의한 변색으로 황변현상이 일어나 시각적으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수성, 내약품성, 향균성, 결함, 손상,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등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벽면작업시 처짐성 및 흐름성을 방지하는 수지몰탈 및 마감재를 이용한 상·하수도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에폭시 주제A 및 경화제를 2 대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초벌칠하는 단계(S1); 상기 초벌칠 작업 후 20분 뒤 상기 에폭시 주제A, 상기 경화제 및 규사를 2 대 1 대 24의 비율로 혼합하여 초벌칠된 상기 벽체에 미장작업하는 단계(S2); 및 상기 미장작업 후 24시간 뒤 에폭시 주제B 및 상기 경화제를 2 대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미장작업된 상기 벽체에 마감칠하는 단계(S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시공방법에서는 벽면이나 천정에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즉 수지몰탈의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요변성 첨가 부여제를 사용함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폭로형 유색마감처리재로서 무황변의 특수 아크릴우레탄에 세라믹형 착색안료인 코발트블루(Co(AlO2)2) 안료를 사용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상변화를 방지하였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구조물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옥외용에 적용되는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옥외용에 적용되는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구조물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콘크리트층
20 : 초벌층
30 : 미장층
40 : 마감층
50 : 2차 마감층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공방법은 초벌칠 작업(S1), 미장 작업(S2) 및 마감칠 작업(S3) 등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S1 단계는 프라이머를 콘크리트 벽체에 초벌칠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라이머는 에폭시 주제A와 경화제가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바, 초벌칠에 사용되는 상기 에폭시 주제A는 에폭시수지 88 ~ 92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9 ~ 12 중량부 및 커플링제 0.1 ~ 0.3 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A계이며 에폭시 당량이 184 ~ 194이고 점도가 12,000 ~ 14,000cps의 것을,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알킬글리시딜에테르계를, 상기 커플링제는 에폭시 반응기를 가진 실란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에폭시 수지가 88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경화후 강도가 저하되며, 92 중량부를 초과하여 참가되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90 중량부이다.상기 반응성 희석제가 9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강도는 증가하나 점도가 높아져 규사와의 배합시 작업성이 떨어지며,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경화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10 중량부이다.상기 커플링제는 무기물인 규사와 유기물인 에폭시의 배합시 상용성을 증가시켜 경화후의 물성을 극대화 시켜준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경화물의 열적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0.2 중량부이다.
상기 경화제는 변성 지환족 아민 89 ~ 95 중량부, 경화촉진제 4 ~ 7 중량부, 소포제 0.3 ~ 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 ~ 3 중량부로 구성된다. 상기 변성 지환족 아민은 점도가 300 ~ 500이고 산가가 1 ~ 3, 활성수소당량이 105 ~ 125의 것을, 상기 경화촉진제는 트리에탄올아민계를, 상기 소포제는 폴리실록산계를, 상기 요변성 부여제는 변성우레아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변성지환족 아민은 에폭시 수지의 당량에 준하여 첨가되며 첨가량이 89 중량부 미만이거나 95 중량부를 초과하면 에폭시 수지와의 배합비율이 맞지 않게 되어 경화후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92 중량부이다.상기 경화촉진제를 첨가하면 상온에서의 적절한 가사시간을 얻을 수 있다. 4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경화시간 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7 중량부를 초과하면 본래 경화제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6 중량부이다.상기 소포제는 교반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0.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적절한 소포성을 얻을 수 없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후 표면에 잔유물이 남아 층간 부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0.5 중량부이다.상기 요변성 부여제는 적절한 흐름성을 부여하여 수지 몰탈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미장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흐름성 조절이 어려우며, 3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물의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2 중량부이다.
