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26B1 -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 Google Patents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26B1
KR101115326B1 KR1020110071801A KR20110071801A KR101115326B1 KR 101115326 B1 KR101115326 B1 KR 101115326B1 KR 1020110071801 A KR1020110071801 A KR 1020110071801A KR 20110071801 A KR20110071801 A KR 20110071801A KR 101115326 B1 KR101115326 B1 KR 10111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me retardant
coating fil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식
백용규
이재승
김동회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미성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미성빌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건축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07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2Ammonium phosphate
    • C08K2003/323Ammonium polyphosph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 기능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지면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중도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30~100㎛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도막 형성단계; 난연 기능을 갖기 위해 200~800㎛의 도막을 형성하는 중도도막 형성단계; 난연 및 광택, 내화학성,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해 150~800㎛의 도막을 형성하는 상도도막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난연 성능기준에 부합하는 물성이 발휘되므로 불의의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METHOD FOR FORMING EPOXY-BASED FLOOR COATING FILM HAVING FLAME RETARDANCY and EPOXY-BASED FLOOR HAVING FLAME RETARDANCY}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토해양부에서 규정한 건축물 내부 마감 재료의 난연 성능 기준에 부합하는 물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도 도막, 중도 도막 및 상도 도막을 시공함으로서 불의의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호텔, 오피스텔, 대형할인점 등의 주차장 바닥이나 공장, 사무실, 실험실, 병원이나 공공건물의 바닥에는 에폭시 바닥재가 시공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폭시 바닥재는 회색 계통의 단순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색깔을 부여하고, 차량이나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바닥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 바닥으로부터 분진 등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 바닥재의 경우 유기 화합물이므로 화재에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지하 주차장에서의 화재는 공간이 개방형이라 화염이나 유독 가스 발생시 단시간에 전 구역에 걸쳐 퍼지게 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지하 공간에는 수도나 전기, 통신 설비 등이 밀집되어 있어 이것이 소실되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따라서 주차장 바닥의 경우도 에폭시나 우레탄과 같이 가연성의 물질을 1~3 mm의 도막 두께로 시공하기보다는 난연 기능을 발휘하는 제품을 적용하는 것이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절실히 요구된다. 유기질의 바닥재 대부분은 가연성이며 무기질의 불연성 제품이 있기는 하나 대개 주원료가 시멘트로 되어 있어서 기존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바닥과는 차별성이 없고 방진성을 보강하기 위해 유기합성수지를 코팅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현재 에폭시 도료형 바닥재는 유기합성수지이며 난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물성과 기능이 우수한 에폭시 바닥 마감재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 마감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소지면 상에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지는 2액형 에폭시 도료를 이용하여 하도, 중도, 상도의 3중층 구조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 마감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소지면 상에, 용제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아마이드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 30~100㎛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막 형성단계;
상기 하도 도막 상에, 난연 기능을 갖기 위해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디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 200~800㎛의 도막을 형성하는 중도 도막 형성단계; 및
상기 중도 도막 상에, 난연, 광택, 내약품성,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해,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 150~800㎛의 도막을 형성하는 상도 도막 형성단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의 주제부는 당량이 450~700g/eq 인 용제형 에폭시수지 40~60중량부와 혼합 유기용제 40~6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부는 당량이 230~270g/eq 인 폴리아마이드수지 30~50중량부와, 혼합 유기용제 50~70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촉진제 0.1~3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의 주제부는 당량이 210~240g/eq 인 브롬화 난연 에폭시수지 10~20중량부, TPP 1~5 중량부, APP 5~15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5~15중량부, 벤질알콜 5~15중량부, 소포제 0.1~1.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40~60중량부, 착색안료 1~5중량부, 침강방지제 1~3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30~40중량부, M-크실렌 디아민 변성아민 20~30중량부, 경화촉진제 5~10중량부, 벤질알콜 20~4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의 주제부는 당량이 187~230g/eq인 비스페놀A형 또는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30~40중량부, 벤질알콜 1~10중량부, 소포제 0.1~1.0중량부, 이색방지제 0.1~1.0중량부, 탄산칼슘 30~5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15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1~10중량부, 및 착색안료 1~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30~50중량부, M-크실렌 디아민 변성아민 20~30중량부, 경화촉진제 5~10중량부, 및 벤질알콜 20~4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는 2:1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중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는 13:1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상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는 6:1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소지면; 용제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30~100㎛의 하도도막층;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200~800㎛의 중도도막층; 및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150~800㎛의 상도도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난연 기능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도도막층에 포함되는 난연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데카브롬디페닐에탄, 및 수산화알루미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도도막층에 포함되는 난연제는 데카브롬디페닐에탄, 및 수산화알루미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도 도막, 중도 도막 및 상도 도막을 순차적으로 시공하여 국토해양부에서 규정한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난연 성능 기준에 부합하는 물성이 발휘될 수 있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 마감재 도막을 제공함으로써 불의의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지면 상에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지는 2액형 에폭시 도료를 이용하여 하도, 중도, 상도도막의 3중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 마감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도 도막의 형성단계
