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182B1 -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182B1
KR102661182B1 KR1020220035713A KR20220035713A KR102661182B1 KR 102661182 B1 KR102661182 B1 KR 102661182B1 KR 1020220035713 A KR1020220035713 A KR 1020220035713A KR 20220035713 A KR20220035713 A KR 20220035713A KR 102661182 B1 KR102661182 B1 KR 10266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eiling
putty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8092A (ko
Inventor
정기수
Original Assignee
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수 filed Critical 정기수
Priority to KR102022003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182B1/ko
Publication of KR2023013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 시공하는 퍼티 공정, 상기 퍼티 시공한 부위를 샌딩하는 샌딩 공정, 천정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료 도포 공정을 포함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 75 내지 8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내지 15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실란커플링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및 변성 지환족 아민 80 내지 90 중량부, 경화촉진제 3 내지 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EXECUTING METHOD OF CEILING USING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 마감 시공 시 이음새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마감 처리를 할 수 있는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정 마감 시공을 위해서는 석고보드를 이어 붙인 후, 퍼티 공정, 샌딩 공정, 및 도장 공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도료를 사용한 도장 공정에서는 석고보드의 표면을 퍼티 공정을 통해 평탄하게 하면 도료 도포에 의해 들뜸이 없이 깔끔하게 마감이 될 수 있다.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19923호를 통해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발한 바 있다.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제올라이트와 규조토 등의 다공성 물질을 함유하면서도 분산성이 우수하여 표면에 코팅할 때 균일한 유해물질 흡착성능과 조습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면, 천정 등에 도포하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도료와는 달리 표면 흡수성이 뛰어나 시공시 도포량이나 도포 방법에 의해 기능성 무기질 성분이 불균일하게 도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적용한 천정 마감 시공을 위해서는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도료를 도포할 필요가 있고 이에 적합한 개선된 천정 마감 시공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3199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에 적합한 개선된 천정 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천정 마감 시공을 위하여 개선된 형태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적용하여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며, 퍼티 공정에 의한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정 마감 시공방법은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 시공하는 퍼티 공정, 상기 퍼티 시공한 부위를 샌딩하는 샌딩 공정, 천정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료 도포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 75 내지 8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내지 15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실란커플링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및 변성 지환족 아민 80 내지 90 중량부, 경화촉진제 3 내지 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은 정제수 25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25 내지 30 중량부, 규조토 17 내지 25 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EVA) 5 내지 12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4 내지 7 중량부, 탈크 4 내지 7 중량부,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티 공정은 상기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한 후 한냉사를 부착하는 1차 퍼티 공정 및 상기 한냉사 위로 2차 퍼티하는 2차 퍼티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도포 공정을 수행한 석고보드의 가장자리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바인더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초배지를 시공하는 초배지 시공 공정, 상기 초배지를 시공한 천정에 벽지를 바르는 벽지 마감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마감 시공방법에 따르면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천정 마감 시공을 할 수 있으며 기능성 무기질 성분이 균일하게 도포되기 때문에 유해물질 흡착성능과 조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퍼티 자국이 남지 않는 미려한 천정 마감 시공을 할 수 있다.
도 1은 프라이머 도포 공정 후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공정을 수행한 천정의 상태(a) 및 프라이머 도포 공정 없이 마감공정을 수행한 천정의 상태(b)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마감 시공방법은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 시공하는 퍼티 공정, 상기 퍼티 시공한 부위를 샌딩하는 샌딩 공정, 천정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료 도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정 마감 시공방법에서는 출원인이 개발한 정제수 25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25 내지 30 중량부, 규조토 17 내지 25 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EVA) 5 내지 12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4 내지 7 중량부, 탈크 4 내지 7 중량부,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하고 있다.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는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의 다공성 무기물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표면에 도포하면 유해물질 흡착성능과 조습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천정이나 벽면의 마감 시공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천정이나 벽면에 도포하면 표면에 도포 및 흡수되는 정도가 불균일하여 내부 시공 후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퍼티, 샌딩 및 도료 도포의 일반적인 천정 마감 시공방법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샌딩 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여기에 도료를 도포하는 공정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때 일반적인 프라이머 조성물을 적용하면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도포가 잘 되지 않거나 도포 후 기능성 발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 공정을 위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 75 내지 8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내지 15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실란커플링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및 변성 지환족 아민 80 내지 90 중량부, 경화촉진제 3 내지 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에폭시계 프라이머 조성물인데 통상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달리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와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에 벤조일퍼옥사이드와 같은 중합개시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게 되기 ‹š문에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코팅제로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접착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부틸아크릴레이트 30 내지 35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5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와 상용성이 좋고 프라이머 조성물에 함유되면 흐름성이 개선되어 프라이머 도포 작업시 균일한 도포가 가능하고 프라이머 층에 도료를 도포할 때의 작업성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석고보드를 시공할 때 한겹(1 ply) 시공이나 두겹(2 ply) 시공을 하게 되는데, 한겹 시공은 두겹 시공에 비해 석고보드가 적게 들어가므로 시공성이 좋고 경제적이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천정의 개보수시 주로 사용하는 공법이며 천정 마감시공에는 두겹 시공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두겹 시공은 석고보드를 부착한 후 마감보드를 그 위에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겹쳐 부착하기 때문에 강도가 향상되며 표면보드의 파손이나 크랙 방지 효과가 있으나 시공시간이 길어지며 크랙 방지를 위하여 이음새 부분을 망사테이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 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천정 마감 시공방법을 적용하면 한겹 시공을 통해서도 마감 미장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겹 시공을 통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의 경우, 석고보드를 퍼티 공정을 수행할 때 한겹으로 시공된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한 후 한냉사를 부착하는 1차 퍼티 공정 및 상기 한냉사 위로 2차 퍼티하는 2차 퍼티 공정을 통해 퍼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음새 부위에 한냉사를 부착함으로써 마감 시공 후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정 마감 시공 후 벽지를 발라 마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료 도포 공정을 수행한 석고보드의 가장자리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바인더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초배지를 시공하는 초배지 시공 공정, 상기 초배지를 시공한 천정에 벽지를 바르는 벽지 마감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초배지 시공은 봉투 바름 공법을 적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봉투 바름 공법은 초배지의 테두리 부분에만 풀칠하여 바르기 때문에 가운데 부분이 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시공면이 평활해 보이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프라이머 도포 공정 후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공정을 수행한 천정의 상태는 도 1(a)에서와 같이 퍼티 자국이 없이 평탄한 마감면을 형성하였으나, 종래의 마감공정에 따라 프라이머 도포 공정 없이 퍼티 및 샌딩공정 후 바로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공정을 수행한 천정의 상태는 도 1(b)에서와 같이 퍼티 자국이 그대로 비치며 표면 평탄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는 퍼티 공정을 수행한 천정 면에 직접 기능성 무기질 도료를 도포하여 도료 성분이 표면에 흡수되는 현상으로 인해 도표면이 불균일해지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4)