상기 에폭시 주제A와 경화제를 15분 이내로 소비할 만큼의 양만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계량한 뒤 전동믹서로 약 1분 정도 충분히 교반한다. 교반된 프라이머 수지를 콘크리트 벽체에 붓을 이용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S2 단계는 상기 초벌칠 작업 후 20분 뒤 초벌칠된 상기 벽체에 모르타르를 미장작업하는 단계이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에폭시 주제A, 상기 경화제 및 규사가 2 대 1 대 24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바, 전용교반기를 사용하여 약 2분간 충분히 교반시킨다. 상기 규사는 30 ~ 50매쉬의 입자가 사용되며, 40매쉬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주제에 사용된 에폭시 수지의 당량과 경화제에 사용된 변성지환족아민의 활성수소당량의 규정된 배합비율에 의해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주제 A와 아민조성물인 경화제는 2:1의 중량비로 배합되며, 이렇게 배합된 에폭시수지 혼합물은 다시 에폭시수지 혼합물에 대한 규사의 배합 비율이 3:24의 중량비로 배합 될 때 최적의 미장 작업성 및 경화물성을 유지 할 수 있다.에폭시 수지 혼합물에 대한 규사의 배합비율이 상기 배합비율 보다 높을 경우에는 규사와의 배합이 어려워지고 결합력이 약해져 전반적이 강도가 떨어지고, 에폭시 수지 혼합물에 대한 규사의 배합비율이 상기 배합비율 보다 낮을 경우에는 규사와의 배합이 용이해지는 반면 미장 작업시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교반이 끝난 모르타르는 넓은 용기에 쏟아 열상승을 방지한다. 준비된 모르타르를 벽체 상단부터 흙손을 이용하여 표면이 고르고 거친면이 없도록 주의하면서 강하게 누르며 미장한다. 상기 미장작업은 초벌칠이 경화하기 전에 마쳐야 하며, 교반된 모르타르는 15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단계는 상기 미장작업 후 24시간 뒤 미장작업된 상기 벽체에 마감재를 칠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재는 에폭시 주제B 및 상기 경화제가 2 대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바, 상기 에폭시 주제 B는 에폭시수지 88 ~ 91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 7 중량부, 안료 2 ~ 4 중량부, 소포제 1 ~ 2 중량부, 요변성부여제 1 ~ 2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 0.4 중량부 및 항균제 1 ~ 2 중량부로 구성된다.상기 에폭시 수지가 88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경화후 강도가 저하되며, 91 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는 증가하나 점도가 높아 코팅시 작업성이 저하된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90 중량부이다.상기 반응성 희석제가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도가 높아져 마감코팅의 작업성이 떨어지며, 7 중량부를 초과하면 마감코팅의 물성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6 중량부이다.상기 안료는 조색을 위하여 첨가되며,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은폐력이 저하되며, 4 중량부를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3 중량부이다.상기 소포제는 마감 코팅작업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며,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포성이 저하되고, 2 중량부를 초과하면 마감코팅 경화후 표면에 잔유물이 남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1 중량부이다.상기 요변성 부여제는 수지의 흐름성을 조절하여 마감 코팅 작업시 1회 도장만으로 요구하는 도막 두께를 얻을 수 있으며,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흐름성 조절이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며, 2 중량부를 초과하면 마감 코팅의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1 중량부이다.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황변방지 효과가 떨어지며, 0.4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0.3 중량부이다.상기 항균제는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도막 표면의 항균성이 떨어지며, 2 중량부를 초과하면 그 이상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여 비경제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1 중량부이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A계이며 에폭시 당량이 184 ~ 194이고 점도가 12,000 ~ 14,000cps인 것을, 상기 반응성희석제는 알킬글리시딜에테르계를, 상기 소포제는 폴리실록산계를, 상기 요변성 부여제는 변성우레아계를,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는 페놀릭포름아미딘(phenolic-formamidine)계를, 상기 항균제로는 은계 무기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1에서 S3까지의 작업은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벽면구조물이 실내용인 경우에 적용된다.