우선,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소지면에 하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하도 도막을 형성한다. 상기 하도 도막은 소지면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중도 도막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을 소지면에 도포하기 전에 소지면의 이물질이나, 유분, 수분 등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지면의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 연삭용 다이아몬드날이나 연마용 숫돌 등이 부착된 면처리 기기로 표면을 갈아낸 다음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은 용제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아마이드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제부는 당량이 450~700 g/eq 인 용제형 에폭시 수지 40~60 중량부 및 혼합 유기용제 40~6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제부는 당량이 230~270 g/eq 인 폴리아마이드 수지 30~50 중량부와, 혼합 유기용제 50~70 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촉진제 0.1~3 중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혼합 유기용제는 크실렌(Xylene), 이소부탄올(Iso-Butanol), 아세톤 (Acetone), 부틸셀로솔브 (Butyl Cellosolve),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2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제부와 경화제부의 혼합비율은 주제부에 포함된 에폭시당량과 경화제부에 포함된 아민당량이 1 : 0.95 내지 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중량비 약 2 :1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하도 도료 조성물은 롤러나 붓을 이용하여 소지면에 도장한다. 이때 소지면의 흡착이 심한 부분은 2회 도장하여 하도 도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소지면에 도장되는 하도 도막은 30~10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하도 도막이 30 ㎛ 미만이거나 100 ㎛ 이 초과되면 접착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중도 도막의 형성단계
다음으로, 하도 도막이 경화된 후 하도 도막 상에 중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중도 도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중도 도막은 우수한 난연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도 도료 조성물을 하도 도막이 경화된 후 고무나 철재로 된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하도 도막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중도 도료 조성물은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디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중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의 상기 주제부는 당량이 210~240 g/eq 인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10~20 중량부,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1~5 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5~15 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5~15 중량부, 벤질알콜 5~15 중량부, 소포제 0.1~1.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40~60 중량부, 착색안료 1~5 중량부 및 침강방지제 1~3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30~40 중량부, M-크실렌 디아민 변성아민(MXDA 변성아민) 20~30 중량부, 경화촉진제 5~10 중량부 및 벤질알콜 20~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부와 경화제부의 혼합비율은 주제부에 포함된 에폭시당량과 경화제부에 포함된 아민당량이 1 : 0.95 내지 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포작업시에 중량비 13:1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중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는 브롬이 첨가된 브롬화 에폭시 수지로서 화재 시 불연성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서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중도 도료 조성물에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TPP)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가 포함되는데 상기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는 유기계 난연제로서 화재 시 열분해에 의해 인산과 폴리인산을 생성하는데 이는 에스테르화 및 탈수반응에 의해 탄화막을 형성하여 산소와 열을 차단함으로서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데카브롬디페닐에탄(DBDPE)은 유기계 난연제로서 화재시 불연성 가스를 발생시켜 가연성 가스를 희석시키고 산소를 차단하여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수산화알루미늄(Al2O3)은 무기계 난연제로서 화재로 인한 연소 시 물을 발생시켜 수증기로 변하면서 연소현상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주위 온도는 낮춤으로서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난연제가 포함된 중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중도 도막은 강력한 난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도 도막은 200~80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중도 도막이 200 ㎛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난연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중도 도막이 800 ㎛ 초과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시공단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도도막의 형성 단계
마지막으로, 중도 도막이 경화된 후 중도 도막 상에 상도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도 도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도 도막은 난연성, 광택성,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도 도료 조성물을 중도 도막이 경화된 후 에어리스 스프레이 기기(Airless Spray Equipment) 등을 사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면, 바닥에 골고루 분산 도포됨으로써 도료의 치우짐과 응집을 막고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도 도료 조성물은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제부는 당량이 187~230 g/eq인 비스페놀에이 또는 비스페놀에프형 에폭시 수지 30~40 중량부, 벤질알콜 1~10 중량부, 소포제 0.1~1.0 중량부, 이색방지제 0.1~1.0 중량부, 탄산칼슘 30~5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15 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1~10 중량부 및 착색안료 1~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30~50 중량부, M-크실렌 디아민 변성아민 20~30 중량부, 경화촉진제 5~10 중량부 및 벤질알콜 20~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부와 경화제부의 혼합비율은 주제부에 포함된 에폭시 당량과 경화제부에 포함된 아민 당량이 1 : 0.95 내지 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포작업 