  1.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 시공하는 퍼티 공정;
    상기 퍼티 시공한 부위를 샌딩하는 샌딩 공정;
    천정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료 도포 공정;
    을 포함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 75 내지 8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 내지 15 중량부, 반응성 희석제 5 내지 10 중량부 및 실란커플링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제 및 변성 지환족 아민 80 내지 90 중량부, 경화촉진제 3 내지 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30 내지 35 중량%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5 내지 7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은 정제수 25 내지 30 중량부, 제올라이트 25 내지 30 중량부, 규조토 17 내지 25 중량부, 에틸렌초산비닐(EVA) 5 내지 12 중량부, 이산화티타늄 4 내지 7 중량부, 탈크 4 내지 7 중량부, 증점제 0.1 내지 0.5 중량부, 소포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티 공정은
    상기 석고보드 부착면의 이음새 부위를 퍼티한 후 한냉사를 부착하는 1차 퍼티 공정;
    상기 한냉사 위로 2차 퍼티하는 2차 퍼티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 공정을 수행한 석고보드의 가장자리에 바인더를 도포하는 바인더 도포 공정;
    상기 천정에 초배지를 시공하는 초배지 시공 공정;
    상기 초배지를 시공한 천정에 벽지를 바르는 벽지 마감 공정;
    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마감 시공방법.
KR1020220035713A 2022-03-23 2022-03-23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KR10266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13A KR102661182B1 (ko) 2022-03-23 2022-03-23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13A KR102661182B1 (ko) 2022-03-23 2022-03-23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092A KR20230138092A (ko) 2023-10-05
KR102661182B1 true KR102661182B1 (ko) 2024-04-25

Family

ID=8829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713A KR102661182B1 (ko) 2022-03-23 2022-03-23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18B1 (ko) * 2002-10-18 2004-03-22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852308B1 (ko) * 2017-10-12 2018-04-25 최무근 상온 경화형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102008406B1 (ko) * 2019-01-07 2019-08-07 문윤정 건축물의 내부벽면 마무리 작업 방법
KR102319923B1 (ko) * 2021-06-04 2021-11-01 (주)에스이에프코리아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663A (ko) * 2011-02-17 2012-08-27 도효림 패널 이음새용 초배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18B1 (ko) * 2002-10-18 2004-03-22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852308B1 (ko) * 2017-10-12 2018-04-25 최무근 상온 경화형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102008406B1 (ko) * 2019-01-07 2019-08-07 문윤정 건축물의 내부벽면 마무리 작업 방법
KR102319923B1 (ko) * 2021-06-04 2021-11-01 (주)에스이에프코리아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092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5461C (fi) Laett fogkitt med foerbaettrad maolbarhet.
KR101931239B1 (ko) 컬러 코팅 경량 골재의 에멀젼계 외장 마감재와 수축 억제 바탕조정제를 사용한 외단열 마감 공법
JPH046136A (ja) 耐火被覆材
EP1347107A1 (en) Polyvalent, insulating, anti-vibratory, adhesive and fireproof product for various industrial sectors, especially the building industry
AU2021201567B2 (en) Improved Jointing System
KR102661182B1 (ko)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 마감 시공방법.
US3824147A (en) Weather-resistant,sand coated exterior gypsum board and wall
US20160304725A1 (en) Liquid Drywal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AU2015255229B2 (en) Jointing Compound
KR20010084168A (ko) 실내외 바닥마감 몰탈의 조성물과 그 시공방법
US9039831B2 (en) Non-aqueous rapid setting drywall compound and method of use
JP2005246319A (ja) 建築物壁面の塗装工法
EP312956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surface for decoration
JPS58539B2 (ja) セメント−樹脂仕上材層の施工方法
AU2015255233B2 (en) Improved Jointing Compound
JP2019157124A (ja) 水性被覆材
US11952314B2 (en) Enhanced adhesive drywall finish and joint compound and method of use
KR100295017B1 (ko) 콘크리트 면의 마감시공 방법
JPS584749B2 (ja) 下地材の製造方法
KR20230122355A (ko) 불연성 분말형 마감재 조성물
JPH06316679A (ja) 建築物塗材用固結剤と塗材の製造方法
JP4852251B2 (ja) 塗料組成物
CA3198379A1 (en) Enhanced adhesive drywall finish and joint compound and method of use
KR100760262B1 (ko) 건축구조물의 페인트 도색방법 및 도색용전처리페인트조성물
CN117343598A (zh) 一种仿花岗岩涂料用底中合一底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