도 3은 옥외용에 적용되는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따른 S4 단계는 벽면구조물이 옥외폭로형(주로 연청색계 옥외 상·하수도 수처리조 콘크리트 구조물등)일 때 2차로 마감칠되는 단계이다. 물론 상기 S3 단계와 S4 단계 사이에 프라이머로 초벌칠하는 단계가 선행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2차 마감칠 작업시 주제는 폴리우레탄계 주제A로서, 순수아크릴 폴리올(OH당량 200 ~ 400 중량부, 고형분이 55 ~ 65%) 100중량부에 대하여, 코발트 블루계 세라믹 착색제 10 ~ 2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 ~ 1.0 중량부, 항균제 1 ~ 3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경화제로서는 무황변형 이소시아네이트 프레폴리머(HMDI계의 트리머 또는 다가알콜 어닥터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폴리우레탄계 주제A와 경화제의 중량비는 5:1 ~ 10:1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구조물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옥외용에 적용되는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구조물의 구성도이다.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구조물은 콘크리트층(10), 초벌층(20), 미장층(30), 마감층(40) 및 2차 마감층(5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의 구성물은 상기 벽면시공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초벌층(20)은 수지몰탈을 미장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콘크리트층(10)에 도포시 적절한 점도와 흐름성을 유지하며, 완전경화되기 이전에는 미장작업시 콘크리트면과 수지몰탈 사이의 점착제 역할을 하게 되고 완전경화 후에는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한다.
상기 미장층(30)은 수지몰탈로서 기존의 수지몰탈은 바닥면 이외의 벽면이나 천정에 미장작업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요변성첨가 부여제를 사용함으로써 액상수지 속에서 수소결합을 통해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여 흐름성을 조절하였기 때문에 벽면이나 천정에도 흐르거나 처짐이 없이 3 ~ 4mm의 두께로 미장작업이 가능하며, 이러한 미장두께는 뛰어난 강도와 내충격성, 방수성으로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미장층(30)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회에 10mm까지도 미장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요변성을 부여하는 3차원 망상구조는 낮은 전단력에 의해서도 충분히 파괴되지만 도장 후 이 구조는 빠르게 재생되기 때문에 점도 또한 매우 빠르게 증가한다. 즉 적절한 칙소성(thixotrophy)을 가지면서 작업시 낮은 점도를 유지할 수있으며 벽면이나 천정에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지몰탈을 사용한 미장만으로는 충분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표면이 매끄럽기 못하기 때문에 상도에 코팅을 하여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인 마감재를 사용하여 요구하는 도막두께 및 매끄러운 표면을 얻기위해서는 3회 이상의 도장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감층(40)은 수지몰탈과 마찬가지로 요변성부여 첨가제를 사용하여 수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였기 때문에, 마감시 1회 도장만으로도 충분한 도막 두께와 표면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당부분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수지(도료)는 소지의 온도가 이슬점(dew point) 보다 적어도 3℃ 이상이어야만 도장이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상대습도가 10 ~ 80%가 적당하다. 만약 소지의 온도와 이슬점 온도가 3℃ 이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면 소지표면에 수분응축이 생겨 부착력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아민 경화제를 사용할 경우 수분으로 인하여 아민 브러시가 생기는 데, 이것이 도장시 층간부착력 저하 및 도막박리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마감코팅을 여러번 작업할 수록 수분 및 기타 이물질의 영향으로 인하여 부착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요인을 제거하려면 마감작업 때마다 소지면의 수분 및 이물질 등의 제거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1회 도장만으로도 충분한 도막두께와 표면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항균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무기항균제를 혼합 분산시켜 처리하였으며 특히 입체장애 효과를 이용한 분산제는 항균제와 친화력을 가진 관능기를 한 개 혹은 다량으로 가지고 있어 항균제 표면에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사슬부분이 항균제 주위의 수지용액에 사슬을 가능한 길게 늘어뜨리고 있어 항균제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분산제 처리를 하였기 때문에 항균성분의 용출없이 반영구적으로 항균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
표 1에서는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에서 필름밀착법에 의하여 항균력을 시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제형 에폭시 수지(마감층)를 시료로 하여 블랭크 상태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사용균주 비교예(BLANK) 실시예(마감층)
포도상구균(Saphylococcus aureusATCC 6538) 초기균수 1.4 ×105 1.4 ×105
24시간후 균수 5.3 ×106 10 이하
균수 변화율 3785% 0.01%
대장균(Escherichia coliATCC 25922) 초기균수 1.2 ×105 1.2 ×105
24시간 후 균수 5.5 ×106 10 이하
균수 변화율 4583% 0.01%
* 표준피복필름 : Stomacher?400 POLY-BAG(본 필름은 미생물 성장에 영향이 없는 무독성 필름으로서 필름밀착 실험법에서 균주의 배양 등에 사용되는 실험용 필름이다. stomacher? 400 POLY-BAG은 영국 SEWARD사에서 생산되는 필름의 종류이다.)