시에 중량비 6:1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도 도료 조성물에는 중도 도료 조성물에서 사용한 동일한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Al2O3)이 포함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로 인한 연소 시 물을 발생시켜 수증기로 변하면서 연소현상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주위 온도는 낮춤으로서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중도 도료 조성물에서 사용한 동일한 난연제로서 데카브롬디페닐에탄이 포함됨으로써 화재시 불연성 가스를 발생시켜 가연성 가스를 희석시키고 산소를 차단하여 난연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중도 도막 상에 도포되는 상도 도막은 150~800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상도 도막이 150 ㎛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도 도막이 800 ㎛ 초과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난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형성된 상도 도막의 난연 성능은 중도 도막보다 수지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감소되지만 광택성,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이 더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도 도료 조성물, 중도 도료 조성물 및 상도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촉진제로는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을 사용하며, 도료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소포제로는 폴리실록산 용액을 사용하며, 침강방지제로는 점토변성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안료로는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철황, 산화철적, 시아닌그린, 시아닌블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색방지제로는 불포화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어 분산제, 평활성 증진제, 레벨링제 등이 더욱 첨가될 수 있다.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본 발명은 또한 소지면; 용제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30~100㎛의 하도도막층;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200~800㎛의 중도도막층; 및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150~800㎛의 상도도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소지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하도 도막, 중도 도막 및 상도 도막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바닥 마감재 도막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주차장 등과 같은 건물의 바닥 마감재로 사용됨으로써 화재 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riphenyl phosphate; TPP)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 데카브롬디페닐에탄(DBDPE), 수산화알루미늄(Al2O3)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중도도막층에 포함되는 난연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데카브롬디페닐에탄, 및 수산화알루미늄이고, 상기 상도도막층에 포함되는 난연제는 데카브롬디페닐에탄, 및 수산화알루미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1]
1-1. 하도도막의 형성
하도 도막을 형성하는 에폭시 도료는 2액형으로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지는데 주제부는 당량 633g/eq의 용제형 에폭시수지(YD-011X75, 국도화학社) 50중량부, 혼합유기용제 5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경화제부는 당량 250g/eq의 폴리아마이드(G-5022X70, 국도화학社) 40중량부, 혼합유기용제 59중량부, 경화촉진제인 1중량부로 이루어진다. 혼합 유기용제는 크실렌(Xylene) 40중량부, 이소부탄올(Iso-Butanol) 10중량부, 아세톤(Acetone) 40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경화촉진제로는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을 사용하였다.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중량비 2 : 1로 혼합 후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믹싱하여 2액형의 하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소지면에 약 50㎛의 도막이 형성되도록 균일하게 도장한 후 24시간 실온에서 경화되도록 하였다.
1-2. 중도도막의 형성
중도 도막을 형성하는 에폭시 도료는 2액형으로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지는데 주제부는 당량이 225g/eq 인 브롬화 난연 에폭시수지(YDB-228, 국도화학社) 16중량부, TPP 1.7 중량부, APP 8.7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8.7중량부, 벤질알콜 14중량부, 소포제로서 폴리실록산 용액(BYK-320, BYK社) 0.3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45.6 중량부, 착색안료로서 이산화티탄 3 중량부 및 침강방지제로서 점토변성 유도체(BP-184, ZHEJIANG HUATE GROUP) 2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Jeffamine D-230, Huntsman社) 36 중량부, MXDA 변성아민(LM-177, Hexion社) 24 중량부, 경화촉진제로서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10 중량부 및 벤질알콜 3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중량비 13:1로 혼합 후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믹싱하여 2액형의 중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고무나 철 재질의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하도가 도장된 면에 약 400㎛의 중도 도막이 형성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 후 실온에서 48시간 경화되도록 하였다.
1-3. 상도도막의 형성
상도 도막을 형성하는 에폭시 도료는 2액형으로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지는데 주제부는 당량이 187g/eq인 비스페놀에이형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社) 33 중량부, 벤질알콜 3 중량부, 폴리실록산 용액(BYK-320, BYK社) 0.3 중량부, 이색방지제로서 불포화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 용액(BYK-P104, BYK社) 0.3 중량부, 탄산칼슘 43.4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0 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5 중량부 및 착색안료로서 이산화티탄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Jeffamine D-230, Huntsman社) 40 중량부, MXDA 변성아민(LM-177, Hexion社) 23 중량부, 경화촉진제로서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7 중량부 및 벤질알콜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6: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균일한 액상이 되도록 믹싱하여 2액형의 상도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에어리스 스프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중도 도막 상에 약 250 ㎛ 두께의 상도 도막이 형성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 후 실온에서 경화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하도 도막을 80 ㎛ 두께로, 중도 도막을 700 ㎛ 두께로, 그리고 상도 도막을 300 ㎛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도 도막, 중도 도막 및 상도 도막을 도장하였다.
[비교예 1]
하도 도막을 50 ㎛ 두께로, 중도 도막을 1000 ㎛ 두께로, 그리고 상도 도막을 1000 ㎛ 두께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하도 도막, 중도 도막 및 상도 도막을 도장하였다.
물성측정시험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형성된 도막에 대해 하기 표 1의 시험방법에 따라 물성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판정기준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시험방법