* 접종균농도 : 포도상구균 - 1.4 ± 0.3 ×105/㎖, 대장균 - 1.2 ± 0.3 ×105/㎖
* 비이온 계면활성제 종류 : TWEEN 80(0.05%)
시험조건으로서는 시험균액을 35 ± 1℃, RH 90%에서 24시간 정치배양 후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표면적은 25㎠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랭크 상태에서는 포도상구균은 약 38배 증가하였으며, 대장균은 약 46배 증가하였지만, 실시예에서는 균수가 모두 약 99.9%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하수도 구조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황변현상 및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용출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제는 비스페놀-A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경화제는 지환족 아민을 기본으로 에폭사이드기를 갖는 원료와 반응시켜 최대한 고분자화 하여 변성시켰다. 즉, 주제의 에폭사이드와 경화제의 아민의 반응기를 최대한 줄였기 때문에 그 만큼 잔존 독성 물질량도 억제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반응 후 남게 되는 미반응물 즉 독성물질의 용출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황변 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태양광에 존재하는 자외선(약 1mW/cm2)이 이중결합 등을 가지고 있는 폴리올레핀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1차적으로 흡수하여 빛의 양과 강도를 감소시키고 2차로 산화방지제에 의해서 안정화되므로 외부 노출시 발생할 수 있는 황변문제를 최소화하였다.
벽면구조체가 실외용인 경우 자외선 조사로 인하여 황변현상이 일어나므로 본 발명에서는 2차 마감층(50)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즉,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를 첨가시킴으로써 태양광의 자외선이 도막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흡수하여 빛의 양과 강도를 감소시켰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에 의하면, 기존의 수지몰탈로는 작업이 불가능 했던 벽면과 천정에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결함, 손상,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적용에 우수한 보수 보강용으로 상·하수도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수명을 확보할 수 있으며, 무용제형이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공간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마감코팅시 작업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 및 비용절감에 있어 상당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코팅재에 첨가된 무기항균제에 의한 항균효과로 양질의 음용수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옥외용 벽면에 유색색상 마감처리시 기존 에폭시계 황변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에 무변색 세라믹성 안료를 착색시켜 무변색형 방수·방식효과를 창출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용도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4)

  1. 에폭시 당량이 184 ~ 194이고 점도가 12,000 ~ 14,000cps인 에폭시수지 88 ~ 92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9 ~ 12 중량부 및 커플링제 0.1 ~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에폭시 주제A; 및
    점도가 300 ~ 500이고 산가가 1 ~ 3, 활성수소당량이 105 ~ 125인 변성 지환족 아민 89 ~ 95 중량부, 경화촉진제 4 ~ 7 중량부, 소포제 0.3 ~ 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2 대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초벌칠하는 단계(S1);
    상기 초벌칠 작업 후 20분 뒤 상기 에폭시 주제A, 상기 경화제 및 규사를 2 대 1 대 2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초벌칠된 상기 벽체에 미장작업하는 단계(S2); 및
    상기 미장작업 후 24시간 뒤 에폭시 당량이 184 ~ 194이고 점도가 12,000 ~ 14,000cps인 에폭시수지 88 ~ 91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 7 중량부, 안료 2 ~ 4 중량부, 소포제 1 ~ 2 중량부, 요변성부여제 1 ~ 2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 0.4 중량부 및 항균제 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에폭시 주제B; 및 상기 경화제;를 2 대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미장작업된 상기 벽체에 마감칠하는 단계(S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칠 작업 후 순수아크릴 폴리올(OH당량 200 ~ 400 중량부, 고형분이 55 ~ 65%) 100중량부에 대하여, 코발트 블루계 세라믹 착색제 10 ~ 2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 ~ 1.0 중량부, 항균제 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주제A; 및 무황변형 이소시아네이트 프레폴리머(HMDI계 트리머 또는 다가알콜 어닥터형)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5:1 ~ 1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벽체에 2차 마감칠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3.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층(10);
    상기 콘크리트층(10)의 표면에 초벌칠 된, 에폭시 당량이 184 ~ 194이고 점도가 12,000 ~ 14,000cps인 에폭시수지 88 ~ 92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9 ~ 12 중량부 및 커플링제 0.1 ~ 0.3 중량부를 포함하는 에폭시 주제A; 및 점도가 300 ~ 500이고 산가가 1 ~ 3, 활성수소당량이 105 ~ 125인 변성 지환족 아민 89 ~ 95 중량부, 경화촉진제 4 ~ 7 중량부, 소포제 0.3 ~ 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가 2 대 1의 중량비로 구성된 초벌층(20);
    상기 초벌층(20)의 표면에 미장처리 된, 상기 에폭시 주제A, 상기 경화제 및 규사가 2 대 1 대 24의 중량비로 구성된 미장층(30); 및
    상기 미장층(30)의 표면에 마감칠 된, 에폭시 당량이 184 ~ 194이고 점도가 12,000 ~ 14,000cps인 에폭시수지 88 ~ 91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 7 중량부, 안료 2 ~ 4 중량부, 소포제 1 ~ 2 중량부, 요변성부여제 1 ~ 2 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 0.4 중량부 및 항균제 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에폭시 주제B; 및 상기 경화제;가 2 대 1의 중량비로 구성되는 마감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40)의 표면에 2차 마감칠 된, 순수아크릴 폴리올(OH당량 200 ~ 400 중량부, 고형분이 55 ~ 65%) 100중량부에 대하여, 코발트 블루계 세라믹 착색제 10 ~ 25 중량부, 자외선안정제 0.1 ~ 1.0 중량부, 항균제 1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주제A; 및 무황변형 이소시아네이트 프레폴리머(HMDI계의 트리머 또는 다가알콜 어닥터형)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5:1 ~ 10:1의 중량비로 구성되는 2차 마감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황변 아크릴 우레탄계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구조물.
KR1020030052509A 2002-10-18 2003-07-30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100424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63661 2002-10-18
KR1020020063661 2002-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218B1 true KR100424218B1 (ko) 2004-03-22

Family

ID=3732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509A KR100424218B1 (ko) 2002-10-18 2003-07-30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218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74B1 (ko) 2006-11-08 2007-11-15 김정도 합성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도로맨홀 보수제
KR100841607B1 (ko) 2007-04-22 2008-07-04 한토산업 (주) 상수도 금속관 방수방식용 도료 조성물
KR101035904B1 (ko) * 2009-10-12 2011-05-23 한토산업 (주) 나노세라믹과 고분자수지를 포함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1115326B1 (ko) 2011-07-20 2012-02-20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CN107522425A (zh) * 2017-09-27 2017-12-2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人造石英石板材
CN107555842A (zh) * 2017-09-27 2018-01-0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新型的人造石英石板材
CN107555841A (zh) * 2017-09-27 2018-01-0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人造石英石板材的制备方法
CN107555843A (zh) * 2017-09-27 2018-01-0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人造石英石板材
CN107572888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铺装的人造石英石板材的制备方法
CN107572883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人造石英石板材
CN107572886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铺装的人造石英石板材
CN107572889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人造石英石板材的制备方法
CN108545999A (zh) * 2018-04-13 2018-09-18 佛山东华盛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孔洞料的制备方法、仿大理石孔洞砖及其制备方法
KR102016150B1 (ko) * 2018-12-24 2019-10-21 (주)썬시카방수 접착력 및 항곰팡이능을 강화한 건축 내외장재용 방수재
KR102051586B1 (ko) 2019-03-07 2019-12-05 한토산업(주) 세라믹,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한 방수, 방식 및 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보호, 보수 및 보강공법
KR102484942B1 (ko) * 2022-09-08 2023-01-10 동양에폭시 주식회사 Dl-8 탄성 몰탈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탄성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방법
KR20230045684A (ko) * 2021-09-27 2023-04-05 주식회사 부일건화 다층 복합방수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38092A (ko) * 2022-03-23 2023-10-05 정기수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974B1 (ko) 2006-11-08 2007-11-15 김정도 합성우레아 수지를 이용한 도로맨홀 보수제
KR100841607B1 (ko) 2007-04-22 2008-07-04 한토산업 (주) 상수도 금속관 방수방식용 도료 조성물