열방출시험


총방출 열량
8 MJ/㎡ 이하
3.7

6.2

11.3





KS F 5660-1
: 2008
열방출율이 연속으로 200KW/㎡을 초과하는 시간(s)
10 s 이하

0

4

15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용융(심재의 전부용융, 소멸) 등

없을 것


없음


없음


없음

가스 유해성 시험

행동정지시간
(m:s)

9min 이상

11:28

11:07

10:26

KS F 2271
: 2006

내충격성능

이상없을것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KS F 4937
: 2009

부착성능(N/㎟)

1.2이상

1.9

1.9

1.9


윤하중 저항 성능

표면상태

이상없을것

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두께감소깊이
(㎜)

3이하

0.7

0.7

0.7

수밀성능

투수되지
않을것

투수되지않음

투수되지않음

투수되지않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형성된 도막은 난연 시험 기준인 열방출 시험과 가스 유해성 시험 및 KS F 4937 : 주차장 바닥용 표면마감재 시험에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지만, 비교예 1에서 형성된 도막은 열방출 시험 중 총 방출열량과 열방출률 초과시간 항목에서 판정 기준에 초과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은 난연등급 규정인 KS F 5660-1의 열방출시험과 KS F 2271의 가스유해성시험에 합당하므로 건축용 바닥마감재로서 불의의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소지면 상에, 용제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아마이드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 30~100㎛의 도막을 형성하는 하도 도막 형성단계;
    상기 하도 도막 상에, 난연 기능을 갖기 위해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디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 200~800㎛의 도막을 형성하는 중도 도막 형성단계; 및
    상기 중도 도막 상에, 난연, 광택, 내약품성,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해,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주제부와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2액형 도료로 150~800㎛의 도막을 형성하는 상도 도막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상기 주제부는 당량이 450~700g/eq 인 용제형 에폭시수지 40~60중량부와 혼합 유기용제 40~6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부는 당량이 230~270g/eq 인 폴리아마이드수지 30~50중량부와, 혼합 유기용제 50~70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촉진제 0.1~3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상기 주제부는 당량이 210~240g/eq 인 브롬화 난연 에폭시수지 10~20중량부,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1~5 중량부,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5~15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5~15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40~60중량부, 벤질알콜 5~15중량부, 소포제 0.1~1.0중량부, 착색안료 1~5중량부, 침강방지제 1~3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30~40중량부, M-크실렌 디아민 변성아민 20~30중량부, 경화촉진제 5~10중량부, 벤질알콜 2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상기 주제부는 당량이 187~230g/eq인 비스페놀A형 또는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30~40중량부, 벤질알콜 1~10중량부, 소포제 0.1~1.0중량부, 이색방지제 0.1~1.0중량부, 탄산칼슘 30~5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5~15중량부, 데카브롬디페닐에탄 1~10중량부, 및 착색안료 1~10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에테르디아민 30~50중량부, M-크실렌 디아민 변성아민 20~30중량부, 경화촉진제 5~10중량부, 및 벤질알콜 20~4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는 2:1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중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는 13:1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상도도막을 형성하는 도료에서 주제부와 경화제부는 6: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6. 소지면; 용제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30~100㎛의 하도도막층; 브롬화 난연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200~800㎛의 중도도막층; 및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150~800㎛의 상도도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도막층에 포함되는 난연제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데카브롬디페닐에탄, 및 수산화알루미늄이고,
    상기 상도도막층에 포함되는 난연제는 데카브롬디페닐에탄, 및 수산화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KR1020110071801A 2011-07-20 2011-07-20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KR10111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01A KR101115326B1 (ko) 2011-07-20 2011-07-20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01A KR101115326B1 (ko) 2011-07-20 2011-07-20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326B1 true KR101115326B1 (ko) 2012-02-20

Family

ID=4584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01A KR101115326B1 (ko) 2011-07-20 2011-07-20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37B1 (ko) 2012-05-29 2012-10-19 진도화성공업 주식회사 논 할로겐 프리 친환경 내진 보수 보강용 난연성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1252718B1 (ko) 2012-04-23 2013-04-09 (주)동양후로아 고강도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524202B1 (ko) * 2013-05-15 2015-06-03 주식회사 제일화성 건축용 투명 에폭시 바닥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082639A1 (ko) * 2015-11-12 2017-05-1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KR101774357B1 (ko) * 2016-09-27 2017-09-04 주식회사 인프라이엔지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CN109401527A (zh) * 2018-08-06 2019-03-01 河南中机华远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热防护涂料及其涂覆方法
KR20210158140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화 도료의 도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18B1 (ko) 2002-10-18 2004-03-22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50113880A (ko)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태일케미칼 환경친화성의 수성 에폭시수지-세라믹과 수성실리콘아크릴수지 도료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료를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방지공법
KR100577463B1 (ko) 2004-09-24 2006-05-04 김의연 내산성 및 난연성 에폭시 수지
KR100820212B1 (ko) 2008-02-25 2008-04-07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에폭시계 세미누드 레진 몰탈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218B1 (ko) 2002-10-18 2004-03-22 기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폭시수지 마감재를 이용한 벽면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20050113880A (ko)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태일케미칼 환경친화성의 수성 에폭시수지-세라믹과 수성실리콘아크릴수지 도료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료를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방지공법
KR100577463B1 (ko) 2004-09-24 2006-05-04 김의연 내산성 및 난연성 에폭시 수지
KR100820212B1 (ko) 2008-02-25 2008-04-07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에폭시계 세미누드 레진 몰탈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18B1 (ko) 2012-04-23 2013-04-09 (주)동양후로아 고강도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1193137B1 (ko) 2012-05-29 2012-10-19 진도화성공업 주식회사 논 할로겐 프리 친환경 내진 보수 보강용 난연성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1524202B1 (ko) * 2013-05-15 2015-06-03 주식회사 제일화성 건축용 투명 에폭시 바닥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082639A1 (ko) * 2015-11-12 2017-05-18 주식회사 케이씨씨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KR101774357B1 (ko) * 2016-09-27 2017-09-04 주식회사 인프라이엔지 콘크리트 바닥면 시공방법
CN109401527A (zh) * 2018-08-06 2019-03-01 河南中机华远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热防护涂料及其涂覆方法
KR20210158140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화 도료의 도장 방법
KR102413029B1 (ko) * 2020-06-23 2022-06-24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화 도료의 도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326B1 (ko)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EP1941000B1 (en) Fire-resistant composition for coating, sealing and protection purposes
US7833575B2 (en) Methods for applying fire retardant systems, compositions and uses
CA2846076C (en) Water resistant low flame-spread intumescent fire retardant coating
KR100873051B1 (ko) 친환경적이고 고기능성을 겸비한 무기계 폴리머 수지몰탈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100028690A1 (en) High-Temperature Non-Skid Coating Composition
KR101174108B1 (ko) 콘크리트, 철강재 및 목재 등의 구조재용 신속경화형 폴리우레아계 표면 코팅 조성물
WO2011062370A2 (ko) 후막용 수용성 에폭시수지 바닥마감재 조성물
KR101704756B1 (ko) 3성분 폴리머 수지몰탈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면 마감공법
KR101726987B1 (ko) 우수한 내화성능을 갖는 친환경 무용제 에폭시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2433567B1 (ko) 3액형 바닥용 초고강도 논슬립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KR101738988B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 면의 시공방법
WO2020142484A1 (en) Water resistant wood flooring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101013031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탄산화 방지공법
JP2020171925A (ja) 被膜形成方法
KR20160149728A (ko) 무해한 친환경적인 건축물 내부 바닥 코팅제 및 코팅방법.
KR1011687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및 열화 방지 공법
KR101753523B1 (ko) 소음 방지 효과가 우수한 바닥 마감재용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1933487B1 (ko) 에폭시실란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변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기재로 하는 2액형 불연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도막 시공방법
KR100820212B1 (ko) 에폭시계 세미누드 레진 몰탈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AU2015247667B2 (en) Water-based epoxy formulations for applied fireproofing
KR101457037B1 (ko) 고강도 바닥재의 시공방법
US20040003570A1 (en) Methods of making manufactured housing or modular homes
US9598571B2 (en) Lightweight terrazzo surfac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