KR101035904B1 (ko) * 2009-10-12 2011-05-23 한토산업 (주) 나노세라믹과 고분자수지를 포함한 콘크리트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1115326B1 (ko) 2011-07-20 2012-02-20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CN107572886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铺装的人造石英石板材
CN107555841A (zh) * 2017-09-27 2018-01-0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人造石英石板材的制备方法
CN107555843A (zh) * 2017-09-27 2018-01-0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人造石英石板材
CN107572888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用于地面铺装的人造石英石板材的制备方法
CN107572883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人造石英石板材
CN107522425A (zh) * 2017-09-27 2017-12-2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人造石英石板材
CN107572889A (zh) * 2017-09-27 2018-01-12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人造石英石板材的制备方法
CN107555842A (zh) * 2017-09-27 2018-01-09 佛山市欧泊石业有限公司 一种新型的人造石英石板材
CN108545999B (zh) * 2018-04-13 2020-12-01 佛山东华盛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孔洞料的制备方法、仿大理石孔洞砖及其制备方法
CN108545999A (zh) * 2018-04-13 2018-09-18 佛山东华盛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孔洞料的制备方法、仿大理石孔洞砖及其制备方法
KR102016150B1 (ko) * 2018-12-24 2019-10-21 (주)썬시카방수 접착력 및 항곰팡이능을 강화한 건축 내외장재용 방수재
KR102051586B1 (ko) 2019-03-07 2019-12-05 한토산업(주) 세라믹,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한 방수, 방식 및 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표면보호, 보수 및 보강공법
KR20230045684A (ko) * 2021-09-27 2023-04-05 주식회사 부일건화 다층 복합방수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20581B1 (ko) * 2021-09-27 2024-01-03 주식회사 부일건화 다층 복합방수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38092A (ko) * 2022-03-23 2023-10-05 정기수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KR102661182B1 (ko) * 2022-03-23 2024-04-25 정기수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KR102484942B1 (ko) * 2022-09-08 2023-01-10 동양에폭시 주식회사 Dl-8 탄성 몰탈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탄성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4218B1 (ko)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JP7111430B2 (ja) 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
WO2018045622A1 (zh) 一种微粉强化聚氨酯基高强防水保温装饰一体化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745047B (zh) 一种自流平彩砂地坪材料及其制备方法与施工方法
US9446987B2 (en) Premixed hybrid grout
KR102109977B1 (ko) 습기차단형 무용제 에폭시 프라이머 겸용 기초 도막방수재
WO2011062370A2 (ko) 후막용 수용성 에폭시수지 바닥마감재 조성물
CN102746756A (zh) 一种水性丙烯酸聚氨酯面漆及其制备方法
JP2017039623A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KR101551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용 모르타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CN104140755A (zh) 一种环保型弹性耐候型丙烯酸聚氨酯涂料、制备及应用
CN111548727A (zh) 一种环保可光固化的木器漆及其制备方法
KR102531206B1 (ko) 줄눈재용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CN112961554B (zh) 一种户外木材用超耐候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以及木制品
KR102582932B1 (ko) 습윤환경 대응성이 우수한 기능성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습윤환경에 노출된 구조물의 표면보호 시공방법
JP6659385B2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及びこれによる床構造
KR101405133B1 (ko) 친환경 수분산성 폴리 아크릴우레탄 에멀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아크릴우레탄 고무계 방수 도료 조성물
JP2019199544A (ja) 樹脂組成物、硬化物、土木建築構造物、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KR20130094093A (ko) 상하수 관거의 방수 및 오염 방지를 위한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86711B1 (ko) 하폐수 처리시설의 화학적 침식된 토목구조물의 보수, 보강 및 콘크리트 표면보호와 방수, 방식을 위한 세라믹 및 고분자수지를 함유한 조성물 및 표면보호공법
CN101148563A (zh) 外墙专用有机硅橡胶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7065942A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KR102053023B1 (ko) 반응형 바닥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7544B1 (ko) 수용성 우레탄 몰탈 조성물
KR100901250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